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067A - 다층 멀티 인쇄필름 - Google Patents

다층 멀티 인쇄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067A
KR20100020067A KR1020080078710A KR20080078710A KR20100020067A KR 20100020067 A KR20100020067 A KR 20100020067A KR 1020080078710 A KR1020080078710 A KR 1020080078710A KR 20080078710 A KR20080078710 A KR 20080078710A KR 20100020067 A KR20100020067 A KR 2010002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layer
film
base film
color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채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헌
Priority to KR1020080078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067A/ko
Publication of KR2010002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11Pre-treatment or treatment during printing of the recording material, e.g. heating,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124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using pressure to make a masked colour visible, e.g. to make a coloured support visible, to create an opaque or transparent pattern, or to form colour by uniting colour-forming components
    • B41M5/132Chemical colour-forming components; Additives or bin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27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organic non-macromolecular additives, e.g. UV-absorbers, plasticisers, surf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45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containing cationic or anionic groups, e.g. mor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성형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다양한 컬러를 표출하는 컬러 인쇄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컬러 편차가 적어 컬러 표출 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층간 박리 현상을 방지하고 정전기 발생을 줄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인쇄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은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결합되며, 소정의 색을 갖는 컬러 UV 하드 코팅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결합되며 홀로그램 효과를 발생시키는 홀로그램층과, 상기 홀로그램층의 하면에 증착된 플라즈마 음이온층과, 상기 플라즈마 음이온층의 하면에 인쇄되며, 소정의 색을 갖는 컬러 미러층 및 상기 컬러 미러층의 하면에 결합된 컬러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컬러, 인쇄필름, UV 하드 코팅층, 홀로그램층, 플라즈마 음이온층, 컬러 미러층

