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198A -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198A
KR20100020198A KR1020080078883A KR20080078883A KR20100020198A KR 20100020198 A KR20100020198 A KR 20100020198A KR 1020080078883 A KR1020080078883 A KR 1020080078883A KR 20080078883 A KR20080078883 A KR 20080078883A KR 20100020198 A KR20100020198 A KR 20100020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block
blocks
cedar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464B1 (ko
Inventor
이화숙
Original Assignee
이화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숙 filed Critical 이화숙
Priority to KR102008007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4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도구조는 보도의 경계를 따라 배치됨으로 인해 보도영역을 구획하도록 한 삼나무 재질의 경계블럭; 상기 경계블럭이 구획하는 보도영역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보도를 형성하도록 한 삼나무 재질의 제1보도블럭; 상기 제1보도블럭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됨으로 인해 각 열과 경계블럭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져 채움으로써 보도를 완성하도록 한 삼나무 재질의 제2보도블럭; 및 상기 제1 및 제2보도블럭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응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보도블럭의 배열 시공시 서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시공되는 상기 제1 및 제2보도블럭들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한 제1끼움돌기와 제1끼움홈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시공작업이 편리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목재 보도구조가 제공된다.
삼나무, 보도블럭, 경계블럭

Description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THE SIDEWALK STRUCTURE OF THE JAPANESE CEDAR BLOCK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이 쉬우면서도 구조가 견고하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자용 도로에 주로 설치되는 시멘트나 콘크리트 보도블럭은 강도는 강하나 느낌이 차갑고, 시공이 어려우며, 자연 무늬의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공원이나 정원, 산책로 등과 같이 자연 친화적인 조경용으로는 부적합하여, 최근에는 목재로 보도블럭을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위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기존의 보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 위에 골재(1)를 깔고, 그 위에 경계블럭(3)과 다수의 받침목(5)를 배치한 다음, 받침목(5) 위에 목재보도블럭(7)을 배열한 후, 목재보도블럭(7)으로부터 경계블럭(3)을 향해 또는 받침목(5)을 향해 나사못 등(8)을 박아 고정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때 목재보도블럭(7)으로는 주로 3∼4m의 길이(가로)에 폭(세로)이 100㎜이고 두께(높이)가 60㎜인 사각블럭이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보도구조는 날씨 변화에 따라 목재보도블럭(7)에서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서로 벌어져 보행을 어렵게 하거나, 그 사이로 각종 공해물질이 채워져 악취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목재보도블럭(7) 각자가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자가 하중을 받아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나사못 등(8)의 헤드가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고, 나사못 등(8)이 부식되거나 나사못 쪽으로 물이 스며들어 목재보도블럭(7)이 썩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 공정이 많아 시공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이 쉬우면서도 구조가 견고하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도구조는 보도의 경계를 따라 배치됨으로 인해 보도영역을 구획하도록 한 삼나무 재질의 경계블럭; 상기 경계블럭이 구획하는 보도영역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보도를 형성하도록 한 삼나무 재질의 제1보도블럭; 상기 제1보도블럭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됨으로 인해 각 열과 경계블럭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져 채움으로써 보도를 완성하도록 한 삼나무 재질의 제2보도블럭; 및 상기 제1 및 제2보도블럭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응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보도블럭의 배열 시공시 서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시공되는 상기 제1 및 제2보도블럭들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한 제1끼움돌기와 제1끼움홈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보도블럭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이 