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917A -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ing coupling - Google Patents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ing coupl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8917A KR20100018917A KR1020080077658A KR20080077658A KR20100018917A KR 20100018917 A KR20100018917 A KR 20100018917A KR 1020080077658 A KR1020080077658 A KR 1020080077658A KR 20080077658 A KR20080077658 A KR 20080077658A KR 20100018917 A KR20100018917 A KR 201000189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resonator
- filter
- cavity
- coupling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880 cross-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67 greater sac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커플링 개선을 위한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딜레이 필터는 다수의 캐비티; 상기 다수의 캐비티 각각에 수용되는 공진기; 인접하는 공진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인접하는 공진기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커플링 바; 및 상기 인접하는 공진기 및 상기 커플링바와 결합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개의 결합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개시된 필터에 의하면, 고온 환경에서도 필터의 형상 및 특성이 왜곡되지 않으면서 커플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n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ing coupling is disclosed. The disclosed delay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cavities; A resonator accommod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vities; A coupling bar provided between adjacent resonators and spaced apart from the adjacent resona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t least two coupling elements coupled to the adjacent resonator and the coupling ba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disclosed filt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upling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without distorting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RF 캐비티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플링 개선을 위한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 cavity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ing coupling.
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대역 통과 특성에 따라 로우 패스 필터, 밴드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밴드 스탑 필터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필터의 구조에 따라 럼프트 회로 필터, 세라믹 필터, 캐비티 필터 등으로 구분된다. The filter is a device that passes only signals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is classified into a low pass filter, a band pass filter, a high pass filter, and a band stop filter according to a band pass characteristic. Moreov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a filter, it is divided into a lump circuit filter, a ceramic filter, a cavity filter.
필터는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의 조합에 의한 공진을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며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의 연결 형태에 의해 대역 통과 특성이 정해진다. The filter filters a specific frequency signal using resonance by a combination of inductance and capacitance, and the band pass characteristics are determined by the connection type of inductance and capacitance.
필터는 두가지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삽입 손실이고 다른 하나는 스커트 특성이다. 삽인 손실은 입력된 전력이 전부 출력되지 않고 손실되는 특성을 의미하며, 스커트 특성은 대역 통과 특성 곡선이 얼마나 가파른지 여부에 대한 특성이다. The filter has two important characteristics: one is insertion loss and the other is skirt characteristic. Insertion loss refers to the characteristic that all input power is lost without being output, and skirt characteristic is how steep the bandpass characteristic curve is.
이와 같은 삽입 손실과 스커트 특성은 주로 필터의 차수와 연관되어 있으며, 필터의 차수가 높을수록 스커트 특성은 좋아지나 삽입 손실은 나빠지는 서로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다. The insertion loss and skirt characteristics are mainly related to the order of the filter, and the higher the order of the filter, the better the skirt characteristics but the trade-off of the insertion loss.
필터의 또 한가지 중요한 특성 중 하나로 군지연(Group Delay) 특성이 있다. 군지연은 각주파수에 따른 위상의 변화량을 의미하며, 필터의 구현 시에는 그룹 딜레이를 작게 설정하거나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해지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Another important feature of the filter is the Group Delay feature. The group delay means the amount of phase change according to each frequency, and when implementing the filter, it is necessary to set the group delay to be small or to be constant in a wide frequency band.
이와 같은 필터의 군지연 특성을 이용한 필터가 딜레이 필터이며 딜레이 필터는 입력된 RF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filter using the group delay characteristics of such a filter is a delay filter, and the delay filter functions to delay the input RF signal by a predetermined time.
이와 같은 딜레이 필터는 일반적인 대역 통과를 목적으로 하는 필터에 비해 큰 커플링을 필요로 한다. 딜레이 필터에는 크로스 커플링 엘리먼트와 같이 커플링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Such delay filters require larger coupling than filters intended for general band pass. It is common for delay filters to use structures for improving the coupling, such as cross coupling elements.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는 특성 신호의 대역 통과 및 딜레이를 위해 다수의 캐비티가 형성되고 각 캐비티에 공진기가 수용되는 RF 캐비티 필터가 주로 이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mainly used for the RF cavity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cavities are formed for the band pass and delay of the characteristic signal and the resonator is accommodated in each cavity.
도 1은 일반적인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cavity filter.
