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962A - 음료 제조용 기계에 적용할 수 있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용 기계에 적용할 수 있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962A
KR20100024962A KR1020097027071A KR20097027071A KR20100024962A KR 20100024962 A KR20100024962 A KR 20100024962A KR 1020097027071 A KR1020097027071 A KR 1020097027071A KR 20097027071 A KR20097027071 A KR 20097027071A KR 20100024962 A KR20100024962 A KR 2010002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ank
open end
refillable
normally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124B1 (ko
Inventor
라파엘 베른하르드스그뤼터
루치오 스코란노
디에터 팔크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0002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43Vacuum-type 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o the upper bowl in which the ground coffee is placed and subsequently the heat source is cut-off and the water is sucked through the filter by the vacuum in the lower bow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 에 관한 것이며 :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갖는 탱크 (2), 상기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이 수단에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고 이 수단에 접촉 압력을 중단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다회용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제조용 기계에 적용할 수 있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REFILLABLE MULTI-DOSE CONTAINER APPLICABLE TO 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본 발명은 음료 농축물과 같은, 유동성 제품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며, 상기 컨테이너는 커피 기계의 보관소로서 사용 가능하다.
뜨거운 또는 차가운 음료 제품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자동화 음료 기계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종래의 음료 기계에서, 분말 리필 가능 탱크에 보관되는, 계량된 양의 수용성 음료 분말과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계량된 양의 뜨거운 또는 차가운 물이 음료 또는 음식을 제조하기 위해 혼합 챔버 안으로 운반되어, 그 후 컵 안으로 분배되어 제공된다. 탱크를 리필하는 것은 다시 열리고 닫힐 수 있게 하는 지퍼를 갖는 일회용 분말 백 (bag) 형 패키지 예컨대 가셋 백 (gusset bag) 으로부터 분말을 붓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업 동안, 작업자는 몇몇 문제에 직면한다. 첫번째 문제는 리필 백에서 리필되는 탱크로 분말을 전달하는 동안 분말의 상당한 손실에 관한 것이다. 이 결과 특정한 양의 분말을 잃게 되고 또한 탱크에서 떨어지는 분말에 의해 커피 기계에 중대한 먼지가 생긴 다. 기계가 더럽게 보이는 것을 회피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기계의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 다른 문제는 분말이 컨테이너에서 다른 컨테이너로 흘러갈 때 분말이 공기와 접촉하고 섞이는 것에 의한 것이며 : 특히 공기와 물에 민감한 분말이 사용될 때 및 더구나 중대한 습도 및 높은 온도가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외부 환경에 의해 있을 수 있는 오염에 의해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의 접촉 및 섞임은 일반적으로 전달된 커피 분말의 향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게다가, 흡수성이 높은 재료일 수 있는 건조 분말의 이러한 혼합은, 기계 내의 분말의 중력식 유동 및 전달을 방지하는 덩어리 또는 찌꺼기의 형성을 유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리필되는 탱크로 일단 전달되면 대기와 분말의 접촉이 없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 이 탱크의 폐쇄는 재빠르고 효과적이어서 공기가 탱크 내부로 진입할 수 없어야 한다.
커피 기계 탱크를 리필하는데 사용되는 커피 분말 리필 백에 관한 문제도 또한 존재한다. 한 문제는 기계가 특정 커피 분말에 의해 최고의 커피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 종종 조절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잘못된 종류의 커피 분말이 기계에 리필된다면, 이는 소비자를 실망시킬 수 있는 낮은 품질의 음료를 유발할 수 있다. 최고의 음료 분배를 보장하기 위해 기계에 특별히 적합한 커피 분말 리필 백에 의해서만 그 리필을 가능하게 하는 탱크를 갖는 커피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액상, 페이스트 또는 겔과 같은 다른 종류의 유동성 제품에서도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사무실 또는 가정용의 소형 음식 또는 음료 분배 기계로 적합 하며, 높은 수준의 청결함 및 대기와의 접촉이 제한되고 단지 상기 기계에 특별히 적합한 분말로 리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만족스러운 컨테이너에 대한 요구가 있다. 시스템은 또한 대기와의 접촉을 제한하여 기계에 커피 분말을 보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동성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며 :
정상 개방된 단부를 갖는 탱크,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이 수단에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고 이 수단에 접촉 압력을 중단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분말, 액상, 겔 또는 페이스트일 수 있는 유동성 제품을 보관하는 것이 예상된다. 컨테이너는 특정한 적용을 위한 유동성 제품의 개별 량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이 제품이 적량으로 나눠지기 전에 이를 보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것이 다회용 컨테이너로서 규정되는 이유이다.
첫째로 이 컨테이너는 유동성 제품을 보관하는 기능의 탱크를 포함한다. 이 탱크는 어떠한 형태일 수도 있다. 이는 작업자가 탱크를 분배기 내에 특정 방향에 따라 놓게 하기 위해, 예컨대 컨테이너가 모터 커플링 수단과 상호 작용하게 하기 위해, 비대칭형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탱크의 정상 단부는 리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방된다. 이 정상 개방된 단부의 개구는 원형, 달걀형, 정사각형 등 어떠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형상은 예컨대 잘못된 제품으로 오류적인 리필을 회피하기 위해,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리필을 위해 사용되는 컨테이너 출구의 형상에 의존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다. 더 간단하고 더 용이한 형상은 원형이다.
둘째로 용기는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이러한 수단은 이 수단에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보통 이 수단에 수직 하방 배향된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또한 이 수단에 접촉 압력을 중단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고, 이 수단에 접촉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이 수단은 정지되고, 이러한 수단은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한다. 이러한 상태는 탱크의 유동성 제품의 보관에 대응하며, 일단 탱크가 제품으로 채워지면 제품을 보존하기 위해 대기에 대하여 폐쇄된다. 압력이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에 가해지는 다른 상태는 탱크를 유동성 제품으로 리필하는 것에 대응하고, 정상 개방된 단부는 제품의 통로에 대해서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은 다수의 가요성 텅 (tongue) 을 포함하고, 각각의 텅은 고정 단부 및 다른 자유 단부를 가지며, 상기 자유 단부의 형상 및 방향은 이 자유 단부가 정지시에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고 접촉 압력 하에서 이 자유 단부가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가요성 텅의 고정 단부는 보통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의 에지에 고정되며, 예컨대 이 고정 단부는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에 놓일 수 있는 링에 나사 또는 스냅 작용 끼워맞춤에 의해 모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은 어떠한 공기의 진입 또는 이를 통한 제품 성분 (향) 의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기밀하다. 텅의 다른 단부가 자유롭고 이동 가능하다. 텅의 형상 및 방향은 정지시에 이들 터이 텅 사이에 틈이 없는 완전한 표면을 형성하게 한다. 적어도 텅의 모든 에지는 서로 닿거나 또는 서로 겹친다. 하지만 겹침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며 : 유동성 제품이 흘러들어가게 하기 위해 이들 텅 사이에 틈을 발생시키기 위해 텅은 서로로부터 분기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이들 텅에 접촉 압력이 가해질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정지시에 전체 텅은 원뿔을 형성할 수 있고, 이 원뿔부의 정상은 탱크의 내부로 배향된다. 각각의 텅은 삼각형 형상의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삼각형의 변은 정상 개방된 단부 에지의 변에 부착되고, 두 개의 다른 변은 두 개의 다른 옆의 텅의 변에 닿고 있고, 삼각형의 맞은편의 자유 지점은 정상 개방된 단부의 중심에서 모든 다른 텅 자유 지점과 접하게 된다. 압력이 텅에 가해질 때, 이들 텅의 자유 단부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고 제품의 유동을 위한 중앙 통로를 확보한다.
