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604A - 내외압성이 우수한 배수관용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 Google Patents

내외압성이 우수한 배수관용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604A
KR20100022604A KR1020080081183A KR20080081183A KR20100022604A KR 20100022604 A KR20100022604 A KR 20100022604A KR 1020080081183 A KR1020080081183 A KR 1020080081183A KR 20080081183 A KR20080081183 A KR 20080081183A KR 20100022604 A KR20100022604 A KR 2010002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olypropylene
weight
ethylene
nuclea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병훈
신영호
김기영
이우관
고기영
이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8008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2604A/ko
Publication of KR2010002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60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곡강도가 매우 우수한 배수관용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배수관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지수가 0.1 ~ 1g/10분(230℃, 2.16kg)이고 폴리프로필렌을 100중량%로 보았을 때, 에틸렌 고무(Rubber) 함량이 1 ~ 30 중량%, 에틸렌 함량이 1 ~ 15중량%인 에틸렌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며, 수지의 핵형성을 도와주는 물질인 유기 또는 무기 첨가제의 비율이 0.01 ~ 10 중량%, 폴리에틸렌계 왁스, 윤활제 등의 그라프팅된 상용화제가 0.01 ~ 10 중량% 용융 혼합된 수지를 포함하며, 위 범위내에서 고안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파이프는 굴곡강도 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하수관 용도에 적합하다.
초고강성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하수관, 배수관, 이중벽관, 삼중벽관

