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284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284A
KR20100025284A KR1020080083990A KR20080083990A KR20100025284A KR 20100025284 A KR20100025284 A KR 20100025284A KR 1020080083990 A KR1020080083990 A KR 1020080083990A KR 20080083990 A KR20080083990 A KR 20080083990A KR 20100025284 A KR20100025284 A KR 20100025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st image
size
information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019B1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발생시키는 패턴 영상 발생부; 기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발생된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해상도별로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기준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획득한 도형의 상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설정된 해상도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해상도, 사이즈, 위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와 모니터 간의 호환성 문제로 인해 화면 사이즈가 비정상적으로 설정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특정 소스에서 신호를 인가받아 음성 및 영상으로 분리하고, 이를 음성 및 영상 처리를 거쳐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로써, 대표적으로 TV 및 모니터 등이 포함된다.
상기 모니터는 연계된 호스트인 PC의 비디오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를 디지털 샘플링 스케일링 등 일련의 신호처리를 거쳐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이는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소형 모니터로 출발하여 현대기술의 발전에 따른 표시기기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대형모니터에 적합한 대표적인 평판 표시소자로서,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의 CRT 방식에 비해 가볍고 고화질 특성이 우수한 디지털 방식의 LCD모니터가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에는 디스플레이 처리 능력 정보인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PC는 상기 모니터의 EDID 정보를 기준으로 영상 출력을 위한 해상도를 자동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상기 모니터에 저장된 EDID 정보에 대응할 수 없는(호환성 문제, 드라이브 업데이트 문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해상도가 설정되지 않음으로써 화면 사이즈가 크게 설정되거나 작게 설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디오카드의 드라이브를 업데이트해야 하는데, 만약 비디오카드 제작 업체가 해당 드라이브를 수정하지 않았다면 사용자는 상기 비디오카드의 드라이브가 업데이트될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모니터의 자동 조정 기능은 아날로그 영상신호인 D-Sub 인터페이스에서만 지원되는 기능으로, DVI 또는 HDMI 같은 디지털 신호에 대해 해상도가 비정상적으로 설정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비정상적인 위치 및 크기로 입력 영상이 출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출력 영상의 위치 및 크기를 자동으로 보상해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발생시키는 패턴 영상 발생부; 기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발생된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해상도별로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기준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획득한 도형의 상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설정된 해상도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발생되는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기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신호처리하는 단계; 상기 신호처리된 테스트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도형의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해상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은 비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영상을 자동으로 보상해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발생시키 는 패턴 영상 발생부(20)와, 기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발생된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신호 처리부(30)와, 해상도별로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기준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40)와, 상기 획득한 도형의 상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출력 영상의 사이즈 및 위치를 보상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패턴 영상 발생부(20)는 기저장된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은 사용자로부터 영상 자동 조정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으며, 현재 입력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또는 입력 신호가 변경되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부(30)는 상기 패턴 영상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상기 도형의 상태정보라 함은 상기 신호처리된 테스트 영상에서 상기 도형이 위치한 좌표정보와, 상기 도형의 크기 정보를 의미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된 테스트 영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이 존재한다.
이때, 상기 테스트 영상에는 복수 개의 도형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은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의 해상도 오설정으로 인해 출력 영상이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는 시프트(shift) 현상이 발생되거나, 화면 사이즈에 문제가 발생하여 스크롤(scroll) 현상이 발생하였을 시 영상의 센터 포인트를 잡아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상기 출력 영상이 한쪽 방향으로 완전히 치우칠 때, 상기 테스트 영상 내에 하나의 특정 도형만이 존재하면 상기 영상의 센터 포인트를 정상적으로 잡아주기 힘든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테스트 영상을 일정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도형을 복수 개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생되는 테스트 영상(100)에는 제 1 도형(110), 제 2 도형(120) 및 제 3 도형(130)이 존재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테스트 영상에 3개의 도형이 존재한다고 기재하였지만, 상기 테스트 영상 내에 2개, 4개, 5개 등 다양한 개수의 도형이 존재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이때, 상기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각 도형에는 해당 도형의 크기 정보 및 좌표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크기 정보는 상기 각 도형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좌표 정보는 해당 도형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터 좌표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각 도형의 크기 및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테스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패널의 해상도에 따라 상기 각 도 형의 크기 및 위치는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50)에는 해상도별로 상기 테스트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각 도형의 기준 크기 및 기준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테스트 영상이 현재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시 각 도형의 크기 및 위치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30)는 상기 신호처리된 테스트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각 도형의 크기 및 위치를 파악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각 도형의 크기 및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Pixel Grab 기능을 이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Pixel Grab 기능은 픽셀별로 해당 영상의 레벨을 파악하여 상기 각 도형의 위치 및 크기를 파악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테스트 영상을 기준으로 초기에는 Hsync에 따라 픽셀을 한 단계씩 증가시키면서 블랙 레벨이 검출되는 위치를 감지한다.
즉, 상기 테스트 영상에서 도형이 위치한 영역만이 블랙 레벨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테스트 영상의 픽셀별로 해당 레벨을 판단한다.
이때, 먼저 수평 방향으로 상기 픽셀을 한 단계씩 증가시키며 상기 블랙 레벨이 검출되는 시작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블랙 레벨이 검출되는 시작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블랙 레벨이 검출되지 않는 종료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시작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도형의 수평 크기를 감지하고, 또한 상기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토대로 해당 도형의 센터 좌표값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감지된 도형의 센터 좌표값을 토대로 수직 방향의 크기 정보를 감지한다.
이때, 기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테스트 영상에 위치한 도형의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되기 때문에 각 도형에 해당 도형의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를 하여 상기 감지된 도형이 도 2에 도시된 복수 개의 도형 중 어떤 도형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30)를 통해 획득한 도형의 크기 및 위치(좌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도형의 크기 및 위치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된 각 도형의 기준 크기 정보 및 기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설정된 해상도를 변경한다. 여기에서 상기 각 도형의 기준 크기 정보 및 기준 위치 정보는 현재 적용된 해상도에 대응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현재 출력 영상의 해상도가 정상적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획득한 도형의 크기 및 위치 정보와 상기 도형의 기준 크기 정보 및 기준 위치 정보가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획득한 도형의 크기 및 위치 정보와 상기 도형의 기준 크기 정보 및 기준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출력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보상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획득한 도형의 크기정보와 상기 기준 크기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획득한 도형의 크기가 상기 기준 크기와 일치하도록 출력 영상의 사이즈를 변경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획득한 도형의 위치 정보와 상기 기준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획득한 도형의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출력 영상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해상도 오설정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테스트 영상을 발생시키고, 상기 테스트 영상 내에 존재하는 도형을 토대로 출력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어떤 경우라도 정상적인 해상도로 해당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테스트 영상을 발생시킨다(S10).
이어서, 상기 발생된 테스트 영상을 기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신호처리한다(S20).
이어서, 상기 신호처리된 테스트 영상을 분석한다(S30). 즉, Pixel grab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영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테스ㅌ 영상으로부터 블랙 레벨이 검출되는 구간의 시작 및 종료 좌표 정보를 검출한다(S40).
이어서, 상기 검출된 시작 및 종료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테스트 영상 내에 존재하는 도형의 크기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획득한다(S50).
그리고, 현재 설정된 해상도에 따른 도형의 기준 크기 정보 및 기준 좌표 정보를 추출한다(S60).
이어서, 상기 획득한 도형의 크기 정보와 상기 추출한 도형의 기준 크기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70) 상기 획득한 도형의 크기 정보와 상기 추출한 도형의 기준 크기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획득한 도형의 크기가 상기 추출한 도형의 기준 크기와 일치하도록 출력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한다(S80).
이어서, 상기 획득한 도형의 좌표 정보와 상기 추출한 도형의 기준 좌표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90) 상기 획득한 도형의 좌표 정보와 상기 추출한 도형의 기준 좌표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획득한 도형의 좌표가 상기 추출한 도형의 기준 좌표에 위치하도록 출력 영상의 위치를 조정한다(S1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비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영상을 자동으로 보상해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 화질의 영상을 제공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디스플레이부 20: 테스트 영상 발생부
30: 영상신호 처리부 40: 메모리부
50: 제어부