텅은 바람직하게는 파손되지 않으면서 구부러질 수 있고 신속하게 스냅 백 (snap back) 될 수 있게 하는 재료이다. 이러한 재료는 고무 (gum) 또는 탄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텅은 또한 현재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질 수 있고 이들 텅이 고정 단부에서 힌지와 같은 굽힘 수단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는 한번 리필된 후에 컨테이너의 공기 기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탱크 정상 개방된 단부 위에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은 두 세트의 다수의 가요성 텅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가요성 텅의 세트는 관통된 틈을 갖는 원뿔을 형성하며 두 세트는 서로 조립되어 각각의 세트의 텅은 다른 세트의 관통된 틈을 리커버 (recover) 한다. 이러한 모드에 따르면, 보관 단계 동안 컨테이너의 폐쇄는 매우 효과적인데, 서로의 틈에 두 원뿔이 겹치기 때문에, 탱크 내부로 대기가 진입할 가능성이 절대적으로 없다. 텅이 단지 하나의 원뿔을 형성하는 경우에 반하여, 텅이 작은 틈이 존재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정지시에 서로에 대해 완벽하게 조정되는 원뿔을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제 1 모드의 구체적인 변형예에서, 가요성 텅의 한 세트는 가요성 텅의 다른 세트보다 더 넓은 관통된 틈을 갖는 원뿔을 형성할 수 있다. 보통 동일한 세트의 텅의 모든 텅은 동일한 일정한 형상을 갖고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주위에 동일하게 분산되며 틈도 그러하다. 텅 및 틈의 치수와 형상의 선택은 압력 접촉이 텅에 가해질 때 텅 사이의 충분한 거리 및 자유 공간이 발생되도록 정해진다. 텅의 자유 단부를 하방으로 수 밀리미터 밀기 위한 압력은 텅이 관통된 틈을 더이상 커버하지 않고 유동성 제품의 통로를 위한 틈을 발생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제 2 모드에서,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은 가요성 텅의 자유 단부와 접촉하는 고정된 중앙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앙 부분은 고정되며 압력 접촉이 가해지거나 가해지지 않을 때 이동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중앙 부분은 텅이 서로로부터 분기될 때 정상 개방된 단부의 중심에서 단일 틈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단면을 갖는다. 대조적으로, 중앙 부분은 다수의 독립적인 틈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중앙 부분은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원뿔형 형상 부분 또는 대형 니들 (needle) 의 형상이 유동성 제품의 흐름의 중단 및 이를 텅 사이의 상이한 틈으로 분배하기에 유용하다.
이러한 제 2 모드는 분말, 구체적으로 분말의 벌킹 각이 중대한 입도를 갖는 분말의 보관에 특히 적합하다. 어떠한 분말은 이들의 용적이 컨테이너의 탱크의 용적보다 작더라도, 원뿔 내의 분말의 자유 유동에 의해 생성되는 분말 원뿔 정상이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와 겹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리필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말에 대하여, 리필은 적절하지 않은데 압력이 텅에 더이상 가해지지 않을 때 가요성 텅 위에 분말이 머무르기 때문이다. 제 2 모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며 : 고정된 중앙 부분의 존재에 의해, 텅에 가해지는 압력 접촉은 중앙 및 단일 틈을 발생시키지 않지만 다수의 독립적인 소형 틈을 발생시킨다. 그 후 분말은 각각 탱크 내부의 상이한 위치에서 분말의 원뿔을 발생시키는 이러한 다수의 틈을 통하여 탱크로 유입되고, 상기 원뿔은 단지 하나의 틈에 의해 발생되는 단일 중앙 원뿔보다 더 작은 수직 크기를 갖는다.
이전의 큰 벌킹 각 분말의 문제는 제 3 모드에 따른 본 발명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에 의해 또한 해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는 실린더 목부 (neck) 이며, 이 목부는 :
커버의 나사산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외부 나사산, 및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의 나사산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을 갖고,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및 커버는 연결 수단을 가져 커버가 각각 실린더 목부 주위에 각각 나사 조임 되거나 또는 풀릴 때,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이 실린더 목부 내부에 나사 조임 되거나 또는 풀리게 되고, 및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및 커버가 이들의 가장 높은 위치로 나사 조임될 때 상기 연결 수단은 해제 가능하다.
제 3 모드의 실시형태는 컨테이너가 일단 리필된 후 실린더 목부의 수직 치수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는, 리필을 위해, 탱크의 커버는 이를 나사 조임함으로써 제거된다. 커버가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과 연결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수단은 이들이 실린더 목부의 정상부에서 나올 때까지 동시에 나사 조임된다. 이 때, 커버는 실린더 목부의 외부 부분으로 더이상 나사 조임되지 않고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연결 수단은 해제되며 ; 그 결과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은 탱크 실린더 목부의 정상에 놓이고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이 위로 이동될 수 없는 컨테이너와 비교할 때 컨테이너에 리필되는 분말은 컨테이너 내부의 가장 높은 레벨로부터 흐른다. 리필이 일단 실현되면, 커버는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과 연관되어 다시 놓이고 이들은 실린더 목부 주위와 내부에 각각 나사 풀림 된다.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은 그 후 분말 벌킹 원뿔의 정상을 천천히 커버할 것이다.
