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170A - Jumping bicycle - Google Patents

Jumping bicy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170A
KR20100023170A KR1020080081797A KR20080081797A KR20100023170A KR 20100023170 A KR20100023170 A KR 20100023170A KR 1020080081797 A KR1020080081797 A KR 1020080081797A KR 20080081797 A KR20080081797 A KR 20080081797A KR 20100023170 A KR20100023170 A KR 20100023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jumping
front frame
steering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7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05278B1 (en
Inventor
한진욱
강희택
임선우
Original Assignee
(주)로봇과학클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봇과학클럽 filed Critical (주)로봇과학클럽
Priority to KR1020080081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278B1/en
Publication of KR2010002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8Steering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PURPOSE: A three-wheeled jumping bicycle is provided to pump using the elastic force by mounting an elastic unit which is made of a coil spring or a shock absorber on a rear frame. CONSTITUTION: A three-wheeled jumping bicycle comprises a front frame, a handle shaft(21), a steering frame(23) and a hub(24). The front frame comprises a saddle(11) and a head pipe(12) in order to form a body. The handle shaft comprises a steering wheel(20) installed at the head pipe of the front frame. A steering part(22) and a steering frame extend in the inner side. The hub is fixed on the steering frame and forms a shaft body. A bearing(42) of the rear frame and a coil spring(43) are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Description

삼륜 점핑 자전거{Jumping bicycle}Jumping bicycle

본 발명은 삼륜 점핑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 프레임에 전륜, 후륜이 힌지되는 전륜프레임과 후륜프레임을 축설치하여 탄발스프링 또는 쇽업쇼바의 탄성으로 사용자가 체중을 이용해 하중을 가함으로써 탄성에 의한 신축으로 자전거가 점핑과 상하강 도약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재미와 운동을 겸할 수 있는 삼륜 점핑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wheeled jumping bicycle, and 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the front wheel frame and rear wheel frame hinged to the main frame, the rear wheel frame to the main body frame by applying the load by the user using the weight of the elastic spring or shock absorber The elastic expansion and contraction allows the bicycle to achieve jumping and up and down leap to provide a three-wheeled jumping bike that can combine fun and exercise.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전거(自轉車 / bicycle)는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2륜차(수레)를 말하고 사람의 발로 페달을 밟아 구동스프라켓과, 체인, 종동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통해 전륜 또는 후륜에 전달하여 전진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최근에는 속도증대와 적은 힘으로 많은 거리를 전진 할 수 있게 변속비(變速比)를 바꾸어서 속도를 가속할 수 있다.As is well known, a bicycle is a two-wheeled vehicle (wheelbarrow) that is driven by rotating a wheel by a person's force, and pedals with a person's foot to drive a front wheel or a wheel through a driving means composed of a chain and a driven sprocket. It is configured to move forward by transmitting to the rear wheel, and in recent years, it is possible to accelerate the speed by changing the speed ratio so as to advance a large distance with speed increase and a small force.

이러한 자전거는 근거리 교통수단의 목적을 이루거나 운동효과 및 레저활동 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se bicycles are frequently used for the purpose of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exercise effects and leisure activities.

선행 기술의 국내 선출원 등록 실용 제20-318647호에서는, 전륜이 연결되고 안장이 설치되는 프론트프레임과, 후륜이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과 연결힌지부를 통해 결합되는 리어프레임과,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리어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쇽업쇼바를 구비하여 비포장도로나 요철이 형성된 도로를 주행할 때에 프레임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도록 하는 자전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Korean Patent Application Utility No. 20-318647 of the prior art, the front frame is connected to the front wheels and the saddle is installed, the rear frame is installed, the rear frame is coupled through the hinge portion, and the front frame is one side Bicycles that are fasten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ar frame and having a shock absorber for cushioning action are developed and used to mitigat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rame when driving on a dirt road or a road having irregularities.

상기한 종래 발명은, 단순히 고르지 못한 도로나 지면상태에 의해 프레임부에 전해져오는 충격완화의 문제점만을 해결하였을 뿐, 운동효과 및 레저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에게는 그 어떠한 효과도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invention merely solves the problem of shock mitigation transmitted to the frame part by the uneven road or ground condition, and no effect can be expected for the user for the purpose of exercise effect and leisure activity.

상술한 운동 및 레저를 즐기기 위한 사용자들은 종래의 자전거를 이용하여 여행의 목적을 위한 하이킹, 속도감을 체험할 수 있는 레이싱 경기 또는 특수한 조형물 위에서나 가능한 고난이도를 요구하는 경기만을 통해 레저활동 및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Users who enjoy the above-mentioned sports and leisure can experience leisure activities and exercise effects only by hiking for the purpose of travel using a conventional bicycle, racing games that can experience a sense of speed, or competitions that require high difficulty as possible on special sculptures. There is no choice but to expect.

