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208A - Apparatus for observing collaps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bserving collap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208A
KR20100021208A KR1020080079995A KR20080079995A KR20100021208A KR 20100021208 A KR20100021208 A KR 20100021208A KR 1020080079995 A KR1020080079995 A KR 1020080079995A KR 20080079995 A KR20080079995 A KR 20080079995A KR 20100021208 A KR20100021208 A KR 20100021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tact
contact sensor
zone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75074B1 (en
Inventor
정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7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074B1/en
Publication of KR20100021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2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0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monitoring collapse is provided to monitor an avalanche of rocks and earth and the collapse of a track by sensing a force applied to a wire through a contact sensor including an insulator connected to a wire. CONSTITUTION: Wires(110,120,130) are fixed to a point with a first side. A second side is connected to an insulator. A contact sensor(141,142,143) is connected to the wire through an insulator. The contact sensor includes a first ground surface and a second ground surface. An alarm signal unit(150) generate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when the contact sensor is on. A photographing unit(160) photographs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and generates the photographing data when the contact sensor is on. A controller(170) transmits the alarm signal and the photographing data to an outer server.

Description

붕락발생 감시장치{APPARATUS FOR OBSERVING COLLAPSE}Disintegration Monitoring Device {APPARATUS FOR OBSERVING COLLAPSE}

본 발명은 붕락발생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석류 발생 구역 또는 선로 구역에 설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절연체를 통해 연결된 접점 센서를 통해 토석류 또는 선로 붕괴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토석류 또는 선로 붕괴의 발생시 해당 구역을 촬영하거나 알람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토석류 발생 및 선로 붕괴를 감시할 수 있는 붕락발생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detects the occurrence of earth or earth breakdown through a wire installed in a earth or earth production zone or a track zone and a contact sensor connected through the wire and an insul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that can more effectively monitor the generation of soil and track collapse by photographing the area 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collapse occurs.

최근 국내에서도 지진이나 태풍, 호우, 폭설과 우박, 낙뢰와 해일과 같은 자연재해로 매년 평균 2조원에 가까운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으며 대부분의 피해는 6~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전체 피해의 75% 이상이 호우와 태풍에 의해 발생되고 있으며, 그 피해유형도 인명피해는 물론이고 대형구조물의 전도나 범람, 중대형 사면붕괴 등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Recently,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typhoons, heavy rain, heavy snow and hail, lightning and tsunami have caused economic damages of nearly 2 trillion won annually. Most of them are reported to be concentrated in June-September. . In particular, more than 75% of all damages are caused by heavy rains and typhoons, and the types of damages are not only life-saving, but also various forms such as falling and flooding of large structures and collapse of large and medium slopes.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태풍의 거동은 봄과 겨울철에는 일본 이남의 태평양에서 모두 동측으로 선회하는 진로를 보이고 있으나 여름철에 다가오면서 북상하며 7월과 8월에 이르면 한반도를 관통하고 지나가는 숫자가 많아지며 가을로 접어들며 다시 남측으로 선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매년 강화되고 있는 설계기준으로 인하여 구조적·공학적인 문제점은 감소하고 있으나 이상기후 등으로 인해 자연재해의 피해규모와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므로 과거의 기상 통계치를 중심으로 한 재해의 특성이나 방재계획에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점검이 필요하며 매년 발생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는 대규모 재해에 대한 분석과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다.The typhoon movement cen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shows its course turning eastward in both the Pacific and south of Japan in spring and winter, but as it approaches the summer season, it rises northwards, and passes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by July and August, and the number of autumn passes. It is turning into the south and turning to the south side. Therefore, structural and engineering problems are decreasing due to the design standards that are strengthened every year, but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are increasing due to abnormal weather. Therefore, it is time to systematically and professionally inspect disaster characteristics and disaster prevention plans centering on past meteorological statistics, and to analyze and consider large-scale disasters that are likely to occur every year.

산사태란 다량의 암석, 쇄설 물질, 토사 등이 급격하게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암석의 구조와 구성물질의 응집력, 비탈면의 구배, 함수량, 상대적인 이동률, 구성물질의 차 등 많은 변수에 의해 낙석과 전도 및 활동과 퍼짐 그리고 흐름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분되고 있다.A landslide is a phenomenon in which a large amount of rock, debris material, and soil move rapidly down the slope, and due to many variables such as rock structure and component cohesion, slope of slope, water content, relative movement rate, and difference in composition It is divid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rockfall, evangelism, activity, spread, and flow.