제 4 모드에서, 텅의 고정 단부는 탱크의 바닥에 인접하여 걸리게 된다. 제 4 모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은 다수의 가요성 텅을 포함하고 가요성 텅의 자유 단부는 막힘 (clogging) 수단을 지지하며, 상기 막힘 수단의 형상 및 방향은 이 수단이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도록 된다. 막힘 수단에 의한 탱크의 개방된 단부의 폐쇄는 막힘 수단의 표면 또는 에지와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의 개구의 에지와의 정확한 끼워맞춤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연장된 가요성 텅 및 막힘 수단은 보통 용기 용적 내부에 놓인다. 그 후 막힘 수단은 탱크의 내부에서부터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한다. 바람직한 막힘 수단은 특히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의 개구가 원형 형상을 가질 때 돔형 (dome-shaped) 컵으로 이루어진다. 그 후 이 돔형 컵은 컵의 외부면이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의 개구의 에지에 부착되도록 배향된다. 이 목적에 의해, 연장된 가요성 텅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막힘 수단이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에 끼워맞춤 되게 하도록 설정된다. 특정 모드에서 막힘 수단은 그 상부면에 핀을 갖는다. 이러한 핀은 막힘 수단에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더 나은 접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의 형상이 무엇이던지, 본 발명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는 보통 분배기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개방되며 분배기의 도싱 수단 (dosing means) 과 상호 작용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는 바닥 단부를 갖는다. 그 후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는, 요구될 때 적량의 제품을 전달하는 분배기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내부에 유동성 제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탱크 바닥 단부는 도싱 수단에 직접 연결되고 : 탱크의 바닥 개방된 단부와 도싱 수단 케이싱은 보통 서로 끼워맞춤 된다. 이러한 끼워맞춤에 의해 탱크의 바닥 단부는 도싱 수단의 상부에 의해 폐쇄된다. 도싱 수단은 분배기, 예컨대 커피 분배기의 혼합 챔버에 공급하기 위해 탱크로부터 제품 적량을 덜어낸다. 탱크는 또한 예컨대 깔때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도싱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싱 수단은 분배기에 일회분의 유동성 제품을 전달하기 위해 나사, 송곳 (auger), 통 (barrel), 미끄럼 챔버, 회전 관통된 디스크, 액상 및 페이스트용 연동 펌프 등의 어떠한 공지된 종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모드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가 실행될 때, 가요성 텅의 고정 단부는 탱크의 바닥 단부에 인접한 도싱 수단의 케이싱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탱크, 바람직하게는 탱크의 바닥부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동성 음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에 관한 것이며 :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도싱 수단을 포함하는 도싱 유닛,
희석액 공급 수단,
일회분의 유동성 음료 성분과 희석액을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에 의해, 음료 분배 기계에 가용 유동성 음료 성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가용 유동성 음료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기계의 혼합 챔버 안으로 배출되며, 따라서 물과 같은 액체가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가용성 성분과 상호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도싱 유닛은 탱크의 바닥 개방된 단부와 상호 작용하여 탱크에 보관되는 유동성 제품은 도싱 수단으로 들어간다. 도싱 수단은 보통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회전 요소이다. 도싱 유닛 케이싱은 커피 기계에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를 고착 또는 이를 풀기 위한 상호 작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컨테이너와 도싱 유닛은 이들이 사용될 때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예컨대 세척을 위해 분리될 수 있다. 도싱 유닛 케이싱은 또한 기계에 시스템을 고착 또는 이를 풀기 위한 상호 작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컨테이너와 도싱 유닛은 시스템의 세척을 위해 또는 유동성 제품으로 시스템을 리필하기 위해 기계로부터 동시에 제거될 수 있고 ; 작은 주방에서 예컨대 음료 기계 위에 단지 제한된 공간만이 있을 때 기계로부터 떼어내어질 때 분말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리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가 유동성 제품으로 채워지고 유동성 제품을 보관하고 적량으로 나누기 위해 커피 기계에 고착될 때,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는 그의 바닥부는 도싱 유닛에 의해 그의 정상부는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고, 유동성 제품 특징, 예컨대 커피 분말의 향은 보존된다. 탱크의 폐쇄는 시스템적이고 종래 기술에서 컨테이너를 리필한 이후에 컨테이너 개구에 캡을 놓는 것을 잊을 수 있는 작업자에 의존하지 않는다.
기계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가 비워질 때, 기계의 도싱 유닛과 연결되지 않고서는 유동성 제품으로 리필될 수 없는데 이는 컨테이너의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컨테이너가 도싱 유닛에 연결될 때, 양 단부는 폐쇄되지만, 컨테이너의 정상 개방된 단부는 이에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그 후, 기계의 컨테이너는 예컨대 컨테이너의 정상 단부 위에서 분말 백으로부터 분말을 붓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리필될 수 없는데 이는 분말의 무게가 컨테이너 정상 폐쇄 수단을 개방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계는 폐쇄 수단을 개방하고 분말이 컨테이너 안으로 떨어지게 하기 위해 컨테이너 정상 폐쇄 수단에 압력 접촉을 가할 수 있는 수단에 의해서만 리필될 수 있다.
종종 커피 분말 기계는 세 개의 디스크로 구성되는 도싱 수단을 사용하며 : 이들은 컨테이너 밖으로 분말을 취하기 위한 틈을 포함하는 분말 보관 컨테이너와 접촉하는 제 1 디스크, 제 1 부분에 의해 취해진 분말을 계량하기 위한 제 2 디스크, 계량된 적량의 분말을 배출하기 위한 틈을 갖는 제 3 디스크이다. 이러한 3 개의 디스크는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가요성 텅의 고정 단부가 탱크의 바닥 단부에 인접한 도싱 수단의 케이싱 또는 탱크의 바닥에 고정되는 본 발명의 다회용 컨테이너의 제 4 모드는 컨테이너의 바닥 부분 내부의 제 1 디스크의 양호한 세팅을 도울 수 있다. 그 후 탱크 내부에 가요성 텅이 없을 때, 제 1 디스크는 정확하게 작동할 수 없고 ; 그 결과 기계 작동자는 예컨대 탱크의 정상 단부 위의 분말 백으로부터 분말을 직접 붓기 위해 가요성 텅 없이 탱크를 사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 3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희석액과 혼합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 이 시스템은 기계와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기계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를 리필하기 위한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도싱 수단을 포함하는 도싱 유닛,
희석액 공급 수단,
일회분의 유동성 음료 농축물과 희석액을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
폐쇄 단부 및 개방 단부를 갖는 용기,
용기 내부에 놓이고 용기 개방 단부의 방향으로 배출 출구를 향해 테이퍼진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출구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을 밀 수 있다.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는 주로 폐쇄 단부 및 개방 단부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며, 그의 기능은 벌크 재료를 수용하고 보관하는 것이다. 어떠한 형태의 용기도 사용될 수 있다. 용기의 단면은 원형, 달걀형, 정사각형 등일 수 있다. 단면의 형상 및 크기는 컨테이너의 더 나은 취급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상업적 어필을 제공하기 위해 용기의 길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용기는 둥근 단면 또는 달걀형 단면을 갖는 실린더이고 ; 이러한 형상은 쉬운 제조, 쉬운 보관 쉬운 취급을 가능하게 한다. 용기는 적어도 플라스틱, 카드보드지, 알루미늄 또는 이러한 재료의 조합 및/또는 적층물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재료는 종이,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의 순서에 따른 이들의 시트의 적층물이다. 이러한 재료는 이들이 경량 용기를 유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어떠한 다른 재료도 용기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양호한 습도 차단벽 및, 선택적으로는 양호한 산소 차단벽을 가져야 한다. 내부에 보관되는 벌크 재료의 본질에 따라, 이러한 재료는 UV 선 및 광 차단 특성을 또한 가질 수 있다.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용기의 폐쇄 단부는 예컨대 투명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투명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한 단부는 컨테이너가 사용될 때 컨테이너 내부의 남아있는 벌크 재료의 레벨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용기의 이러한 투명한 부분은 또한 동일한 목적을 위해 용기의 개방 단부에 인접하여 놓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개방 단부는 플랜지를 갖는다. 이 플랜지는 컨테이너 개방 단부에 찢어질 수 있는 막을 고정하는데 유용하다.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는 벌크 재료를 용기로부터 컨테이너의 외부로 언로딩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호퍼를 포함한다. 이 호퍼 또는 깔때기형 저장소는 벌크 재료가 중력에 의해 용기의 개방 단부에 놓인 저장소로 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호퍼는 용기 내부에 완전히 놓이고 용기 개방 단부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배향되며, 그 후 호퍼 배출 출구에 대응하는 그의 테이퍼진 단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향한다. 호퍼가 용기 용적 내부에 완전히 놓이는 것에 의해, 그의 테이퍼진 단부는 최대한 용기의 개방 단부와 동일면에 있게 되거나 또는 용기 용적 내부에 오목하게 된다. 호퍼와 용기의 상대 위치 때문에, 홈이 호퍼의 벽과 용기의 벽 사이에 호퍼 배출 출구의 모든 둘레를 따라 뻗어있다.