또한, 하이킹이나 레이싱 경기는 주거환경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나 넓은 공간이 마련된 장소에서만이 가능하며, 특수한 조형물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경기이 며 또한 그에 따른 장비, 소요비용 등에 의해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일반인들에게는 그 환경과 조건이 갖춰지지 못하여 극히 소수의 한정된 마니아들만이 가능한 레저 문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hiking or racing competitions can be performed only in places far from residential environments or in large spaces, which can be performed through special sculptures, and can only be limited by equipment and expenses. Due to the lack of environment and conditions, only a limited number of enthusiasts make up a leisure culture.

이와 달리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바 있는 제10-2007-0036986호 점핑 자전거는 이동방향을 조향하는 조향부와, 몸체를 이루는 프론트프레임 및 리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방 하단에 결합되어 주행을 위한 전륜 및 후륜과, 상기 프레임부 및 후륜에 결합되어 후륜을 회전시키는 페달과 구동스프라켓 그리고 크랭크축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통상의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일측에 동일 축상에 일체로 결합되고, 그 지름보다 다소 작은 지름으로 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어 구동기어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래칫구동부와; 그리고, 상기 조향부 하단의 앞포크와, 프론트프레임의 후방 일측과 리어프레임의 상단으로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완충 및 점핑도약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쇽업쇼바를 더 마련하여 구성되는 점핑 자전거를 개시한바 있고 이러한 점핑 자전거는 사용자가 체중을 이용한 가압으로 쇽업쇼바 또는 탄발스프링에 의한 탄성으로 점핑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스포츠, 운동 및 놀이에서 매우 효과적인 자전거를 제공하였다.On the contrary, the jumping bicycle No. 10-2007-0036986, which has been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a steering part for steering the moving direction, a frame part consisting of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constituting a body, and a front and rear lower ends of the frame part. In the normal bicycle compris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coupled to the driving, and a drive means consisting of a pedal and a drive sprocket and a crankshaft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to rotate the rear wheel, the same axis on one side of the drive sprocket A drive gear integrally coupled to and having a diameter somewhat smaller than its diameter; A ratchet driving part of the driving means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to continuously rotate the driving gear; In addition, the front fork of the steering unit, the rear end of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jump bike configured to further provide a plurality of shock absorbers that enable buffering and jumping jump bar This jumping bike provides a very effective bicycle in sports, exercise and play by allowing the user to jump by elasticity by shock absorbers or ball springs by pressing the weight.

이러한 선행기술은 후륜측과 전륜측이 서로다른 탄성으로 구성됨으로써 점핑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와 함께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의 어려움 등이 있다.This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rear wheel side and the front wheel side is composed of different elasticity and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with the problem that the jumping is not made more effectively, and the manufacturing difficulties.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선행기술과 함께 더욱 진보된 제10-2008-067596호의 점핑 자전거를 제안한바 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lso proposed a more advanced jumping bike of No. 10-2008-067596 with the prior art.

이러한 개선된 발명은 종래 자전거와는 달리, 점핑을 통한 운동, 레저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와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인 운동량을 보충하고 재미의 극대화로 운동시간의 연장으로 많은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 및 하나의 자전거로 하이킹과 함께 점핑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구입비용이 저렴한 특징이 발휘되도록 한 바 있다.This improved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bicycle, the effect of the exercise through the jumping, leisure activities and the effect of supplementing the effective amount of exercise even in a narrow space and maximizing the fun to exercise a lot of exercise by extending the exercise time and one Hiking with a bicycle, you can enjoy jumping together, and the low cost of the feature is shown.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선행 점핑 자전거를 더욱 새롭게 개선하는 한편, 어린이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삼륜 자전거에 점핑 및 도약을 이루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further improve the inventor's prior jumping bike while also jumping and jumping on the tricycle for use with children.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를 이루는 프론트프레임과 이 프론트프레임에 구성되는 허브에 한 쌍의 후륜을 구비하는 리어프레임을 힌지구비하고, 리어프레임은 프론트프레임과 코일스프링 또는 쇽업쇼바로 구성된 탄성수단을 부여시켜 신축력에 의한 점핑 및 도약할 수 있도록 함과,The present invention hinges the front frame constituting the body and the rear frame having a pair of rear wheels to the hub formed in the front frame, the rear frame is provided by the elastic means consisting of the front frame and the coil spring or shock absorber Elastic jumping and jumping,

헤드파이프에 연결되는 조향프레임과 전륜은 앞포크와 토션스프링, 코일스프링의 탄성수단의 탄성으로 점핑과 도약을 하도록 함으로서 삼륜 자전거에 의한 안전성과 어린이들이 점핑, 도약으로 재미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teering frame and the front wheel connected to the headpipe are to be jumped and jumped by the elasticity of the front fork, the torsion spring and the coil spring so that the safety of the tricycle and children can meet the fun by jumping and jumping.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바람직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preferred configur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자전거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4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도 1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자전거 전체 사시도와 도 2의 측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장(11)과 헤드파이프(12)를 구비하여 몸체를 이루는 프론트프레임(10),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 having a saddle 11 and a head pipe 12 as shown in the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 and a side view of FIG.

상기 프론트프레임(10) 선단측 헤드파이프(12)에 공지와 같이 핸들(20)이 구성된 핸들축(21)이 관통되어 조향부(22)와 내측으로 연장된 일체의 조향프레임(23)이 전방향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teering shaft 22 and the integral steering frame 23 extending inwardly pass through the handle shaft 21 having the handle 20 through the front head 10. Direction.