일반적으로 표토와 암석이 중력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현상을 중력사면이동이라 하며 미끄럼사태와 슬러리류, 입상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퇴적물이물과 혼합하여 혼합물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슬러리류라 정의하고 있으며 특히 흙과 암편들이 물과 혼합되어 비탈면과 계곡을 따라 흘러내리는 현상으로 표토층(풍화토층)이 강우로 포화되어 빠른 속도로 중력방향으로 낙하·이동하는 산사태를 토석류라 정의하고 있다.In general, the phenomenon of topsoil and rock moving down the slope by gravity is called gravitational slope movement, and it can be classified into sliding, slurry, and granular flow. Slurry is defined as the movement of sediment mixed with water and mixed with water. Especially, soil and rock are mixed with water and flow down slopes and valleys. Soil topography (weather layer) is saturated with rainfall and gravity Landslides that fall and move in the same direction are defined as clay.

최근 국내에서는 집중적인 호우나 태풍으로 인한 다양한 재해유형 중 산악지형을 중심으로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집중 강우와 집수지형적 원인에 의해 빨라진 유속으로 세립분 유실이 발생하고 순차적으로 밀도류흐름의 증가에 의한 세굴 등으로 유출량이 증가하여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나 정확한 메카 니즘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토석류는 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빠른 속도로 하강하는 특징으로 모래보다 큰 입자를 크게 포함하고 있어 미고결층(표층)을 파괴하는 경향이 있으며 평지로 나오면 정지하여 혀 모양의 퇴적물을 남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recent years, the damage has been increasing mainly in mountainous terrain among various types of disasters caused by intensive rainfall and typhoons, and fine grain loss occurs due to the rapid flow rate due to intensive rainfall and catchment terrain. The outflow is increased due to scour, etc., but the exact mechanism has not been established. So far, it has been found that clays contain water and are rapidly descending and contain larger particles than sand, which tends to destroy the unconsolidated layer (surface layer). It is known to leave.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산지재해에 대한 대책으로 예방보다는 복구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산사태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사전에 산사태 예상 지역 및 위험 지역을 미리 예측하고, 관측함으로써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세운다면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Until now, Korea has focused on recovery rather than preven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mountain disasters. However, if a scientific analysis of landslides is made in advance of predicting and observing landslide and predicted areas of landslides, proper measures can be taken to minimize damages caused by landslides.

현재, 산사태 발생 징후의 파악을 위해 산 경사면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5> 여러 가지 방법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단지 경사면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것만으로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산사태를 정확하게 측정, 예측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랐다. 특히, 토석류 산사태의 경우, 산사태의 정확한 발생 위치와, 속도를 아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를 측정하거나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은 실질적으로 전혀 없는 실정이다.At present, various methods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a mountain slope are used to identify signs of landslide occurrence. However, simply measuring the movement of the slopes made it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and predict landslides caus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arth-slide landslides, it is important to know the exact location and speed of landslides, but there is practically no way to measure or predict them.

이에 따라, 토석류 발생이나 선로 붕괴 등의 붕락 사고 발생을 초기에 감지하여 그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붕락발생 감시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that can initially detect the occurrence of a collapse accident, such as a soil breakdown or a track collapse, and minimize the damage caused therefro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토석류 발생 구역 또는 선로 구역에 설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절연체를 통해 연결된 접점 센서를 통해 토석류 또는 선로 붕괴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토석류 또는 선로 붕괴의 발생시 해당 구역을 촬영하거나 알람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토석류 발생 및 선로 붕괴를 감시하여 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붕락발생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detects the occurrence of earth or earth breakdown through the wire installed in the earth or earth production zone or track zone and the contact sensor connected through the wire and the insulator,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photographing the relevant area 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track collapse occurs, thereby effectively monitoring the earthquake generation and the track collapse.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붕락발생 감시장치는 제1 측단이 선정된(predetermined) 지점에 고정되고 제2 측단이 절연체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상기 절연체가 제1 접점면 및 제2 접점면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절연체가 상기 제1 접점면 및 상기 제2 접점면 사이에서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점면 및 상기 제2 접점면이 접접 온(on)되는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 상기 접점 센서가 상기 접점 온되는 경우, 상기 접점 센서에 대응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신호부; 상기 접점 센서가 상기 접점 온되는 경우, 상기 접점 센서에 대응하는 선정된 구역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알람 신호 및 상기 촬영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wire is fixed to the first side is a predetermined point (predetermined) and the second side is connected to the insulator; When the insulator is attache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and the insulator is detache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e or more contact sensors (on); An alarm signal unit generating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when the contact sensor is turned on; A photographing unit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selected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and generate photographing data when the contact sensor is turned on;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and the photographing data to an external server.

