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727A - 의복형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의복형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727A
KR20100025727A KR1020080084391A KR20080084391A KR20100025727A KR 20100025727 A KR20100025727 A KR 20100025727A KR 1020080084391 A KR1020080084391 A KR 1020080084391A KR 20080084391 A KR20080084391 A KR 20080084391A KR 20100025727 A KR20100025727 A KR 20100025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comparator
input devic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4988B1 (ko
Inventor
정재훈
이희정
조광년
김우정
심창현
최원철
Original Assignee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주)맨 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봉제기술연구소, (주)맨 텍 filed Critical 한국봉제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08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9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 PMP, 휴대형 카세트, 소형 라디오, 보이스 레코더, 이동 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 장치에 대하여 입력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복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실 위험이 낮고 보다 편리하게 휴대·사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신뢰성이 높은 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복형 입력장치는,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가 되도록, 전도사를 포함하여 직조하거나 전도사를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단위 전극(11)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부(10); 상기 입력부(10)의 상기 단위 전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부(20); 상기 배선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선부(21)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21) 중 하나를 선택 신호에 따라서 선택하는 전송게이트(110); 상기 전송게이트(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배선(21)을 통하여 결합되는 커패시턴스에 따라 결정되는 주기를 가진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부(120); 상기 발진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카운팅하는 주파수카운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P1020080084391
전도사, 의복형 입력장치, 전극, 커패시턴스, 주파수

Description

의복형 입력장치{Wearable Input Device}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 PMP, 휴대형 카세트, 소형 라디오, 보이스 레코더, 이동 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 장치에 대하여 입력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복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재킷, 코트, 점퍼 등의 의복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의복에 부착되어 각종 전자 장치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의복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MP3 플레이어, PMP, 휴대형 카세트, 소형 라디오, 보이스 레코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자 장치이며, 사용자는 이동 중 이러한 휴대형 장치에 대하여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유선 리모콘이나 블루투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한 휴대형 전자장치를 조작하기도 한다. 그런데, 유선 리모콘이나 블루투스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한 휴대형 전자 장치외에 이러한 유선 리모콘이나 블루투스 장치를 별도로 더 휴대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별도의 유선 리모콘이나 블루투스 장치는 항상 분실의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해서는 단순히 몇 가지의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면 되었으나, 문자 메시지 사용의 보편화, 이동 통신 단말에서 디스플레 이 화면의 대형화 등은 이동 통신 단말에서도 보다 편리한 입력장치를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MP3 플레이어 및 PMP 등도 멀티미디어화, 저장되는 정보의 다양화 및 방대화 등으로 인해 보다 편리한 입력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한편, 휴대형 오디오 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의복 또는 배낭 등에 부착되는 입력장치의 개발이 있었으나, 전기적 접촉 방식에 의해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대부분으로서, 그 내구성 및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발명의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분실 위험성이 낮은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 MP3 플레이어 또는 PMP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그 내구성 및 신뢰성이 높은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의복형 입력장치는,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가 되도록, 전도사를 포함하여 직조하거나 전도사를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단위 전극(11)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부(10); 인체의 일부가 상기 단위 전극(11)에 접촉되는 것을 센싱하여 유선(42) 또는 무선(41)으로 다른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센서 모듈부(100); 상기 입력부(10)의 상기 단위 전극(11)과 상기 센서 모듈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의복형 입력장치는,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가 되도록, 전도사를 포함하여 직조하거나 전도사를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단위 전극(11)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부(10); 상기 입력부(10)의 상기 단위 전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부(20); 상기 배선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선부(21)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21) 중에서 하나를 선택 신호에 따라서 선택하는 전송게이트(110); 상기 전송게이트(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배선(21)을 통하여 결합되는 커패시턴스에 따라 결정되는 주기를 가진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부(120); 상기 발진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카운팅하는 주파수카운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의복과 일체로 구성되는 의복형 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복과 일체로 구성되는 의복형 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의 분실 위험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유로운 입력 버튼의 배치, 넓은 면적의 사용 가능성이 있는 의복형 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 MP3 플레이어 또는 PMP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 접촉 방식으로 된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의 일부가 전극에 접촉하는 것을 센싱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휴대형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입력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입력장치는 입력부(10), 배선부(20) 및 센서 모듈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손가락(30) 등이 접촉되는 곳이다. {상기한 '접촉'은 반드시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전기적 접촉이 없더라도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가져올 정도로 접근하면 된다.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읽어내는 구체적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손가락(30) 등이 접촉할 수 있는 베이스를 제공한다.
