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577A -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안테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577A
KR20100020577A KR1020080079234A KR20080079234A KR20100020577A KR 20100020577 A KR20100020577 A KR 20100020577A KR 1020080079234 A KR1020080079234 A KR 1020080079234A KR 20080079234 A KR20080079234 A KR 20080079234A KR 20100020577 A KR20100020577 A KR 2010002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trip antenna
ground plane
antenna
circularly polarized
radi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671B1 (ko
Inventor
우종명
김영로
신동헌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6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8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전계가 강한 네 끝단에 각각 플레이트를 부착하고, 이를 접지면에 근접시켜 선단 장하(裝荷) 용량 증가로 안테나를 소형화하고, 그 간격을 조정하여 안테나 실효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필요로 하는 공진주파수에 정확하게 임피던스 정합이 가능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공함에 그 특징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 밑에 위치하여 접지기능을 수행하는 접지면; 및 상기 접지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급전점을 포함하는 방사소자; 로 구성되되, 상기 방사소자는, '┼' 자 형상의 네 선단에서 방사소자 안쪽으로 방향으로 'ㄷ' 자 모양으로 절곡된 폴디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레이트 장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Description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TUNABLE CIRCULAR POLARIZATION MICROSTRIP ANTENNA USING PLATES LOADING}
본 발명은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UHF 대역 특정 소 출력 무선기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424.7∼424.95MHz)에서 공진주파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상용화된 400MHz 대역 소 출력 무선통신 모듈은 비록 10mW의 송신출력을 사용하고 있으나, 개활지에서는 입력임피던스가 잘 정합된 안테나를 사용하면 수신감도가 우수하여 상당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시내 지역에서는 노이즈, 멀티패스 페이딩, 편파 틸팅 등에 의하여 통신거리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외부 설치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원형편파 안테나가 적합하나 400MHz 대역의 ISM 밴드에서는 파장에 비례하여 안테나의 크기가 매우 커지므로 실용성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안테나의 소형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소형화를 위하여 고유전체를 사용하는 방법, slit이나 slot, 단락핀을 이용하는 방법, 플레이트를 부착하거나 마이크로스트립 구조의 변형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소형화는 가능하나 실제의 적용에 있어서 대역폭이 매우 좁아져서 설치 주변환경 등의 영향으로 공진주파수의 변화와 임피던스 부정합은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되고 있다. 게다가, 원형편파 안테나의 경우 이러한 설치환경 변화에 대하여 각종 파라미터들이 민감하게 작용하므로 더욱 미세조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전계가 강한 네 끝단에 각각 플레이트를 부착하고, 이를 접지면에 근접시켜 선단 장하(裝荷) 용량 증가로 안테나를 소형화하고, 그 간격을 조정하여 안테나 실효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필요로 하는 공진주파수에 정확하게 임피던스 정합이 가능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공함에 그 특징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 밑에 위치하여 접지기능을 수행하는 접지면; 및 상기 접지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급전점을 포함하는 방사소자; 로 구성되되, 상기 방사소자는, '┼' 자 형상의 네 선단에서 방사소자 안쪽으로 방향으로 'ㄷ' 자 모양으로 절곡된 폴디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사소자는, 소정의 폭을 갖으며 '┼' 자 형상의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네 선단에서 접지면 방향으로 각각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연장부 내지 제 4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 내지 제 4 연장부의 단부에서 방사소자 안쪽으로 평판부와 평행하게 각각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접이부 내지 제 4 접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부 네 선단과, 제 1 접이부 내지 제 4 접이부는, 서로 다른 폭을 갖음으로써 안테나의 장하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부의 네 선단의 폭(W1, W2, W3, W4)은, 제 1 접이부 내지 제 4 접이부의 폭(W9, W10, W11, W12)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상기 접지면과 접이부와의 간격을 스크류를 통해 변화시킴으로써, 공진주파수 및 입력임피던스가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부는, 그 하부에 위치하여 방사소자와 접지면을 소정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부는, 그 중앙에 급전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평판부와 연장부, 연장부와 접이부는, 서로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트립의 네 선단에 각각 장하된 플레이트를 스크류로 조정함으로써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실효길이를 조절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비하여 방사소자의 크기가 70% 축소되었으며, 장하된 플레이트와 접지면과의 높이 조정으로 공진주파수를 360MHz에서 460MHz까지 소형 원형편파 안테나로 안정되게 조절됨을 보였다. 이로써 제안된 방법이 UHF 특정 소 출력 무선기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대역(424.7∼424.95 MHz)에서의 공진주파수를 조절 가능한 안테나로서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 및 특성 기술에 앞서, 기본이 되는 공진주파수 임의조절 선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이하,'기본 안테나')를 설계하도록 한다.