Claims (9)

  1.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발생시키는 패턴 영상 발생부;
    기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상기 발생된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해상도별로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기준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획득한 도형의 상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설정된 해상도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의 상태 정보에는 상기 도형의 위치에 따른 좌표 정보 및 크기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신호처리된 테스트 영상으로부터 블랙 레벨이 감지 되는 구간의 위치를 분석하여 상기 도형의 상태 정보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도형의 좌표를 기준으로 출력 영상의 위치를 보상하고, 상기 획득한 도형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출력 영상의 사이즈를 보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발생되는 특정 도형 패턴의 테스트 영상을 기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신호처리하는 단계;
    상기 신호처리된 테스트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도형의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해상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해상도별로 상기 테스트 영상 내에 존재하는 도형의 기준 상태 정보를 저장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테스트 영상에 존재하는 도형의 위치에 따른 좌표 정보 및 크기 정보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의 위치에 따른 좌표 정보 및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처리된 테스트 영상을 분석하여 블랙 레벨이 감지되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도형의 위치에 따른 좌표 정보 및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해상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도형의 좌표가 기설정된 해상도에 따른 기준 좌표와 동일하도록 상기 출력 영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도형의 크기가 기설정된 해상도에 따른 기준 크기와 동일하도록 상기 출력 영상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083990A 2008-08-27 2008-08-2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34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990A KR101534019B1 (ko) 2008-08-27 2008-08-2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990A KR101534019B1 (ko) 2008-08-27 2008-08-2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284A true KR20100025284A (ko) 2010-03-09
KR101534019B1 KR101534019B1 (ko) 2015-07-08

Family

ID=4217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990A KR101534019B1 (ko) 2008-08-27 2008-08-2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0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28A (ko) * 1998-06-18 2000-01-15 윤종용 영상 위치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그의 제어 방법
TW558712B (en) * 2001-01-05 2003-10-21 Benq Corp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display quality
KR101169276B1 (ko) * 2005-10-19 2012-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보정 프로젝터 및 영상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019B1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8911B2 (en) Positively indicating to user whether signal has been detected on each video input
RU2446611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я
KR10110181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879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01913A1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7196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60687B2 (en) Calibration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EP1394765A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haracterize video signal
JP5261032B2 (ja) 画像表示装置
US758325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8845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646390B2 (en) Display and display system
JP2013190672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050285847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528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162428B2 (en) KVM switch
KR100768819B1 (ko) 표시장치의 자동 영상처리방법
US10762871B2 (en) Image control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070223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화질설정방법
US20130335630A1 (en) Video processing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method
JP5198740B2 (ja) 色管理システムおよび色管理方法
KR10071008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KR101200412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11141320A (ja) 表示装置
KR20090055094A (ko) 영상표시기기 및 오프셋 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