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641A -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 - Google Patents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641A
KR20100020641A KR1020080079321A KR20080079321A KR20100020641A KR 20100020641 A KR20100020641 A KR 20100020641A KR 1020080079321 A KR1020080079321 A KR 1020080079321A KR 20080079321 A KR20080079321 A KR 20080079321A KR 20100020641 A KR20100020641 A KR 20100020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foreign matter
flow path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7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641A/ko
Publication of KR20100020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는 분리케이스; 분리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에 원심력이 생성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격벽; 및 유로에 형성되어 공기를 정체시키는 정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는 공기의 흐름이 약해지는 정체구간이 형성되어, 비산되는 먼지를 낙하시켜 분리효율을 향상시킨다.
청소기, 이물질, 유로, 정체

Description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VACUUM CLEANER FOR SCATTERING PREVENTION OF DUS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에 정체구간을 형성하여 하중이 작은 이물질의 낙하를 유도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모터의 구동에 따른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사이클론 방식으로 먼지를 분리하여 별도의 먼지봉투가 필요로 하지 않는 청소기가 개발되어 소비자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도 1은 종래 사이클론 방식의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기의 먼지통(10)에는 흡기구(11)와 배기구(12)가 형성되고,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흡기구(11)를 통해 먼지통(10)으로 유입된다.
먼지통(10) 내부에는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실(13)이 구비되고, 집진실(13)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회전되도록 가이드 하는 분리기(14)가 구비 된다. 이러한 분리기(14) 내부에는 미세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5)가 구비된다.
따라서, 흡기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분리기(14)에 의해 회전된 후 필터(15)를 거쳐 배기구(1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공기가 분리기(14)에서 회전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자체의 하중에 의해 이물질이 집진실(13)에 저장된다.
도 2는 종래 분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리기(14)는 분리케이스(21) 내부에 원심력을 유발하는 격벽(22)이 구비된다. 따라서, 흡기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격벽(22)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물질과 분리되는 과정이 분리실(23)에서 발생한다. 도면부호 15는 필터로써,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가 필터(15)로 유입되어 걸러진 다음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 청소기에서 하중이 큰 이물질은 낙하되어 잘 쌓이지만, 하중이 작은 이물질은 낙하되지 않고 일정시간 떠다니게 된다.
한편, 필터의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떠다니는 이물질 중 일부가 필터에 흡착되어 필터의 흡입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정체구간을 형성하여 하중이 작은 이물질이 낙하되도록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는 분리케이스; 상기 분리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에 원심력이 생성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격벽; 및 상기 유로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를 정체시키는 정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정체부는 상기 격벽에서 돌출 형성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체부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는 유속이 감소되는 정체구간이 형성되어, 하중이 작은 이물질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먼지통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청소기(100)에는 본체(20)와 먼지통(30)이 구비된다. 본체(20)는 미도시한 모터에 의해 흡입력이 생성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먼지통(30)은 공기가 유입되어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부(40)와 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부(50)로 구분된다.
분리부(40)에는 흡기구(41)가 형성되어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고 후술할 격벽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는 원심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하중을 갖는 이물질은 낙하한다.
집진부(50)는 분리부(4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고 이물질이 저장되는 집진실(5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본체(20)의 상부에 집진부(50)가 안착되고, 집진부(50)의 상부에 분리부(40)가 안착된다.
먼지통(30)은 본체(2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하며, 집진부(50)와 분리부(40) 중 어느 하나가 본체(20)에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분리부(40)의 외측에는 먼지통결합체(42)가 구비되고, 본체(20)의 외주면에는 먼지통결합체(42)에 걸림 고정되는 본체결합체(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본체결합체(22)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먼지통결합체(42)에 걸림 고정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먼지통결합체(42)에서 이탈된다.
집진부(50)에는 필터(54)가 구비된다. 따라서, 분리부(40) 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낙하되는 이물질은 집진부(50)에 저장되고, 공기는 필터(54)를 거쳐 배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부(40)의 외관에 해당되는 분리케이스(43)에는 흡기구(41)가 형성된다. 이러한 흡기구(41)를 통해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분리케이스(43) 내부로 유입된다.
분리케이스(43) 내부에는 유입된 공기에 원심력이 생성되도록 유로(80)를 형성하는 격벽(45)이 구비된다.
따라서, 격벽(45)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분리케이스(43)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원심력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하중을 갖는 이물질이 낙하되어 도 4의 집진실(51)에 저장된다.
상기 유로(80)에는 정체부(6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정체부(60)는 유속을 감소시켜 공기를 정체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정체부(60)는 격벽(45)에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되어 와류를 형성한다. 또한, 정체부(60)는 곡률이 형성되어 공기가 지속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흡기구(41)를 통해 분리케이스(43) 내부로 유입되고, 격벽(45)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심력이 발생된다.
이때, 공기는 유로(80)를 이동하게 되는데, 하중이 큰 이물질은 자체 하중에 의해 낙하되고, 하중이 작은 이물질은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공기에 의해 부유하게 된다.
한편, 격벽(45)에 정체부(60)가 형성되는 지역에는 와류가 형성되어 공기가 신속히 이동되지 않는 정체구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공기는 정체구간을 통과하면서 흐름이 약해지 고, 이에 따라 하중이 작은 이물질은 낙하되어 이물질 분리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이클론 방식의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분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먼지통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30 : 먼지통
40 : 분리부 50 : 집진부
60 : 정체부 80 : 유로

Claims (3)

  1.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가 형성되는 분리케이스;
    상기 분리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에 원심력이 생성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격벽; 및
    상기 유로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를 정체시키는 정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체부는 상기 격벽에서 돌출 형성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 방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체부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가변형 청소기.
KR1020080079321A 2008-08-13 2008-08-13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 KR20100020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321A KR20100020641A (ko) 2008-08-13 2008-08-13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321A KR20100020641A (ko) 2008-08-13 2008-08-13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641A true KR20100020641A (ko) 2010-02-23

Family

ID=4209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321A KR20100020641A (ko) 2008-08-13 2008-08-13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06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7161B2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EP3000371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CN105534405B (zh) 具有电机冷却的真空吸尘器
EP2937030B1 (en) Cyclonic separation device
KR20090074588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EP2918211B1 (en) Cyclonic separation device
JP2007275867A (ja) サイクロン、サイクロン空気清浄機及びその空気清浄方法
WO2021063402A1 (zh) 工业吸尘器
JP5905748B2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EP3005923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EP3009059A1 (en) Cleaner
CN105534406B (zh) 具有分离级之间的电机的真空吸尘器
KR100546622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2638412B1 (ko) 진공청소기를 위한 분리 시스템 및 분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EP3005924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7000063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100020641A (ko) 이물질 비산 방지 청소기
JP2014018432A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JP5821980B2 (ja) 遠心分離装置
KR100789837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JP5472417B1 (ja) 遠心分離装置
KR100595230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701178B1 (ko) 집진향상용 먼지통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JP2011098082A (ja) 電気掃除機
KR100617093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