호퍼는 용기의 대부분의 중요한 용적에 벌크 재료를 보관하기 위해 보통 용기 내부에 용기의 개방 단부에 근접하여 놓인다. 호퍼는 열 밀봉, 접착제 등에 의한 고주파 접착에 의해 용기에 고정될 수 있다. 호퍼는 용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외부 스커트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스커트는 용기의 내부에 끼워맞춤 될 수 있고 호퍼를 용기 안에, 예컨대 그에 기대게 함으로써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스커트는 호퍼가 미끄러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용기의 개방 단부의 에지에 기대어질 수 있는 멈춤 에지를 가질 수 있다.
호퍼는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다. 호퍼는 보통 대칭 형상 바람직하게는 원형 형상을 갖지만 이는 또한 컨테이너에 의해 리필되는 탱크의 개구와 유사한 특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특정 형상은 적응되지 않은 제품으로 탱크를 리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호퍼는 절두원추형 (frusto-conical shape) 을 갖는다.
호퍼의 테이퍼진 각은 벌크 재료의 본질 및 입도 (granulometry) 에 의존할 수 있다. 수용성 커피 분말에 있어서, 호퍼는 보통 적어도 10°및 최대 80°, 바람직하게는 15 ~ 50°의 테이퍼진 각 (α) 을 갖고, 테이퍼진 각은 호퍼 테이퍼진 벽과 호퍼 중앙 축선 사이의 각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분말의 보관을 위해, 분말이 더 미세하고 조밀할 수록, 테이퍼진 각은 더 경사가 급하고 (약 20°) 호퍼 배출 출구는 더 넓어진다. 분말 입자가 더 크거나 분말이 더 가벼울 때, 테이퍼진 각은 더 편평하고 (약 45°) 호퍼 배출 출구는 더 작아진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호퍼는 호퍼의 테이퍼진 단부에 커플링되는 벌크 재료 안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장치는 예컨대 실린더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안내 장치의 출구는 호퍼 테이퍼진 단부의 위치에 호퍼 배출 출구를 형성한다. 그 후,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실행될 때, "호퍼 배출 출구" 라는 용어는 안내 장치 출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 및 그의 벌크 재료 안내 장치 전부는 용기의 용적 안에 있어야 하고 안내 장치 출구는 찢어질 수 있는 막에 의해 폐쇄된다. 호퍼는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배출 출구는 기계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 정상 개방된 단부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져 배출 출구는 리필 가능한 컨테이너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상기 수단을 밀 수 있게 된다.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는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개방하기 위해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배출 출구를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에 대하여 미는 것에 의해 리필된다.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이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다수의 가요성 텅을 포함할 때, 블레이드 상의 호퍼의 배출 출구의 적용은 이들의 자유 단부가 내려 앉는 것을 유발한다. 내려 앉을 때, 블레이드의 자유 단부는 서로 빗나가게 되며 이는 이들 사이에 틈새 (gap) 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의 개구를 발생시킨다. 리필 컨테이너의 배출 출구로부터 부어지는 유동성 제품은 블레이드 사이로 흘러갈 수 있다.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정상 개방된 단부는 타겟팅 (targeting) 을 개선하기 위해 리필 컨테이너의 나사산과 상호 작용하는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동성 음료 성분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는 호퍼와 용기를 동시에 폐쇄하는 찢어질 수 있는 막을 포함한다. 찢어질 수 있는 막은 용기 용적 내부의 호퍼를 폐쇄한다. 찢어질 수 있는 막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호퍼의 테이퍼진 단부 또는 벌크 재료 안내 장치의 배출 출구와 접촉한다. 찢어질 수 있는 막은 컨테이너가 벌크 재료를 보관할 때 이를 폐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막은 그의 표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이러한 찢어질 수 있는 기능은 막 전체에 막이 찢어질 수 있게 하는 작은 구멍을 만듦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 후 막은 절취선 (tear line) 을 가질 수 있다. 절취선이 막의 중앙에서 교차하는 직선일 때 더 나은 막의 개방이 얻어졌고 더 나은 벌크 재료의 언로딩이 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하지만 어떠한 다른 형태의 절취선이 사용될 수 있다. 막은 찢어질 수 있는 어떠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종이, 알루미늄, 폴리머 시트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한 막은 종이,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폴리에틸렌의 순서에 따른 이들의 시트의 적층물이다.
이 찢어질 수 있는 막은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개방하기 위해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에 대하여 이 막을 누를 때 파손된다. 이 실시형태는 유동성 제품이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로 전달되는 순간까지 보관 컨테이너 내부에 유동성 제품을 보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제품의 공기와의 접촉은 최소화된다.
유동성 음료 성분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호퍼의 배출 출구 단면은 실질적으로 용기의 개방 단부 단면의 면에 있을 수 있다. 이 공통면은 보통 호퍼의 메인 축선에 수직이다. 이 제 1 모드에 따르면, 찢어질 수 있는 막은 호퍼의 배출 출구와 용기의 개방 단부를 동시에 커버한다. 제 1 모드에서, 찢어질 수 있는 막은 동일면에 놓인 용기의 개방 단부와 배출 출구 (호퍼 테이퍼진 단부 또는 안내 장치의 출구 중 하나) 를 동시에 커버한다. 막은 용기의 개방 단부와 배출 출구에 공통인 이 특정 면에 놓인다.