도 1을 참조하면, RF 캐비티 필터는 입력 커넥터(100), 출력 커넥터(102), 다수의 월(120)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캐비티(104) 및 각 캐비티(104)에 수용되는 다수의 공진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RF cavity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입력 커넥터(100)는 동축 케이블과 같은 외부의 RF 전송 선로와 결합되며 RF 신호가 입력된다. The
각각의 캐비티(104)에서는 RF 신호의 공진이 이루어지며 각각의 캐비티에는 신호의 공진을 위한 공진기(106)가 장착된다. 필터의 공진 모드에 따라 금속 재질의 공진기가 사용될 수도 있고 유전체 재질의 공진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Resonance of the RF signal occurs in each
일반적으로 공진기의 길이는 중심 주파수의 1/4 파장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모양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디스크 타입의 공진기가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the length of the resonator has a length of 1/4 wavelength of the center frequency, as shown in Figure 1 generally has a cylindrical shape, a disk type resonator is also used.
각각의 캐비티에서의 공진에 의해 필터링된 RF 신호는 출력 커넥터(106)를 통해 출력되며, 출력 커넥터(106)는 출력되는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선로와 결합된다. The RF signal filtered by the resonance in each cavity is output through the
RF 캐비티 필터의 커버(108)에는 다수의 튜닝 볼트(110)가 결합되며, 튜닝 볼트는 커버를 통과하여 RF 캐비티 필터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된다. 튜닝 볼트(110)는 필터의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튜닝하는데 사용되며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도 2는 종래의 RF 캐비티 필터 중 커플링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가 채용된 딜레이 필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lay filter employing a structure for improving coupling among conventional RF cavity filters.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에는 RF 필터의 하단 및 인접하는 두 개의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커플링 바(200)가 구비되며, 커플링 바는 공진기간의 커플링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ventional RF cavity delay filter includes a
그러나, 도 2와 같은 구조의 커플링 바는 공진기와 필터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때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필터의 형상에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upling bar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2 has a problem that distortion occurs in the shape of the filte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when the resonator and the filter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RF 캐비티 필터는 고온 환경에서 자주 사용되며, 오랫동안 높은 온도에 노출될 경우, 공진기와 필터 하우징 및 커플링 바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형상의 왜곡을 가져올 수 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해 필터 특성이 변경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RF cavity filters are frequently used i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s, and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for a long time,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the resonator, filter housing, and coupling bar inevitably leads to distortion of the shape, which causes the filter characteristics to change. This occurred.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커플링 특성이 개선될 수 있는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proposed an RF cavity delay filter that can improve the coupl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 환경에서도 필터의 특성이 변경되지 않으면서 커플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를 제안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RF cavity delay filter that can improve coupling characteristics without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캐비티; 상기 다수의 캐비티 각각에 수용되는 공진기; 인접하는 공진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인접하는 공진기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커플링 바; 및 상기 인접하는 공진기 및 상기 커플링바와 결합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개의 결합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커플링 특성 개선을 위한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vities; A resonator accommod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vities; A coupling bar provided between adjacent resonators and spaced apart from the adjacent resona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t least two coupling elements coupled to the adjacent resonator and the coupling ba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공진기 및 상기 커플링 바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 엘리먼트는 상기 공진기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The resonator and the coupling bar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coupling element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sonator.
상기 커플링 바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진기 및 커플링 바는 황동 재질로 이루어진다. The coupling bar is made of aluminum, and the resonator and the coupling bar are made of brass.
상기 결합 엘리먼트는 상기 공진기 측면 상부 및 상기 커플링 바 상부와 결합된다. The coupling element is coupled with the resonator side top and the coupling bar top.
상기 결합 엘리먼트는 수평부 및 수직부를 포함하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element may have a '-' shape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본 발명은 고온 환경에서도 딜레이 필터의 특성이 변경되지 않으면서 커플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upling characteristics without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ay filter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플링 특성 개선을 위한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ing coupl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특성 개선을 위한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의 내부 중 일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의 내부 중 일부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n interior of an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ing coupl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RF cavity de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which shows sectional drawing about a part of inside of a filte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특성 개선을 위한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는 다수의 공진기(300, 302), 커플링 바(304), 제1 결합 엘리먼트(306) 및 제2 결합 엘리먼트(308)를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ing coupl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도 3 및 도 4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필터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으며, 두 개의 공진기(300) 및 두 개의 공진기 사이에 구비된 커플링 바(304) 및 결합 엘리먼트들(306, 308)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두 개의 공진기가 구비된 딜레이 필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공진기가 구비된 딜레이 필터에 확장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3 and 4 show a portion of the filter for ease of explanation, and two
공진기(300, 302)는 원통 형상이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공진 기의 재질과 필터 하우징의 재질이 상이한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필터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공진기는 황동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공진기가 황동 재질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의 끝 단은 디스크 형상일 수도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인 공진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end of the resonator may be disk-shaped, or a cylindrical cylinder may be used as a whole.