또한, 상기 붕락발생 감시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 모두가 접점 오프 상태인 경우 파워 오프(power off)를 유지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접점 온되는 경우 파워 온(power 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maintains power off when all of the one or more contact sensors are in a contact off state, and powers on when any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contact sensors are on.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붕락발생 감시장치의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1 측단의 위치 및 상기 제2 측단의 위치는 상기 와이어가 토석류 발생 구역에 위치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구역에서 토석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측단과 연결된 상기 절연체가 상기 접점 센서의 상기 제1 접점면 및 상기 제2 접점면 사이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first side end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ide end of the wire of the collapse generation monitoring device is set so that the wire is located in the earth-earth generating zone, and when the earth flow occurs in the zone and the second side end and The insulator connected is detached from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sensor.

또한, 상기 붕락발생 감시장치의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1 측단의 위치 및 상기 제2 측단의 위치는 상기 와이어가 선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선로가 붕괴하는 경우 상기 제2 측단과 연결된 상기 절연체가 상기 접점 센서의 상기 제1 접점면 및 상기 제2 접점면 사이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first side end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ide end of the wire of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is set such that the wire is located below the line, the insulator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end when the line collapses Is detached from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sensor.

또한, 상기 붕락발생 감시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와이어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 정보, 및 상기 각 와이어가 위치하는 구역에 대한 와이어 구역 정보가 각각 서로 대응하여 기록된 구역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zone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the at least one wire information, the at least one contact sensor information, and the wire zone information for the zone in which each wire is located are record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is done.

또한, 상기 붕락발생 감시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 중 제1 접점 센서가 접점 온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구역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접점 센서에 대응하는 제1 구역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알람 신호부는 상기 제1 구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1 구역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구역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of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apparatus reads first zo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sensor from the zone information database when it detects that the first contact sensor of the one or more contact sensors is turned on. The alarm signal unit may generate an alarm signal including the first zone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ing unit may photograph a first zo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zone information.

또한, 상기 붕락발생 감시장치는 상기 외부 서버와 이동통신망, PSTN망, 및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신호 및 상기 촬영 데이터가 이동통신망, PSTN망, 및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external serv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STN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the control unit is the alarm signal and the photographing data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erver through any one of a communication network, PSTN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본 발명의 붕락발생 감시장치에 따르면, 토석류 또는 선로 등의 붕락 발생지역에 와이어를 설치하고, 붕락사고 발생시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절연체를 포함하는 접점센서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보다 간단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토석류 또는 선로 붕락사고를 초기에 감시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wire in the collapse occurrence area, such as soil or tracks, by detecting a force applied to the wire in the event of a collapse accident through a contact sensor including an insulator connected to the wire, Simple and more efficient early earthquake or track decay can be monitored to minimize the damage.

또한, 본 발명의 붕락발생 감시장치에 따르면, 평상시에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절연체가 상기 접점 센서에 구비되어 상기 붕락발생 감시장치는 파워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붕락사고 발생시 상기 절연체의 이탈로 인해 상기 접점 센서가 접점 온되어 상기 붕락발생 감시장치가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에너지 자원 소비만으로도 붕락사고 발생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or connected to the wire is usually provided in the contact sensor so that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maintains the power-off state, when the collapse accident occurs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insulator Since the contact sensor is turned on to cause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to be switched to a power-on state, an effect of efficiently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 collapse accident with minimal energy resource consumption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붕락발생 감시장치에 따르면, 토석류 및 선로 붕괴 등의 붕락사고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구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에 위치하는 관리자가 상기 알람 신호만으로도 상기 붕락사고가 발생한 구역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llapse accident such as soil and line collapse is detected, by generating an alarm signal containing the corresponding area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remote administrator to the alarm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effectively recognizing the area in which the crash accident has occurred by using only a signal.