배선부(20)는 입력부(10)를 전기적으로 센서 모듈부(100)와 연결한다. 배선부(20)는 통상의 전기 배선일 수 있으나, 전기 전도성을 가진 전도사를 이용하여 의복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사는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로 직조되거나 별도의 박음질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센서 모듈부(100)는 배선부(20)를 통하여 입력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 며, 손가락(30) 등 인체의 일부가 입력부(10)의 특정 위치에 접촉하는 것을 센싱하고 이러한 센싱의 결과를 유선(42) 또는 무선(41)으로 MP3 플레이어, PMP, 휴대형 카세트, 소형 라디오, 보이스 레코더, 이동 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 및 배선부(20)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력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극(11)을 포함하며, 입력부(10)의 단위 전극(11)은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가 되도록 전도사를 포함하여 직조하거나 상기 전도사를 박음질하여 형성된다.
도 2에서 입력부(10)는 복수의 단위 전극(11)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단위 전극(11)은 전기적으로 동일 노드를 구성한다. 단위 전극(11)은 실제 수많은 스티치(12)의 집합일 수 있으며, 동일 단위 전극(11)에 속하는 스티치(12)는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서 각 스티치(12)는 단절된 것처럼 보이나, 이면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전극(11)에는 각각 하나씩의 배선(21)이 할당되어 연결된다. 도 2에서는 편의상 몇 개의 단위 전극(11)에 배선(21)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모든 단위 전극(11)에 각각 하나씩의 배선(21)이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선(21)은 배선부(20)를 구성하며, 배선부(20)의 일단은 입력부(10)의 각 단위전극(11)에 연결되며, 상기 배선부(20)의 타단은 센서 모듈부(100)와 연결된다.
도 2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30) 등 인체의 일부가 접촉하여 회전하는 방향 과 회전하는 량을 센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단위 전극(11)이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단위 전극(11)은 8개 이상일 수 있으며,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사용자의 인체 일부가 입력부(10)에 접촉한 상태에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복수 개의 단위 전극(11) 위를 통과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손가락(30) 등 인체의 일부가 단위전극(11)에 접촉하는 경우, 해당 단위전극(11)에 결합되는 커패시턴스의 량이 변화하게 된다. 배선부(20)를 통해 연결된 센서 모듈부(100)는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단위 전극(11) 들이 방사상 모양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실시의 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방사상 모양의 배치외에 추가적으로 단위 전극(11)들을 더 배치하여, 파워 버튼, 플레이 버튼, 일시 정지 버튼 등 다양한 용도의 버튼을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에 따르면, 그 단위 전극(11)들을 배치하는 방법은 제어할 전자 장치의 종류 및 구체적 모델에 따라서 얼마든지 자유롭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의복에서 허용 가능한 면적의 범위내에서 넓은 면적을 사용하여 입력부(1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현하고자 하는 버튼의 숫자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단위전극(11)들을 포함한 입력부(10)의 상면에는 절연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절연층은 단위전극(11)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이웃하는 단위전극(11) 들이 원하지 않게 쇼트되거나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부(100)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 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부(100)는 전송게이트(110), 발진부(120), 주파수 카운터(130), 제어부(140) 및 전송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게이트(110)의 제 1 측에는 N개의 단자가 있으며, 제 2 측에는 1개의 단자가 있다. 전송게이트(110)는 제 1 측에 있는 N개의 단자들 중 특정한 1개의 단자를 선택하여 이를 제 2 측에 있는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N:1 전송게이트(110)일 수 있다. 전송게이트(110)는 제 1 측에 있는 N개의 단자들 중 특정한 1개의 단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어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선택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의 도시는 도 3에서 생략함). 이와 같이 특정한 1개의 단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 2 측의 단자에 드라이빙 포스가 걸리면, 그 드라이빙 포스는 상기한 전송게이트(110)를 통과하여 제 1 측의 선택된 단자로 전달될 수 있다. 전송게이트(110)는 발진부(120)의 제 1 단자(135; 도 4 참조)를 선택된 특정한 하나의 배선(21), 그리고 이에 연결된 단위전극(11)에 연결한다.