Description

다층 멀티 인쇄필름{Color print film}
본 발명은 각종 성형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다양한 컬러를 표출하는 컬러 인쇄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컬러 편차가 적어 컬러 표출 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층간 박리 현상을 방지하고 정전기 발생을 줄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인쇄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이나 냉장고와 같은 대형 전자제품의 케이스 등은 그 외형이 복잡하여 대개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그리고, 복잡한 전자제품 케이스의 표면에 금속감 및 다양한 컬러를 표현하거나, 혹은 다양한 문자나 기호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전자제품 케이스의 표면에 직접 인쇄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인몰드(in-mold) 방법이나 인서트 몰드(insert-mold)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인쇄필름(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1)과, 상기 베이스 필름(11)의 상면에 결합된 UV 하드 코팅층(12)과, 베이스 필름(11)의 하면에 결합된 복수층의 멀티 증착층(13)과, 상기 멀티 증착층(13)의 하면에 결합된 인쇄층(14) 및 상기 인쇄층(14)의 하면에 결합된 접착제층(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UV 하드 코팅층(12)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 부터의 스크래치(scratch) 등을 방지하고, 멀티 증착층(13)에 의해 다양한 컬러가 표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인쇄층(14)에 의해 다양한 문자나 기호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접착제층(15)에 의해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부착시 마감재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쇄필름(10)은 투톤(two tone) 이상의 멀티 컬러를 표현하기 위해 베이스 필름(11)의 하면에 적층된 복수개의 컬러층(즉, 멀티 증착층(13))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상승함은 물론, 층간 컬러 편차가 커서 희망하는 적절한 색감을 표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투명의 베이스 필름(11)과 멀티 증착층(13) 사이나, 혹은 당해 멀티 증착층(13)의 각층 사이 등에서 서로 간의 박리 현상이 일어나 장시간 사용시 인쇄필름(10)의 제품 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인쇄필름(10)을 전자제품에 부착하면 상기 전자제품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인쇄필름(10)에서 정전기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는 대전방지 대책을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각종 성형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다양한 컬러를 표출함에 있어서, 컬러 편차가 적어 컬러 표출 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층간 박리 현상을 방지하고 정전기 발생을 줄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인쇄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은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결합되며, 소정의 색을 갖는 컬러 UV 하드 코팅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증착된 플라즈마 음이온층; 및 상기 플라즈마 음이온층의 하면에 인쇄되며, 소정의 색을 갖는 컬러 미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컬러 미러층의 하면에 결합되며, 소정의 색을 갖는 컬러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과 플라즈마 음이온층 사이에 결합되며, 홀로그램 효과를 발생시키는 홀로그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대전방지체 처리가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 하드 코팅층은 투명의 UV 하드 코팅층 재질에 나노 입자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음이온층은 공정 챔버 내에서 플라즈마 박막 증착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컬러 미러층은 투명 실크 잉크에 미러 실버 잉크, 옐로우 실버 잉크, 블루 실버 잉크, 그린 실버 잉크, 또는 레드 실버 잉크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각종 성형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다양한 컬러를 표출함에 있어서, 컬러 편차가 적어 컬러 표출 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층간 박리 현상을 방지하고 정전기 발생을 줄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인쇄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적용될 수 있지만, 숫자나 문자가 인쇄된 휴대폰의 키패드를 비롯한 그 외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20)은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 필름(21)과, 상기 베이스 필름(21)의 상면에 결합된 컬러 UV 하드 코팅층(22)과, 상기 베이스 필름(21)의 하면에 증착된 플라즈마 음이온층(23)과, 상기 플라즈마 음이온층(23)의 하면에 인쇄된 컬러 미러층(24)과, 상기 컬러 미러층(24)의 하면에 인쇄된 컬러 인쇄층(25) 및 상기 컬러 인쇄층(25)의 하면에 부착된 접착제층(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 필름(21)은 바람직하게 PC(polycarbonate)나,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등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당해 컬러 인쇄필름(20)의 원단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베이스 필름(21)은 당해 베이스 필름(21)의 원재료에 대전성이 속효성인 지엠에스(GMS)계나, 대전성이 지속성인 아민(Amine)계 등의 대전 방지제를 혼합하여 대전방지 처리를 한 것으로, 전자제품 케이스에 부착된 경우에도 먼지 부착이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베이스 필름(21)의 상면, 즉, 전자제품 케이스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결합된 컬러 UV 하드 코팅층(22)은 외부 환경과의 접촉에 의해 베이스 필름(21)에 스크래치(scratch)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 UV 하드 코팅층(22)은 종래의 UV 하드 코팅층(도 1의 12 참조)이 투명이었던 것에 비해, 다양한 색의 컬러를 가지고 있어서 컬러층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컬러 UV 하드 코팅층(22)은 투명의 UV 하드 코팅층 재질에 다양 한 색을 갖는 나노 입자의 안료나 염료가 혼합됨으로써 제조되며, UV 하드 코팅층으로서의 특성을 적절히 유지하면서도 희망하는 색을 표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투명의 UV 하드 코팅층 재질 대비 안료나 염료의 비율이 100 : 0.5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멀티 증착층(도 1의 13 참조)에서만 멀티 톤의 컬러를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비해, 본 발명은 컬러 UV 하드 코팅층(22)에서 그 역할을 분담할 수 있게 한다.
단, 이상에서는 베이스 필름(21)이 PC 또는 PET 계열로 이루어져 있어서 UV 경화성 도료를 사용한 UV 하드 코팅층이 사용된 것을 일 예로 들었으나, 만약 베이스 필름(21)이 우레탄 계열의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실리콘 도료를 사용한 코팅층이 적용될 수도 있다.
플라즈마 음이온층(23)은 그 하측면에 인쇄되는 컬러 미러층(24)의 인쇄특성을 향상시키고, 당해 플라즈마 음이온층(23)과 컬러 미러층(24) 간의 박리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공정 챔버(미도시) 내에서 플라즈마 상태의 음이온을 박막 증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단, 이러한 플라즈마 음이온층(23)은 하나의 전자제품 케이스에 사용되는 단위의 컬러 인쇄필름(20)이 복수개 나열된 마더(mother) 컬러 인쇄필름(미도시)을 한번에 박막 증착 한 다음, 단위 컬러 인쇄필름(20)으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플라즈마 음이온층(23)은 플라즈마 상태의 미세한 음이온을 증 착하여 형성되므로, 종래의 베이스 필름(21)이나 그 외 프라이머층(미도시)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었음에 비해, 그 표면의 편평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베이스 필름(21)에 직접 컬러 미러층(24)을 인쇄하거나, 혹은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고 그 표면에 인쇄하는 경우에 비해, 인쇄 특성을 향상시키고 박리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컬러 미러층(24)은 실버 잉크를 사용해 금속감을 표현함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 실크 잉크에 미러 실버 잉크(mirror silver ink), 옐로우(yellow) 실버 잉크, 블루(blue) 실버 잉크, 그린(green) 실버 잉크, 또는 레드(red) 실버 잉크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실버 잉크를 포함한 컬러 미러층(24)을 구비함에 따라 전자제품 케이스에 금속감을 줄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컬러 역시 표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컬러 UV 하드 코팅층(22)과 함께 종래의 멀티 증착층(13) 역할을 대신할 수 있어서 멀티 톤(multi tone)의 컬러를 표현할 수도 있게 한다.
단, 투명 실크 잉크와, 그 외 미러 실버 잉크, 옐로우 실버 잉크, 블루 실버 잉크, 그린 실버 잉크 또는 레드 실버 잉크 중 어느 하나의 중량 비율은 1:5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투명 실크 잉크의 비율이 과도한 경우에는 접착력은 향상되나 광택도가 저하되고, 그와 반대로 투명 실크 잉크의 비율이 과소한 경우에는 광택도는 향상되나 접착력은 저하되기 때문이다.
컬러 인쇄층(25)은 다양한 문자나 기호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컬러 인쇄필름(20)이 휴대폰의 키패드용 인쇄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면, 컬러 인쇄층(25)은 통화버튼 기호나, 숫자 및 특수 문자 등이 인쇄된 것일 수 있다.
단, 이러한 컬러 인쇄층(25)은 다양한 색으로 인쇄될 수 있으며, 그 인쇄 방법도 스크린 인쇄나 옵셋 인쇄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접착제층(26)은 전자제품 케이스 등에 컬러 인쇄필름(20)이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만약 컬러 인쇄필름(20)이 인몰드 방법에 의해 부착된다면 인몰드용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20)은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 필름(21)과, 상기 베이스 필름(21)의 상면에 결합된 컬러 UV 하드 코팅층(22)과, 상기 베이스 필름(21)의 하면에 결합된 홀로그램층(27)과, 상기 홀로그램층(27)의 하면에 증착된 플라즈마 음이온층(23)과, 상기 플라즈마 음이온층(23)의 하면에 인쇄된 컬러 미러층(24)과, 상기 컬러 미러층(24)의 하면에 인 쇄된 컬러 인쇄층(25) 및 상기 컬러 인쇄층(25)의 하면에 부착된 접착제층(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비해, 베이스 필름(21)과 플라즈마 음이온층(23) 사이에 홀로그램층(27)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컬러 UV 하드 코팅층(22)과 컬러 미러층(24)에 의해 멀티 톤의 컬러를 표출함과 동시에 홀로그램 효과 역시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이하, 베이스 필름(21)과, 컬러 UV 하드 코팅층(22)과, 플라즈마 음이온층(23)과, 컬러 미러층(24)과, 컬러 인쇄층(25) 및 접착제층(26) 등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컬러 인쇄필름은 컬러 편차가 적어 컬러 표출 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층간 박리 현상을 방지하고 정전기 발생을 줄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컬러 인쇄필름 산업분야의 기술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각종 전자제품 산업분야의 기술 발전을 역시 이룰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쇄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러 인쇄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베이스 필름 22: 컬러 UV 하드 코팅층
23: 플라즈마 음이온층 24: 컬러 미러층
25: 컬러 인쇄층 26: 접착제층
27: 홀로그램층