또한, 본 발명의 붕락발생 감시장치에 따르면, 토석류 및 선로 붕괴 등의 붕락사고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구역을 촬영한 영상을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에 위치하는 관리자가 상기 촬영 영상을 통해 상기 붕락사고 발생 구역 및 붕락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llapse accident such as soil and track collapse is detected, by transmitting an image photographing the area to the management server, a remotely located manager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The effect can be obtained to more accurately identify the area where the crash occurred and the collapse situ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붕락발생 감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붕락발생 감시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110 내지 130),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141 내지 143), 알람 신호부(150), 촬영부(160), 제어부(170), 구역정보 데이터베이스(180), 및 통신부(190)를 포함한다.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wires 110 to 130, one or more contact sensors 141 to 143, an alarm signal unit 150, a photographing unit 160, and a controller ( 170, a zone information database 180, and a communication unit 190.

하나 이상의 와이어(110 내지 130), 즉 제1 와이어(110) 내지 제n 와이어(130)는 붕락발생 구역(101)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붕락발생 구역(101)은 토석류 발생 구역이나 선로 구역 등 붕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붕락발생 구역(101)이 주로 토석류 발생 구역이나 선로 구역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One or more wires 110 to 130, that is, the first wire 110 to the n-th wire 130 may be installed in the collapse zone (101), respectively. The disintegration zone 10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zones in which a collapse accident may occur, such as an earthquake generation zone or a track zone.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in which the collapsed generation zone 101 is mainly implemented as an earthenite generation zone or a track zo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와이어(110) 내지 제n 와이어(130)는 각각 제1 측단(111 내지 131)이 선정된(predetermined) 지점에 고정되고 제2 측단(112 내지 132)이 절연체와 연결되도록 붕락발생 구역(101)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측단(111 내지 131)이 고정되는 상기 지점은 와이어(110 내지 130)가 붕락발생 구역을 충분히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wires 110 to n-th wires 13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int at which the first side ends 111 to 131 are fixed and the second side ends 112 to 132 are connected to the insulator. 101 may be installed respectively. The point at which the first side ends 111 to 131 are fixed may be set to a point that allows the wires 110 to 130 to be installed across the collapse area sufficiently.

예를 들어, 제1 와이어(110)의 제1-1 측단(111)은 제1 와이어(110)가 붕락발생 구역(101)의 상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하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와이어(120)의 제2-1 측단(121)은 제2 와이어(120)가 붕락발생 구역(101)의 중앙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하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n 와이어(130)의 제n-1 측단(131)은 제n 와이어(130)가 붕락발생 구역(101)의 하측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하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first side end 111 of the first wire 110 may be set to a point at which the first wire 110 is positioned across the upper side of the collapse area 101. The second-first side 121 of the second wire 120 may be set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wire 120 is positioned across the center of the collapsed region 101. The n-th side end 131 of the n-th wire 130 may be set to a point at which the n-th wire 130 is positioned across the lower side of the collapsed region 101.

상술한 실시예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설치 위치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와이어가 붕락발생의 영향을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위치 등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ire may be set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a position to allow the wire to be affected by the collapse of the wire as much as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determines.

제2 측단(112 내지 132)은 접점 센서(141 내지 143)의 각 절연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110)의 제1-2 측단(112)는 제1 접점센서(141)의 제1 절연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와이어(120)의 제2-2 측단(122)는 제2 접점센서(142)의 제2 절연체에 연결될 수 있다. 제n 와이어(130)의 제n-2 측단(132)는 제n 접점센서(143)의 제n 절연체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ends 112 to 132 may be connected to respective insulators of the contact sensors 141 to 143. For example, the first-second side end 112 of the first wir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sulator of the first contact sensor 141. The second-second side end 122 of the second wir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sulator of the second contact sensor 142. The n-th side end 132 of the n-th wir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n-th insulator of the n-th contact sensor 143.

