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13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139A
KR20100025139A KR1020080083784A KR20080083784A KR20100025139A KR 20100025139 A KR20100025139 A KR 20100025139A KR 1020080083784 A KR1020080083784 A KR 1020080083784A KR 20080083784 A KR20080083784 A KR 20080083784A KR 20100025139 A KR20100025139 A KR 20100025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il
storage compartment
fixing
refrigerator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5139A/ko
Publication of KR2010002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9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스크류와 같은 지지레일 고정부재의 사용을 배제하는 지지레일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저장실과 지지레일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고정부재에 드는 제작비용을 절감하며, 저장실과 지지레일의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저장실은 내벽을 관통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레일은 고정후크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후크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됨으로써 상기 저장실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지지레일, 고정후크, 고정돌기, 저장실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식품 따위를 차게하거나 부패하지 않도록 저온으로 보관하는 장치를 통상 냉장고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데, 냉동사이클은 증발, 압축, 응축, 팽창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특히 증발과정은 냉장고의 냉매가 액체상태에서 기체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말하고, 이 과정에서 냉매는 냉장고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열로 사용하게 되므로 냉장고 내부의 공기를 저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냉장고의 내부는 냉동을 위한 공간인 냉동실과 장기간 보존을 위한 공간인 냉장실로 구분되며, 상기 각 공간 내부에 선반 등을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냉장실이나 냉동실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도6은 종래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을 참고하여 , 종래 냉장고는 저장실(1'), 지지레일(3'), 선반(5') 및 고정부재(7')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1')는 냉장고에 식품 등의 저장을 위한 전체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고, 상기 지지레일(3')은 상기 저장실(1')의 전체공간을 구분하는 선반(5')이 저장실에 고정 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며, 상기 선반(5')은 상기 저장실(1')의 공간을 구분하여 저장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나누는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재(7')가 삽입되는 삽입홀(11')이 구비된 저장실(1')를 제작하여야 한다. 이후 상기 지지레일(3')을 고정부재(7')를 통해 상기 저장실(1')에 고정하게 되며, 상기 지지레일(3')에 형성된 선반 고정을 위한 구성에 선반(5')을 삽입함으로써 저장실(1') 내부 공간 구분이 완료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7')가 반드시 요구되므로 그 제작비용에 따른 생산비 증가의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는 지지레일을 저장실 내부 소정의 위치에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일일이 체결하는 과정을 하여야 하므로 조립이 번거롭고,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크류와 같은 지지레일 고정부재의 사용을 배제하는 지지레일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저장실와 지지레일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고정부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며, 저장실와 지지레일의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지지를 위한 지지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실은 저장실의 내벽에 마련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고정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저장실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지지레일의 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고정돌기의 외주면에서 상기 지지레일의 후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후크의 높이는 상기 저장실 내벽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홀의 지름은 상기 고정돌기의 지름과 고정후크의 길이 합보다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후크는 말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스크류와 같은 지지레일 고정부재의 사용을 배제하는 지지레일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저장실와 지지레일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고정부재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며, 저장실와 지지레일의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 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구성, 방법 기타의 실시예는 실시에 필요한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원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도1은 본원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 지지레일 및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2는 저장실의 사시도이며, 도3은 지지레일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고하여, 본원발명 냉장고의 내부는 식품 등의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전체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실(1)과, 상기 저장실(1)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저장실(1) 내벽과 결합되는 지지레일(3)과, 상기 지지레일(3)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1)의 공간을 구분시켜주는 선반(5)을 포함한다.
도2를 참고하여, 상기 저장실(1)은 일면이 개방되면서 전체적으로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 고정홀(11)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홀(11)은 후술할 지지레일(3, 도3참고)의 고정돌기(33, 도3참고) 및 고정후크(331, 도3참고)가 수용되는 구멍으로 상기 저장실(1)내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그 지름(D1, 도5a참고)은 후술할 지지레일(3)의 고정돌기(33) 지름과 고정후크(331) 길이의 합(d1, 도5a참고)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고정홀(11)은 저장실(1)의 일면에 그 깊이방향으로 두 개가 한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고정홀(11)을 다수로 형성하는 경우 그 간격은 후술할 지지레일(3)의 고정돌기(33)가 형성하는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홀(11)의 위치는 상기 저장실(1)의 마주보는 내측 벽면에 각 각 형성되어야 하며, 후술할 선반(5)을 통해 저장실(1)의 공간을 구분하고자 하는 위치에 형성되면 충분하다.
도3을 참고하여, 상기 지지레일(3)은 상술한 저장실(1) 내벽에 결합되어 후술할 선반(5)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선반수용부(31)와, 고정돌기(33) 및 고정날개(35)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수용부(31)는 상기 지지레일(3)의 전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하 턱으로,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다만 상기 선반수용부(31)는 후술할 선반(5)과 직접 접하는 구성이므로 그 형상은 선반의 외주면 형상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돌기(33)는 상기 지지레일(3)의 후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는 원기둥 형상과 유사하다. 상기 고정돌기(33)는 지지레일의 후면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술한 저장실(1)의 고정홀(11)의 수와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간격도 고정홀(11)이 형성하는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돌기(33)의 외주면에는 지지레일(3)과 상기 저장실(1) 내벽의 결합시 상기 지지레일(3)을 저장실(1)에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고정후크(331)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후크(331)는 상기 고정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즉 상기 지지레일(3)의 후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후크(331)의 말단은 고정돌기(33)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지지레일(3)과 저장실(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조립과정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후크(331)가 형성되는 지지레일(3) 후면으로부터의 높이(H1, 도5a참고)는 상기 저장실(1)의 두께(T1, 도5a참고)와 동일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날개(35)는 상기 지지레일(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선반수용부(31)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저장실(1)의 내벽에 접촉하게 되는 구성이다.
도1을 참고하여, 상기 선반(5)은 지지레일(3)의 선반수용부(31)에 수용되어 저장실(1)의 공간을 구분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판재형상을 가진다. 상기 선반(5)은 그 형상이나 구조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본원발명의 요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저장실(1), 지지레일(3) 및 선반(5)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저장실과 지지레일의 결합시 정면에서 본 단면도(도3의 A-A방향)이고, 도5a, 5b는 저장실과 지지레일의 결합시 상측에서 본 결합과정의 단면도(도3의 B-B방향)이다.
도2를 참고하여, 상기 저장실(1)는 합성수지판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설계된 위치에 지지레일(3)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홀(11)을 형성하여야 한다.
도4를 참고하여, 상기 저장실(1)가 준비되면 상기 지지레일(3)의 고정돌기(33)와 고정후크(331)를 저장실의 고정홀(11)에 삽입하게 되는데, 상술한 과정을 거친 저장실(1)와 지지레일(3)의 관계는 도5a와 같다. 따라서 저장실(1)의 고정홀(11) 지름 D1은 지지레일(3)의 고정돌기(33) 지름과 고정후크(331) 길이의 합 d1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5b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레일(3)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고정후크(331)와 지지레일(1) 후면 사이에 형성하는 공간으로 상기 저장실(1)의 내측 벽면이 끼워 맞춤 되어 상기 지지레일(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후크(331)의 말단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후크(331)와 지지레일(3)의 후면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상기 저장실(1)의 내벽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후크(331)와 저장실(1)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고정후크(331)의 높이 H1은 상기 저장실(1)의 두께 T1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야만 본 구성이 의도한 접촉에 의한 결합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저장실(1) 일면에 지지레일(3)을 형성하는 작업이 완료되고, 마주보는 저장실(1) 타면에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지지레일(3)을 형성하여야 한다.
저장실(1)와 지지레일(3)의 결합이 마무리되었다면, 상기 선반을 지지레일의 선반수용부(31)에 결합함으로써 저장실(1), 지지레일(3) 및 선반(5)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원발명은 저장실(1)과 지지레일(3)의 결합이 고정홀(11), 고정돌기(33), 고정후크(331)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스크류와 같은 지지레일 고정부재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실과 지지레일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의 제작비용 절감과, 저장실과 지지레일의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원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 지지레일 및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2는 저장실의 사시도이고, 도3은 지지레일의 사시도이다.
도4는 저장실와 지지레일의 결합시 정면에서 본 단면도(도3의 A-A)이고, 도5a, 5b는 저장실와 지지레일의 결합시 상측에서 본 결합과정의 단면도(도3의 B-B)이다.
도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저장실: 1 고정홀: 11
지지레일: 3 선반수용부: 31
고정돌기: 33 고정후크: 331
고정날개: 35 선반: 5