Description

내외압성이 우수한 배수관용 폴리프로필렌 파이프{Polypropylene pipe for drain pipe having improved pressure-resistant}
본 발명은 굴곡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배수관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강성 블록 폴리프로필렌과 핵을 형성시키는 무기물질 및 제품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폴리에틸렌 왁스 등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그리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배수관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이프 및 배수관 장치에는 시멘트 소재 및 금속 소재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20년 동안 급속하게 플라스틱 소재로 대체되어 오고 있다. 플라스틱 파이프류는 흄관이나 주철관에 비하여 강성은 저하되나, 위생적이고 내화학적 성질이 우수하며, 부유 전류로부터 안정하고, 냉동 파성과 낮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응축방지 및 파손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 중, 에틸렌 블록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파이프에 대한 수요는 파이프 시장의 효시인 유럽시장 뿐만 아니라 중동, 중국 등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파이프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소재였던 PVC는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최근 폴리올레핀 파이프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종래, 파이프 제조에는 일반적으로 에틸렌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고밀도 에틸렌 하수관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에틸렌 블록 공중합 폴리프로필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물성의 우세로 인해 경량화가 가능하며, 제조된 파이프의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은 중합방법 및 중합된 조성물의 구성 차이에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로 구분된다.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우수한 내화학성과 내압성 때문에 압력이 걸리는 산업용 파이프에 사용되며,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고온 고압에서의 장기 열간내압 특성으로 인하여 냉/온수 급수용 급탕용 파이프 및 온수 온돌용 파이프로 사용되고,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뛰어난 충격강도 특히, 0℃ 이하에서의 저온 충격강도가 우수하여 매설용 하수구나 가정용 배수구용 파이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는, 최초에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성분을 형성시킨 다음,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을 도입함으로써 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고체 착물 티타늄 촉매, 유기 알루미늄 조촉매 및 외부 전자공여체 존재하에 프로필렌과 에틸렌 각각의 단량체를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기상 혹은 벌크 슬러리 중합공정으로 중합시켜 제조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외부 전자공여체의 종류에 따라서 블록 공중합체의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가 크게 영향을 받으며,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첫단계에서 형성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충격강도에 영향을 주는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높을수록 우수한 굴곡강도 특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비교하여 내충격성은 향상된 반면, 강성, 경도 및 내열성이 열세하다.
특히, 하수구/배수구용 파이프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서 가장 중요한 물성은 강성과 내충격성의 균형이며, 크리프 파괴시간이 ISO 15874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20℃, 16MPa 조건하에서 파이프가 새거나 파손되지 않고 1시간 이상 견디어야 한다. 크리프 파괴시간이 길수록 파이프의 열간내압 특성이 우수한 것이며, 이 물성은 굴곡탄성률에 비례한다.
최근까지 개발된 파이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의 강성을 나타내는 굴곡탄성률은 12,000~18,000kgf/cm2 범위의 값을 가지며, 내충격성을 나타내는 아이조드 충격강도(상온, -0℃, -20℃)는 상온에서 40~70kgf/cm2 , -0℃에서 10~15kgf/cm2 및 -20℃에서 2~5kgf/cm2 정도의 값을 가진다.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된다. 하지만 너무 많은 함량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오히려 내충격성과 굴곡탄성률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최적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함량이 중요하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는 첨가제로 특수한 핵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핵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화 속도를 향상시키고 결정 구조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굴곡탄성률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목적의 핵제로는 유기 핵제 또는 무기 핵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윤활유 및 기타 첨가제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하수관용 파이프가 안전성과 장기간의 수명을 갖기 위해서는 적정한 환경응력균열저항성(ESCR성)을 유지하면서, 토압 등 외부하중에 대하여 매우 높은 내성(외압강도)을 나타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배수관 파이프가 가진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관용 파이프로 사용 가능하도록 수지를 근본적으로 개질하고, 무기 또는 유기 핵형성 물질을 이용한 후처리 과정을 거쳐 굴곡강도가 매우 향상된 배수관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폴리 배수관용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배수관용 파이프는 용융지수가 0.1 ~ 1g/10분(230℃, 2.16kg)이고 에틸렌 고무(Rubber) 함량이 1 ~ 30 중량%, 에틸렌 함량이 1 ~ 15중량%인 에틸렌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며, 고밀도 폴리프로필렌에 핵형성을 도와주는 물질인 유기 또는 무기 핵제, 폴리에틸렌 왁스를 혼합함으로써 굴곡강도, 내압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블록 폴리프로필렌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때문에 오수 및 폐수 수송용 파이프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기술을 보완하여, 배수관용 파이프가 안전성과 장기간 수명을 갖도록 하였다. 특히 일반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매우 뛰어난 외압강도를 가지가 어려울 뿐 아니라, 외부 강성으로부터 눌리거나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특히 외부 압력으로부터의 강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 초고강성 폴리프로필렌 파이프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이란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물론, 에틸렌과 1종 이상의 단량체 간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공중합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부텐-1, 헥센-1, 4-메틸펜텐-1과 같은 4∼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파 올레핀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하수구/배수구용 파이프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의 강성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과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을 최적화 했으며, 유기 또는 무기 핵제 첨가를 통하여 굴곡탄성률을 향상시켰다.
기존의 하수구/배수구용 파이프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의 외압 강도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아이소택틱 펜티드 분율과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을 최적화 했으며, 무기 핵제의 첨가를 통해서 굴곡강도(Flexble Modulus)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고입체규칙성 폴리프로필렌으로 핵자기 공명법상의 입체규칙도 지수인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95% 이상이고,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중량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의 비율이 5~12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95% 미만이면 굴곡강도가 저하되므로 좋지 않다. 또한, 폴리프 로필렌 단독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7 미만이면 파이프 가공성이 저하되어 파이프 표면이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분자량 분포가 12 이상인 경우에는 파이프의 압출량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사용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135℃에서 측정한 절대점도가 1.5~6.0㎗/g이다. 절대점도가 1.5㎗/g 미만이면 굴곡탄성률이 저하되고, 반면 6.0㎗/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성이 나빠져서 파이프 외관 및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및 무기 핵제의 사용량은 상기 폴리플로필렌의 0.1~10중량%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중량%이다. 