유동성 음료 성분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제 2 변형예에 따르면, 호퍼의 배출 출구의 에지는 용기 내부에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호퍼 배출 출구의 에지는 용기 개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제 2 모드에서, 찢어질 수 있는 막은 호퍼의 배출 출구의 에지를 커버하고 용기의 내벽에 연결된다.
유동성 음료 성분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상이한 요소는 영구적인 또는 분리 가능한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영구적인 수단은 밀봉, 용접, 접착, 비가역적인 클립핑 (clipping) 수단 또는 다른 수단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분리 가능한 수단은 컨테이너의 다른 요소에 속한 나사부 또는 상보적인 기계적 결합 수단과 공동 작용하는 컨테이너의 요소 중 하나에 있는 나사부 또는 동등한 상보적인 기계적 결합 수단을 갖는 컨테이너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유동성 음료 성분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는 보통 커피 분말로 채워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류의 컨테이너는, 특히 공기에 민감하고 공기와의 접촉을 제한하여 컨테이너에서 다른 용기로 전달되어야만 하는 어떠한 다른 벌크 재료를 보관 및 언로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식품 재료는 뜨거운 또는 차가운, 거품이 있는 또는 거품이 없는 음료가 되게 되는 어떠한 식품 농축물일 수 있다. 예컨대, 벌크 재료는 가용 우유, 커피, 코코아, 차의 분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건조된 으깬 감자 또는 다른 건조 식품, 소스 또는 국 분말, 스프 분말 등과 같은 다른 분말 식품이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유동성 음료 성분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용기 부분을 내부에 보관되는 벌크 재료로 채우는 것은 일반적으로 폐쇄 단부가 아직 폐쇄되지 않았지만 다른 요소 (호퍼, 막, 그리고 막 위의 보호 캡) 는 이미 존재하고 조립된 컨테이너로 실현된다. 벌크 재료가 일단 내부에 채워지면, 용기는 그의 폐쇄 단부에서 규정된 방식으로 폐쇄된다.
유동성 음료 성분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가 일단 사용되면, 찢어질 수 있는 막은 벌크 재료를 언로드 하기 위해 관통되며 컨테이너는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컨테이너는 비워졌을 때 버려진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용기의 부분은 가요성 파우치일 수 있다. 이 가요성 파우치는 보통 용기의 폐쇄 단부에 대응하지만, 용기의 나머지 부분은 호퍼, 용기 및 막의 상대적인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단단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시스템에 적용되며 : 이 시스템은 벌크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기계와 벌크 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기계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를 리필하기 위한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도싱 수단을 포함하는 도싱 유닛,
일회분의 벌크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
폐쇄 단부 및 개방 단부를 갖는 용기,
용기 내부에 놓이고 용기 개방 단부의 방향으로 배출 출구를 향해 테이퍼진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출구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을 밀 수 있다.
효과적으로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벌크 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는 식품 또는 비식품 분야의 음료 분말 외의 어떠한 다른 벌크 재료의 보관 및 언로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공기와의 접촉이 제한되고 재빠른 방식으로 기계에 공급되어야만 하는 화학 화합물 또는 제약 화합물을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는 벌크 재료의 탱크, 벌크 재료를 취하고 계량하며 이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에 이를 유도하는 패키징 기계 또는 처리 기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다수의 이점을 갖는다. 이들은 탱크가 유동성 제품을 포함할 때 유동성 제품의 시스템적인 폐쇄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커피 분말과 같은 유동성 제품을 기계에 보관하기 위한 개선된 해결책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탱크의 폐쇄 수단을 개방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리필 컨테이너로 기계의 탱크를 리필하는 것을 회피하게 하고 ; 이러한 방식으로 단지 기계가 이를 위해 조절된 유동성 제품만이 탱크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와 유동성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사이의 상호 작용은 탱크 외부의 제품의 손실 없이 리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컨테이너는 대기와 제품의 접촉을 회피하며 그의 향의 손실을 회피하고 이는 커피 분말 같은 재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도면과 관계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사시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제 1 모드의 사시 평면도이다.
도 4a, 4b 및 4c 는 도 3 에 나타낸 정상 원뿔부의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5b 및 5c 는 도 3 에 나타낸 바닥 원뿔부의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제 2 모드의 상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원뿔부의 사시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제 2 모드의 사시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싱 유닛에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제 4 모드의 사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 은 도 9 에 나타낸 상이한 부분의 사시 평면도이다.
도 12 는 유동성 음료 성분의 보관을 위한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유동성 음료 성분의 보관 및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리필을 위한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 를 나타낸다. 이 컨테이너는 실린더 목부 형상을 갖는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갖는 탱크 (2) 를 포함하며 실린더 목부에는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이 뻗어있다. 이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이러한 수단 (4) 은 일반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갖는 6 개의 가요성 텅 (5) 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한 부분 (51) 은 탱크 실린더 목부 (3) 내부에 끼워맞춤되는 링 (53) 에 고정되며 부분 이 고정된 부분 (51) 에 대향하는 부분 (52) 은 자유롭다. 6 개의 텅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일련의 텅이 탱크 (2) 내부에 단부 지점이 있는 원뿔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뚜껑 (9) 이 실린더 목부 (3) 위에 놓일 수 있다. 텅이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것에 의해, 텅에 가해지는 하방 배향된 수직 접촉 압력은 텅의 가요부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하방 운동에 의해, 단부 (52) 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고 모든 이러한 단부 (52) 의 중간에 틈이 개방된다. 텅에 접촉 압력이 중단되자마자, 텅의 가요성 단부 (52) 는 대기 위치로 돌아가고, 탱크 (2) 의 개방된 단부 (3) 는 폐쇄된다. 이러한 도면은 탱크 (2) 의 바닥 단부 (9) 가 개방되어 컨테이너 (1) 내부에 있는 유동성 제품의 분배를 위해 기계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모드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 를 나타낸다. 탱크 (2) 는 도 1 및 도 2 와 동일한 특징을 갖는다.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에 대해서, 이 수단은 가요성 텅의 두 세트 (6, 7) 로 구성되며 이는 도 4a, 4b, 4c, 5a, 5b 및 5c 에서 특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각의 텅의 세트는 방사상의 틈을 갖는 원뿔의 형상을 갖는다. 정지시에, 즉 원뿔부의 텅 (6, 7) 에 압력 접촉이 가해지지 않을 때, 탱크 (2) 는 그의 정상부가 완전히 폐쇄되는데 이는 상이한 텅 사이에 틈이 없으며, 각각의 텅의 세트는 다른 세트의 텅 사이의 틈을 리커버하기 때문인 것이 명백하다. 수직 하방 배향된 압력이 세트에 가해질 때, 모든 텅의 가요성 단부는 원뿔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며 틈이 개방된다.
