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180A -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및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 - Google Patents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및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0180A KR20100020180A KR1020080078856A KR20080078856A KR20100020180A KR 20100020180 A KR20100020180 A KR 20100020180A KR 1020080078856 A KR1020080078856 A KR 1020080078856A KR 20080078856 A KR20080078856 A KR 20080078856A KR 20100020180 A KR20100020180 A KR 201000201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lection
- unit
- switch
- switching
- li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20—Non-polarised relay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 arma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상용전원 측 접점, 중성점(Neutral Point) 및 비상전원 측 접점의 절환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및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절환선택구는 일측에는 구동부의 구동링크의 선택바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제 1 선택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가동단자부의 상용전원 연동링크가 결합되는 제 1 선택부와; 일측에는 상기 선택바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제 2 선택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은 가동단자부의 비상전원 연동링크가 결합되는 제 2 선택부와; 상기 제 1 선택바가이드홈과 상기 제 2 선택바가이드홈이 서로 연통되어 선택바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선택부와 상기 제 2 선택부를 접철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원절체개폐기의 상용 또는 비상 전원 공급을 위한 가동단자부의 제어를 상용 또는 비상 전원 단자별로 독립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절체개폐기,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구동바, 구동링크, 선택바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전원절체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전원(제 1 전원)측접점, 중성점(Neutral Point) 및 비상전원(제 2 전원)측접점의 절환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및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절체개폐기는 병원, 공장, 연구소, 방송국 등과 같이 정전에 따른 피해를 크게 받는 기관에서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용 전원과 비상 전원을 절환개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한전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용전원(제 1 전원)이라 하고, 전력수요자가 자가 공급하는 전원을 비상(예비)전원(제 2 전원)이라 할 때, 상용전원으로부터 비상전원 또는 비상전원으로부터 상용 전원으로 전원소스를 변경하도록 절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때의 비상전원으로는 대용량 충전지나, 별도로 디젤기관 등에 의한 발전설비를 가동하는 방식(발전기식)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송전선로를 별개로 구성하여 상시 대기하고 있는 예비전원을 사용하는 방식(전지식)도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전원절체개폐기는 절환스위치를 이용하여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다가 상용전원이 정전되면, 비상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절체(절환)를 수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18636호의 전원절체개폐기에 사용되는 "자동절환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자동절환스위치"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는 상용전원(제 1 전원)과 연결되는 상용전원단자(제 1 고정단자; 810), 비상전원과 연결되는 비상전원단자(제 2 고정단자; 820) 및 부하와 연결되는 부하단자(830)로 구성된 고정단자부(800)와; 상기 부하단자(8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자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고정단자(810) 또는 제 2 고정단자(8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단자부(100)와; 가동단자부(100)를 제어하여 제 1 고정단자(810) 또는 제 2 고정단자(82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절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절환부는 연결링크(210)와 제어링크부와 회동제어부로 구성되고, 제어링크부는 고정축(234)과 제어링크(230)와 제 1 프레임(3a)으로 구성되며, 회동제어부는 결합로드(291)와 가압장치(292)를 구비한 가압부(280)와 이동제어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회동제어부(C)의 이동제어부(D)는 훅킹링크(240)와, 제 1 및 제 2 지 지링크(270, 260) 및 캠링크(250)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전원절체개폐기는 상용전원의 누전, 정전 등의 사고 발생 시 가압부(280)가 구동되어 절환부의 연결링크(2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동단자부(100)의 제2접촉단자(122b)가 제 2 고정단자(830)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용전원으로부터 비상전원으로의 전원절체를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전원절체개폐기는 전원절체가 이루어지는 가동단자 부분이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의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함에 불구하고, 가동단자부(100)의 제 1 접촉단자(122a) 또는 제 2 접촉단자(122b) 중 어느 하나는 항상 전원입력단자(고정단자)의 어느 한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 놓여지기 때문에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 중 하나의 전원은 항상 ON 된 상태가 되어, 수리 또는 교체시 감전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절체개폐기에서 상용 또는 비상 전원의 절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용 또는 비상 전원의 독립적 절체의 선택을 위한 절환선택구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고장 발생율을 저하시킴은 물론 제품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및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는, 일측에는 구동부의 구동링크의 선택바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제 1 선택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가동단자부의 상용전원 연동링크가 결합되는 제 1 선택부와; 일측에는 상기 선택바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제 2 선택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은 가동단자부의 비상전원 연동링크가 결합되는 제 2 선택부와; 상기 제 1 선택바가이드홈과 상기 제 2 선택바가이드홈이 서로 연통되어 선택바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선택부와 상기 제 2 선택부를 접철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고정축의 결합을 위하여 제 1 선택부 및 제 2 선택부 는 서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에 고정축이 관통되는 고정축공이 형성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선택부는 결합부에서 제 2 선택부가 삽입되는 제 2 선택부삽입홈을 구비하고, 제 2 선택부삽입홈의 양측벽 각각에는 제 1 축공과 제 2 축공이 각각 형성되며, 제 2 선택부의 제 2 선택부삽입홈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제 3 축공이 형성되어, 제 1 선택부와 제 2 선택부가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3 