만일 유기 및 무기 핵제의 사용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기계적 물성 향상 효과가 거의 없는 반면, 10중량%를 초과하면 용이한 분산성 및 가공성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층상구조의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릴 두 성분의 상용화제로서, 유기 또는 무기 핵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블록 폴리프로필렌의 알파 핵 형성을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반응개시제의 존재 하에 폴리프로필렌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병행하여 PE계 왁스나 윤활제의 첨가는 반응기에서 에틸렌 단량체와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안하이드라이드 및 반응 물질을 혼합하여 컴파운딩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안정화제(예를 들어, 내산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화제)및 가공 보조제와 같은 프로필렌 중합체에 사용가능한 각종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총 함량은 일반적으로 0.1 ~ 10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1 ~ 5중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안료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안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3중량%를 초과하지 못하고,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일련의 반응기에서 일차로 상기와 같은 물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중합한 후, 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존재하에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공중합시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수득한 다음, 상기 중합체 혼합물에 일정량의 무기 핵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제조단계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뒤이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 단계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폴리 배수관용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배수관용 파이프는 용융지수가 0.1 ~ 1g/10분(230℃, 2.16kg)이고 에틸렌 고무(Rubber) 함량이 1 ~ 30 중량%, 에틸렌 함량이 1 ~ 15중량%인 에틸렌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며, 고밀도 폴리프로필렌에 핵형성을 도와주는 물질인 유기 또는 무기 핵제, 폴리에틸렌 왁스를 혼합함으로써 굴곡강도, 내압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개질하였고, 본 수지 조 성물의 공중합체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충격강도가 감소하고, 40중량%를 초과하면 굴곡탄성률이 감소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용융지수가 0.1 ~ 10g/10분이고, 에틸렌 고무(Rubber) 함량이 1 ~ 30 중량%, 에틸렌 함량이 1 ~ 15 몰%인 에틸렌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리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후처리 과정에 있어 유기 및 무기 핵제의 첨가량은 상기 중합체 혼합물 전체 프로필렌 대비 0.1~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강성 및 내열성을 얻기 어려우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완성된 최종 수지 조성물은 0.1~1.0g/10분(230℃, 2.16kg)의 용융지수를 갖는다. 용융지수가 0.1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파이프 가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1.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이프의 충격강도 및 내압 특성이 저하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파이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안정제, 내열안정제, 장기 열안정제, 활제, 안료, 염료, 중화제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를 본 발명의 특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첨가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직관 또는 스파이럴관과 같은 일반적인 하수관 파이프 제조관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이중벽관, 삼중벽관과 같은 고강성을 요하는 파이프를 제조하기에 용이하다.
본 발명의 파이프 제조는 상기 기재된 수지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수지 및 첨가제의 각 성분들을 평량하여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8단 가열기가 장착된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195 ~ 235℃ 온도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하였다. 수득된 수지 펠렛은 단일-스크류형 압출기로 240℃ 온도에서 파이프를 성형하였다. 평가를 위한 파이프의 생산 종류로는 200, 400, 600mm 구경의 파이프가 생산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해당 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제조한 배수관용 파이프는 외부의 하중으로부터 견디는 힘이 우수하고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으며, 굴곡강도 특성이 우수하여 지하 매설용 배수관 파이프 용도에 매우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파이프는 현저히 샹항된 외압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의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로 제조된 파이프 대비 두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원료가 폴리프로필렌 파이프로서 특히 요구되는 물성으로는 외부 압력으로부터 관의 모양이 변형되지 않는 굴곡강성이 매우 뛰어나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수지 조성물은 초고강성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조성물로서, 개선된 내압성, 내충격성, 수축률, 내열성 및 가공성을 가지며, 배수용 파이프 및 파이프 피팅(fitting)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반물성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59179698-PAT00001
충격 시험
파이프를 0℃, -10℃, -20℃로 각각 처리한 후 3.2Kg 무게의 추로 2m 높이에서 자유낙하 하였을 경우 파괴되는 지의 유무를 측정함
강성 시험
KPS M 2009 방법 사용
항복인장강도
KPS M 2009 방법 사용
파이프의 열간내압 크리프성 측정
파이프의 열간내압 특성(크리프 파괴시간): 직경이 32mm, 직경과 두께 비율이 11인 파이프를 가공하여 ISO 1167의 방법에 따라 90℃에서 후프 스트레스가 5.0MPa인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크리프 파괴시험은 파이프를 항온 수조에 담가 파이프 내에 물을 채우고, 크리프 파괴시험 직전 1시간 동안 시험하고자 하는 온도로 열처리.
표면 특성 측성
파이프 가공후 파이프 내표면 및 외표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 : 표면 줄무늬, 물결모양 등이 존재하지 않고 매끄러운 경우
○ : 상기와 같은 것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육안으로 관찰하기에 매끄러워 보이는 경우
X : 상기와 같은 것들이 존재하며 육안으로도 거칠어 보이는 경우
실시예 1~5에 따른 각 수지 조성물의 조성 및 제반물성을 하기 표2에 나타내었으며,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59179698-PAT00002
[실시예 1]
교반기 및 가열/냉각장치가 구비된 용량 20L의 연속식 반응기를 초고순도 질소와 프로필렌에 의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액상 프로필렌 모노머 5L를 주입하였다. 고체 착물 티타늄 촉매 0.2g, 트리에틸알루미늄 20mmol과 외부 전자공여체로서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0.2mmol을 각각 주입하여 온도를 65℃로 상승시킨 후 폴리프로필렌 중합을 20분간 진행하였다. 그런 다음, 온도를 낮추고 에틸렌을 반응기와 연결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여 반응기로 서서히 주입하고, 온도를 65℃로 상승시킨 후 반응기 내 기체의 평형상태를 유지하면서 주입시키는 에틸렌이 소진될 때 까지 가스를 주입하여, 교반기로 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60분간 반응을 진행한 후, 고온의 내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에탄올을 10ml 정도 주입하여 촉매활성점을 제거하였다. 중합체를 수집하여 60℃의 진공오븐에서 6~8시간 정도 건조시 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수지를 첨가제와 함께 평량하여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8단 가열기가 장착된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195 ~ 235℃ 온도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하였다. 수득된 수지 펠렛은 단일-스크류형 압출기로 240℃ 온도에서 파이프를 성형하였다. 평가를 위한 파이프의 생산 종류로는 200, 400, 600mm 구경의 파이프 성형 가능하며 본 물성 평가에서는 400mm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평가 방법은 상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전체 폴리플로필렌 조성물을 100중량부라 할 때, 무기 핵제를 0.4중량%, PE계 왁스를 0.2중량%를 첨가하여 펠렛을 제조하였고, 동일한 파이프를 성형한 다음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1과 기본적인 수지 제조 제조 방법은 동일하나, 공중합 과정에서 에틸렌 함량을 6.9중량%로 줄이고, 에틸렌 고무(Rubber)의 함량을 9.8중량%로 제조하였다. 무기 핵제와 PE계 왁스의 함량은 실시예2와 동일한 비율로 첨가하였으며, 동일한 파이프를 성형한 다음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4]
기본적으로 실시예 1과 수지 제조 제조 방법은 동일하며, 공중합 과정에서 에틸렌 함량을 6.1중량%로 줄이고, 에틸렌 고무(Rubber)의 함량을 7.3중량%로 제조하였다. 무기 핵제와 PE계 왁스의 함량은 실시예2와 동일한 비율로 첨가하였으며, 동일한 파이프를 성형한 다음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5]
기본적으로 실시예2과 수지 제조 제조 방법은 동일하며, 공중합 과정에서 에틸렌 함량을 6.1중량%로 줄이고, 에틸렌 고무(Rubber)의 함량을 7.3중량%로 제조하였다. 무기 핵제와 PE계 왁스의 함량은 실시예2와 동일한 비율로 첨가하였으며, 동일한 파이프를 성형한 다음 물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무기 핵제, PE 왁스계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파이프를 성형한 다음 물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2]
무기 핵제, PE 왁스계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파이프를 성형한 다음 물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112008059179698-PAT00003
Figure 112008059179698-PAT00004