공진주파수가 425MHz인 경우 접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20mm, 폭이 50mm일 때 프린징을 고려한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방사소자 공진 길이는 329mm이며, 50Ω 정합된 급전점은 마이크로스트립의 중심에서 약 27mm 치우친 점에 위치한다. 그러나, 전계가 강한 부분을 눌러 공간적 변화를 주면 섭동법에 의하여 공진주파수가 하향하므로 상대적으로 안테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소형화에 유리하다.
도 1a 는 공진주파수가 425MHz인 소 출력 무선기기용 안테나인 기본 안테나에 관한 단면도로서, 실제 적용조건상 폭 134mm × 길이 184mm × 높이 1.6mm의 FR4 양면기판을 접지면으로 사용하였고, 마이크로스트립은 0.6mm 두께의 황동판을 채택하였다. 접지면과의 높이도 적용조건에 맞추어 20mm로 설계하였다. 이러한 접지면의 크기는 마이크로스트립 높이의 2배 정도의 프린징 영역이 필요하므로 이 조 건을 고려하여 실장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트립의 크기는 폭 50mm × 길이 110mm이다. 그러나 실제 설계에 있어서는 마이크로스트립의 길이를 110mm로 축소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도 1a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계가 강한 양쪽 선단을 'ㄷ' 모양으로 절곡하여 접지면에 근접시켰고 각 선단과 접지면의 간격을 스크류 L, S로 조정하였다. 여기서, 급전점을 안테나 중앙에 위치시켰으며, 이는 급전 및 안테나 지지 기능을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입력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양단의 스크류를 조정하였다.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와 접지면과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높이가 낮아지면 공진주파수가 하향되고 높이가 높아지면 공진주파수가 상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안테나 양 끝단이 전계 에너지가 강한 곳으로 스크류 조정으로 이들의 체적을 변화시켜 섭동법에 의한 주파수 변화 및 임피던스 정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공진주파수가 425MHz인 소 출력 무선기기용 안테나로서,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접지면(100) 및 방사소자(200)로 구성된다.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미도시)는 접지면(100)과 방사소자(20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접지면(100)은 금속재질로서 통상의 접지(GND)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전체의 유전율 및 그 형상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지면은 다양한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이 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방사소자(200)는 접지면(10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급전점(Feeding Point:FP)이 위치하고 있다. 급전점(FP)은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설정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이 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원형편파 적용조건에 맞추기 위하여 접지면(100)의 크기를 폭 179mm × 길이 179mm로 변경하였고, 방사소자(200)는 0.6mm 두께의 황동판을 사용하였으며, 접지면(100)과의 높이도 적용조건에 맞추어 20mm로 설계하였다.
이러한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는 주변환경 변화에도 공진 특성유지가 가능하며 동시에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소형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 자형 안테나 형태로 설계하였으며 방사소자(200)의 가로축과 세로축의 길이는 100mm로 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폭을 줄이면 주파수의 변화 뿐만 아니라 급전점의 위치 또한 중심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여기서 플레이트 높이 조절로 급전점(FP)이 물리적으로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 특징적인 일양상에 따른 방사소자(200)는, '┼' 자 형상의 네 선단에서 방사소자(200) 안쪽으로 방향으로 'ㄷ' 자 모양으로 절곡된 폴디드(folded)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방사소자(200)는 '┼' 자 형상인 평판부(210), 평판부(210)의 네 선단에서 접지면(100) 방향으로 각각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연장부 내지 제 4 연장부(220:221,222,223,224) 및 각 연장부(220:221,222,223,224)의 단부에서 방사소자(200) 안쪽으로 평판부(210)와 평행하게 각각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접이부 내지 제 4 접이부(230:231,232,233,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평판부(210) 하부에 위치하여 방사소자와 접지면을 소정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부재(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평판부(210), 연장부(220) 및 접이부(230)는 그 각각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며, 도 2a 및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평판부, 연장부, 접이부가 서로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210)의 네 선단의 폭(W1, W2, W3, W4)은 30mm 이다. 또한, 제 1 연장부 내지 제 4 연장부(220:221,222,223,224)는 50mm(폭(W5, W6, W7, W8) × 17mm(높이(L1, L2, L3, L4))를 갖는다(도 2d 위치상, 제 2 연장부(222)의 높이(L2)만 표기).