축공이 서로 연통되므로 여기에 고정축이 삽입됨으로써 제 1 선택부 및 제 2 선택부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서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스위치부는, 절환부의 제어링크축의 회동에 의해 절환선택되는 전원절체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링크축에 의해 구동되어 가동단자부와 고정단자부가 상용전원공급, 비상전원공급 또는 중성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가동단자부가 상용전원공급, 비상전원공급 또는 중성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을 위해 절환선택구의구동링크의 위치를 변환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가 상기 절환선택구의 구동링크의 위치를 변환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선택스위치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위치선택된 구동링크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경우 가동단자부의 상용전원공급 또는 비상전원공급을 위한 개방 접촉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절환선택구와; 상기 구동부가 상용전원공급 또는 비상전원공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링크축을 고정하는 훅킹부와; 상기 훅킹부의 제어링크축에 대한 고정 동작을 해제시키는 해제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어링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구동바의 상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크와; 하단부는 상기 전원절체개폐기의 내측부의 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바와; 상기 구동바와 결합되어 전원절체개폐기의 상용전원단자 또는 비상전원단자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상기 절환선택구의 제 1 선택부 또는 제 2 선택부를 선택하는 선택바를 구비한 구동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링크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선택바가 상기 제 1 선택바가이드홈 또는 상기 제 2 선택바가이드홈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링크의 위치를 제어 하는 선택로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부는, 수동조작을 위한 선택자레버가 구비된 일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앙부의 일 위치에는 선택스위치부의 구동로드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자와; 상기 선택자의 타 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로드제어링크와; 일측 단부는 구동바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의 일 위치에 선택로드제어링크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부에는 선택로드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선택로드가이드홈이 형성된 선택로드회동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스위치부는, 상단부가 선택자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선택스위치와 결합되는 구동로드와; 전원절체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구동로드를 상 하 이동시키는 선택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환선택구는 상술한 본원발명의 절환선택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절환선택스위치부에서의 구성 및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링크의 단부에 형성된 선택바가 절환선택구의 선택바가이드홈 내에 위치되고, 일측면에서 돌출되는 선택로드는 선택부의 선택로드제어링크와 결합되어, 선택로드제어링크의 상하 이동하면 선택로드에 의해 구동링크가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택바가 제 1 선택부 또는 제 2 선택부의 제 1 선택바가이드홈 또는 제 2 선택바가이드홈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 후 구동부의 구동바가 제어링크 및 연결링크에 의해 하단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전면으로 회전되면 제 1 선택부 또는 제 2 선택부가 가동단자부의 상용 또는 비상 전원 접촉을 위한 제 1 접촉몸체부 또는 제 2 접촉몸체부를 고정단자부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용 또는 비상 전원이 부하단자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훅킹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바가 상기 전원절체개폐기의 상용 또는 비상 전원 공급 상태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링크축을 고정시키는 훅킹홈이 형성되고, 일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훅킹부재와; 상기 훅킹부재가 상방향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훅킹부재를 지지하는 지지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제스위치부는, 단면 형상이 반원형이고, 지름방향의 평평한 단면이 훅킹부재의 단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해제뭉치와; 일단부가 상기 해제뭉치의 일측부 에 부착되는 해제축과; 상기 해제축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해제레버와; 상기 해제레버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해제레버의 타단부를 전후 이동시키는 해제스위치축을 구비한 해제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는, 전원절체개폐기의 본체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절환부와; 상기 절환부의 제어링크축과 결합되어 가동단자부의 상용전원공급, 비상전원공급 또는 중성점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절환선택스위치부와;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에 의해 상용전원과 비상전원 및 중성점 상태를 유지하는 가동단자부와; 상기 가동단자부를 통해 상용 또는 비상 전원을 부하단자로 공급하는 고정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절환선택스위치부는 가동단자부가 상용전원공급, 비상전원공급 또는 중성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각각의 상태를 위한 가동단자부의 상용전원단자인 제 1 접촉몸체부와 비상전원단자인 제 2 접촉몸체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간소화되어, 전원절체개폐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고장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원발명의 절환선택스위치부는 간단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전원절체개폐기에서 상용전원, 비상전원 또는 중성점에 대한 전원절체 동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는 절환선택스위치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킴으로써 전원절체개폐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내부 부품의 간소화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한 고장율이 현저히 감소되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절환선택스위치부가 구비된 전원절체개폐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전원절체개폐기(1)는 본체프레임(2)의 내부 일측에 절환부(A)가 본체프레임(2)의 내측에서 내부 구성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 1 프레임(3a)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프레임(3a)의 절환부(A)가 설치된 면의 반대면에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절환선택스위치부(F)가 절환부(A)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절환선택스위치부(F)에는 상용전원(제 1 전원) 공급상태와 비상전원(제 2 전원) 공급상태 및 중성점 상태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동단자부(400)(도 8 참조)가 연결되고, 가동단자 부(400)의 후면에는 고정단자부(800)가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절환부(A)는 가동단자부(400)가 접점을 절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동력을 발생시켜 이를 절환선택스위치부(F)로 제공한다.
