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940A -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940A
KR20100023940A KR1020100012928A KR20100012928A KR20100023940A KR 20100023940 A KR20100023940 A KR 20100023940A KR 1020100012928 A KR1020100012928 A KR 1020100012928A KR 20100012928 A KR20100012928 A KR 20100012928A KR 20100023940 A KR20100023940 A KR 20100023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er
pillar
implant
protrusion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훈
엄태관
조용석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3940A/ko
Publication of KR2010002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동 시술시 상악동 내부의 점막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빠르고 안전하게 거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플란트 시술시 사용되는 스프레더로서, 구동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며 점막의 분리 및 거상을 위한 거상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거상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SPREADER FOR IMPLANT SURGERY}
본 발명은 환자의 상실된 치아를 회복하는데 사용되는 임플란트 시술시 사용하는 스프레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악동 시술시 상악동 내부의 점막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빠르고 안전하게 거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악동의 임플란트 시술 방법은 측면 접근법(Lateral Approach)과 크레스탈 접근법(Crestal Approach)의 2종류가 있으며, 상악동 시술에 있어서 상악동 막(Membrane)을 거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멤브레인 세퍼레이터, 큐렛 등을 시술기구를 이용하여 직접 분리하는 방식과, 본(Bone), 식염수, 방사성 조영제 등을 매개체로 활용하는 간접 분리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악동 막 거상 방법들 중에서, 멤브레인 세퍼레이터, 큐렛 등을 이용한 직접 분리 방식에 사용되는 시술 기구는, 끝 부분 팁의 모양과 크기가 상악동 2가지 시술 방법 중 하나인 측면 접근법(Lateral Approach)에 보다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간접 분리 방법은 골(Bone), 식염수, 방사성 조영제 등을 이용하지만 상악동 내에서 수평 즉, 측 방향으로 상악동 막을 분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상악동 막은 아주 얇고 탄성이 적어 외부의 시술 기구가 직접 접촉되는 경우나 막을 과도하게 거상시킬 경우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기둥의 말단에 일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를 제공함으로써, 상악동 막을 수직으로 거상시킬 수 있으며, 골 또는 방사선 조영제 등과 같이 점도가 있는 매개체를 이용하거나 직접 회전에 의해 보다 넓은 수평방향 거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임플란트 시술시 사용되는 스프레더로서, 구동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며 점막의 분리 및 거상을 위한 거상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거상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가 제공된다.
상기 기둥부는 상기 몸체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선 상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기둥부의 말단 표면과 동일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둥부의 직경과 동일한 치수의 두께를 갖는 기단 부분을 가지며, 선단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의 말단과 상기 돌출부의 모서리 부분은 모두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은 상기 기둥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거상부 사이의 몸체 외주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기단에서 더욱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멈춤부가 형성되어, 상기 거상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은, 그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어 형성되거나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가능한 기둥의 말단에 일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에 의하면, 상악동 막을 빠르고 안전하게 수직으로 거상시킬 수 있으며, 골 또는 방사선 조영제 등과 같이 점도가 있는 매개체를 이용하거나 직접 회전에 의해 보다 넓은 수평방향 거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에 의하면, 과도한 진입으로 인한 상악동 막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서 시술자에게는 시술 편의성 및 안전성과 시술 시간 단축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의 평면도,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프레더(spreader)는, 저속과 고속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핸드용 드라이버에 체결하면 손의 감각을 인지하면서 상악동막을 분리 및 거상시킬 수 있고 덴탈용 시술 엔진에 체결하면 저속과 고속 모드, 즉 모든 속도 모드에서 사용이 가능한 시술기구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는, 상술한 핸드용 드라이버나 덴탈용 시술 엔진 등의 구동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대략 원통형의 몸체(10)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0)와, 이 몸체(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점막의 분리 및 거상을 위한 거상부(30)를 포함한다.
드릴에 의해 상악동 골 등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내부로 삽입되는 거상부(30)는, 몸체(10)로부터 연장된 기둥부(31)와, 이 기둥부(31)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2)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대략 깃발 형태를 이룬다.
기둥부(31)는 몸체(10)와 대략 동일한 회전 중심축선 상에 형성되며, 돌출부(32)는 기둥부(31)의 말단면(31a)과 대략 동일평면을 이루어 돌출부(32)가 기둥부(31)의 측방향으로만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2)는, 그 기단 부분이 기둥부(31)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치수의 두께를 가지지만, 선단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둥부(31)의 말단과 돌출부(32)의 모서리 부분은 모두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32)의 선단면(32a)은 기둥부(31)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돌출부(32)의 선단면(32a)은, 그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2)의 선단면(32a)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도 좋다.
연결부(20)와 거상부(30) 사이의 몸체 외주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11)와 이 단턱부(11)의 기단에서 더욱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멈춤부(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단턱부(11) 및 멈춤부(12)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4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단턱부(11)는 스토퍼 부재(40)를 끼워맞추기 위한 치수를 가질 수 있고 멈춤부(12)는 스토퍼 부재(40)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스토퍼 부재(40)로 인하여 스프레더의 삽입 깊이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시술자의 시술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프레더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더는 상악동 임플란트 식립 시술법 중 하나인 크레스탈 접근법에 있어서 점막(M) 예컨대 상악동 막을 수직으로 거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프레더를 골(bone), 식염수 또는 방사선 조영제와 같은 점도가 있는 매개체(1)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점막(M)의 보다 넓은 수평방향 거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토퍼 부재(40)를 단턱부(11)에 끼운 상태로 시술을 행할 경우, 거상부(30)의 과도한 삽입이 방지될 수 있어 더욱 안전한 시술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4에는, 별도의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더의 거상부(30), 특히 기둥부(31)의 말단과 돌출부(32)가 직접 점막(M)과 접촉하면서 이 점막을 거상시키는 시술 방법이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더는 기둥부(31)의 말단에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2)가 예컨대 상악동의 골(B)에 형성된 구멍(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레더를 이 구멍(2)의 측벽을 따라 움직이게 되면 더욱 넓은 면적의 분리 거상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매개체, 2 : 구멍, 10 : 몸체, 11 : 단턱부, 12 : 멈춤부, 20 : 연결부, 30 : 거상부, 31 : 기둥부, 31a : 말단면, 32 : 돌출부, 32a : 선단면, 40 : 스토퍼 부재, B : 골, M : 점막