Claims (5)

  1. 내외압성 하수관용 폴리프로필렌 파이프에 있어서, 블록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하며 상온~-20℃에서 파괴되지 않고, PS M 2009 규격에 의거한 강성이 10 kgf/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압성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블록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0.1~1g/10분(230℃, 2.16kg)이고, 에틸렌 고무(Rubber)의 함량이 1~20중량%, 코모노머 함량이 1~15중량%인 에틸렌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기타 핵제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압성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핵제는 유기핵제로 카르복실산의 알루미늄염, 칼슘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벤조에이트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무기핵제로는 무기 핵제로는 탈크,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및 치환 디벤질 리덴소리비톨, 나트륨 벤조에이트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그 양은 전체 프로필렌 중합물 대비 0.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압성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용화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 또는 윤활제로서 전체 프로필렌 중합물 대비 0.01~10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압성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5. 제2항에 있어서, 코모노머가 에틸렌, 1-부텐, 1-헥센, 1-옥텐과 같은 3∼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파올레핀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압성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KR1020080081183A 2008-08-20 2008-08-20 내외압성이 우수한 배수관용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KR20100022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183A KR20100022604A (ko) 2008-08-20 2008-08-20 내외압성이 우수한 배수관용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183A KR20100022604A (ko) 2008-08-20 2008-08-20 내외압성이 우수한 배수관용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604A true KR20100022604A (ko) 2010-03-03

Family

ID=4217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183A KR20100022604A (ko) 2008-08-20 2008-08-20 내외압성이 우수한 배수관용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26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79346B2 (en) A pressureless polymer pipe, a composition therefore, and a process for preparing it
EP2294129B1 (en) Thermoplastic polyolefins with high flowability and excellent surface quality produced by a multistage process
AU2006246711B2 (en) High melt flow polymer of improved durability for pipe applications
KR102079857B1 (ko) 파이프 응용을 위한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조성물
EP2989157B1 (en) Multimodal polypropylene composition for pipe applications
WO2010049448A1 (en) Tough composition for food applications
PT2930205T (pt) Polímero tendo uma distribuição de massa molecular multimodal
AU2006239376A1 (en) Reinforced polypropylene pipe
KR20070034046A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배관 수지
MX2008003134A (en) Polymer composition
WO2013010877A1 (en) Heterophasic polypropylene with low clte and high stiffness
KR100785836B1 (ko) 폴리-1-부텐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용도
WO2014173533A1 (en) Multimodal polypropylene composition for pipe applications
GB2568909A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high scratch resistance
AU2014256449B2 (en) Propylene random copolymer composition for pipe applications
EA039699B1 (ru) Полипропиле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труб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JP6106383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パイプ、及び継手
JP6386006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パイプ、及び継手
KR20100022604A (ko) 내외압성이 우수한 배수관용 폴리프로필렌 파이프
US10954320B2 (en) High density polyethylene for the production of pipes
KR20100022602A (ko) 배수관 파이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KR101374998B1 (ko) 멀티모달 폴리에틸렌 조성물로 제조된 파이프용 층
KR20030031718A (ko) 파이프용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EP2933291A1 (en)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 for pip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