그리고 상기 조향프레임(23)에 고정되어 축부를 이루는 허브(24)를 고정함과 함께 허브(24)에 축설치된 체결볼트(25)에 전륜(30)이 힌지된 앞포크(31)가 체결된다.In addition, the front fork 31 having the front wheel 30 hinged to the fastening bolt 25 installed on the hub 24 is fixed while fixing the hub 24 constituting the shaft by being fixed to the steering frame 23. .

허브(24)에는 토션스프링(33)이 체결되며 토션스프링(33)의 일단은 상기 조향프레임(23)과 타단은 앞포크(31)에 고정된 토션스프링고정링(34)에 끼워져 지지된다.The torsion spring 33 is fastened to the hub 24, and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33 is fitted to the torsion spring fixing ring 34 fixed to the steering frame 23 and the other end to the front fork 31.

상기 토션스프링(33)의 양 단부는 토션스프링고정링(34)에 단순 유착시켜 유동가능하도록 하거나 어느 하나를 용접, 체결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33 may be simply adhered to the torsion spring fixing ring 34 to be flowable or may be fixed by welding, fastening, or the like.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페달(35)을 밟아 전륜(30)을 구동하여 전,후진할 수 있음과 핸들(20)을 조절하여 핸들축(21)을 연동하므로 조향부(22)와 조향프레임(23)이 앞포크(31)의 방향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앞포크(31)에 의한 전륜(30)은 진행방향을 선택하도록 방향을 회전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wheel 22 and the steering frame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being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driving the front wheel 30 by stepping on the pedal 35 and by adjusting the handle 20. 23 rotates the direction of the front fork 31, and the front wheel 30 by the front fork 31 rotates to select the traveling direction.

그리고 안장(11)에 안착한 사용자가 체중을 이용하여 몸체와 함께 핸들(20)을 가압하거나 들어올린 후 다시 가압함으로써 이러한 하중에 의한 압력이 조향부(22)으로 전달되어 압력을 가하고 허브(24)를 기점으로 토션스프링(33)이 압축되면서 자전거의 상부측이 하강되고 그 하점에 도달로서 탄발되는 토션스프링(33)이 자전거를 상승시켜 점핑, 도약을 이루게 되며 이때 후술하는 후륜과 함께 자전거의 앞과 뒤를 함께 또는 각각 할 수 있다.Then, the user seated on the saddle 11 presses or lifts the handle 20 together with the body using the weight, and then presses it again, so that the pressure caused by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steering unit 22 to apply the pressure to the hub 24. As the torsion spring 33 is compressed as a starting point, the upper side of the bicycle is lowered and the torsion spring 33, which is elastically reaching the lower point, raises the bicycle to achieve jumping and leaping. You can do with and after or together.

이와 함께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의 하부측에 체결볼트(25)를 구비한 허브(24)를 구성시켜 한 쌍 또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리어프레임(40)을 회전가능하게 힌지 체결한다.In addition, the hub 24 having the fastening bolt 25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10 to hingeably fasten the rear frame 40 provided in a pair or “∧” shape.

그리고 리어프레임(40)의 끝단측에는 뒤판부재(41)와 고정하고 이 뒤판부 재(41)에 미 도시된 후륜축으로 후륜(50)을 힌지 구성시켜 리어프레임(40)이 허브(24)를 기점으로 프론트프레임(10)에서 자유롭게 승하강 운동하게 된다.The rear frame 40 is fixed to the rear plate member 41 at the end side of the rear frame 40, and the rear frame 50 is hinged by the rear wheel shaft, which is not shown in the rear plate member 41. As a starting point, the front frame 10 freely moves up and down.

이와 함께 프론트프레임(10) 하부면과 리어프레임(40)에는 일정 위치에 구성된 각각의 축받이(42)을 구성하고 이 축받이(42)에 힌지되는 코일스프링(43)을 체결하여 탄성을 발휘토록 한다.In addition, each bearing 4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rear frame 40 of the front frame 10, and the coil spring 43 hinged to the bearing 42 is engaged to exert elasticity. .

또한 상기 프론트프레임(10) 하부의 허브(24)에 미도시한 토션스프링(33)을 전술한 전륜부와 같이 더 체결시켜 신축력을 증대하거나 상기 토션스프링(33)과 코일스프링(4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함께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urther tightening the torsion spring 33 (not shown) to the hub 24 under the front frame 10 as in the above-described front wheel portion, the elastic force is increased or any one of the torsion spring 33 and the coil spring 42 is increased. One or both can be configured together.

토션스프링(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고정링(34)을 프론트프레임(10)과 리어프레임(40)에 고정하여 토션스프링(33)을 유착하거나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체결구성 할 수 있다.The torsion spring 33 may secure the torsion spring fixing ring 34 to the front frame 10 and the rear frame 40 as described above to bond the torsion spring 33 to each other, or may be configured to be welded or bolted. .