두 세트 (6, 7) 는 텅 사이의 틈 (64, 74) 이 상이한 크기를 갖는다는 점이 상이하다. 더 작은 크기의 틈을 갖는 텅의 세트 (7) 는 더 큰 크기의 틈을 갖는 텅의 다른 세트 (6) 아래에 놓인다. 밑에 있는 이 세트 (7) 는 바람직하게는 틈 (74) 을 갖는데 이 틈의 주변 길이는 텅의 주변 길이보다 상당히 더 작다. 위에 있는 세트 (6) 의 치수는 밑에 있는 세트의 치수에 따라 결정되고, 위에 있는 세트의 텅은 정지시에 밑에 있는 세트의 틈을 커버하기에 충분히 크게 된다. 각각의 세트에 있어서, 텅의 한 부분은 탱크 정상 개방된 단부 (3) 내부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링 (65, 75) 에 고정된다. 위에 있는 세트 (6) 는 그의 링 (65) 을 고정 틈 (76) 을 통하여 밑에 있는 세트 (7) 의 링 (75)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후크와 같은, 고정 수단 (63) 을 갖는다. 각각의 후크는 탱크 정상 개방된 단부 (3) 의 내부에 놓인 후크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슬롯 (65) 을 가질 수 있다. 작은 디스크 (66) 가 소비자에게 탱크가 완전히 폐쇄되었다는 느낌을 확인시키기 위해 하나의 텅의 가요성 단부 (62) 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 7 및 8 은 본 발명의 제 2 모드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 를 나타낸다.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수단 (4) 은 6 개의 가용성 텅 (5) 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텅은 한 부분 (51) 을 갖고 이 부분은 링 (53) 에 고정되며 이 링은 탱크 실린더 목부 (3) 내부에 끼워맞춤되고 한 부분 (52) 은 이 고정된 부분 (51) 맞은편에 있고 이 부분은 자유롭다. 이러한 수단 (4) 은 각각의 가요성 텅 (5) 의 자유 단부와 접촉하는 고정된 중앙 부분 (8) 을 또한 포함한다. 텅과 고정된 중앙 부분 (8) 은 정지시에 가요성 텅 (5) 이 중앙 부분 (8) 에 의지하게 되고 탱크 (2) 를 폐쇄하도록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중앙 부분은 다수의 빔 (81) 에 의해 탱크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 하방 배향된 압력이 텅 (5) 에 가해질 때, 모든 텅 (5) 의 가요성 단부 (52) 는 하방으로 그리고 중앙 부분 (8) 으로부터 멀어진다. 이는 텅 사이의 6 개의 틈과 중앙 부분 (8) 주위의 중앙 주변 틈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이 주변 틈은 본 발명의 다른 모드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중앙 틈과 비교하면 작다. 그 결과, 도 1 ~ 도 5 의 실시형태의 분말의 유동은 단일 중대한 중심 유동이지만 텅 사이의 틈과 고정된 중앙 부분 (8) 주위의 틈을 통하여 흐르는 분말의 유동은 다수의 작은 유동으로 나누어진다. 중대한 경사가 급한 벌크 각을 발생시키는 입도를 갖는 분말 (미세 분말임) 에 대하여 제 2 모드의 실시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9 ~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4 모드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 를 나타낸다. 컨테이너는 탱크 (2) 와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을 포함한다. 탱크 (2) 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정상 개방된 단부 (3) 와 도싱 수단 (11) 과 상호 작용하는 바닥 개방된 단부를 갖는다. 도싱 수단은 3 개의 디스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컨테이너 밖으로 분말을 취하기 위한 틈을 포함하는 분말 보관 컨테이너와 접촉하는 제 1 디스크, 제 1 부 분에 의해 취해진 분말을 계량하기 위한 제 2 디스크, 계량된 적량의 분말을 배출하기 위한 틈을 갖는 제 3 디스크이다. 이러한 디스크는 시스템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들의 회전은 도싱 케이싱 내부의 깔때기부의 개방 또는 폐쇄 그리고 커피 기계의 혼합 챔버 내의 커피 분말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수단 (4) 은 4 개의 연장된 가요성 텅을 갖고 이들은 도싱 유닛 케이싱 (11) 에 대해 한 단부에서 고정된 한 단부 (51) 및 가요성이고 돔형 컵 (18) 을 지지하는 다른 단부 (52) 를 갖는다. 이 돔형 컵 (18) 은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의 개구의 원형 단면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그의 외부면이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의 개구의 에지에 부착되도록 배향된다.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3 개의 핀 (10) 이 돔형 컵 (18) 위에 놓인다.
도 12 는 특히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그리고 본 발명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 를 리필할 수 있는 컨테이너 (12) 를 나타낸다. 컨테이너는 폐쇄된 단부 (14) 및 개방된 단부 (15) 그리고 배출 출구 (17) 를 향해 테이퍼진 실린더 형태의 호퍼 (16) 를 갖는 용기 (13) 를 포함한다. 개방된 단부 (15) 와 배출 출구 (17) 의 단면은 원형이다. 배출 출구 (17) 의 단면은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의 단면보다 작아서 배출 출구 (17) 는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고 폐쇄 수단 (4) 을 개방하기 위해 가해지는 수직 하방 배향된 힘을 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12) 는 개방된 단부 (15) 를 리커버하는 찢어질 수 있는 막 (19) 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그 표면에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찢어질 수 있다. 이러한 찢어질 수 있는 기능은 그 막 전체에 작은 구멍을 만듦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 후 커버는 예컨대 막의 중심에서 교차하는 직선인, 절취선을 가질 수 있다. 막 (19) 은 찢어질 수 있는 어떠한 재료로도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종이, 알루미늄 및 폴리머 시트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한 막은 종이,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및 폴리에틸렌의 순서에 따른 이들 시트의 적층물이다. 도 12 는 호퍼 테이퍼진 벽과 호퍼 중심 축선 (XX') 사이의 각에 대응하는 호퍼의 테이퍼진 각 (α) 의 정의를 지지한다.
도 13 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 에 보관된 유동성 음료 농축물로부터 시작되는 음료의 제조를 위한 기계 및 이 기계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 를 리필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12) 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3 은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12) 에 의해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 의 리필 단계를 나타낸다. 이런 리필을 위해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12) 는 리필되는 컨테이너 (1) 위에 뒤집혀서 놓인다. 보관을 위한 컨테이너 (12) 내부의 유동성 제품은 배출 출구 (17) 를 향하고 찢어질 수 있는 막 (19) 에 의해 유지된다.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의 단면이 리필을 위한 컨테이너 (12) 의 개방된 단부 (15) 의 단면보다 작다는 사실에 의해,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에 대하여 리필을 위해 컨테이너 (12) 를 미는 것은 찢어질 수 있는 막을 찢어 막은 파손되고 유동성 제품을 방출하게 한다. 그러는 동안, 배출 출구 (17) 의 에지는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을 밀어 이 수단을 개방한다. 일반적으로, 배출 출구 (17) 의 단부의 단면은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의 단면보다 작아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에 압력을 가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다. 도 13 의 내용에 있어서, 이러한 수직 하방 배향된 힘에 의해, 텅의 가요성 단부 (52) 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돔형 컵 (18) 을 하방으로 잡아 끌며, 이는 돔형 컵 (18) 의 표면과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의 개구의 에지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며 이 틈새는 컨테이너에 보관되는 유동성 제품이 대기와의 접촉이 제한되면서 돔형 컵 (18) 의 표면 위로 미끌어짐으로써 탱크 (2) 안으로 직접 흘러갈 수 있게 한다. 시스템은 탱크 리필 동안 커피 분말의 손실을 회피하게 하는데 이는 커피 분말이 호퍼 (16) 및 배출 출구 (17) 에 의해 컨테이너 (1) 에 직접 안내되기 때문이다.
