KR20100025965A -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965A
KR20100025965A KR1020080084742A KR20080084742A KR20100025965A KR 20100025965 A KR20100025965 A KR 20100025965A KR 1020080084742 A KR1020080084742 A KR 1020080084742A KR 20080084742 A KR20080084742 A KR 20080084742A KR 20100025965 A KR20100025965 A KR 20100025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rticles
electrophoretic
subcell
col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은
차승남
정재은
진용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5965A/ko
Publication of KR2010002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02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6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구현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는 산란형 입자들과 투과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전기영동입자들을 구비하는 전기영동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개시된 컬러 구현 방법에 의하면, 두 개의 서브 화소 영역에서 표시되는 컬러의 조합으로 기본 화소의 컬러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구현 방법{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color expression method thereof}
개시된 디스플레이 기술은 컬러 표현에 있어 색순도 특성이 개선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표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는 대전 입자의 전기장 내에서의 이동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며, 넓은 시야각, 쉬운 가독성 및 저소비전력의 특징을 갖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컬러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적색, 녹색, 청색을 나타내는 소자를 단위 소자로 하여 색상을 표현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전 입자를 빛을 흡수하는 블랙 입자와 빛을 반사하는 화이트 입자로 구성하고, 컬러 필터를 함께 이용하는 방식이 있고, 또는 적색, 녹색, 청색이 각각 착색된 대전 입자와 빛을 반사하는 화이트 입자를 이용하는 컬러입자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컬러 구현에 있어 기본적으로 블랙 또는 화이트가 섞이게 되므로, 휘도나 색순도의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에 따라,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컬러를 구현함에 있어 컬러 품질 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컬러 품질이 개선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표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기판; 상기 제1 및 제2기판이 서로 마주보는 면들에 마련된 전극부;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마련되어, 산란형 입자들과 투과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전기영동입자들을 구비하는 전기영동셀;을 포함한다.
상기 산란형 입자들과 투과형 입자들은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되고 반대 전하로 대전되어 있다.
상기 전기영동셀은 상기 전기영동입자들의 움직임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제1서브셀과 제2서브셀로 나뉘어져 상기 두 서브셀이 기본 화소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셀에는 투과형 입자인 제1전기영동입자들과 산란형 입자인 제2전기영동입자들이 마련되고, 상기 제2서브셀에는 투과형 입자인 제3전기영동입자들과 산란형 입자인 제4전기영동입자들이 마련되며, 상기 각 서브셀 내에서 산란형 입자들과 투과형 입자들은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되고 반대 전하로 대전된다.
상기 제1전기영동입자와 상기 제2전기영동입자는 적색, 녹색, 청색 중의 두 가지 색으로 각각 착색되고, 상기 제3전기영동입자와 상기 제4전기영동입자는 적 색, 녹색, 청색 중 상기 두 가지 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 및 상기 두 가지 색의 혼합색으로 각각 착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소자의 컬러 구현 방법은 두 개의 서브 화소 영역에서 표시되는 컬러의 조합으로 기본 화소의 컬러를 형성한다.
상기 두 개의 서브 화소 영역 각각은 산란형 입자들과 투과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전기영동입자들을 구비하는 전기영동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서브 화소 영역 중 한 영역에서 적색, 녹색, 청색 중의 두 가지 색 및 블랙과 화이트가 표시되고, 나머지 한 영역에서는 적색, 녹색, 청색 중 상기 두 가지 색을 제외한 색, 상기 두 가지 색의 혼합색 및 블랙과 화이트가 표시되게 하여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구현 방법에 의하면, 전기영동입자로 산란형 입자와 투과형 입자를 함께 채용하고, 두 개의 서브화소영역에 표시되는 색상의 조합으로 기본 화소를 구성하고 있어, 구현되는 색상이 다양하며 색상의 선명도가 높아, 컬러 품질이 우수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100)의 개략적 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100)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 사이에 마련된 것으로 전기영동입자들을 구비하는 전기영동셀,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의 내면에 마련된 전극부를 포함한다.