도 5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 4의 전원절체개폐기(1)에 구성되는 절환부(A)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전원절체개폐기(1)에서 절환부(A)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환부(A)는 절환선택스위치부(F)의 구동바(20a)를 회전시키는 연결링크(30)가 회전되도록 회동제어부(C)에서 생성된 전원절체를 위한 구동력을 절환선택스위치부(F)로 전달하는 제어링크부(B; 제 1 프레임(3a), 제어링크(230), 제어링크축(231), 제2제어링크(232), 고정축(234)을 포함)와, 제어링크부(B)의 제어링크축(231)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동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링크부(B)는, 제어링크축(231)이 고정축(234)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제어링크축(231)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 1 프레임(3a)에 형성되는 가이드슬롯(221)과; 상기 제 1 프레임(3a)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제어부(C)의 탄성부재(281)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롯(221)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어링크축(231)과; 상기 제어링크축(231)과 평행하게 제 1 프레임(3a)에 형성되는 고정축(234)과; 일 단은 회동제어부(C)의 탄성부재(281)의 상단부와 함께 상기 제어링크축(231)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축(2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어링크(230)와; 일단은 제어링크(230)와 함께 고정축(234)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동제어부(C)의 결합축(230)에 결합되는 제 2 제어링크(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235는 이동제어부(D)와 제어링크부(B)를 결합시키는 중심링크이다.
상기 제 1 프레임(3a)은 본체프레임(2)에 고정설치되어 고정축(234)이 고정되고, 고정축(234)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를 가지는 호 형상으로 가이드슬롯(221)이 형성되며, 가이드슬롯(221)에는 가이드슬롯(22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링크축(231)이 끼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회동제어부(C)는 제어링크(230)가 고정축(234)을 중심으로 가이드슬롯(221)의 끝단 중 어느 한 끝단으로 이동되도록 제어링크(2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부(280)와, 상기 제어링크축(231)을 가이드슬롯(221)의 어느 한쪽 끝단에서 다른 쪽 끝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제어부(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280)는 일단이 지지프레임(3c)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링크(282)와; 그 길이가 변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일단은 회동링크(282)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어링크축(23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어링크축(231)을 미는 탄성부재(3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81)는 코일스프링으로 서, 회동링크(282)가 끼워진 상태로 회동링크(282)와 결합된다. 여기서 회동링크(282)는 제어링크축(231)의 이동에 의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c)과 힌지 결합된다.
상기 이동제어부(D)는 상기 제어링크축(231)이 고정축(234)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슬롯(221)을 따라서 가이드슬롯의 한 쪽 끝단에서 다른 쪽 끝단으로 회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훅킹링크(240), 회동링크부(E; 캠링크(250), 제 2 지지링크(260), 제 1 지지링크(270))와, 회동부(290)와, 훅킹링크(240)와 캠링크(250)를 제어링크부(B)에 결합시키는 결합축(2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술한 이동제어부(D)의 각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훅킹링크(240)는 고정축(23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어링크축(231)이 걸리도록 형성된 한 쌍의 훅킹돌기들(241a, 24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회동링크부(E)는 고정축(234)을 중심으로 훅킹링크(240)를 회전시켜 훅킹돌기(241a, 241b)들에 걸린 제어링크축(231)이 회동하도록 훅킹링크(24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힌지부재(271)에 의해 지지프레임(3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지지링크(270)와, 일단이 제 1 지지링크(270)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링크(260)와, 제 2 지지링크(260)의 타단에 결합된 링크핀(261)이 삽입되는 핀가이드슬롯(251)이 형성되고 훅킹링크(240)와 결합축(235)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어 훅킹링크(240)와 함께 회전하는 캠링크(250)를 포함하여 구 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부(290)는 제 1 지지링크(270)를 힌지부재(271)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링크(270)의 양단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로드(291)와, 결합로드(291)를 상측으로 밀어 제 1 지지링크(270)가 힌지부재(271)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장치(2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장치(292)는 결합로드(291)가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솔레노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장치(292)가 솔레노이드로 사용된 경우에는 순간적인 전압만 가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며, 결합로드(291)는 솔레노이드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과 달리 상기 회동제어부(C)는 제어링크축(231)이 고정축(23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바 가압장치(292)는 모터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동제어부(C)는 제어링크축(231)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링크축(231)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가 결합되는 레버고정부(236, 도 4 참조)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 4에서 레버고정부(236)는 레버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이동제어부(D)가 고정축(23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이동제어부(D)와 연결 구성된다.