그리고, 제 1 접이부 내지 제 4 접이부(230:231,232,233,234)는 50mm(폭(W9, W10, W11, W12)) × 16mm(길이(L5, L6, L7, L8))을 갖는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평판부(210)의 네 선단의 폭(W1, W2, W3, W4)은 30mm이며, 각 접이부(230:231,232,233,234)의 폭(W9, W10, W11, W12)은 50mm이다. 이는 윗 부분(평판부)의 폭을 좁게 구성하여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접지면 부근(접이부)에 서는 폭을 넓혀 상대적인 장하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방사소자(200)의 네 선단에 폴디드 구조를 적용하여 '접지면과 가까운 소자와의 간격' 즉, '접지면(100)과 접이부(230:231,232,233,234)와의 간격'을 스크류에 의해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부터 안테나의 공진주파수 및 입력임피던스가 조정되고 원형편파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d 를 참조하여 이들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공진주파수의 임의조절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임의조절 선형편파 안테나에서와 마찬가지로 원형편파 안테나에서도 스크류에 의해 장하된 플레이트와 접지면과의 높이 조정으로 높이가 낮아질수록 전계 에너지 변화량이 커져 공진주파수가 하향되고, 접지면과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전계 에너지 변화량이 작아져 공진주파수가 상향되게 된다. 이로 인해, 급전점은 중앙에 있지만, 급전점 옵셋과 같은 효과를 얻어 임피던스 정합이 가능하다.
임의의 주파수 조절의 예로 388MHz와 453MHz에서 정합을 시켰으며, 도 3a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진주파수와 입력임피던스가 쉽게 조절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래의 [표 1] 에는 스크류 조정에 의해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모두 -10dB 리턴로스 대역폭이 매우 협소하다. 소 출력 무선기기용 밴드(424.7∼424.95MHz)를 확보하고 있으며, 주변설치 환경에 따른 공진주파수 이동도 스크류 조정에 의해 가능하므로 오히려 좁은 밴드가 불필요한 신호를 억제하여 S/N 개선 및 전원소비 억제의 장점이 있다.
공진주파수 -10dB 대역폭 S11 (dB)
388MHz 2.75MHz(0.7%) -14.5dB
425MHz 2.5MHz(0.59%) -13.6dB
453MHz 2.5MHz(0.55%) -10.4dB
[표 1] 공진주파수별 특성 비교
도 3b 및 도 3c 에는 방사패턴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플레이트 장하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0.85dBd의 최대이득을 얻었다. 이것은 제안된 안테나의 반사판의 크기가 179mm로 425MHz 파장의 1/4 밖에 되지 않으므로, 후엽이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도 3b 의 (a)와 도 3c 의 (b)의 이득은 약 3dB 차이가 생겼는데 이는 축비가 정확하게 맞지 않아서 이득의 차이가 생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에서 180°의 후엽 E-plane과 H-plane의 레벨차는 접지면이 작아서 낮은 후엽레벨이 상대적으로 급전선과 측정셋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스크류를 조정하여 중심주파수를 425MHz로 조절한 후에, 주파수를 변화시켜가면서, 축비를 측정하였다. 축비가 3dB 이하인 주파수 대역은 424.6∼425.4MHz로 0.9MHz(0.21%)를 얻었고, 축비가 2dB 이하인 주파수 대역은 424.8∼425.1MHz로 0.4MHz(0.095%)를 얻었다. 3dB 이하 축비 대역폭은 매우 협소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의 주파수 대역폭을 만족시켰으며, 주변환경 변화에 의한 중심주파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환경에 의한 대역폭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UHF 대역의 소 출력 무선통신기기에 적용함에 있어서 소형이면서 사용 설치환경에 의한 공진주파수 이동과 임피던스 부정합문제, 노이즈, 멀티패스 페이딩에 의한 감쇠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진주파수 미세조절 마이크로스트립 원형편파 안테나를 제시하였다. 그 방법으로 마이크로스트립의 네 선단에 각각 장하된 플레이트를 스크류로 조정함으로써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실효길이를 조절가능하게 하였다.
제작 시험결과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비하여 방사소자의 크기가 70% 축소되었다. 또한, 장하된 플레이트와 접지면과의 높이 조정으로 공진주파수를 360MHz에서 460MHz까지 소형 원형편파 안테나로 안정되게 조절됨을 보였다. 안테나의 최대이득은 -0.85dBd로 측정되었고, 3dB 이하의 축비 대역폭은 0.21%를 얻었다. 이로써 제안된 방법이 UHF 특정 소 출력 무선기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대역(424.7∼424.95 MHz)에서의 공진주파수를 조절 가능한 안테나로써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른 공진주파수가 425MHz인 소 출력 무선기기용 안테나인 기본 안테나에 관한 단면도.
도 1b 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안테나의 L과 S 조정에 의한 공진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정면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평면도.