더 형성되고 하면에는 휨방지홈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및 제2보도블럭은 80% 이상이 심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보도가 시공되는 노면 위에는 자갈이나 쇄석으로 이루어진 골재층과 모래층이 순차로 적층되고, 경계블럭은 모래층 위에 배치됨으로써 보도영역을 구획함 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경계블럭에는 결합수단과 대응하여 끼움 결합하는 제2끼움돌기와 제2끼움홈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보도블럭은 가로×세로×높이가 300㎜×100㎜×100㎜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보도구조 시공방법은 보도가 시공되는 노면 위에 자갈이나 쇄석을 고르게 포설(鋪設)하여 골재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골재층 위에 모래를 고르게 포설하여 모래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모래층 위에 보도의 경계를 따라 경계블럭을 배치하여 보도영역을 구획하는 제3단계; 및 끼움돌기와 끼움홈을 서로 끼움 결합하면서 경계블럭들이 구획하는 보도영역 내에 제1 및 제2보도블럭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여 보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 목재 보도구조의 시공작업이 편리해지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에서 제1 및 제2목재보도블럭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블럭들이 삼나무 통나무에서 가공되 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는 보도영역을 구획하는 경계블럭(111)을 구비하고 있다. 경계블럭(111)은 보도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어 보도영역을 구획한다. 경계블럭(111)은 사각형상을 이루어 보도영역을 구획하고 있고, 시공의 유연성을 위해 길이를 달리 해서 제작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보도영역의 구획은 모래층(121) 위에서 이루어진다. 모래층(121) 아래에는 자갈이나 쇄석으로 이루어지는 골재층(123)이 자리를 잡고, 골재층(123) 아래에는 노면이 자리를 잡는다. 모래층(121)과 골재층(123)은 투수력이 좋아 물고임 등을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하고, 모래층(121)은 표면의 평탄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순서를 보면, 노면 위에 자갈이나 쇄석을 일정 높이로 고르게 포설(鋪設)해서 골재층(123)을 형성하고, 골재층(123) 위에 모래를 일정 높이로 고르게 포설해서 모래층(121)을 형성한 후, 그 모래층(121) 위에 보도의 경계를 따라 경계블럭(111)을 배치하여 보도영역을 구획한다.
이처럼 보도영역이 구획되면, 보도영역 내에 제1보도블럭(131)과 제2보도블럭(133)을 배열하여 목재보도를 완성한다.
제1보도블럭(131)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보도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 이 배열되면 각 열의 좌우측 어느 한 곳과 경계블럭(111)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제2보도블럭(133)은 그 공간에 끼워져 채움으로써 목재 보도를 완성시킨다.
제1보도블럭(131)은 가로×세로×높이가 300㎜×100㎜×100㎜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제2보도블럭(133)은 제1보도블럭(131)의 1/2 크기로 제작되어 제1보도블럭(131)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때 경계블럭(111), 제1 및 제2보도블럭(131,133)으로는 삼나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삼나무는 가공되어도 그 가공면으로부터 진액 즉, 송진이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목재로 제작되는 보도블럭보다 내구성이 강하고 습기에 잘 견디기 때문에 블럭들(111,131,133)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촉감이 좋아 보행 촉감을 매우 좋게 한다. 그리고 블럭들(111,131,133)의 표면에 살아 있는 삼나무의 나무 무늬결은 보행자에게 상당한 심미감을 준다.
이처럼 블럭들(111,131,133)의 주재(主材)로 사용되는 삼나무는 낙우송과로, 연평균기온 12∼14℃, 강우량 3,000mm 이상 되는 계곡에서 잘 자란다. 높이는 40m이고, 지름은 1∼2m에 달하며, 수피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며 가지와 잎이 빽빽이 나서 원뿔 모양의 수형이 된다. 잎은 굽어진 바늘 모양이고 나선 모양으로 배열하며 말라도 떨어지지 않는다. 삼나무 목재의 변재는 백색으로 넓고, 심재는 담홍색이며 때때로 암갈색, 흑갈색으로 심, 변재 구분이 명확하고 수(髓)분분은 적색 또는 흑색이다.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갗은 거칠며 특유의 냄새가 나며 내구성이 크고 건조 속도가 빠르며, 절삭가공 및 접착성이 양호한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삼나무로 제작되는 제1 및 제2보도블럭(131,133)은 80% 이상이 심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매우 단단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나무 통나무는 중심부에 있는 단단한 부분의 심재와 통나무의 겉부분을 이루는 변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변재는 나무향이 약하고 몸은 무르며 질이 거칠기 때문에 건축 목재로는 적당하지 않다. 100㎜로서 기존 블럭(60㎜)보다 두께(높이)가 두꺼운 제1 보도블럭(131)은 기존 블럭에서 심재 쪽으로 크기가 확장되어 가공되기 때문에 80% 이상의 심재를 포함하며, 이 때문에 강도가 강해 보도구조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킨다. 제2보도블럭(131,133)도 이와 동일하게 제작된다.