도 7은 도 5의 전원절체개폐기(1)에서 절환부(A)와 절환선택스위치부(F)의 구동부(2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절환선택구(G)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4의 전원절체개폐기(1)에서 절환선택스위치부(F)의 선택부(310)와 구동부(2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절환선택스위치부(F)는, 연결링크(3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바(20a)에 의해 가동단자부(400)가 제 1 또는 제 2 고정단자(810, 820)와 접촉되도록 하거나, 중성점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구동부(20)와; 가동단자부(400)가 제 1 또는 제 2 고정단자(810, 820)와 접촉되도록 구동링크(21)의 단부에 형성된 선택바(2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동바(20a)에 결합된 구동링크(21)를 상하 이동시키는 선택부(310)와; 선택부(310)의 구동링크의 상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선택스위치부(320)와; 선택부(310)에 의해 위치선택된 구동부(20)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경우 가동단자부(400)의 제 1 접촉몸체부(400a) 또는 제 2 접촉몸체부(400b)를 선택적으로 제 1 고정단자(810) 또는 제 2 고정단자(820)와 접촉시키는 절환선택구(G)와; 가동단자부(400)의 제 1 접촉몸체부(400a) 또는 제 2 접촉몸체부(400b)의 제1고정단자(810) 또는 제 2 고정단자(820)와의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링크축(231)을 고정하는 훅킹부(330)와; 훅킹부(330)의 제어링크축(231)에 대한 고정 동작을 해제시키는 해제스위치부(340)로 구성된다.
상술한 절환선택스위치부(F)의 각 구성을 도 5 내지 도 9룰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는, 절환부(A)에서 가동단자부(400)의 절환을 위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구동바(20a)로 전달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가이드슬롯(221)을 통해 제 1 프레임(3a)의 절환부(A)가 설치되는 면의 반대면으로 돌출되는 제어링크축(2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절환선택스위치부(F)의 구동바(20a)의 상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절환부(A)의 구동력을 구동바(20a)로 전달하는 연결링크(30)와; 상부의 단부는 연결링크(30)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제 1 프레임(3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바(20a)와; 절환선택구(G)의 제 1 선택부(50) 또는 제 2 선택부(60)를 선택한 후 구동바(20a)에 의해 전달되는 절환부(A)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선택된 제 1 선택부(50) 또는 제 2 선택부(60)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바(20a)의 중앙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절환선택구(G)의 선택바 가이드홈(60a)을 따라 이동되는 선택바(23)가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선택부(310)의 선택로드제어링크(311)와 결합되어 선택로드제어링크(31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선택로드(2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구동링크(21);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부(310)는, 수동조작에 의해 구동링크(2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자레버(310a)가 구비되고, 선택자레버(310a)가 구비된 단부 측은 제 2 프레임(3b)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며 중 앙부의 일 위치에는 선택스위치부(320)의 구동로드(322)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자(310b)와; 선택자(310b)의 제 2 프레임(3b)에 결합된 단부에 대향되는 타단부와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로드제어링크(311)와; 일측 단부는 구동바(20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의 일 위치에 선택로드제어링크(311)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선택로드(22)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선택로드가이드홈(312)이 형성된 선택로드회동바(312);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선택부(310)는 선택스위치부(320)의 선택스위치(321)에 의해 구동로드(322)가 상하이동되면, 선택자(310b)가 제 2 프레임(3b)과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택로드제어링크(311)가 상하 이동되며, 이에 따라 선택로드회동바(312) 또한 제 2 프레임(3b)과 결합된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선택로드회동바(312)가 회전되면 선택로드가이드홈(313)에 삽입된 선택로드(22)가 상하 이동되는 것에 의해 구동링크(21)가 구동바(20a)와 결합된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택바(23)가 절환선택구(G)의 선택바가이드홈(60a)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제 1 선택바가이드홈(51) 또는 제 2 선택바가이드홈(61)(도 8 참조)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스위치부(320)는 상단부가 선택자(310b)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선택스위치(321)와 결합되어 선택스위치(321)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구동로드(322)와; 전원절체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로드(322)를 상하 이동시키는 선택스위치(32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스 위치(321)는 솔레이노이드 스위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환선택구(G)는, 가동단자부(400)의 제 1 접촉몸체부를 구동시키는 제 1 전원연동링크(460)와 연결되는 상부의 제 1 선택부(50); 가동단자부(400)의 제 2 접촉몸체부를 구동시키는 제 2 전원연동링크(460a)와 결합되는 하부의 제 2 선택부(60);로 구성되고, 구동링크(21)의 선택바(23)가 결합되는 각각의 제 1 선택부(50)와 제 2 선택부(60)에는 제 1 선택바가이드홈(51) 및 제 2 선택바가이드홈(61)이 형성되며, 제 1 선택부(50)와 