제1기판(110)은 광투과성이 우수한 투명 유리 또는 플렉시블(flexible)한 투명 필름으로 구성되어, 제1서브화소영역(100A) 및 제2서브화소영역(100B)을 기본 화소로 하는 표시 영역을 이룬다.
제2기판(120)은 반사판으로 구성되어, 제2기판(120) 쪽으로 도달한 광을 상기 표시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 사이에 마련된 전기영동셀의 영역은 스페이서(130)에 의해 복수개로 나뉘어져, 예를 들어, 제1서브셀(151), 제2서브셀(152)로 구성된다. 제1서브셀(151) 및 제2서브셀(152)은 각 서브셀(151,152) 내에서의 전기영동입자의 움직임에 따라 제1서브화소영역(100A) 및 제2서브화소영역(100B)에 이에 대응되는 컬러를 표시하게 된다. 제1서브셀(151) 및 제2서브셀(152)에는 분산매로서 액체나 기체가 충진될 수 있다.
제1서브셀(151)에는 제1서브화소영역(100A)에 적색(R), 녹색(G), 청색(B) 중 두 가지 색 및 블랙과 화이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전기영동입자들이 마련된다. 전기영동입자는 전기장 내에서 전기 영동에 의해 이동하는 성질을 가지며, 소정 전하로 대전된 유기 또는 무기의 입자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서브셀(151) 내에는 광학적 특성이 다른 이종의 제1전기영동입자(182)들과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이 마 련되는데, 제1전기영동입자(182)들과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은 서로 반대 전하로 대전되어 있고,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며, 산란, 투과특성이 다르다. 예를 들어,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은 음으로 대전되고 적색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형 입자들일 수 있고,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은 양으로 대전되고 청색광을 산란시키는 산란형 입자들일 수 있다. 또는,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이 산란형 입자이고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이 투과형 입자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이 투과형 입자이고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이 산란형 입자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2서브셀(152) 내에는 제1서브화소영역(100A)에 표시되지 않는 색, 제1서브화소영역(100A)에 표시될 수 있는 색의 혼합색 및 블랙과 화이트를 제2서브화소영역(100B)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기영동입자들이 마련된다. 즉, 제2서브셀(152)내에는 제3전기영동입자(186)들과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이 마련되는데, 제3전기영동입자(186)들과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은 서로 반대 전하로 대전되어 있고,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며, 산란, 투과특성이 다르다. 예를 들어, 제1서브화소영역(100A)에 적색과 청색이 표시되도록 구성된 경우, 제2서브화소영역(100B)에는 녹색 및 마젠타(Magenta)가 표시되도록 제3전기영동입자(186)들과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이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3전기영동입자(186)는 음으로 대전되고 마젠타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형 입자로, 제4전기영동입자(188)는 양으로 대전되고 녹색광을 산란시키는 산란형 입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이 산란형 입자이고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이 투과형 입자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이 투과형 입자이고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이 산란형 입자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1기판(110)의 내면, 즉, 전기영동셀을 마주하는 면에는 제1전극(142)이 형성된다. 제1전극(1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셀(151)과 제2서브셀(152)의 공통 전극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142)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소정의 전기영동입자들을 채집하고 이에 의해 제1서브화소영역(100A), 제2서브화소영역(100B)에 컬러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광투과성이 좋은 투명전극 물질 예를 들어 산화인듐주석(IT0) 또는 산화인듐아연(IZO)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기판(120)의 내면, 즉, 전기영동셀을 마주하는 면에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소정의 전기영동입자들을 채집하기 위한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전극(144,145,146,147,148,149)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2기판(120)의 제1서브셀(151)을 마주하는 면에는 제2전극(144)과, 제2전극(144)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는 제3전극(145), 제4전극(146)이 형성되어 있다. 