발진부(120)는 펄스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발생되는 펄스의 주파수 및 주기는 손가락(30)의 등의 접촉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진부(12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진부(120)의 제 1 단자(135)는 전송게이트(110)의 제 2 측과 연결되며, 제 2 단자(136)는 주파수 카운터(130)와 연결되어 발생되는 펄스를 주파수 카운 터(13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3 단자(137)에는 제어부(140; 도 3 참조)로부터 컨트롤된 전원 전압이 배선(161)를 통하여 인가된다.
발진부(120)는 비교기1(132), 비교기2(133), 래치(131), 인버터(134), 트랜지스터(Q1), 저항 RU, 저항 RM, 저항 RL, 저항 R1 및 저항 R2를 포함한다. 상기 저항 RU, 상기 저항 RM 및 상기 저항 RL 은 전원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비교기1(132)의 (-)입력과 상기 비교기2(133)의 (+)입력에 각각 입력하며, 상기 비교기1(132)의 (+)입력과 상기 비교기2(133)의 (-)입력은 제 1 단자(135)를 통하여 상기 전송게이트(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래치(131)는 상기 비교기1(132) 및 상기 비교기2(133)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으며, 트랜지스터(Q1)는 상기 래치(131)의 출력 신호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접지에 에미터가 연결된다. 저항 RU, 저항 RM, 저항 RL은 전원 전압(Vcc)을 분배하여, 비교기1(132)의 (-)입력단에는 ⅔Vcc를 제공하며, 비교기2(133)의 (+)입력단에는 ⅓Vcc를 제공한다. 제 1 단자(135)의 전압이 ⅔Vcc이상이면 비교기1(132)의 출력은 high 전압(Vcc를 말한다)을 출력하고, 비교기2(133)의 출력은 low 전압(0V를 말한다)을 출력하여 래치(131)를 리셋시킨다. 그리고 제 1 단자(135)의 전압이 ⅓Vcc이상이고 ⅔Vcc이하이면, 비교기1(132)의 출력은 low 전압을 출력하고, 비교기2(133)의 출력은 low 전압을 출력하여 래치(131)의 출력을 유지하며, 제 1 단자(135)의 전압이 ⅓Vcc이하이면, 비교기1(132)의 출력은 low 전압을 출력하고, 비교기2(133)의 출력은 high 전압을 출력하여 래치(131)의 출력을 셋시킨다.