제 2 선택부(60)는 서로 접촉되는 경우 제 1 선택바가이드홈(51)과 제 2 선택바가이드홈(61)이 연통되어 선택바가이드홈(60a)을 형성함으로써 선택바(23)가 선택바가이드홈(60a)을 따라 이동되어 제 1 선택부(50) 또는 제 2 선택부(60)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가동단자부(400) 측에서 고정축(7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1 선택부(50)는 가동단자부(400)의 측의 상단부에 가동단자부(400)의 제 1 전원연동링크(46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핀이 삽입되는 제 1 연결링크결합공(52)이 형성되고, 제 2 선택부(50)와 대향되는 분리부에서 가동단자부(400) 측에는 제 2 선택부(60)가 삽입되는 제 2 선택부삽입홈(53b)이 형성되며, 제 2 선택부삽입홈(53b)의 양 측벽에는 각각 고정축(70)이 관통되는 제 1 축공(53a) 및 제 2 축공(53b)이 형성되고, 구동바(20a) 측의 일 위치에는 선택바(23)가 상하이동되는 제 1 선택바가이드홈(5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선택부(60)는 가동단자부(400) 측의 하단부에 가동단자부(400)의 제 2 전원연동링크(460a)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핀이 삽입되는 제 2 연결링크결합공(62)이 형성되고, 제 1 선택부(50)의 제 2 선택부삽입홈(53b)으로 삽입되는 위치에는 제 1 축공(53a)과 제 2 축공(53b)과 서로 연통되어 고정축(70)이 삽입되어 제 1 선택부(50)와 제 2 선택부(60)를 분리부를 중심으로 서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 3 축공(63)이 형성되며, 구동바(20a) 측에는 선택바(23)가 상하 이동되는 제 2 선택바가이드홈(6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1 선택부(50)와 제 2 선택부(6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이 접촉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선택바가이드홈(51)과 제 1 선택바가이드홈(61)은 서로 연통되어 선택바가이드홈(60a)을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절환선택구(G)는 선택바(23)가 제 1 선택부(50)의 제 1 선택바가이드홈(51) 또는 제 2 선택부(60)의 제 2 선택바가이드홈(61)에 위치되도록 이동되어 구동바(20a)가 가동단자부(400) 측으로 회전되면 선택바(23)가 제 1 선택부(50) 또는 제 2 선택부(60)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킴으로서 가동단자의 상용전원 상태, 비상전원 상태 또는 중성점 상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훅킹부(330)는, 구동바(20a)가 가 동단자부(400)의 어느 하나의 가동단자가 고정단자부와 접촉된 상태로 이동된 경우 제어링크축(231)을 고정시키는 훅킹홈(33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제 1 프레임(3b)과 제 2 프레임(3b)의 사이의 영역에서 제 1 프레임(3a) 또는 제 2 프레임(3b)의 어느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훅킹부재(330a)와; 훅킹부재(330a)가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단은 훅킹부재(300)와 결합되고 타단은 훅킹부재(330a) 상부의 위치에서 훅킹부재(330a)가 결합된 제 1 또는 제 2 프레임(3a, 3b)에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지지구(332);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해제스위치부(3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반원형이고, 지름방향의 평평한 단면이 훅킹부재(330a)의 선단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해제뭉치(342)와; 일단부가 해제뭉치(342)의 일측부에 부착되며 훅킹부재(330a)가 부착된 프레임(3a, 3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해제축(343)과; 해제축(343)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해제레버(341)와; 해제레버(341)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해제레버(341)의 타단부를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해제축(343)을 회전시키는 해제스위치축(340b)을 구비한 해제스위치(340a);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해제스위치부(340)는 구동바(20a)가 가동단자부(400)가 고정단자부(800)와 접촉된 상태를 가지도록 위치된 경우, 정전 등의 트립 신호에 의해 해제스위치축(340b)이 전후 이동되면 해제레버(341)의 해제스위치축(343)과 결합된 단부가 전후 이동되어 해제축(343) 및 해제뭉치(342)를 회전시키게 되고, 해제뭉치(342)가 회전되면 해제뭉치(342)의 평평한 하단부의 모서리가 훅킹부 재(330a)를 하방향으로 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훅킹홈(331)으로부터 제어링크축(231)이 이탈되어 구동바(20a)가 가압부(280)의 탄성부재(281)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위치 복귀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절환선택스위치부(F)는 후술한 가동단자부(400)와 결합되어, 가동단자부(400)가 상용전원 연결, 비상전원 연결 또는 중성점 상태에 있도록 가동단자부(400)를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환선택스위치부(F)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가동단자부(400)를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동단자부(40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상용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 1 접촉몸체부(400a) 및 비상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 2 접촉몸체부(400b)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접촉부(410) 및 제 2 접촉부(410a)와, 상기 양 접촉몸체부(400a,400b)에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양 접촉부(410,410a)의 일단에 접촉/연결되는 전원연결선(420)과, 상기 전원연결선(420)에 결합되는 부하단자(830)와, 상용전원측의 제 1 고정단자(810)와 접촉되는 제 1 접촉몸체부(400a) 및 비상전원측의 제 2 고정단자(820)와 접촉되는 제 2 접촉몸체부(400b)가 가동단자회전축(43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가동단자지지대(5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접촉몸체부(400a)와 제 1 접촉부(410a)의 사이, 제 2 접촉몸체부(400b)와 