따라서 안장(11)에 앉은 사용자가 안장(11)과 프론트프레임(10)에 압력을 가할 때 상기 허브(24)를 기점으로 프론트프레임(10)이 하강하고 하강하는 일정지점에서 스프링의 탄성으로 상승하면서 점핑, 도약을 이루게 되고 또는 리어프레임(40)이 함께 승하는 점핑을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sitting on the saddle 11 pressurizes the saddle 11 and the front frame 10, the front frame 10 descends and descends from the predetermined point where the front frame 10 descends and descends from the hub 24. While jumping, jumps are made or the rear frame 40 can jump together.

상기한 코일스프링(43)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량은 스프링의 탄성과 미관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구성됨은 당연하다.The coil spring 43 may be composed of one or two, as shown in Figure 4 and the quantity is naturally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ity and aesthetics of the spring.

또한 일자형상으로 구성되는 코일스프링(43)은 본 발명에서 탄성을 발휘함을 목적으로 함으로써 이와 유사한 탄성을 발휘하는 일 예로 쇽업쇼바와 같은 유사 구성물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이러한 스프링 및 쇽업쇼바 등의 탄성수단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il spring 43 having a straight shape is intended to exhibit elasticit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exhibiting similar elasticity, it is natural that similar components such as shock absorbers can be used, such springs and shock absorbers, etc. It consists of elastic means.

그리고 리어프레임(40)에 코일스프링(43)을 체결하기 위한 축받이(42)는 각각의 리어프레임(40)에 체결하여 각각의 리어프레임(40)이 서로 분리되어 연동시키거나 또는 한 쌍의 리어프레임(40)을 고정하는 받침부재(44)에 체결하여 일체적인 연동을 구성할 수 있다.The bearing 42 for fastening the coil spring 43 to the rear frame 40 is fastened to each rear frame 40 so that each rear frame 40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terlocked or a pair of rear. Integral to the support member 44 for fixing the frame 40 can be configured integrally.

상기 리어프레임(40)이 분리되어 연동되는 실시 예에서는 뒤판부재(41)이 생략되어 후륜(50)이 각각의 리어프레임(40)에 축 설치됨은 당연하다.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rear frame 40 is separated and interlocke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rear plate member 41 is omitted so that the rear wheels 50 are axially installed on the respective rear frames 40.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도 3의 본 발명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술한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장(11)과 헤드파이프(12)를 구비하여 몸체를 이루는 프론트프레임(10)과 이 프론트프레임(10) 선단측 헤드파이프(12)에 공지와 같이 핸들(20)이 구성된 핸들축(21)이 관통되어 조향부(22)와 내측으로 연장된 일체의 조향프레임(23)이 후방향으로 구성하여 허브(24)와 함께 전륜(30)이 힌지된 앞포크(31)를 체결하고 허브(24)에는 토션스프링(33)이 체결되어 조향프레임(23)이 후측으로 위치되도록 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addle 11 and a head pipe 12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The front shaft 10 constituting the body and the head shaft 12 of the front frame 10 penetrates the steering shaft 22 inwardly through the handle shaft 21 having the handle 20 as is known. An integral steering frame 23 is configured in the rear direction to fasten the front fork 31 having the front wheels 30 hinged together with the hub 24, and the torsion spring 33 is fastened to the hub 24 so that the steering frame ( 23) is located rearward.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는 도 4의 본 발명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전술한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장(11)과 헤드파이프(12)를 구비하여 몸체를 이루는 프론트프레임(10)과 이 프론트프레임(10) 선단측 헤드파이프(12)에 공지와 같이 핸들(20)이 구성된 핸들축(21)이 관통되어 공지와 같이 전륜(30)을 힌지한 앞포크(31)를 구성하되, 앞포크(31)에는 탄성이 발휘되도록 공지와 같이 코일스프링(43)을 구성시켜 앞포크(31)에서 탄발이 발휘되도록 한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4 and a front frame including a saddle 11 and a head pipe 12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10) and the front fork (31) hinged to the front wheel (30) through a handle shaft (21) consisting of a handle (20), as known, through the front (10) front end head pipe (12). To configure, but the front fork (31) to the elasticity is exerted to configure the coil spring 43 as known so that the bullet in the front fork (31) to be exerted.

상기 앞포크(31)에 코일스프링(43)을 구성하여 신축을 발휘하는 구성은 공지의 2륜 자전거에서 공지된 기술로서 특히 본 발명자의 선행기술 공개특허 10-2007-0036986호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il spring 43 to the front fork (31) to exert the configuration is known in the known two-wheeled bicycle, in particular, because it is known in the prior art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36986 Detailed configuration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는 도 5의 본 발명 제4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같이 전륜(30)을 힌지 구성하는 앞포크(31)를 연동시키는 핸들축(21)이 끼워지는 헤드파이프(12)와 일체로 후륜(50)을 구성하는 리어프레임(40)을 일체로 구성하고 이 리어프레임(40) 선단부 상단으로 허브(24)와 체결볼트(25)를 구성하여 안장(11)을 구 비한 프론트프레임(10)을 힌지 구성하여 프론트프레임(10)이 허브(24)를 기점으로 승하강되게 구성함과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d pipe fitted with a handle shaft 21 for interlocking the front fork 31 constituting the front wheel 30 hinged, a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2) integrally constitutes the rear frame 40 constituting the rear wheel 50 integrally, and forms the hub 24 and the fastening bolt 25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frame 40 to form the saddle 11. Compared to the front frame 10 is configured by the hinge to the front frame 10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the hub 24