공진기(300, 302)는 캐비티 내에서 RF 신호의 공진 작용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RF 캐비티 필터의 공진 주파수는 공진기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며, 공진기의 높이는 중심 주파수 파장의 1/4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공진기의 직경은 RF 캐비티 필터의 Q값과 연관된다. The
도 3 및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공진기 상부에는 튜닝 볼트의 끝단이 위치할 수 있으며, 공진기 상부에 위치하는 튜닝 볼트는 필터의 중심 주파수를 튜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S. 3 and 4, an end of a tuning bolt may be located above the resonator, and a tuning bolt located above the resonator may be used to tune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lter.
제1 공진기(300) 및 제2 공진기(302) 사이에는 커플링 바가(304)가 설치되며, 커플링 바는 필터 하단에 결합된다. 종래의 커플링 특성 개선을 위해 설치되는 커플링 바와는 달리 제1 공진기(300) 및 제2 공진기(302)와는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바(304)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바(304)의 필터의 하우징 형성 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터의 하우징 형성 후 볼트, 솔더링과 같 은 다양한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커플링 바(304)의 높이 및 폭은 커플링 계수와 연관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종래에는 커플링 바가 필터 하단 및 공진기와 직접 접촉하였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높은 커플링 량을 확보하는 데에는 기여를 하였으나, 필터가 고온의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커플링 바의 열팽창 계수와 공진기의 열팽창 계수가 다를 경우 커플링 바 및 공진기의 형상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 coupling ba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lter and the resonator. This structure contributes to ensuring a high coupling amount. However, when the filter is used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coupling bar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resonator are If differen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hape of the coupling bar and the resonator is distorted.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커플링 바(304)는 제1 공진기(300) 및 제2 공진기(302)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진기(300, 302)와 커플링 바(304)의 재질이 상이하더라도 고온 환경에서 공진기(300, 302) 또는 커플링 바(304)의 형상에는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1 결합 엘리먼트(306)는 제1 공진기(300)의 측면 및 커플링 바(304)의 상부와 결합되며, 제2 결합 엘리먼트(308)는 제2 공진기(302)의 측면 및 커플링 바(304)의 상부와 결합된다. The
제1 결합 엘리먼트(306) 및 제2 결합 엘리먼트(308)는 공진기 측면 및 커플링 바의 상부와 결합되기 위해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 엘리먼트(306) 및 제2 결합 엘리먼트(308)는 공진기와 동일한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진기가 황동 재질일 경우 제1 결합 엘리먼트(306) 및 제2 결합 엘리먼트(308)는 황동 재질로 구현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 엘리먼트(306) 및 제2 결합 엘리먼트(308)는 솔더링에 의해 공진기(300, 302) 및 커플링 바(304)에 결합된다. 물론, 솔더링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플링 바를 직접 공진기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지 않으며 커플링 바 자체는 공진기와 이격시키되 커플링 엘리먼트(306, 308)에 의해 공진기(300, 302)와 커플링 바(30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는 공진기(300, 302)와 커플링 바(304)의 전기적은 연결을 유지시킴으로써 높은 커플링량을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커플링 바와 공진기의 재질의 상이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형상의 왜곡 및 필터 특성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ar is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resonator and the coupling bar itself is spaced apart from the resonator, but the coupling bars 306 and 308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RF 캐비티 필터에서 커플링 계수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coupling coefficient in the RF cavity filter may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위 수학식에서 f1은 제1 공진기에서의 공진 주파수이고 f2는 제2 공진기에서의 공진 주파수이다. In the above equation f1 is the resonant frequency in the first resonator and f2 is the resonant frequency in the second resonator.
제1 결합 엘리먼트(306) 및 제2 결합 엘리먼트(308)가 공진기 및 커플링 바 상부에 결합될 경우 f1 및 f2가 변화되면서 커플링 계수가 증가한다. When the
예를 들어, 제1 결합 엘리먼트 및 제2 결합 엘리먼트가 구비되지 않고 커플 링 바만 존재하는 경우에 f1이 878,7MHz이고 f2가 950.6MHz라고 할 때 커플링 계수는 0.0843으로 연산된다. For example, when f1 is 878,7 MHz and f2 is 950.6 MHz when the first coupling element and the second coupling element are not provided and only the coupling bar is present, the coupling coefficient is calculated as 0.0843.
위의 예와 동일한 규격을 가진 필터에 제1 결합 엘리먼트 및 제2 결합 엘리먼트가 구비될 경우 f1=854.3MHz, f2=966.1MHz로 변경되며, 이에 따라 커플링 계수는 0.1226이되어 커플링 계수가 증가한다. When the first coupling element and the second coupling element are provided in the filter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 as the above example, the coupling coefficient is changed to f1 = 854.3 MHz and f2 = 966.1 MHz. do.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RF cavity delay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결합 엘리먼트(500)의 수직부(300b)의 길이가 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length of the vertical portion 300b of the
커플링 계수는 결합 엘리먼트(500)의 수직부(500b)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으며, 결합 엘리먼트(500)의 수직부(500b)의 길이와 커플링 계수는 비례 관계에 있다. The coupling coefficient may also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즉, 보다 높은 커플링 계수를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경우, 결합 엘리먼트(500)의 수직부(500b)의 길이를 길게 설정한다. That is, when it is necessary to ensure a higher coupling coefficient, the length of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도 1은 일반적인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ypical cavity filter.