Claims (7)

  1. 임플란트 시술시 사용되는 스프레더로서,
    구동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며 점막의 분리 및 거상을 위한 거상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거상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몸체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선 상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기둥부의 말단 표면과 동일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둥부의 직경과 동일한 치수의 두께를 갖는 기단 부분을 가지며, 선단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말단과 상기 돌출부의 모서리 부분은 모두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은 상기 기둥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거상부 사이의 몸체 외주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기단에서 더욱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멈춤부가 형성되어, 상기 거상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선단면은, 그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어 형성되거나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KR1020100012928A 2010-02-11 2010-02-11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KR20100023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28A KR20100023940A (ko) 2010-02-11 2010-02-11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28A KR20100023940A (ko) 2010-02-11 2010-02-11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940A true KR20100023940A (ko) 2010-03-04

Family

ID=4217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928A KR20100023940A (ko) 2010-02-11 2010-02-11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39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1138T3 (es) Aparato para la administración supracoroidea de agente terapéutico
JP5620520B2 (ja) インプラント手術用ドリル
KR101128730B1 (ko) 치과용 드릴
ES2784330T3 (es) Herramienta de terapéutica ocular
AU2007248163B2 (en) Multi-purpose phacoemulsification needle
US10413689B2 (en) Endoscopic and transesophageal oropharyngeal airway
US9198743B2 (en) Unitary alveolar bone chisel and spreader osteotome for a dental implant
JP2008307384A (ja) カニューレ
JP2010533539A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AU2007248297A1 (en) Multi-purpose phacoemulsification needle
KR101610341B1 (ko)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US9693893B2 (en) Intravitreal injection device and method
WO2006121028A1 (ja) 透明な脳穿刺用套管針
US20130171585A1 (en) Apparatus for lifting maxillary sinus
JP4383473B2 (ja) 内視鏡用栓体
KR20100023940A (ko) 임플란트 시술용 스프레더
US7972348B1 (en) Single use scleral marker
DK1464311T3 (da) Phacoemulsifikationkanyle
JP4009586B2 (ja) 内視鏡用処置具栓
JP5815079B1 (ja) 医療用ドリル
KR101741071B1 (ko) 치근용 탈구기구
KR101211361B1 (ko) 치과용 사이드 월 드릴
ES1287694U (es) Fresa destinada a facilitar el acceso al seno maxilar
JP6708605B2 (ja) インプラント窩チェック用器具
KR102336539B1 (ko) 의료용 석션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