상기 프론트프레임(10)하부의 축받이(42)와 리어프레임(40)의 축받이(42)에 코일스프링(43)을 구성하여 프론트프레임(10)이 허브(24)를 기점으로 하고 코일스프링(43)의 신축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coil spring 43 is formed on the bearing 42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10 and the bearing 42 of the rear frame 40 so that the front frame 10 has the hub 24 as a starting point, and the coil spring 43 It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이상과 같은 제2, 3, 4 실시 예로 설명된 구성은 제1실시 예의 변형 부분의 구성에 관한 실시 예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제1실시 예의 구성을 같이 하고 있다.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that is no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regar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dified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일반적인 구성은 공지된 자전거를 원용하므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점핑 수단은 본 발명의 중요 구성요소이다.In addition, since the general configuration uses a known bicyc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but a jumping means meet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점핑 자전거는 어린이들의 유희구로서 또는 근거리 이동수단과 함께 운동수단으로만 사용되던 종래 자전거와 달리, 점핑, 도약을 더 부가함으로써 자전거의 승차에 대한 즐거움을 증대하고 점핑, 도약을 통한 운동, 레저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와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인 운동량을 보충하고 재미를 극대화시켜 운동시간의 연장으로 많은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은 것이다. Jumping bicy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bicycles that were used only as a means of exercise or as a means of play with children or near-field means of movement, by adding more jumping, jumps to increase the enjoyment of riding of the bicycle and exercise by jumping, jumping,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and even in a small space can be effective to supplement the amount of exercise and maximize the fun to exercise a lot of exercise by extending the exercise time.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종래의 삼륜 자전거를 원용하고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삼륜에 따른 안전성과 특히 어린이들의 점핑, 도약에 의한 레저와 함께 운동을 극대화시켜 체격 증강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nventional three-wheeled bicycle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contribute to the buildup by maximizing the exercise along with the safety of the three-wheel and especially leisure by jumping, jumping.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Specific embodim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공지 자전거와 같이 안장(11)에 앉아 핸들(20)을 잡은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페달(35)을 밟아 페달(35)의 구동으로 전륜(30)을 회전하면 자전거는 전진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ser may step on the pedal 35 by using the foot while driving the pedal 35 while holding the handle 20 by sitting on the saddle 11 as in a known bicycle. When the front wheel 30 is rotated, the bicycle moves forward.

그리고 방향을 전환할 때에는 공지와 같이 핸들(20) 방향을 조절하여 진행방향을 선택함으로써 핸들축(21)이 회전되고 이 핸들축(21)에 연결된 조향부(22)와 조향프레임(23) 그리고 조향프레임(23)과 허브(24)로 연결된 앞포크(31)가 이동하여 전륜(30)을 이동방향으로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the steering wheel shaft 21 is rotated and the steering unit 22 and the steering frame 23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shaft 21 are rotated by selecting the traveling direction by adjusting the steering wheel 20 direction as known. The front fork 31 connected to the steering frame 23 and the hub 24 is moved to rotate the front wheels 30 in the moving direction to switch directions.

이러한 진행으로 본 발명의 어린이들은 삼륜 자전거를 공지와 같이 이용할 수 있고 이와 함께 더욱 즐거운 놀이를 겸하고자 할 때 도약, 점핑과 같은 놀이를 즐길수 있으며 이때에는 사용자가 팔과 상체를 이용한 하중으로 핸들(20)을 가압시 켜 하부로 밀어 가압중량에 의해 핸들(20)과 조향프레임(23)에 압력을 가중하면 이들이 하강되면서 이때 조향프레임(23)과 앞포크(30)의 힌지부 허브(24)측이 절곡되면서 토션스프링(33)이 압축된다.In this process, the childr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tricycle as well as known and enjoy the play, such as jumping, jumping when you want to play more fun with this, and the user can load the handle (20) Press and press down to apply pressure to the handle 20 and the steering frame 23 by the pressurized weight, and when they are lowered, the hinge hub 24 side of the steering frame 23 and the front fork 30 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33 is compressed while being bent.

그리고 상기 순간적으로 압력을 제거하고 또한 사용자도 함께 점프를 하면 토션스프링(33)의 탄발력으로 핸들(20)부가 상부로 점핑하게 되고 또한 전륜(30)도 함께 상승하여 자전거의 앞 부분이 지면에서 상승되는 점핑을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ressure is removed and the user also jumps together, the handle 20 is jump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33, and the front wheel 30 is also raised together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bicycle is lifted from the ground. You will be able to jump.