한편, 제 1 단자(135)의 전압이 증가하여 ⅔Vcc를 넘어서면, 래치(131)는 리셋되고 래치(131)의 출력단에는 인버터가 달려 있으므로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는 high 전압이 가해져서 트랜지스터 Q1은 온된다. 따라서 제 1 단자(135)의 충전 전압은 저항 R2 및 트랜지스터 Q1을 통하여 방전되어 내려가게 된다. 제 1 단자(135)의 전압이 내려가다가 ⅓Vcc이하로 되면, 이번에는 래치(131)가 셋되어 트랜지스터 Q1이 오프되고, 제 1 단자(135)의 충전 전압은 다시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발진부(130)의 출력 전압은 온, 오프를 반복하게 되는 데, 이러한 온, 오프를 반복하는 주기는 저항 R1, R2뿐만 아니라, 제 1 단자(135)에 결합하고 있는 커패시턴스에 의존하게 된다. 그런데, 제 1 단자(135)에는 커패시터 C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선택된 단위 전극(11)에 인체의 일부가 접촉하고 있는 때에는 커패시턴스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진부(120)의 출력 펄스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펄스 파형 (1)은 인체의 일부가 전혀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펄스 파형이다. 제 1 단자(135)에 커패시터 C의 커패시턴스만이 결합하고 있을 때의 펄스 파형이다.{물론 기타 기생커패시턴스가 결합되어 있으나, 이는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단위 전극(11)에 인체의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제 1 단자(135)에는 커패시터 C의 커패시턴스에, 인체의 접촉으로 인해 별도로 결합되는 커패시턴스로 인해 전체 커패시턴스의 증가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펄스 파형(2)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펄스 파형(2)의 주기 T2는 펄스 파형(1)의 주기 T1에 비하여 증가하게 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발진부(120)의 출력은 주파수 카운터(130)에 입력된다. 주파수 카운터(130)는 펄스를 입력받아 그 펄스의 주파수를 카운팅하며, 카운팅한 결과를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제어부(140)는 전송게이트(110), 발진부(120), 주파수카운터(130) 및 전송부(150)를 제어한다. 특히, 전송게이트(110)에 대해서는 제 1 측에 있는 N개의 단자들 중 특정한 1개의 단자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게이트(110)에 제공한다(미도시). 이에 따라 특정한 단위 전극(11)을 선택하게 되며, 선택된 단위 전극(11)에 인체의 일부가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주파수 카운터(130)로부터 서로 다른 결과를 입력받게 된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0)의 각 단위전극(11)을 스캔하도록 선택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킨다. 스캔할 주기는 파워 소모, 응답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주기를 미리 세팅하거나 사용중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의복형 입력장치를 파워 온하기 전과 파워 온한 후에 스캔의 주기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가 입력부(10)의 모든 단위 전극(11)을 1회 스캔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주파수 카운터(130)로부터 입력받으면, 현재 입력부(10)에 인체의 일부가 접촉하고 있는지, 그리고 접촉하고 있다면 어떠한 단위 전극(11)에 접촉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의 결과는 전송부(150)를 통하여 MP3 플레이어, PMP, 휴대형 카세트, 소형 라디오, 보이스 레코더, 이동 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 장치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전송되는 정보는 접촉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만 전송할 수도 있고 이벤트가 없어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접촉이 있는 단위 전극(11) 또는 단위 전극(11) 들에 대한 정보와, 필요한 경우 접촉의 강도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방사상으로 단위 전극(11)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체의 일부가 접촉하여 회전한 방향과 회전의 량을 계산하여 계산된 결과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발진부(120), 주파수 카운터(130) 및 전송부(15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별도의 전력 공급선(161, 162, 163)을 통하여 상기한 구성요소들에 제어된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범용 CPU, MCU, 전용의 ASIC, FPGA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 구현할 수 있으며, 내부에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송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아 제어부(140)가 전송을 요구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송부(15)는 유선(42)으로, 또는 무선(41)으로, 또는 유선(42) 및 무선(41) 모두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전송부(150)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USART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의복형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전력을 USB 케이블에 의해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전송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지그비(Zigbee)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형 입력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 및 배선부(20)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부(100)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진부(12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진부(120)의 출력 펄스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8)

  1.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가 되도록, 전도사를 포함하여 직조하거나 전도사를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단위 전극(11)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부(10);
    인체의 일부가 상기 단위 전극(11)에 접촉되는 것을 센싱하여 유선(42) 또는 무선(41)으로 다른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센서 모듈부(100);
    상기 입력부(10)의 상기 단위 전극(11)과 상기 센서 모듈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부(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형 입력장치.