이러한 경우, 붕락발생 구역(101)에서 붕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하나 이상 의 와이어(110 내지 130)는 상기 붕락사고의 영향으로 인해 제2 측단(112 내지 132)에 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인력으로 인해 제2 측단(112 내지 132)에 각각 연결된 절연체가 각 접점센서(141 내지 14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this case, when a collapse accident occurs in the collapse occurrence region 101, one or more wires 110 to 130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ide ends 112 to 132 due to the impact of the collapse accident. Due to the attraction force, the insulators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ends 112 to 132 may be separated from the respective contact sensors 141 to 143.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점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c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센서(210)는 절연체(220)를 통해 와이어(230)와 연결된다. 와이어(230)는 제2 측단(232)이 절연체(220)와 연결되고 제1 측단(231)은 붕락발생 구역(201)을 기준으로 절연체(220)의 위치로부터 붕락발생 구역(201)의 건너편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와이어(201)가 붕락발생 구역(201)을 가로질러 위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sensor 210 is connected to the wire 230 through the insulator 220. The wire 230 has a second side end 232 connected to the insulator 220 and the first side end 231 is opposite the collapsed zone 201 from the position of the insulator 220 with respect to the collapsed zone 201. Wired 201 may be positioned across the collapse zone 201.

접점센서(210)는 제1 접점면(211) 및 제2 접점면(212)을 포함한다. 절연체(220)는 도 2의 위쪽 그림에서와 같이 제1 접점면(211) 및 제2 접점면(212)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절연체(220)는 와이어(230)로부터 가해지는 인력에 따라 제1 접점면(211) 및 제2 접점면(212)으로부터 탈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act sensor 210 includes a first contact surface 211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212. The insulator 220 may be attache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21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212 as shown in the upper figure of FIG. 2. The insulator 220 may be implemented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21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212 according to the attraction force applied from the wire 230.

절연체(220)가 제1 접점면(211) 및 제2 접점면(212)으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제1 접점면(211) 및 제2 접점면(212)은 도 2의 아래쪽 그림에서와 같이 서로 접점 온(on)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When the insulator 220 is detached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21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212, the first contact surface 21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212 are mutually as shown in the lower figure of FIG. 2. The contact may be implemented to be on.

도 2의 위쪽 그림에서와 같이, 평상시 절연체(220)는 접점센서(210)의 제1 접점면(211) 및 제2 접점면(212)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접점센서(210)는 절연체(220)로 인해 제1 접점면(211) 및 제2 접점면(212)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이격되 어 있으므로, 평상시 접점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As shown in the upper figure of FIG. 2, the insulator 220 is normally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21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212 of the contact sensor 210. Accordingly, the contact sensor 210 is norm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contact surface 21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212 due to the insulator 220, thereby maintaining a normal contact off state.

이에, 절연체(220)가 제1 접점면(211) 및 제2 접점면(212)를 서로 절연시켜 접점센서(210)가 접점 오프된 경우, 접점센서(210)를 포함하는 붕락발생 감시장치(110) 또한 파워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us, when the insulator 220 insulates the first contact surface 21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212 from each other and the contact sensor 210 is turned off,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including the contact sensor 210 ( 110 may also maintain a power off state.

이 때, 붕락발생 구역(201)에서 토석류나 선로 붕괴 등의 붕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붕락사고로 인하여 와이어(230)에 힘이 가해지면서 와이어(230)는 절연체(220)로 인력을 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collapse accident such as a soil flow or a line collapse occurs in the collapse occurrence region 201, the wire 230 is applied to the insulator 220 while a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230 due to the collapse accident. Can be.

와이어(230)의 상기 인력으로 인해 절연체(220)는 도 2의 아래쪽 그림에서와 같이 접점센서(210)의 제1 접점면(211) 및 제2 접점면(212)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절연체(220)가 접점센서(210)로부터 탈착된 경우, 제1 접점면(211) 및 제2 접점면(212)이 서로 밀착되어 접점센서(210)는 접점 온 상태가 된다. Due to the attraction of the wire 230, the insulator 220 may be detached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21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212 of the contact sensor 210 as shown in the lower figure of FIG. 2. When the insulator 220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sensor 210, the first contact surface 21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21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tact sensor 210 is in a contact-on state.

접점센서(210)가 접점 온 상태가 되면서 붕락발생 감시장치(100) 또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붕락발생 감시장치(100)는 평상시 파워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붕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접점센서(210)로부터 절연체(220)가 이탈하여 접점센서(210)가 접점 온 상태가 되면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As the contact sensor 210 becomes the contact on state,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100 may also be switched to the power on state. That is, when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100 maintains the power-off stat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 collapse accident occurs, the insulator 220 is separated from the contact sensor 210 and the contact sensor 210 is turned on as the contact-on state. Can be switched to a state.