제 2 접촉부(410b)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유격이 형성된 상태에서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용 또는 비상용 절환을 위한 전원절체시 제 1 접촉몸체 부(400a) 또는 제 2 접촉몸체부(400b)가 상용전원단자인 제 1 고정단자(810) 또는 비상전원단자인 제 2 고정단자와 분리되는 경우 탄성부재에 의해 제 1 접촉부(410a) 또는 제 2 접촉부(410b)는 고정단자부의 각각의 단자에 일정 시간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아크 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가동단자부(400)는 상기 전원연결선(420)을 통하여 고정단자부(800)에서 가동단자부(400)의 제 1 접촉부(410) 또는 제 2 접촉부(410a)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부하단자(830)로 전달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접촉몸체부(400a,400b)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접촉부(410,410a)의 맞은 편에는 제1연결자(440) 및 제2연결자(440a)가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및 2 연결자(440, 440a)는 제 1 접촉부캠고정축(451) 및 제 2 접촉부캠고정축(451a)에 결합된 제 1 접촉부캠(450) 및 제 2 접촉부캠(450a)에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접촉부캠(450,450a)에 다시 제 1 전원연동링크(120) 및 제 2 전원연동링크(120a)가 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캠(450,450a)은 제 1 및 제 2 접촉부캠고정축(451, 451a)에 결합되어 제1 및 2 연결자(440,440a)와 제 1 및 제 2 전원연동링크(460, 460a)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연동링크(460,460a)는 상술한 절환선택스위치부(F)의 절환선택구(G)에 형성되는 제 1 연결자 결합공(52) 및 제 2 연결자 결합공(62)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절환선택스위치부(F)는 가동단자부(400)의 제 1 접촉 몸체부(400a) 또는 제 2 접촉몸체부(400b)를 제1고정단자(810) 또는 제 2 고정단자(820)와 접촉시킴으로써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또는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전원절체를 수행하도록 하거나, 제 1 및 제 2 접축부(410, 410a)가 모두 고정단자부(800)와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원절체개폐기(1)가 중성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동력을 가동단자부(400)로 제공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절환선택스위치부(F)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1)에서의 전원절체을 위한 전원절체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는 가동단자부(400)가 중성점 상태에 놓여진 것을 나타낸다. 즉, 제 1 접촉부(410a)와 제 2 접촉부(410b) 모두 고정단자부와 분리되어 전체 회로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전원절체개폐기(1)에 대한 점검, 수리 등의 유지보수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은 도 4의 전원절체개폐기(1)가 상용전원과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9의 중성점 상태에서 상용전원단자인 제 1 고정단자(810)로부터 부하단자(8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절체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스위치부(320)의 선택스위치(321)가 구동로드(322)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로드(32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선택부(310)의 선택로드제어링크(311)의 선택로드가이드홈(313)이 형성된 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되고, 이에 따라 선택로드(22)가 상방향 으로 이동된다. 선택로드(2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구동부(20)에 구성된 구동링크(21) 또한 선택바(23)가 형성된 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됨으로써 선택바(23)가 제 1 선택부(50)의 제 1 선택바가이드홈(51)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회동제어부(C)의 회동부(290)에 구비된 가압장치(292) 구동되어 결합로드(291)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이동제어부(D), 회동링크부(E) 및 가압부(280)가 연동작용을 수행하여 제어링크축(231)이 회전되면 구동바(20a)의 상부 단부가 가동단자부(400) 측으로 향하도록 구동바(20a)를 회전시키고, 구동바(20a)의 구동링크(21)가 함께 가동단자부(400)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구동링크(21)의 단부에 형성된 선택바(23)가 제 1 선택부(5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단자부(400)의 제 1 접촉몸체부(400a)가 제 1 고정단자(810)와 접촉되도록 스위칭된다. 이때, 제 1 접촉몸체부(400a)가 제 1 고정단자(810)와 접촉되는 순간 제어링크축(231)은 훅킹부재(330a)의 훅킹홈(331)에 걸리어 고정된다. 제어링크축(231)이 훅킹부재(330a)의 훅킹홈(331)에 걸리어 고정되면 가압부(280)의 탄성부재(281)는 수축된 상태로 되어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용전원측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스위칭된 상태에서 정전 등에 의해 스위치 오프 또는 전원 해제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상술한 해제스위치부(340)와 같은 방식으로 해제스위치부(340)가 구동되어 훅킹부재(330a)를 하방향으로 눌러주어 훅킹홈(331)으로부터 제어링크축(231)이 이탈된다. 훅킹홈(331)으로부터 제어링크축(231)이 이탈되면 가압부(280)의 탄성부재(281)에 축적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제어링크축(231)이 가이드슬롯의 타 단부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구동 바(20a)도 위치 복귀됨으로써 가동단자부(400)의 제 1 접촉몸체부(410a)가 고정단자부(800)와 서로 분리된다. 그리고 이때 가동단자부(400)의 제 2 접촉몸체부(410b)가 고정단자부(800)의 제 2 고정단자(820)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중성점 상태가 된다.