도 2c 및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실제 사진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공진주파수의 임의조절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방사패턴(수평편파)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방사패턴(수직편파)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d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축비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접지면 200: 방사소자
210: 평판부 220: 연장부
221: 제 1 연장부 222: 제 2 연장부
223: 제 3 연장부 224: 제 4 연장부
230: 접이부 231: 제 1 접이부
232: 제 2 접이부 233: 제 3 접이부
234: 제 4 접이부

Claims (8)

  1.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있어서,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 밑에 위치하여 접지기능을 수행하는 접지면(100); 및
    상기 접지면(10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급전점(FP)을 포함하는 방사소자(200); 로 구성되되,
    상기 방사소자(200)는, '┼' 자 형상의 네 선단에서 방사소자(200) 안쪽으로 방향으로 'ㄷ' 자 모양으로 절곡된 폴디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소자(200)는,
    소정의 폭을 갖으며 '┼' 자 형상의 평판부(210);
    상기 평판부(210)의 네 선단에서 접지면(100) 방향으로 각각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연장부 내지 제 4 연장부(220:221,222,223,224); 및
    상기 제 1 연장부 내지 제 4 연장부(220:221,222,223,224)의 단부에서 방사소자(200) 안쪽으로 평판부(210)와 평행하게 각각 소정길이 연장된 제 1 접이부 내 지 제 4 접이부(230:231,232,233,23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210) 네 선단과, 제 1 접이부 내지 제 4 접이부(230:231,232,233,234)는, 서로 다른 폭을 갖음으로써 안테나의 장하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210)의 네 선단의 폭(W1, W2, W3, W4)은, 제 1 접이부 내지 제 4 접이부(230:231,232,233,234)의 폭(W9, W10, W11, W12)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상기 접지면(100)과 접이부(230)와의 간격을 스크류를 통해 변화시킴으로써, 공진주파수 및 입력임피던스가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210)는,
    그 하부에 위치하여 방사소자(200)와 접지면(100)을 소정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부재(21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210)는,
    그 중앙에 급전점(F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210)와 연장부(220), 연장부(220)와 접이부(230)는, 서로에 대 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20080079234A 2008-08-13 2008-08-13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안테나 KR100981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234A KR100981671B1 (ko) 2008-08-13 2008-08-13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234A KR100981671B1 (ko) 2008-08-13 2008-08-13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577A true KR20100020577A (ko) 2010-02-23
KR100981671B1 KR100981671B1 (ko) 2010-09-10

Family

ID=4209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234A KR100981671B1 (ko) 2008-08-13 2008-08-13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6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986A (ko) * 2014-08-01 2016-02-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45937B1 (ko) * 2017-04-12 2018-04-05 (주)지에쓰씨 원형 편파 안테나
WO2022202418A1 (ja) * 2021-03-26 2022-09-29 株式会社ヨコオ 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装置
WO2024043241A1 (ja) * 2022-08-22 2024-02-29 原田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16Y1 (ko) * 2003-09-17 2003-12-24 (주)에어링크테크놀로지 H-슬롯을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KR100562788B1 (ko) * 2003-11-11 2006-03-2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폴디드식 소형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KR100706185B1 (ko) * 2005-08-02 2007-04-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구조의 만자형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986A (ko) * 2014-08-01 2016-02-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45937B1 (ko) * 2017-04-12 2018-04-05 (주)지에쓰씨 원형 편파 안테나
WO2022202418A1 (ja) * 2021-03-26 2022-09-29 株式会社ヨコオ 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装置
WO2024043241A1 (ja) * 2022-08-22 2024-02-29 原田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671B1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6277B2 (en)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P0637094B1 (e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KR100799875B1 (ko)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EP2151017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tenna assemblies with folded patch-antenna structures
US6137445A (en) Antenna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GB2402552A (en) Broadban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system
US20090051611A1 (en) Antenna with active elements
US8654013B2 (en) Multi-band antenna
CN111656612A (zh) 偶极天线
WO2006084951A1 (en) Internal monopole antenna
US20050057400A1 (en) Dual-band antenna having small size and low height
JP2003505963A (ja) 容量性同調広帯域アンテナ構造
EP17569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planar antennas
CN110380205B (zh) 一种基于多谐振模式的pifa
CN109286075B (zh) 差分馈电的平面倒f型天线
KR100981671B1 (ko) 플레이트 장하를 이용한 미세조절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안테나
KR20190117758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러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EP1483803B1 (en) Microwave antenna
KR20020031920A (ko)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KR100992864B1 (ko) Cdma 대역과 uwb 대역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광대역 안테나
KR100416883B1 (ko)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
US6618015B2 (en) Antenna for use with radio device
JPH09214244A (ja) 二周波共振アンテナ装置
JP3941069B2 (ja) プリント基板型モノポールアンテナ
KR100862492B1 (ko) 칩 안테나 실장용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