다시 도 1에서, 제1 접점센서(141) 내지 제n 접점센서(143) 중 어느 하나의 접점센서가 접점 온되는 경우, 제어부(170)가 이를 감지하여 붕락발생 감시장치(100)는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when any one of the first contact sensor 141 to the n th contact sensor 143 is contact on, the control unit 170 detects this and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100 is powered on. Can be switched to a state.

구역 정보 데이터베이스(180)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정보, 하나 이상의 접점센서 정보, 및 상기 각 와이어가 위치하는 구역에 대한 와이어 구역 정보가 각각 서로 대응하여 기록된 구역 정보 테이블을 유지한다. 이는 도 3을 통해 설명한다.The zone information database 180 maintains a zone information table in which at least one wire information, at least one contact sensor information, and wire zone information for a zone in which each wire is located are record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정보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zone informa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정보 테이블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정보, 하나 이상의 점점센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와이어 구역 정보가 서로 대응하여 기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wire information, one or more increasingly sensor information, and one or more wire zone information may be recorded in the zone information t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제1 와이어"라는 와이어 정보에 대응하여 "제1 접점센서"라는 접점센서 정보 및 "토석류 구역 A"라는 와이어 구역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제2 와이어"라는 와이어 정보에 대응하여 "제2 접점센서"라는 접점센서 정보 및 "토석류 구역 B"라는 와이어 구역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제3 와이어"라는 와이어 정보에 대응하여 "제3 접점센서"라는 접점센서 정보 및 "토석류 구역 C"라는 와이어 구역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제n 와이어"라는 와이어 정보에 대응하여 "제n 접점센서"라는 접점센서 정보 및 "토석류 구역 N"이라는 와이어 구역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For example, contact sensor information "first contact sensor" and wire section information "earthwork zone A" may be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wire information "first wire". In addition, contact sensor information called "second contact sensor" and wire zone information called "earthwork zone B" may be recorded corresponding to wire information called "second wire". In addition, contact sensor information called "third contact sensor" and wire zone information called "earthwork zone C" may be recorded corresponding to wire information called "third wire". Further, the contact sensor information "n-th contact sensor" and the wire section information "earthwork zone N" may be recorded corresponding to the wire information "n-th wire".

즉, 본 발명에 따른 붕락발생 감시장치(100) 운영자는 n개의 와이어를 n개의 토석류 구역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 와이어에 대응하는 접점센서 정보 및 와이어가 설치된 각 구역에 대한 와이어 구역 정보를 상기 구역 정보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or of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n wires in n earthwork zones, respectively, and provides contact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wire and wire zone information for each zone where wires are installed. Can be recorded in zone information table.

또한, 상기 와이어 구역 정보는 해당 구역에 대한 좌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좌표 정보는 GPS 좌표 정보나 상기 운영자가 설정한 좌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 zon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zone. The coordinate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as GPS coordinate information or coordinates set by the operator.

다시 도 1에서, 제어부(170)는 제1 접점센서(141) 내지 제n 접점센서(143) 중 제1 접점센서(141)가 접점 온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구역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접점센서(141)에 대응하는 제1 구역 정보를 독출한다. 도 3의 예에서, 상기 제1 구역 정보는 "토석류 구역 A" 라는 와이어 구역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when the controller 170 detects that the first contact sensor 141 of the first contact sensor 141 to the n-th contact sensor 143 is contacted on, the first contact sensor from the zone information database is detected. The first zo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141 is read. In the example of FIG. 3, the first zone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with wire zone information called “earthwork zone A”.

알람 신호부(150)는 제1 접점센서(141)가 상기 접점 온되는 경우, 제1 접점센서(141)에 대응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한다. 즉, 알람 신호부(150)는 제어부(170)가 구역 정보 데이터베이스(180)로부터 독출한 상기 제1 구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한다. The alarm signal unit 150 generate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sensor 141 when the first contact sensor 141 is turned on. That is, the alarm signal unit 150 generates an alarm signal including the first zone information read out from the zone information database 180 by the controller 170.

또한, 알람 신호부터(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구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구역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적인 알람 신호만을 생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alarm signal 150 may generate an alarm signal including the first zone information, or may generate only a general alarm signal not including the first zone information.