이와 같이 가공되어 제작되는 제1 및 제2보도블럭(131,133)은 결합수단(140)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를 지지한다. 제1 및 제2보도블럭(131,133)은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응하는 제1끼움돌기(141)와 제1끼움홈(143)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를 지지하고 있다.
제1끼움돌기(141)는 블럭(131,133)의 배열시 이웃하는 블럭들(131,133)의 제1끼움홈(143)에 끼워짐으로써 시공되는 블럭들(131,133)을 일체화 시켜 블럭들(131,133)이 서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 때문에 하중이 분산되고 블럭(131,133)이 서로 벌어지지 않아 파손이 방지되고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다.
이때 경계블럭(111)은 블럭들(131,133)과 대면하는 면에 제1끼움돌기(141)와 제1끼움홈(143)에 끼워지는 제2끼움돌기(113)와 제2끼움홈(115)을 형성하여 블럭들(131,133)을 지지함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따라서 어느 하나의 블럭(131,133)에 하중이 작용하여도 끼움 결합된 제1끼움돌기(141)와 제1끼움홈(143)에 의해서 앞뒤의 다른 블럭 몸체들(131,133)이 그 어느 하나의 블럭(131,133)을 지지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블럭(131,133)에 작용하는 하중이 자연스럽게 앞뒤의 다른 블럭들(131,133)로 분산된다. 이 때문에 기존과 같이 하중을 받는 어느 하나의 블럭(131,133)이 쉽게 파손되는 일이 없다.
또한 날씨의 변화에 따라 휨 현상이 발생하여도 블럭들(131,133)이 서로를 잡아주기 때문에 쉽게 휘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서로 벌어져 틈이 발생하지 않아, 보행이 안전하고, 각종 공해물질이 끼는 일이 없다.
또한 기존의 블럭보다 크기가 작은 블럭들(131,133)이 제1끼움돌기(141)와 제1끼움홈(143)에 의해서 서로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보도의 구조가 매우 견고하다. 이 때문에 받침목을 배열하는 과정과 나사못 등을 박는 기존의 과정을 줄여, 시공이 쉽고 편리해진다.
또한 기존의 보도블럭은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또한 블럭이 다른 블럭에 대하여 융기하지 않도록 주위를 기우려 시공해야 한다. 반면 제1끼움돌기(141)와 제1끼움홈(143)을 서로 끼움 결합하며 블럭(131,133)를 시공하면, 틈이 발생하지 않고, 블럭(131,133)이 다른 블럭(131,133)에 대하여 융기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보행자의 보행이 안전해 진다.
제2끼움돌기(113)와 제2끼움홈(115)으로부터 발생되는 효과는 제1끼움돌기(141)와 제1끼움홈(143)으로부터 발생되는 효과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및 제2블럭(131,133)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凹凸,135)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135)은 블럭들(131,133)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눈이나 비가 내린 상태에서도 보행자가 보행할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요철(135)은 그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블럭들(131,133)의 미감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블럭들(131,133) 하면 중앙에는 휨방지홈(137)이 형성되어 있다. 휨방지홈(137)은 블럭들(131,133)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블럭들(131,133)이 시공된 상태에서도 하면에 충분한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문에 상하면의 습도차가 거의 없어 온도나 습도차에 따른 블럭들(131,133)의 휨이나 비틀림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시공작업이 편리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목재 보도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목재 보도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에서 제1 및 제2목재보도블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블럭들이 삼나무 통나무에서 가공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경계블럭 113 : 제2끼움돌기
115 : 제2끼움홈 121 : 모래층
123 : 골재층 131 : 제1보도블럭
133 : 제2보도블럭 140 : 결합수단
141 : 제1끼움돌기 143 : 제2끼움돌기
135 : 요철 137 : 휨방지홈

Claims (7)

  1. 보도구조에 있어서,
    보도의 경계를 따라 배치됨으로 인해 보도영역을 구획하도록 한 삼나무 재질의 경계블럭;
    상기 경계블럭이 구획하는 보도영역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보도를 형성하도록 한 삼나무 재질의 제1보도블럭;
    상기 제1보도블럭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됨으로 인해 각 열과 경계블럭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져 채움으로써 보도를 완성하도록 한 삼나무 재질의 제2보도블럭; 및