제2전극(144)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소정의 전기영동입자들을 채집하게 되는데, 전기영동입자들이 채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입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전극으로 구성되거나, 광이 제2전극(144)을 투과한 후 제2기판(120)에서 반사되도록 투명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전극(144)은 예를 들어, 산화인듐주석(IT0) 또는 산화인듐아연(IZO)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전극(145) 및 제4전극(146) 인가된 전압에 따라 소정의 전기영동입자들을 채집하며, 채집된 입자들의 색이 표시영역에 미치는 영향이 작도록 가능한 작은 크기로 형성 된다. 제3전극(145) 및 제4전극(14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극(144)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지만,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2기판(120)의 제2서브셀(152)을 마주하는 면에는 제5전극(147)과, 제5전극(147)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는 제6전극(148) 및 제7전극(149)이 형성되어 있다. 제5전극(147), 제6전극(148) 및 제7전극(149)은 각각 상술한 제2전극(144), 제3전극(145) 및 제4전극(146)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기능을 가진다. 제6전극(148) 및 제7전극(14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전극(147)의 양측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2는 도 1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100)의 제1서브화소영역(100A) 및 제2서브화소영역(100B)에서 표시되는 컬러 및 이의 조합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컬러 개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서브화소영역(100A)에서는 적색(Red), 청색(Blue), 블랙(Black), 화이트(White)의 네 가지 컬러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2서브화소영역(100B)에서는 마젠타(Magenta), 녹색(Green), 블랙(Black), 화이트(White)의 네 가지 컬러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서브화소영역(100A)과 제2서브화소영역(100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화소에 16가지의 컬러가 구현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제1서브화소영역(100A)에 각각 적색, 청색, 블랙, 화이트가 표시되기 위한 제1서브셀(151) 내에서의 전기영동입자들의 배치와 광경로를 보이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제1서브셀(151)내에서, 제1전극(142)에 음으로 대전되고 적색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형 입자인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이 채집되고, 제3전극(145) 및 제4전극(146)에는 양으로 대전되고 청색광을 산란시키는 산란형 입자인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이 채집되며, 제2전극(144)에는 전기영동입자들이 채집되지 않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도시된 것과 달리, 제3전극(145)과 제4전극(146) 중 어느 한 전극에만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이 채집되도록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입사된 백색광(LW) 중 적색광(LR)만이 제1전기영동입자(182)를 투과하고, 다음, 투명전극인 제2전극(144)을 투과한 후 반사판인 제2기판(120)에서 반사된다. 반사된 적색광(LR)은 다시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을 투과하므로, 제1서브화소영역(100A)에는 적색(R)이 표시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전극(142)에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이 채집되고 제2전극(144), 제3전극(145), 제4전극(146)에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이 채집되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입사된 백색광(LW) 중 청색광(LB) 만이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에 의해 산란되므로, 제1서브화소영역(100A)에 청색(B)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2전극(144), 제3전극(145) 및 제4전극(146) 모두에 음으로 대전된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이 채집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전극(144)에만 또는 제3전극(145) 및 제4전극(146)에만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이 채집되도록 전압이 인가되어도 무방하다.
도 3c는 제1전극(142)에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이 채집되고, 제2전극(144), 제3전극(145) 및 제4전극(146)에 양으로 대전된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이 채집되도록 전압이 인가된 경우이다. 입사된 백색광(LW) 중 적색광(LR)만이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을 투과하고, 투과된 적색광(LR)은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에서 산란되지 않으므로, 제1서브화소영역(100A)으로는 아무런 광이 출사되지 않아 블랙(BK)이 표시된다.