촬영부(160)는 제1 접점센서(141)가 상기 접점 온되는 경우, 제1 접점센서(141)에 대응하는 구역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촬영부(160)는 제어부(170)가 구역 정보 데이터베이스(180)로부터 독출한 상기 제1 구역 정보를 통해 제1 접점센서(141)에 대응하는 제1 와이어가 위치한 제1 구역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60)는 상기 제1 구역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제1 와이어 위치에 대한 GPS 좌표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구역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60 generates photographing data by photograph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sensor 141 when the first contact sensor 141 is turned on. That is, the photographing unit 160 may photograph the first zone in which the first wi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sensor 141 is located through the first zone information read by the controller 170 from the zone information database 180. have.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unit 160 may generate photographing data of photographing the first region through GPS coordinat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wire position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information.

제어부(170)는 상기 생성된 알람 신호 및 상기 촬영 데이터를 통신부(190)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외부 서버는 붕락발생 감시장치(100)나 붕락발 생 구역(101)과는 원거리에 위치한 운영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transmits the generated alarm signal and the photographing data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The external server may be implemented as an operation server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100 or the collapse occurrence area 101.

통신부(190)는 상기 외부 서버와 이동통신망, PSTN 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통신 인프라를 설치하지 않고도 널리 구축되어 있는 기존의 통신 자원만으로도 통해 붕락발생을 감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90 may be networked with the external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STN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minimizing damage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collapse through existing communication resources that are widely established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붕락발생 감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점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c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역 정보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zone informa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붕락발생 감시장치 101: 붕락발생 구역100: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101: collapse occurrence area

110: 제1 와이어 111: 제1-1 측단110: first wire 111: first-first side end

112: 제1-2 측단 120: 제2 와이어112: 1-2 side end 120: second wire

121: 제2-1 측단 122: 제2-2 측단121: 2-1 side end 122: 2-2 side end

130: 제3 와이어 131: 제3-1 측단130: third wire 131: 3-1 side end

132: 제3-2 측단 141: 제1 접점센서132: 3-2 side end 141: first contact sensor

142: 제2 접점센서 143: 제n 접점센서142: second contact sensor 143: n-th contact sensor

150: 알람 신호부 160: 촬영부150: alarm signal unit 160: the recording unit

170: 제어부 180: 구역 정보 데이터베이스170: control unit 180: zone information database

190: 통신부190: communication unit

Claims (7)

제1 측단이 선정된(predetermined) 지점에 고정되고 제2 측단이 절연체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One or more wires having a first side end fixed at a predetermined point and a second side end connected with an insulator; 상기 절연체가 제1 접점면 및 제2 접점면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절연체가 상기 제1 접점면 및 상기 제2 접점면 사이에서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점면 및 상기 제2 접점면이 접접 온(on)되는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When the insulator is attache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and the insulator is detache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e or more contact sensors (on); 상기 접점 센서가 상기 접점 온되는 경우, 상기 접점 센서에 대응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신호부;An alarm signal unit generating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when the contact sensor is turned on; 상기 접점 센서가 상기 접점 온되는 경우, 상기 접점 센서에 대응하는 선정된 구역을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및A photographing unit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selected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ensor and generate photographing data when the contact sensor is turned on; And 상기 알람 신호 및 상기 촬영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and the shooting data to an external serv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락발생 감시장치.Disintegration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붕락발생 감시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 모두가 접점 오프 상태인 경우 파워 오프(power off)를 유지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접점 온되는 경우 파워 온(power 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락발생 감시장치.The collaps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maintains power off when all of the at least one contact sensor is in a contact off state, and is powered on whe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contact sensor is turned on. Disintegration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1 측단의 위치 및 상기 제2 측단의 위치는 상기 와이어가 토석류 발생 구역에 위치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구역에서 토석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측단과 연결된 상기 절연체가 상기 접점 센서의 상기 제1 접점면 및 상기 제2 접점면 사이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락발생 감시장치.The position of the first side end of the wire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ide end are set such that the wire is located in the earth flow generation zone, and when the earth flow occurs in the zone, the insulator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end is connected to the contact sensor. Disintegration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ed from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1 측단의 위치 및 상기 제2 측단의 위치는 상기 와이어가 선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선로가 붕괴하는 경우 상기 제2 측단과 연결된 상기 절연체가 상기 접점 센서의 상기 제1 접점면 및 상기 제2 접점면 사이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락발생 감시장치.The position of the first end of the wire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end of the wire are set so that the wire is located under the line, and when the line collapses, the insulator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of the contact sensor. Disintegration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from between the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나 이상의 와이어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 정보, 및 상기 각 와이어가 위치하는 구역에 대한 와이어 구역 정보가 각각 서로 대응하여 기록된 구역 정보 데이터베이스Zone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the at least one wire information, the at least one contact sensor information, and the wire zone information for the zone in which each wire is located are record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락발생 감시장치.Disintegration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 센서 중 제1 접점 센서가 접점 온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구역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접점 센서에 대응하는 제1 구역 정보를 독출하고,The controller reads first zo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sensor from the zone information database when it detects that a first contact sensor of the one or more contact sensors is turned on. 상기 알람 신호부는 상기 제1 구역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1 구역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구역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락발생 감시장치.And the alarm signal unit generates an alarm signal including the first zone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ing unit captures a first zo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zon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 서버와 이동통신망, PSTN망, 및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되는 통신부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any one of the external serv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STN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신호 및 상기 촬영 데이터가 이동통신망, PSTN망, 및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락발생 감시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larm signal and the photographing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erver through any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STN network, and an internet network.
KR1020080079995A 2008-08-14 2008-08-14 Apparatus for observing collapse KR1009750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995A KR100975074B1 (en) 2008-08-14 2008-08-14 Apparatus for observing collap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995A KR100975074B1 (en) 2008-08-14 2008-08-14 Apparatus for observing collap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208A true KR20100021208A (en) 2010-02-24
KR100975074B1 KR100975074B1 (en) 2010-08-11