Claims (5)

  1.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지지를 위한 지지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실은 저장실의 내벽에 마련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고정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저장실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은 상기 지지레일의 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고정돌기의 외주면에서 상기 지지레일의 후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후크의 높이는 상기 저장실 내벽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지름은 상기 고정돌기의 지름과 고정후크의 길이 합보다 같거 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는 말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83784A 2008-08-27 2008-08-27 냉장고 KR20100025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784A KR20100025139A (ko) 2008-08-27 2008-08-2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784A KR20100025139A (ko) 2008-08-27 2008-08-27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139A true KR20100025139A (ko) 2010-03-09

Family

ID=4217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784A KR20100025139A (ko) 2008-08-27 2008-08-2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51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3022A (zh) * 2011-09-30 2013-04-10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
EP3957937A1 (en) * 2020-08-20 2022-02-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3022A (zh) * 2011-09-30 2013-04-10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
EP3957937A1 (en) * 2020-08-20 2022-02-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20220057134A1 (en) * 2020-08-20 2022-02-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976875B2 (en) 2020-08-20 2024-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113B1 (ko) 냉장고
US10591203B2 (en) Refrigerator
US1004799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ice machine thereof
US20110016908A1 (en) Refrigerator
US9927164B2 (en) Refrig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7449211B (zh) 冰箱和冰箱制造方法
US20170343276A1 (en) Refrigerator
US11181313B2 (en) Domestic appliance
KR20100025139A (ko) 냉장고
JP2016038146A (ja) 冷蔵庫
JP5917115B2 (ja) 断熱キャビネット
KR20070030045A (ko) 냉장고와 냉장고의 조립방법
ES2732083T3 (es) Aparato refrigerante
KR20090066778A (ko) 냉장고용 선반
JP7280740B2 (ja) 冷蔵庫
KR200312757Y1 (ko) 냉장고의 선반 고정구
CN219346895U (zh) 冰箱及其风道部件
CN219346896U (zh) 冰箱及其风道部件
JP6637128B2 (ja) 冷蔵庫
KR100495628B1 (ko) 냉장고
KR20100026105A (ko) 선반 지지대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93191B1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석션 파이프 고정장치
KR101356504B1 (ko) 냉장고
KR20230038047A (ko) 냉장고
KR20230115796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