동일한 리필은 다른 모드에 따르고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다른 종류의 수단 (4) 을 갖는 다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원뿔 형상의 가용성 텅의 경우에 있어서, 컨테이너를 리필하는것에 의해 텅에 가해지는 압력은 텅이 서로 멀어지도록 하며 리필 컨테이너로부터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로 유동성 제품의 전달을 위해 텅 사이에 틈을 발생시킨다.

Claims (21)

  1. 유동성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 로서,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갖는 탱크 (2),
    상기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이 수단에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고 이 수단에 접촉 압력을 중단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은 이 수단에 수직 하방 배향된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은 다수의 가요성 텅 (tongue)(5) 을 포함하고, 각각의 텅은 고정 단부 (51, 71, 61) 및 다른 자유 단부 (52, 62, 72) 를 가지며, 상기 자유 단부의 형상 및 방향은 이 자유 단부가 정지시에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고 접촉 압력 하에서 이 자유 단부가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정지시에 상기 전체 텅 (5) 은 원뿔을 형성하고, 그 정상 부는 탱크 (2) 의 내측으로 배향되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은 두 세트의 다수의 가요성 텅 (6, 7) 을 포함하고, 각각의 가요성 텅의 세트는 관통된 틈 (64, 74) 을 갖는 원뿔을 형성하며 두 세트는 서로 조립되어 각각의 세트의 텅은 다른 세트의 관통된 틈을 리커버하게 되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6. 제 5 항에 있어서, 가용성 텅 (6) 의 한 세트는 다른 가요성 텅의 세트보다 더 넓은 관통된 틈 (64) 을 갖는 원뿔을 형성하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은 가요성 텅 (52) 의 자유 단부와 접촉하는 고정된 중앙 부분 (8) 을 포함하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중앙 부분은 원뿔형 형상부분을 갖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는 탱크 정상 개방된 단부 (3) 위에 커버 (9) 를 포함하는 리필 가능한 다회 용 컨테이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개방된 단부 (4) 는 실린더 목부이며, 이 목부는 :
    커버의 나사산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외부 나사산, 및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의 나사산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을 갖고,
    상기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및 커버는 연결 수단을 가져 커버가 각각 실린더 목부 주위에 각각 나사 조임 되거나 또는 풀릴 때,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이 실린더 목부 내부에 나사 조임 되거나 또는 풀리게 되고, 및
    상기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및 커버가 이들의 가장 높은 위치로 나사 조임될 때 상기 연결 수단은 해제 가능한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텅의 고정 단부 (52) 는 탱크의 바닥부에 인접하여 걸리게 되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텅의 자유 단부 (52) 는 막힘 수단 (18) 을 지지하고, 상기 막힘 수단의 형상 및 방향은 이 막힘 수단이 탱크 (2) 의 정상 개 방된 단부 (3) 를 폐쇄하도록 되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 수단 (18) 은 돔형 컵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도싱 수단 (11) 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바닥 개방된 단부 (9) 를 갖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15. 유동성 음료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로서.
    제 1 항 내지 제 14 항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도싱 수단을 포함하는 도싱 유닛 (11),
    희석액 공급 수단,
    일회분의 유동성 음료 성분과 희석액을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16.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희석액과 혼합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 시스템은 기계와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기계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를 리필하기 위한 컨테이너 (12) 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도싱 수단을 포함하는 도싱 유닛 (11),
    희석액 공급 수단,
    일회분의 유동성 음료 성분과 희석액을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
    폐쇄 단부 (14) 및 개방 단부 (15) 를 갖는 용기 (13),
    상기 용기 내부에 놓이고 용기 개방 단부 (4) 의 방향으로 배출 출구 (17) 를 향해 테이퍼진 호퍼 (16) 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출구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을 밀 수 있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12) 의 배출 출구 (17) 는 기계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 정상 개방된 단부 (3) 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음료 성분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17) 는 용기 (13) 및 호퍼 (16) 를 폐쇄하는 찢어질 수 있는 막 (19) 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는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개방하기 위해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배출 출구 (17) 를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에 대하여 미는 것에 의해 리필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는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개방하고 동시에 유동성 음료 성분을 보관하기 위해 컨테이너 (12) 의 찢어질 수 있는 막 (19) 을 파손하기 위해 유동성 음료 농축물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배출 출구 (17) 를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 (2) 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4) 에 대하여 미는 것에 의해 리필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21. 벌크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기계와 벌크 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기계의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를 리필하기 위한 컨테이너 (12) 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에 따른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도싱 수단을 포함하는 도싱 유닛,
    일회분의 벌크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
    폐쇄 단부 (14) 및 개방 단부 (15) 를 갖는 용기 (13),
    용기 내부에 놓이고 용기 개방 단부 (4) 의 방향으로 배출 출구 (17) 를 향해 테이퍼진 호퍼 (16) 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출구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의 탱크의 정상 개방된 단부 (3) 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을 밀 수 있는 시스템.