Family

ID=4209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995A KR100975074B1 (en) 2008-08-14 2008-08-14 Apparatus for observing collap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0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2652A (en) * 2019-12-05 2020-04-10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八地质大队(山东省第八地质矿产勘查院) Dangerous rock slope geological disaster remote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arameter fus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2137A (en) * 1999-01-30 2000-08-16 성인경 Falling rock monitor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for using falling rock sensing means
JP2001034874A (en) 1999-07-21 2001-02-09 Keisoku Giken:Kk Disaster detection sensor transmission device
KR100447083B1 (en) 2003-10-28 2004-09-04 (주)지엠지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a slope used internet
KR100755207B1 (en) * 2006-09-22 2007-09-04 (주)한일에스티엠 Method for Monitoring Disaster Around Road and System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2652A (en) * 2019-12-05 2020-04-10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八地质大队(山东省第八地质矿产勘查院) Dangerous rock slope geological disaster remote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arameter fusion
CN110992652B (en) * 2019-12-05 2020-08-11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八地质大队(山东省第八地质矿产勘查院) Dangerous rock slope geological disaster remote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arameter fu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074B1 (en)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hlemann et al. Assessment of ground-based monitoring techniques applied to landslide investigations
JP4299355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pile
KR102124546B1 (en) Management and warning system of falling rock and soil and stone measure facilities to be communicated with the slope warning device
Angeli et al. A critical review of landslide monitoring experiences
CN205665842U (en) Optical fiber sensing slope monitoring early warning system
Intrier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andslide early warning system
KR1008144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ebris flow landslides
Chung et al. Local rainfall thresholds for forecasting landslide occurrence: Taipingshan landslide triggered by Typhoon Saola
Dixon et al. Stability monitoring of a rail slope using acoustic emission
CN103996269A (en) Wireless data collecting control system
Huang et al. Use of monitoring data to interpret active landslide movements and hydrological triggers in three gorges reservoir
Sheikh et al. Rainfall-induced unstable slop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through tilt sensors
KR20110050046A (en) Debris flow sensing system and method using vibrating sensor
Oguz et al. IoT-based strategies for risk management of rainfall-induced landslides: a review
KR100975074B1 (en) Apparatus for observing collapse
KR101598985B1 (en) Land slide alarming apparatus
Noguchi et al. Minimizing the effect of natural disasters
CN11548553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alth, condition and/or status of an infrastructure equipped with sensors
Wooten et al. Responses to landslides and landslide mapping on the blue ridge escarpment, Polk County, North Carolina, USA
CN203849835U (en) Wireless data acquisition control system
Pratt et al. A landslide hazard rating system for Colorado highways
Delmonaco et al. Advancedmonitoring Systems for Landslide Risk Reduction in THE'SIQ'of PETRA (jordan)
KR102305464B1 (en) Landslide detecting module of field er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JP2000046597A (en) River bank wide area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river wide area remote total monitoring system
Li et al. Development of wireless sensor node for landslid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