상술한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에서의 비상전원측으로의 전원 스위칭 및 그 해제는 절환선택구(G)의 구동링크(21)가 선택부(310)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선택부(60)가 선택된 후에는 상술한 상용전원측의 전원 스위칭 및 해제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18636호의 전원절체개폐기에 사용되는 "자동절환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원발명의 절환선택스위치부가 구비된 전원절체개폐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전원절체개폐기(1)에서 절환부(A)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전원절체개폐기(1)에서 절환부(A)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전원절체개폐기(1)에서 절환부(A)와 절환선택스위치부(F)의 구동부(2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절환선택구(G)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4의 전원절체개폐기(1)에서 절환선택스위치부(F)의 선택부(310)와 와 구동부(2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4의 전원절체개폐기(1)가 상용전원과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전원절체개폐기 A: 절환부
B: 제어링크부 3a: 제 1 프레임
230: 제어링크 231: 제어링크축
232: 제2제어링크 310: 고정축
C: 회동제어부 280: 가압부
281: 탄성부재 282: 회동링크
D: 이동제어부 240: 훅킹링크
290: 회동부 291: 결합로드
292: 가압장치
E: 회동링크부 250: 캠링크
260: 제 2 지지링크 270: 제 1 지지링크
F: 절환선택스위치부 20: 구동부
30: 연결링크 20a: 구동바
21: 구동링크 23: 선택바
310: 선택부 310a: 선택자레버
310b: 선택자 311: 선택로드제어링크
312: 선택로드회동바
320: 선택스위치부
321: 선택스위치 322: 구동로드
G: 절환선택구 50: 제 1 선택부
51: 제 1 선택바가이드홈 52: 제 1 연결링크결합공
53b: 제 2 선택부삽입홈 53a: 제 1 축공
53b: 제 2 축공 60: 제 2 선택부
60a: 선택바가이드홈 61: 제 2 선택바가이드홈
62: 제 2 연결링크결합공 63: 제 3 축공
330: 훅킹부 330a: 훅킹부재
331: 훅킹홈 332: 지지구
340: 해제스위치부 340a: 해제스위치
340b: 해제스위치축 341: 해제레버
342: 해제뭉치 343: 해제축
400: 가동단자부 400a: 제 1 접촉몸체부
400b: 제 2 접촉몸체부 410: 제 1 접촉부
410a: 제 2 접촉부 420: 전원연결선
430: 가동단자회전축 500: 가동단자지지대
800: 고정단자부 810: 제 1 고정단자
820: 제 2 고정단자 830: 부하단자
Claims (7)
- 일측에는 구동링크의 선택바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제 1 선택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가동단자부의 상용전원 연동링크가 결합되는 제 1 선택부와;일측에는 상기 선택바가 위치되어 이동되는 제 2 선택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가동단자부의 비상전원 연동링크가 결합되는 제 2 선택부와;상기 제 1 선택바가이드홈과 상기 제 2 선택바가이드홈이 서로 연통되어 선택바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선택부와 상기 제 2 선택부를 접철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 절환부의 제어링크축의 회동에 의해 상용, 비상 또는 중성점 상태로 절환되는 전원절체개폐기에 있어서,상기 제어링크축에 의해 구동되어 가동단자부와 고정단자부가 상용전원공급, 비상전원공급 또는 중성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 구동부와;상기 가동단자부가 상용전원공급, 비상전원공급 또는 중성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을 위해 절환선택구의 구동링크의 위치를 변환하는 선택부와;상기 선택부가 상기 절환선택구의 구동링크의 위치를 변환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선택스위치부와;상기 선택부에 의해 위치선택된 구동링크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경우 가동단자부의 상용전원공급 또는 비상전원공급을 위한 개방 접촉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절환선택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스위치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일단부가 상기 제어링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구동바의 상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크와;하단부는 상기 전원절체개폐기의 내측부의 일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바와;상기 구동바와 결합되어 전원절체개폐기의 상용전원단자 또는 비상전원단자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상기 절환선택구의 제 1 선택부 또는 제 2 선택부를 선택하는 선택바를 구비한 구동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스위치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는,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선택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구동링크가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선택바가 상기 제 1 선택바가이드홈 또는 상기 제 2 선택바가이드홈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링크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선택부와 결합되는 선택로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스위치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수동조작을 위한 선택자레버가 구비된 일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앙부의 일 위치에는 선택스위치부의 구동로드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자와;상기 선택자의 타 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로드제어링크와;일측 단부는 구동바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의 일 위치에 선택로드제어링크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부에는 선택로드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선택로드가이드홈이 형성된 선택로드회동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스위치부.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가 상용전원공급 또는 비상전원공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링크축을 고정하는 훅킹부와;상기 훅킹부의 제어링크축에 대한 고정 동작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단면 형상 이 반원형이고, 지름방향의 평평한 단면이 훅킹부재의 단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해제뭉치와, 일단부가 상기 해제뭉치의 일측부에 부착되는 해제축과, 상기 해제축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해제레버와, 상기 해제레버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해제레버의 타단부를 전후 이동시키는 해제스위치축을 구비한 해제스위치로 구성되는 해제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스위치부.