도 3d는 제1전극(142) 및 제2전극(144)에는 전기영동입자들이 채집되지 않고, 제3전극(145)에 음으로 대전된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이 채집되고 제4전극(146)에는 양으로 대전된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이 채집된 경우를 도시한다. 입사된 백색광(LW)은 반사판인 제2기판(120)에서 반사되어 백색광(LW)으로 출사되므로 제1서브화소영역(100A)에는 백색(W)이 표시된다. 도시된 것과 달리, 제3전극(145)에 양으로 대전된 제2전기영동입자(184)들이 채집되고 제4전극(146)에 음으로 대전된 제1전기영동입자(182)들이 채집되도록 전압이 인가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2서브화소영역(100B)에 각각 마젠타, 녹색, 블랙, 화이트가 표시되기 위한 제2서브셀(152) 내에서의 전기영동입자들의 배치와 광경로를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전극(142)에 음으로 대전되고 마젠타광을 투과시키는 산란형 입자인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이 채집되고, 제6전극(148) 및 제7전극(149)에는 양으로 대전되고 청색광을 산란시키는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이 채집되며, 제5전극(147)에는 전기영동입자들이 채집되지 않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도 시된 것과 달리, 제6전극(148)과 제7전극(149) 중 어느 한 전극에만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이 채집되도록 전압이 인가되어도 무방하다. 입사된 백색광(LW) 중 마젠타광(LM)만이 제3전기영동입자(182)를 투과하고, 다음, 투명전극인 제5전극(147)을 투과한 후 반사판인 제2기판(120)에서 반사된다. 반사된 마젠타광(LM)은 다시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을 투과하므로, 제2서브화소영역(100B)에는 마젠타(M)가 표시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전극(142)에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이 채집되고 제5전극(147), 제6전극(148), 제7전극(149)에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이 채집되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입사된 백색광(LW) 중 녹색광(LG) 만이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에 의해 산란되므로, 제2서브화소영역(100B)에 녹색(G)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5전극(147), 제6전극(148) 및 제7전극(149) 모두에 음으로 대전된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이 채집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5전극(147)에만 또는 제6전극(148) 및 제7전극(149)에만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이 채집되도록 전압이 인가되어도 무방하다.
도 4c는 제1전극(142)에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이 채집되고, 제5전극(147), 제6전극(148) 및 제7전극(149))에 양으로 대전된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이 채집되도록 전압이 인가된 경우이다. 입사된 백색광(LW) 중 마젠타광(LM)만이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을 투과한다. 마젠타광(LM)은 적색광 성분 및 청색광 성분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녹색광만을 산란시키는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에서 산란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서브화소영역(100B)으로는 아무런 광이 출사되지 않아 블랙(BK)이 표시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제1전극(142) 및 제5전극(147)에는 전기영동입자들이 채집되지 않고, 제6전극(148)에 음으로 대전된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이 채집되고 제7전극(149)에는 양으로 대전된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이 채집된 경우를 도시한다. 입사된 백색광(LW)은 투명전극인 제5전극(147)을 투과한 후 반사판인 제2기판(120)에서 반사되어 백색광(LW)으로 출사되므로 제2서브화소영역(100B)에는 백색(W)이 표시된다. 도시된 것과 달리, 제6전극(148)에 양으로 대전된 제4전기영동입자(188)들이 채집되고 제7전극(149)에 음으로 대전된 제3전기영동입자(186)들이 채집되도록 전압이 인가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소자(100)에서 제1서브셀(515) 및 제2서브셀(152) 내에 마련된 전기영동입자(182,184,186,188)들이 각각 적색, 청색, 마젠타, 녹색으로 착색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조합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서브셀(151) 내의 전기영동입자(182,184)들이 적색, 녹색으로 착색되고 제2서브셀(152) 내의 전기영동입자(186,188)들이 옐로우(Yellow), 청색으로 착색되는 조합이나, 제1서브셀(151) 내의 전기영동입자(182,184)들이 녹색, 청색으로 착색되고 제2서브셀(152) 내의 전기영동입자(186,188)들이 시안(Cyan), 적색으로 착색되는 조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 및 이의 컬러구현방법에 의하면, 두 개의 서브화소영역에 표시되는 컬러의 조합을 기본 화소로 하여 컬러를 구현하고 있으며, 각 서브화소영역을 형성하게 되는 서브셀 내에 전기영동입자로서 산란형 입자와 투과형 입자를 함께 채용함으로써 컬러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현된 컬러 품질과 일반적인 컬러 입자 방식에서 구현되는 컬러 품질을 비교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의 비교예로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10)의 구조를 보이며, 도 6은 도 5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10)의 제1 내지 제3서브화소영역(10A,10B,10C)에서 표시되는 컬러 및 이의 조합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컬러 개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10)의 표시영역은 세 개의 서브화소영역(10A,10B,10C)으로 이루어진다. 