    상기 제1 및 제2보도블럭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응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보도블럭의 배열 시공시 서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시공되는 상기 제1 및 제2보도블럭들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한 제1끼움돌기와 제1끼움홈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보도블럭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이 더 형성되고 하면에는 휨방지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보도블럭은 80% 이상이 심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보도가 시공되는 노면 위에는 자갈이나 쇄석으로 이루어진 골재층과 모래층이 순차로 적층되고, 경계블럭은 모래층 위에 배치됨으로써 보도영역을 구획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럭에는 결합수단과 대응하여 끼움 결합하는 제2끼움돌기와 제2끼움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도블럭은 가로×세로×높이가 300㎜×10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7. 보도구조 시공방법에 있어서,
    보도가 시공되는 노면 위에 자갈이나 쇄석을 고르게 포설(鋪設)하여 골재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골재층 위에 모래를 고르게 포설하여 모래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모래층 위에 보도의 경계를 따라 경계블럭을 배치하여 보도영역을 구획하는 제3단계; 및
    끼움돌기와 끼움홈을 서로 끼움 결합하면서 경계블럭들이 구획하는 보도영역 내에 제1 및 제2보도블럭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여 보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 함하여 구성된, 삼나부 블럭의 보도구조 시공방법.
KR1020080078883A 2008-08-12 2008-08-12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29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83A KR101029464B1 (ko) 2008-08-12 2008-08-12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883A KR101029464B1 (ko) 2008-08-12 2008-08-12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98A true KR20100020198A (ko) 2010-02-22
KR101029464B1 KR101029464B1 (ko) 2011-04-15

Family

ID=4209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883A KR101029464B1 (ko) 2008-08-12 2008-08-12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4238A1 (en) * 2013-05-30 2014-12-04 Wold Mike Modular rig ma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303A (ja) * 1998-09-09 2000-03-28 Rindenbaumu Toono:Kk 集成材製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200324346Y1 (ko) * 2003-06-02 2003-08-21 주식회사 죽산 목재 보도블럭
KR100708438B1 (ko) * 2005-07-11 2007-04-18 김진완 목재 보도 블럭용 패드와, 이를 이용한 목재 보도 블럭의조립방법
KR200423567Y1 (ko) * 2006-05-26 2006-08-10 오서용 목재 보도 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4238A1 (en) * 2013-05-30 2014-12-04 Wold Mike Modular rig ma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464B1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525B1 (ko) 친환경 혼합자재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럭 및 이를 구비한 배수처리시스템
US20100205899A1 (en) Masonry sub-flooring
KR101029464B1 (ko) 삼나무 블럭의 보도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748870B2 (ja) 緑化ブロック
KR100708438B1 (ko) 목재 보도 블럭용 패드와, 이를 이용한 목재 보도 블럭의조립방법
TWM495384U (zh) 用於開孔型鋼筋混凝土之支撐模型座
US20170051459A1 (en) Wooden Paving Tile
KR200324346Y1 (ko) 목재 보도블럭
KR101096195B1 (ko) 조립식 보도블록 시스템
ATE396303T1 (de) Rasengitterstein
CN112176817A (zh) 一种道路改造工程基层面板裂缝处理方法
KR200423567Y1 (ko) 목재 보도 블럭
US619934A (en) Wooden-block pavement
KR20090006642U (ko) 목재 보도 블럭
US11499274B2 (en) Black locust solar permeable pavers with safety edge protection
TWM593439U (zh) 地板結構
CN210621370U (zh) 一种多功能异形植草砖
KR101027320B1 (ko)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JP2007154530A (ja) 敷石の敷設法
TWM531634U (zh) 具環保之地坪模具預型結構
KR20160090609A (ko)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KR200354485Y1 (ko) 조립식 목재포장블록
Abufayed Traditional adobe building practices in the historic city of Ghadames, Libya
KR101105674B1 (ko) 목재 가로등주
KR200313936Y1 (ko) 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