- 전원절체개폐기의 본체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절환부와;상기 절환부의 제어링크축과 결합되어 가동단자부의 상용전원공급, 비상전원공급 또는 중성점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절환선택스위치부와;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에 의해 상용전원과 비상전원 및 중성점 상태를 유지하는 가동단자부와;상기 가동단자부를 통해 상용 또는 비상 전원을 부하단자로 공급하는 고정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856A KR100995403B1 (ko) | 2008-08-12 | 2008-08-12 |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및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856A KR100995403B1 (ko) | 2008-08-12 | 2008-08-12 |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및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0180A true KR20100020180A (ko) | 2010-02-22 |
KR100995403B1 KR100995403B1 (ko) | 2010-11-19 |
Family
ID=4209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8856A KR100995403B1 (ko) | 2008-08-12 | 2008-08-12 |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및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540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2549A1 (zh) * | 2017-09-15 | 2019-03-21 | Abb 有限公司 | 开关装置 |
KR20200112053A (ko) * | 2019-03-20 | 2020-10-05 | 문혜영 | 병렬 폐쇄형 자동전원절체장치 |
KR102387324B1 (ko) * | 2021-07-27 | 2022-04-15 | 오성기전 주식회사 | 전원 절체 장치의 n상 중첩 절환 스위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0763A (ja) | 2004-07-28 | 2006-02-09 | Shin Aichi Denki Seisakusho:Kk | 電源切替開閉装置 |
KR200387632Y1 (ko) * | 2005-04-11 | 2005-06-21 | 오성기전주식회사 | 전원절체개폐기 |
-
2008
- 2008-08-12 KR KR1020080078856A patent/KR10099540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2549A1 (zh) * | 2017-09-15 | 2019-03-21 | Abb 有限公司 | 开关装置 |
CN109509646A (zh) * | 2017-09-15 | 2019-03-22 | Abb有限公司 | 开关装置 |
US11495417B2 (en) | 2017-09-15 | 2022-11-08 | Abb Schweiz Ag | Switching apparatus |
CN109509646B (zh) * | 2017-09-15 | 2023-01-06 | Abb 瑞士股份有限公司 | 开关装置 |
KR20200112053A (ko) * | 2019-03-20 | 2020-10-05 | 문혜영 | 병렬 폐쇄형 자동전원절체장치 |
KR102387324B1 (ko) * | 2021-07-27 | 2022-04-15 | 오성기전 주식회사 | 전원 절체 장치의 n상 중첩 절환 스위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5403B1 (ko) | 2010-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358069C (zh) | 借助摆动按钮的电控制器的加压驱动机构 | |
KR100840384B1 (ko) | 자동절환스위치 | |
CN101174522B (zh) | 带有线圈模块连接装置的接触器 | |
KR100995403B1 (ko) |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및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 | |
KR200387632Y1 (ko) | 전원절체개폐기 | |
KR100844202B1 (ko) | 병렬 구조의 전원 절환 장치 | |
CN108538671B (zh) | 一种电源转换开关 | |
JP5270005B2 (ja) | ヒューズを備えるロッカースイッチユニット | |
CN101552159B (zh) | 电路断路器 | |
KR100787905B1 (ko) | 자동절환스위치 | |
KR200466542Y1 (ko) | 수직단자 배열을 구비한 전원절환장치 | |
CN210120052U (zh) | 一种有载分接开关调容装置 | |
KR100721270B1 (ko) | 자동절환스위치 | |
KR101063832B1 (ko) | 전원 절체 개폐기의 전원 절환 구조 | |
CN100362611C (zh) | 熔断器开关 | |
KR100984031B1 (ko) | 중성접점 중첩 기능을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의 가동단자축부 및 가동단자부 | |
CN208796868U (zh) | 实现中性极重叠转换的双电源转换开关 | |
KR101175076B1 (ko) | 전원절환개폐기 | |
CN102044384A (zh) | 用于小型塑壳式断路器的开关机构 | |
CN202651012U (zh) | 用于低压的电负载断路器 | |
CN216353911U (zh) | 主令开关 | |
KR200387633Y1 (ko) | 전원절체개폐기의 가동단자 | |
CN215680564U (zh) | 一种节能型小型断路器 | |
CN116313575A (zh) | 双电源中性线转换结构和双电源转换开关 | |
KR200207545Y1 (ko) | 멀티 전자 접촉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