제1서브화소영역(10A), 제2서브화소영역(10B) 및 내지 제3서브화소영역(10C)은 각각 제1서브셀(15), 제2서브셀(16) 및 제3서브셀(17)에 의해 정의된다. 제1서브셀(15)에는 적색광을 산란시키며 양으로 대전된 적색입자(12)와 백색광을 산란시키며 음으로 대전된 화이트 입자(11)들이 마련된다. 제2서브셀(16)에는 양으로 대전된 녹색입자(13) 및 음으로 대전된 화이트입자(11)가 제3서브셀(17)에는 양으로 대전된 청색입자(14) 및 음으로 대전된 화이트입자(11)가 마련된다. 각 서브셀(15,16,17)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소정 전기영동입자들이 채집되는데, 각 서브화소영역(10A,10B,10C)에는 각 서브셀(15,16,17)의 상부 전극에 채집된 전기영동입자의 컬러가 표시되게 된다. 도면에는 제1서브화소영역(10A)에 적색이 표시되고 제2서브화소영역(10B) 및 제3서브화소영역(10C)에 백색이 표시되는 경우로 전기영동입자들 이 배열된 경우가 도시된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서브화소영역(10A,10B,10C)에는 각각 적색(Red) 또는 백색(White), 녹색(Green) 또는 백색(White), 및 청색(Blue) 또는 백색(White)이 표시되므로 이들 서브화소영역(10A,10B,10C)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화소에 8가지 컬러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현되는 컬러가 16가지이며, 비교예의 8가지 컬러에 비해 많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의 경우보다 색순도면에서 우수하다. 예를 들어, 적색을 표현함에 있어, 비교예의 경우 제1 내지 제3서브화소영역(10A,10B,10C)에 적색, 백색, 백색이 표시되게 하지만,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서브화소영역(100A,100B)에 적색, 백색이 표시되게 하면 된다. 실시예의 경우 백색이 섞이는 비율이 비교예의 경우보다 낮으며, 즉, 순색 비율이 2/3로 비교예의 1/2보다 높아 색순도가 좋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서브화소영역(100A,100B)에 적색, 마젠타가 표시되게 하여 적색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마젠타에 적색 성분이 1/2 포함되므로, 순색 비율이 3/4으로 매우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및 제2서브화소영역(100A,100B)에 백색과 흑색이 각각 표시될 수 있으므로, 백색과 흑색 특성이 향상되며, 색상에 따라 순색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서브화소영역(100A,100B)에 각각 적색과 녹색이 표시되게 하여 노란색을 구현하는 경우나, 청색과 녹색이 표시되게 하여 시안색을 구현하는 경우, 순색이 구현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구현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의 서브화소영역들에서 표시되는 컬러 및 이의 조합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컬러 개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의 제1서브화소영역에서 표시되는 컬러들에 대한 전기영동입자들의 배치와 광경로를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의 제2서브화소영역에서 표시되는 컬러들에 대한 전기영동입자들의 배치와 광경로를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로서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의 서브화소영역들에서 표시되는 컬러 및 이의 조합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컬러 개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전기영동 디스플레이소자 100A,100B...제1,제2서브화소영역
110,120...제1,제2기판 130...스페이서
142...제1전극 144~149...제2~제7전극
151,152...제1,제2서브셀
182,184,186,188...제1,제2,제3,제4 전기영동입자

Claims (11)

  1.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기판;
    상기 제1 및 제2기판이 서로 마주보는 면들에 마련된 전극부;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마련되고, 산란형 입자들과 투과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전기영동입자들을 구비하는 전기영동셀;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형 입자들과 투과형 입자들은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되고 반대 전하로 대전되어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셀은 상기 전기영동입자들의 움직임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제1서브셀과 제2서브셀로 나뉘어져 상기 두 서브셀이 기본 화소를 이루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셀에는 투과형 입자인 제1전기영동입자들과 산란형 입자인 제2전기영동입자들이 마련되고,