도 2는 종래의 RF 캐비티 필터 중 커플링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가 채용된 딜레이 필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lay filter employing a structure for improving coupling among conventional RF cavity filter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특성 개선을 위한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의 내부 중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interior of the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ing the coupl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의 내부중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interior of an RF cavity delay filte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캐비티 딜레이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RF cavity delay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7658A KR101055649B1 (en) | 2008-08-07 | 2008-08-07 |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ed coup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7658A KR101055649B1 (en) | 2008-08-07 | 2008-08-07 |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ed coupl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8917A true KR20100018917A (en) | 2010-02-18 |
KR101055649B1 KR101055649B1 (en) | 2011-08-10 |
Family
ID=4208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76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5649B1 (en) | 2008-08-07 | 2008-08-07 |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ed coupl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564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4518B1 (en) * | 2012-10-15 | 2014-05-14 | (주)에드모텍 | Cavity resonator |
CN107112618A (en) * | 2014-12-31 | 2017-08-29 |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 Coupled structure, cavity body filter and the duplexer of cavity body filter |
KR101987344B1 (en) * | 2019-03-20 | 2019-06-10 | 이재복 | Multi-band pass filter |
WO2021167357A1 (en) * | 2020-02-20 | 2021-08-26 |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 Cavity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KR20230171198A (en) * | 2022-06-13 | 2023-12-20 | (주)이랑텍 | RF cavity filter with multiple transmission zero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3073B1 (en) * | 1997-09-12 | 1999-10-15 | 김덕용 | E-field Dielectric Resonator Notch Filter |
KR200404258Y1 (en) * | 2005-09-21 | 2005-12-20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Coupling Boss Coaxial Filter |
JP4757154B2 (en) | 2006-09-15 | 2011-08-24 | 双信電機株式会社 | Delay filter |
-
2008
- 2008-08-07 KR KR1020080077658A patent/KR1010556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4518B1 (en) * | 2012-10-15 | 2014-05-14 | (주)에드모텍 | Cavity resonator |
CN107112618A (en) * | 2014-12-31 | 2017-08-29 |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 Coupled structure, cavity body filter and the duplexer of cavity body filter |
KR101987344B1 (en) * | 2019-03-20 | 2019-06-10 | 이재복 | Multi-band pass filter |
WO2021167357A1 (en) * | 2020-02-20 | 2021-08-26 |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 Cavity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KR20230171198A (en) * | 2022-06-13 | 2023-12-20 | (주)이랑텍 | RF cavity filter with multiple transmission zero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5649B1 (en) | 2011-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9209B1 (en) | Suspended dielectric combline cavity filter | |
KR102503237B1 (en) | Radio frequency filter | |
KR101055649B1 (en) |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ed coupling | |
GB2353144A (en) | Combline filter | |
US6989725B2 (en) |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 |
KR100394801B1 (en) | Resonator,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JP3797273B2 (en) | Band stop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 |
KR101026416B1 (en) | Open type notch fixing device and notch filter provided with the same | |
KR20150021138A (en) | Triple-mode Filter | |
KR101094762B1 (en) | RF filter with dual resonator structure | |
KR102116271B1 (en) | Radio frequency filter with notch structure | |
US6642814B2 (en) | System for cross coupling resonators | |
KR19980079948A (en) | Dielectric Filters, Dielectric Duplexe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 |
CN112952323B (en) | A single resonance rod, resonance rod and radio frequency cavity filter | |
KR20050036522A (en) | Resonator notch filter | |
EP1191626A2 (en) | Resonator filter | |
KR20060094927A (en) | Broadband Filter for Non-Radiated Microstrip Line Using Ceramic Resonator | |
KR20070013983A (en) | Resonator filter coupled with curved conductor plate | |
KR100557305B1 (en) | Microstrip Dielectric Filters | |
KR100562780B1 (en) | Dielectric resonator filter | |
JP4953994B2 (en) | Resonator and filter | |
KR102782007B1 (en) | Miniaturized bandpass filter | |
KR100401971B1 (en) |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 |
KR200215837Y1 (en) | A filter having characteristics of flat group delay in a wide band | |
KR100656297B1 (en) | Filter with Coupling Balance Notch C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