KR1020097027071A 2007-06-28 2008-06-24 음료 제조용 기계에 적용할 수 있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KR101249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1345.0 2007-06-28
EP07111345A EP2008554A1 (en) 2007-06-28 2007-06-28 System for storing and dosing a powder
PCT/EP2008/058027 WO2009000836A2 (en) 2007-06-28 2008-06-24 Refillable multi-dose container applicable to 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962A true KR20100024962A (ko) 2010-03-08
KR101249124B1 KR101249124B1 (ko) 2013-03-29

Family

ID=3909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071A KR101249124B1 (ko) 2007-06-28 2008-06-24 음료 제조용 기계에 적용할 수 있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9107537B2 (ko)
EP (2) EP2008554A1 (ko)
JP (2) JP5134329B2 (ko)
KR (1) KR101249124B1 (ko)
CN (1) CN101686774B (ko)
AR (1) AR067375A1 (ko)
AU (1) AU2008267220B2 (ko)
BR (1) BRPI0812927A2 (ko)
CA (1) CA2707391C (ko)
CL (1) CL2008001938A1 (ko)
CO (1) CO6251220A2 (ko)
HK (1) HK1141958A1 (ko)
MX (1) MX2009013776A (ko)
MY (1) MY153416A (ko)
NZ (1) NZ581597A (ko)
RU (1) RU2484752C2 (ko)
TW (1) TWI457101B (ko)
UA (1) UA99832C2 (ko)
WO (1) WO2009000836A2 (ko)
ZA (1) ZA2010006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983A (ko) * 2017-06-01 2018-12-11 알리 그룹 에스.알.엘. - 카르피지아니 아이스크림 제품의 제조 및/또는 분배를 위한 기계의 기본 제품/첨가제 제품의 공급 유닛 및 상기 유닛을 포함하는 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79066A1 (en) * 2009-09-23 2012-04-27 Nestec Sa Container holding assembly and receiving assembly adapted for connecting a container to a machine
CA2822731C (en) * 2010-12-22 2019-01-15 Nestec S.A. System of a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roduct and a machine for dosing the product
JP5730011B2 (ja) * 2010-12-28 2015-06-03 花王株式会社 詰替え容器用栓体
CN106455851B (zh) * 2014-06-20 2020-04-03 雀巢产品有限公司 配备可再填充多剂量容器的饮料制备机
CH712695A1 (de) * 2016-07-07 2018-01-15 Mühlemann Ip Gmbh Einportionenpackung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aus einem Getränkekonzentrat.
US10314420B2 (en) 2017-05-08 2019-06-11 John DePierro Dispensing apparatus
IT201800003119A1 (it) 2018-02-28 2019-08-28 Giorgio Trisolini Dispositivo per il versamento ed il dosaggio di polvere da caffe'
CN108341127A (zh) * 2018-04-14 2018-07-31 于颖 一种分段可拆卸连接式牙膏包装
WO2020001855A1 (en) 2018-06-26 2020-01-0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refillable multi-dose container
CN110053848A (zh) * 2019-04-05 2019-07-26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一种定量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1878A (en) * 1977-10-31 1981-06-09 Elvis Bologa Liquid transfer device
GB2053423B (en) * 1979-07-04 1983-06-15 British Syphon Ind Ltd Metering of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s
US4544371A (en) * 1982-10-05 1985-10-01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Implantable metered dose drug delivery system
US4649042A (en) * 1984-05-31 1987-03-10 Eli Lilly And Company Rumen delivery device
JPS62147591A (ja) * 1985-12-23 1987-07-01 株式会社 アペツクス 飲料自動販売機の原料ストツク機構
FR2631536B1 (fr) * 1988-05-20 1991-10-04 Gros Maurice Distributeur de produits alimentaires en fragments ou grains
WO1989012416A2 (fr) * 1988-06-16 1989-12-28 Philip Metz Procede et dispositif de preparation d'une boisson
US5071096A (en) * 1991-01-29 1991-12-10 Cobbs Manufacturing Co. Drink container stabilizing device
US5297600A (en) * 1993-01-13 1994-03-29 Downes Kenneth V Container emptying device
FR2709287B1 (fr) * 1993-08-26 1995-11-17 Suppo Steril Laboratoires Etui pour accessoires de dosage fixable sur un flacon.
ATE232180T1 (de) * 1999-02-12 2003-02-15 Nestle Sa Nachfüllkartusche für eine getränke- abgabevorrichtung und an solche kartuschen angepasste vorrichtung
US6279460B1 (en) * 1999-10-21 2001-08-28 Bunn-O-Matic Corporation Tea brewing funnel
ATE366072T1 (de) * 2001-03-16 2007-07-15 Procter & Gamble Aufbrühgeräte zur herstellung von sahnigen getränken
US6698624B2 (en) * 2001-04-04 2004-03-02 Nestec S.A. Device for dispensing a flowable powder substance
US6502711B1 (en) * 2001-04-20 2003-01-07 Kerry J. C. Mc Rae Container holding apparatus
US8302798B2 (en) * 2001-09-04 2012-11-06 Moss Christine K Anti-spill container
US6805042B2 (en) * 2002-05-10 2004-10-19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Division Of Conopco, Inc. Apparatus for brewing a beverage
JP3754400B2 (ja) * 2002-06-27 2006-03-08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粒体の計量装置
US6877639B1 (en) * 2002-10-18 2005-04-12 Liquid 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CA2411809C (en) 2002-11-08 2009-06-23 Vki Technologies Inc. Systems useful for beverage making machines
US7279188B2 (en) * 2003-12-01 2007-10-09 Nestec S.A. Capsule with foam conditioning feature
US8181825B2 (en) * 2005-02-08 2012-05-22 Nestec S.A. Hygienic beverage mixing and whipping assembly
US7415996B2 (en) * 2006-05-24 2008-08-26 Kimberly Favreau Inverted container hol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983A (ko) * 2017-06-01 2018-12-11 알리 그룹 에스.알.엘. - 카르피지아니 아이스크림 제품의 제조 및/또는 분배를 위한 기계의 기본 제품/첨가제 제품의 공급 유닛 및 상기 유닛을 포함하는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08001938A1 (es) 2010-02-05
EP2162038B1 (en) 2016-02-10
BRPI0812927A2 (pt) 2014-12-09
JP2010532675A (ja) 2010-10-14
CA2707391C (en) 2016-06-07
US20100175561A1 (en) 2010-07-15
EP2008554A1 (en) 2008-12-31
UA99832C2 (ru) 2012-10-10
NZ581597A (en) 2012-11-30
CO6251220A2 (es) 2011-02-21
JP5134329B2 (ja) 2013-01-30
TW200911187A (en) 2009-03-16
MY153416A (en) 2015-02-13
WO2009000836A2 (en) 2008-12-31
JP2009006114A (ja) 2009-01-15
AU2008267220B2 (en) 2015-07-30
CA2707391A1 (en) 2008-12-31
WO2009000836A3 (en) 2009-05-14
ZA201000638B (en) 2011-04-28
CN101686774A (zh) 2010-03-31
CN101686774B (zh) 2012-05-02
EP2162038A2 (en) 2010-03-17
US9107537B2 (en) 2015-08-18
MX2009013776A (es) 2010-04-01
AU2008267220A1 (en) 2008-12-31
KR101249124B1 (ko) 2013-03-29
HK1141958A1 (zh) 2010-11-26
RU2484752C2 (ru) 2013-06-20
RU2010102705A (ru) 2011-08-10
TWI457101B (zh) 2014-10-21
AR067375A1 (es) 2009-10-07
EP2008554A9 (en)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124B1 (ko) 음료 제조용 기계에 적용할 수 있는 리필 가능한 다회용 컨테이너
KR101245907B1 (ko) 벌크 재료를 보관 및 언로딩하기 위한 컨테이너
US8443848B2 (en) Port system for fastening a container to a conn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