  2.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과 일체가 되도록, 전도사를 포함하여 직조하거나 전도사를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단위 전극(11)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부(10);
    상기 입력부(10)의 상기 단위 전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부(20);
    상기 배선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선부(21)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21) 중 하나를 선택 신호에 따라서 선택하는 전송게이트(110);
    상기 전송게이트(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배선(21)을 통하여 결합되는 커패시턴스에 따라 결정되는 주기를 가진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부(120);
    상기 발진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카운팅하는 주파수카운터(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형 입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전송게이트(110) 및 상기 발진부(120)를 제어하며, 상기 주파수 카운터(130)로부터 상기 카운팅의 결과를 입력받는 제어부(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형 입력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는,
    상기 단위 전극(11)을 적어도 8개 이상 가지며 상기 단위 전극(11)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형 입력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어부(140)가 전송을 요구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부(150)는 USB인터페이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형 입력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어부(140)가 전송을 요구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지그비(Zigbee)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형 입력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120)는,
    비교기1(132), 비교기2(133), 저항 RU, 저항 RM 및 저항 RL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 RU, 상기 저항 RM 및 상기 저항 RL 은 전원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비교기1(132)의 (-)입력과 상기 비교기2(133)의 (+)입력에 각각 입력하며, 상기 비교기1(132)의 (+)입력과 상기 비교기2(133)의 (-)입력은 상기 전송게이트(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형 입력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120)는,
    상기 비교기1(132) 및 상기 비교기2(133)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래치(131);
    상기 래치(131)의 출력 신호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접지에 에미터가 연결되 는 트랜지스터(Q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형 입력장치.
KR1020080084391A 2008-08-28 2008-08-28 의복형 입력장치 KR10099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391A KR100994988B1 (ko) 2008-08-28 2008-08-28 의복형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391A KR100994988B1 (ko) 2008-08-28 2008-08-28 의복형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727A true KR20100025727A (ko) 2010-03-10
KR100994988B1 KR100994988B1 (ko) 2010-11-17

Family

ID=4217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391A KR100994988B1 (ko) 2008-08-28 2008-08-28 의복형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9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988B1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3630B (zh) 位置指示器
JP2019012505A (ja) タッチ表示装置、ペン、タッチシステム、タッチ回路及びペン認識方法
KR102666301B1 (ko) 터치표시장치, 터치회로 및 펜 센싱 방법
KR102623176B1 (ko) 터치표시장치 및 터치회로
CN106095070B (zh) 触觉驱动设备以及具有触觉功能的电子设备
CN102385463B (zh) 用于驱动触摸传感器屏蔽体的触摸传感器控制器
CN106716313A (zh) 信号发送型电子笔
CN107077224A (zh) 位置指示器
US20120249446A1 (en) Touch-sensing apparatus
CN105760028A (zh) 点对点接口通信和参考
KR102622367B1 (ko) 터치표시장치, 터치구동회로, 터치컨트롤러 및 터치센싱방법
CN108268388B (zh) 一种Type-C接口保护电路及方法、移动终端
CN109947272B (zh) 触控笔及驱动方法
CN106030476B (zh) 用于改善投射式电容触摸屏及面板的信噪比性能的设备
CN108833625A (zh) 传感器控制电路及电子装置
CN109088961A (zh) 传感器控制电路以及电子装置
CN102736773A (zh) 未接地的触控输入装置及其控制装置
US20180314364A1 (en) Stylus and electronic system thereof
KR100994988B1 (ko) 의복형 입력장치
CN116028391B (zh) 电子设备、外围设备及单线通信系统
JP6644179B2 (ja) 位置指示器
CN108270253A (zh) 一种充电方法及移动终端
US11422663B1 (en) Stylus sensing on touchscreens
KR20090114791A (ko)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
CN107069844A (zh) 充电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