Claims (7)

  1.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결합되며, 소정의 색을 갖는 컬러 UV 하드 코팅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증착된 플라즈마 음이온층; 및
    상기 플라즈마 음이온층의 하면에 인쇄되며, 소정의 색을 갖는 컬러 미러 (mirror)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쇄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미러층의 하면에 결합되며, 소정의 색을 갖는 컬러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쇄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과 플라즈마 음이온층 사이에 결합되며, 홀로그램 효과를 발생시키는 홀로그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쇄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대전방지체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쇄필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UV 하드 코팅층은 투명의 UV 하드 코팅층 재질에 나노 입자의 안료 또는 염료가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쇄필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음이온층은 공정 챔버 내에서 플라즈마 박막 증착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쇄필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미러층은 투명 실크 잉크에 미러 실버 잉크, 옐로우 실버 잉크, 블루 실버 잉크, 그린 실버 잉크, 또는 레드 실버 잉크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인쇄필름.
KR1020080078710A 2008-08-12 2008-08-12 다층 멀티 인쇄필름 KR20100020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10A KR20100020067A (ko) 2008-08-12 2008-08-12 다층 멀티 인쇄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10A KR20100020067A (ko) 2008-08-12 2008-08-12 다층 멀티 인쇄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067A true KR20100020067A (ko) 2010-02-22

Family

ID=4209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710A KR20100020067A (ko) 2008-08-12 2008-08-12 다층 멀티 인쇄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00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5147B2 (ja) ベゼル加飾物
EP2377969B1 (en) Dual surface treated injection molding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12213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sing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1891015B1 (ko) 색상 맞춤 중합체 재료 및 그것을 형성하는 방법
WO2011093167A1 (ja) アンテナ付射出成形同時加飾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アンテナ付筐体の給電構造
CN201234412Y (zh) 一种塑胶壳体及采用该塑胶壳体的手机
US20070148417A1 (en) Decorative molded body, key top for a pushbutton switch, and key sheet for the pushbutton switch
US9108389B2 (en) Metal-colored and non-conductive transfer film
US20100055417A1 (en) Decorative film and device housing using the same
US20130161322A1 (en)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403170B1 (ko) 성형품 및 인-몰드 전사박
CN101945546A (zh) 壳体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制得的壳体
US1013330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fr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US20090280306A1 (en)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10101350A (ko) 휴대폰케이스용 메탈코팅구조와 그 제조방법
KR20120131848A (ko) 모바일기기용 커버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017788B1 (ko) 휴대폰 외장용 전사시트
KR20100020067A (ko) 다층 멀티 인쇄필름
KR101734923B1 (ko) 백릿 기능이 있는 디지털글라스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016736A (zh) 装饰片
JP2015507544A (ja) 加飾熱可塑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KR20070036240A (ko) 전기통신제품용 외장패널
KR101245108B1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의 입체 패턴 형성방법 및 그 케이스
CN216531387U (zh) 层叠结构及终端
CN103009649B (zh) 镜片加工方法、镜片及其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