이러한 점핑, 도약은 계단을 오르거나 또는 자전거의 앞 부분만을 점핑하는 경우이고 이와 동시에 안장(11) 즉, 상체부에서도 함께 압력을 가하게 되면 안장(11)과 프론트프레임(10)에 압력을 받아 프론트프레임(10) 선단측 허브(25)로 힌지된 리어프레임(40)과 함께 절곡되어지면서 프론트프레임(10)은 하부측에 구성된 코일스프링(43)을 압축시켜 하강된다.Such jumping and jumping is a case of climbing the stairs or jumping only the front part of the bicycle,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saddle 11, that is, the upper body part is pressed together, the saddle 11 and the front frame 10 are pressed to the front. The frame 10 is bent together with the rear frame 40 hinged by the front end hub 25 and the front frame 10 is lowered by compressing the coil spring 43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그리고 일정한 거리로 압축된 후 코일스프링(43)의 반발력으로 코일스프링(43)이 탄발되면서 프론트프레임(10)을 급상승시켜 안장(11)과 함께 점핑된다.Then, after compressing to a certain distance, the coil spring 43 is spun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coil spring 43, the front frame 10 is soared and jumped together with the saddle (11).

이때 사용자도 함께 점핑, 도약하는 경우 더 높은 점핑을 이룰 수 있고 압력이 적은 경우는 코일스프링(43)의 탄성과 중량에 의해 상하를 왕복하는 출렁이는 현상을 연출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jumps and jumps together, a higher jumping can be achieved, and when the pressure is small, the user can produce a phenomenon of reciprocating up and down by elasticity and weight of the coil spring 43.

이와 같이 점핑, 도약에 따른 재미와 함께 스프링의 탄성이 반복되면서 발생되는 출렁이는 현상으로 사용자는 마치 승마하는 기분을 느낌으로서 재미를 더욱 증대하게 되고 또한 출렁이는 작용은 승마에서 발휘되는 상체부 특히 신체의 소화기간 및 상태 근육에서의 스트레스 해소를 극대화시켜 건강에도 크게 기여될 수 있다.As such, the swinging phenomenon generated by the repetition of the spring's elasticity along with the fun of jumping and leaping increases the fun by feeling as if the user is riding a horse. In particular, by maximizing the digestion of the body and the stress relief in the state muscles can greatly contribute to health.

이러한 과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여 껑충껑충 뛰는 상태의 이동 및 제자리에서의 점핑, 도약을 할 수 있어 더욱 흥겨운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놀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기술을 연마하여 상기에서 도시하지 않은 여러 형태의 놀이를 즐길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process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so that you can jump and jump in place, jump, and jump to enjoy more exciting games. Of course you can enjoy it.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전술한 제1실시 예에서와 같이 안장(11)에 앉아 핸들(20)을 잡은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페달(35)을 밟아 전륜(30)을 회전하면 자전거는 전진하게 되고 방향을 전환할 때에는 공지와 같이 핸들(20) 방향을 조절하여 진행방향을 선택함으로써 방향회전과,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wheel 30 is rotated by stepping on the pedal 35 using the foot while sitting on the saddle 11 and holding the handle 20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icycle is When advancing and changing the direction, the direction of rotation and rotation by selecting the direction of travel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handle 20, as known

사용자가 팔과 상체를 이용한 하중으로 핸들(20)을 가압시켜 하부로 밀어 가압중량에 의해 조향프레임(23)과 앞포크(30)의 힌지부 허브(24)측이 절곡되면서 토션스프링(33)이 압축되고 이와 동시에 안장(11) 즉 상체부에서도 함께 압력을 가하 게 되면 안장(11)과 프론트프레임(10)에 압력을 받은 코일스프링(43)을 압축시켜 하강된다.The user presses the handle 20 by the load using the arm and the upper body and pushes the handle 20 downward, and the torsion spring 33 is bent by the hinge hub 24 side of the steering frame 23 and the front fork 30 by the pressure. Compressed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saddle 11, that is, when the pressure is also applied to the upper body portion is pressed down by compressing the coil spring 43 received the pressure on the saddle 11 and the front frame 10.

그리고 일정한 거리로 압축된 후 코일스프링(43)의 반발력으로 코일스프링(43)이 탄발되면서 프론트프레임(10)을 급상승시켜 안장(11)과 함께 점핑되는 것이다.And after the compression to a certain distance and the coil spring 43 is repulsed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coil spring 43, the front frame 10 is soared to jump with the saddle (11).

이러한 제2실시 예는 제1실시 예의 구성을 같이하나 조향프레임(23)의 방향을 전후로 변경한 실시 예에 있다.This second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the same, but the direction of the steering frame 23 is changed back and forth.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는 상기 제1, 2 실시 예와 같은 작용을 하는 구성이고 다만 앞포크(31)에 코일스프링(43)으로 대처함으로 구성상 차이가 있으나 그 작용효과는 동일하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t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configuration by coping with the coil spring 43 to the front fork 31, but the effect is the same.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는 도 5의 본 발명 제4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30)을 힌지 구성하는 앞포크(31)를 연동시키는 핸들축(21)이 끼워지는 헤드파이프(12)와 일체로 후륜(50)을 구성하는 리어프레임(40)을 일체로 구성하고 이 리어프레임(40)선단부 상단으로 허브(24)와 체결볼트(25)를 구성하여 안장(11)을 구비한 프론트프레임(10)을 힌지 구성하여 프론트프레임(10)이 허브(24)를 기점으로 승하강되게 구성하고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shaft 21 for interlocking the front fork 31 constituting the front wheel 30 is fitted. The rear frame 4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pipe 12 and the rear frame 40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hub 24 and the fastening bolt 25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frame 40 to form a saddle 11 The front frame 10 having a hing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front frame 10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hub 24 as a starting point.