    상기 제2서브셀에는 투과형 입자인 제3전기영동입자들과 산란형 입자인 제4전기영동입자들이 마련되며,
    상기 각 서브셀 내에서 산란형 입자들과 투과형 입자들은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되고 반대 전하로 대전되어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영동입자와 상기 제2전기영동입자는 적색, 녹색, 청색 중의 두 가지 색으로 각각 착색되고,
    상기 제3전기영동입자와 상기 제4전기영동입자는 적색, 녹색, 청색 중 상기 두 가지 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 및 상기 두 가지 색의 혼합색으로 각각 착색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제1기판의 일면에 상기 1서브셀과 상기 제2서브셀에 공통되게 마련된 제1전극;
    상기 제2기판이 상기 제1서브셀과 마주하는 면에 마련된 것으로, 제2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비해 크기가 작은 제3전극과 제4전극;
    상기 제2기판이 상기 제2서브셀과 마주하는 면에 마련된 것으로, 제5전극 및 상기 제5전극에 비해 크기가 작은 제6전극과 제7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기영동 디스 플레이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 및 상기 제4전극은 상기 제2전극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6전극 및 상기 제7전극은 상기 제5전극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셀 및 제2서브셀이 각각의 서브셀 내의 전기영동입자들의 색상 및 블랙과 화이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어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9. 두 개의 서브 화소 영역에서 표시되는 컬러의 조합으로 기본 화소의 컬러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컬러 구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서브 화소 영역 각각은 산란형 입자들과 투과형 입자들로 이루어진 전기영동입자들을 구비하는 전기영동셀에 의해 형성되는 컬러 구현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서브 화소 영역 중 한 영역에서 적색, 녹색, 청색 중의 두 가지 색 및 블랙과 화이트가 표시되고, 나머지 한 영역에서는 적색, 녹색, 청색 중 상기 두 가지 색을 제외한 색, 상기 두 가지 색의 혼합색 및 블랙과 화이트가 표시되게 하는 컬러 구현 방법.
KR1020080084742A 2008-08-28 2008-08-28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구현 방법 KR20100025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742A KR20100025965A (ko) 2008-08-28 2008-08-28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742A KR20100025965A (ko) 2008-08-28 2008-08-28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965A true KR20100025965A (ko) 2010-03-10

Family

ID=4217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742A KR20100025965A (ko) 2008-08-28 2008-08-28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컬러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59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502A (ko) * 2012-04-04 2013-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502A (ko) * 2012-04-04 2013-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9976B (zh) 彩色顯示裝置
US8917439B2 (en) Shutter mode for color display devices
TWI396030B (zh) 彩色顯示器裝置
US8520296B2 (en) Sub-pixel structure and pixel structure of color electrophoretic display
KR101746647B1 (ko) 표시 소자의 동작 방법
CN204576024U (zh) 一种彩膜基板及液晶显示面板
TWI387829B (zh) 彩色顯示裝置
CN103913886A (zh) 一种彩膜基板、显示装置及彩膜基板的制造方法
JP2010511196A (ja) 面内スイッチング電気泳動カラーディスプレイ
TW201137397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KR101913244B1 (ko) 표시 장치
KR20110134161A (ko) 반사형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463044B (zh) 像素结构及主动开关阵列基板
US20100134909A1 (en) Color filter
JP2000298292A (ja) 表示装置
US20150378239A1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7703670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5576006A (zh) 彩膜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2262327A (zh) 图像显示系统
WO2012026161A1 (ja) 表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EP2618200B1 (en)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CN109814292A (zh) 一种反射式彩膜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4035226B (zh) 有源矩阵结构及显示面板
CN205563034U (zh) 一种减法混色电泳型显示装置
CN104285180B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