그리고 상기 프론트프레임(10) 하부의 축받이(42)와 리어프레임(40)의 축받이(42)에 코일스프링(43)을 구성하여 프론트프레임(10)이 허브(24)를 기점으로 하고 코일스프링(43)의 신축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n, the coil spring 43 is formed on the bearing 42 of the lower part of the front frame 10 and the bearing 42 of the rear frame 40 so that the front frame 10 has the coil 24 as a starting point. 43)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movement.

이에 따라 안장(11)에 앉아 핸들(20)을 잡은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페달(35)을 밟아 전륜(30)을 회전하면 자전거는 전진하게 되고 방향을 전환할 때에는 공지와 같이 핸들(20) 방향을 조절하여 진행방향을 선택함으로써 방향회전으로 자전거를 전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ront wheel 30 is rotated by stepping on the pedal 35 by using the foot while sitting on the saddle 11, the bicycle moves forward, and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the handle 20 is known. By adjusting the direction and selecting the direction of travel, the bicycle can be advanced by turning the direction.

그리고 점핑, 도약을 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팔과 상체를 이용한 하중으로 핸들(20)을 가압시켜 하부로 밀어 가압중량에 의해 앞포크(30)와 상기 리어프레임(40)의 힌지부 허브(24)측에 힌지구성된 프론트프레임(10)이 절곡되면서 앞포크(31)의 코일스프링(43)및 리어프레임(40)과 프론트프레임(10) 사이로 구성된 코일스프링(43)이 압축되고 압축 후 반발력에 의한 탄성으로 핸들(20)및 프론트프레임(10)이 신속히 탄발하여 승강됨으로 점핑, 도약을 할 수 있게 된다.And when jumping and leaping, as described above, the user presses the handle 20 with the load using the arm and the upper body and pushes the low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hub of the front fork 30 and the rear frame 40 by the pressure. As the front frame 10 hinged at the side of 24 is bent, the coil spring 43 of the front fork 31 and the coil spring 43 between the rear frame 40 and the front frame 10 are compressed and compressed. The handle 20 and the front frame 10 are elastically lifted up and down by elasticity due to the repulsive force, so that jumping and jumping are possible.

이러한 점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를 각각 또는 함께 실시하고 약하게 가압하여 출렁이는 승마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과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여 껑충껑충 뛰는 상태의 이동 및 제자리에서의 점핑를 할 수 있어 보다 흥겨운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놀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기술을 연마 하여 상기에서 도시하지 않은 여러 형태의 놀이를 즐길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jumping i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each or together, and the pressing force is weakly to obtain a riding effect. The process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to jump and jump in place. It is possible to enjoy a more exciting play, such that the user can enjoy the various types of play not shown above by hone their skills.

이상과 같은 제2, 3,4 실시 예로 설명된 구성은 제1실시 예의 변형 부분의 구성에 관한 실시 예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제1실시 예의 구성을 같이 하고 있다.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that is no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odified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일반적인 구성은 공지된 자전거를 원용하므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점핑수단은 본 발명의 중요 구성요소이다.In addition, since the general configuration uses a known bicyc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but a jumping means meet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설명된 코일스프링(43)은 미 도시한 쇽업쇼바와 함께 병행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점핑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탄발수단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coil spring 43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parallel with the shock absorber (not shown), or may be configured by selecting any one, and it is natural that a coiling means capable of maximizing jumping force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자전거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도 1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제4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프론트프레임 11: 안장 12: 헤드파이프10: front frame 11: saddle 12: headpipe

20: 핸들 21: 핸들축 22: 조향부20: handle 21: handle shaft 22: steering portion

23: 조향프레임 24: 허브 25: 체결볼트23: steering frame 24: hub 25: fastening bolt

30: 전륜 31: 앞포크 33: 토션스프링30: front wheel 31: front fork 33: torsion spring

34: 토션스프링고정링 35: 페달 40: 리어프레임34: torsion spring fixing ring 35: pedal 40: rear frame

41: 뒤판부재 42: 축받이 43: 코일스프링41: back plate member 42: bearing 43: coil spring

44: 받침부재 50: 후륜44: support member 50: rear wheel

Claims (3)

페달을 밟아 전륜을 연동하고 헤드파이프(12)에 구성되는 핸들(20) 및 프론트프레임(10)과 연결된 리어프레임(40)에 후륜을 구성하는 통상의 삼륜 자전거에 있어서,In a conventional three-wheeled bicycle which pedals the front wheels and interlocks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to the rear frame 40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10 and the handle 20 formed on the head pipe 12, 몸체를 이루는 프론트프레임(10)의 헤드파이프(12)에 관통된 핸들축(21) 조향부(22)에 조향프레임(23)과 허브(24)를 구성하여 앞포크(31)를 힌지 구성함과 함께 토션스프링(33)을 체결하여 앞포크(31)를 탄력설치함과,The front fork 31 is hinged by forming the steering frame 23 and the hub 24 on the steering shaft 22 of the handle shaft 21 penetrating the head pipe 12 of the front frame 10 constituting the body. And by tightening the torsion spring (33) and the front fork (31) to elastically install, 프론트프레임(10)에 구비된 허브(24)에 후륜(50)을 구비한 리어프레임(40)이 승하강되고 프론트프레임(10)과 리어프레임(40)의 축받이(42)에 코일스프링(43)을 체결하여 코일스프링(43)의 탄성으로 프론트프레임(10)이 코일스프링()으로 승하강 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점핑 자전거.The rear frame 40 with the rear wheels 50 moves up and down on the hub 24 provided on the front frame 10, and the coil springs 43 are formed on the bearings 42 of the front frame 10 and the rear frame 40. 3) The three-wheeled jumping bik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frame 10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by the coil spring () by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43).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를 이루는 프론트프레임(10)의 헤드파이프(12)에 핸들축(21)이 관통되어 전륜(30)을 힌지한 앞포크(31)를 구성하되, 앞포크(31)에는 탄성이 발휘되도록 코일스프링(43)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점핑자전거.The handle shaft 21 penetrates the head pipe 12 of the front frame 10 constituting the body to form a front fork 31 hinged to the front wheel 30, so that elasticity is exerted on the front fork 31. Three-wheeled jumping bik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43).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핸들축(21)이 끼워지는 헤드파이프(12)에 후륜(50)을 구성하는 리어프레임(40)을 일체로 구성하고 이 리어프레임(40) 선단부로 허브(24)와 체결볼트(25)를 구성하여 안장(11)을 구비한 프론트프레임(10)을 힌지 구성함과 함께,The rear frame 40 constituting the rear wheel 5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head pipe 12 into which the handle shaft 21 is fitted, and the hub 24 and the fastening bolt 25 ar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ear frame 40. By configuring the hinge with the front frame 10 having a saddle 11, 프론트프레임(10)과 리어프레임(40)의 축받이(42)에 코일스프링(43)을 구성시켜 코일스프링(43)의 신축으로 프론트프레임(10)이 승하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점핑 자전거.Three-wheel jumping bik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frame 10 is moved up and down by constructing the coil spring 43 on the bearing 42 of the front frame 10 and the rear frame 40.
KR1020080081797A 2008-08-21 2008-08-21 Jumping bicycle KR101005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797A KR101005278B1 (en) 2008-08-21 2008-08-21 Jumping bicy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797A KR101005278B1 (en) 2008-08-21 2008-08-21 Jumping bicy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170A true KR20100023170A (en) 2010-03-04
KR101005278B1 KR101005278B1 (en) 2011-01-04

Family

ID=4217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797A KR101005278B1 (en) 2008-08-21 2008-08-21 Jumping bicy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27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47B1 (en) * 2011-11-02 2014-09-04 이기두 Jumping bicy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5360A (en) * 2012-09-10 2012-12-12 周兴奎 Motorcycle steering and damping assembly
CN107933784B (en) * 2017-11-30 2020-01-03 岑溪市拓丰科技发展有限公司 Elastic jumping bir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986A (en) * 2005-09-30 2007-04-04 임선우 Jumping bicy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47B1 (en) * 2011-11-02 2014-09-04 이기두 Jumping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278B1 (en) 201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111B2 (en) Scooter and pedal drive assembly
CN101801778B (en) Mini bike having pedal as a power generator
US7980573B1 (en) Spring board
KR20150084653A (en) Bicycle with differentiated activation unit
KR101005278B1 (en) Jumping bicycle
CN102582737B (en) Big roller RV
US6247714B1 (en) Recumbent cycle with improved suspension
US9242696B2 (en) Scooter having a variable speed cam drive system
CN210078833U (en) Self-service driving type amusement sports equipment
KR100908317B1 (en) Jumping bicycle
KR20070042066A (en) Double accelerative monocycle
CN101519106A (en) Push and pull vehicle by stand-and-sit action
CN202071958U (en) Rear wheel swing drive-type bicycle
US7874566B1 (en) Dual riding and driving tricycle in juxtaposing link
KR20130129049A (en) Health bicycle
CN202670034U (en) Ridable and walking wooden horse
CN203020479U (en) Three-wheeled riding car
CN102036873B (en) Parallel-riding bicycle
CN110979538A (en) Self-balancing pedal for bicycle
CN102627136B (en) Cockhorse capable of being ridden and traveling
CN201472548U (en) Multi-functional self-actuated children cart
CN220294065U (en) Spinning bicycle
KR20120000593A (en) The board with two wheel
CN212267746U (en) Self-balancing pedal for bicycle
KR101189851B1 (en) Bicycle and Cycle Athletic Apparatus Added Elasticity Re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