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518B1 - Cavity resonator - Google Patents

Cavity reson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518B1
KR101394518B1 KR1020120113907A KR20120113907A KR101394518B1 KR 101394518 B1 KR101394518 B1 KR 101394518B1 KR 1020120113907 A KR1020120113907 A KR 1020120113907A KR 20120113907 A KR20120113907 A KR 20120113907A KR 101394518 B1 KR101394518 B1 KR 10139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tuning screw
resonator
core por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8426A (en
Inventor
김채영
박정근
김경수
김당오
장현아
양대근
이창화
구본희
Original Assignee
(주)에드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드모텍 filed Critical (주)에드모텍
Priority to KR102012011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518B1/en
Publication of KR2014004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4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5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54Non-comb or non-interdigital filters
    • H01P1/20381Special shap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2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suppressing or attenuating harmonic frequencie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공진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내부에 공동을 가지는 외심부, 상기 공동 내에 위치하며 상기 공동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갖는 내심부, 상기 공동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내심부 중앙으로 내려오는 봉형의 튜닝 스크류, 그리고 상기 외심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심부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튜닝 스크류의 하면은 내심부 바닥면과 이격거리를 갖는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vity resonator, comprising an outer core portion having an inner cavity, an inner core portion located in the cavity and connected to the cavity bottom surfac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ed top surface, Shaped tuning screw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inner core, and at least one coil conne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r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r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uning screw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

Description

공동 공진기{CAVITY RESONATOR}{CAVITY RESONATOR}

본 발명은 공동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vity resonator.

공동 공진기(Cavity Resonator)는 도체 벽으로 둘러싸인 공동의 공진 현상(Resonance phenomena)을 이용한 초고주파 대역에 주로 사용되는 공진기 형태이다. 특히, 공진기 내부의 형상을 동축선 구조로 만든 공진기를 동축 공동 공진기라고 한다. 공진기의 크기는 공진기가 동작하는 공진주파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것은 물리적인 크기에 의하여 결정된다.The cavity resonator is a resonator type mainly used in a very high frequency band using a resonance phenomenon of a cavity surrounded by a conductor wall. In particular, a resonator having a coaxial line shape inside the resonator is called a coaxial cavity resonator. The size of the resonator is closely related to the resonant frequency at which the resonator operates, which is determined by the physical size.

종래의 공동 공진기 구조로는 공진기의 한쪽을 단락 시키고, 나머지 한쪽을 단락 또는 개방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진기는 한쪽을 개방시키는 방법을 선택하며, 이것을 이중 동축 공동 공진기(Double-coaxial cavity resonator) 라고 한다. In the conventional cavity resonator structure, one of the resonators is short-circuited and the other is short-circuited or opened. However, a commonly used resonator selects a method of opening one side, which is called a double-coaxial cavity resonator.

종래의 이중 동축 공동 공진기는 임의 형상의 금속 공동 내부에 한쪽 끝이 공동 공진기의 한 면에 부착되어 단락 되고, 일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으로 된 내심을 형성하여 나머지 쪽은 개방되어 내심의 길이에 따른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를 갖게 만든 형태이다. 또한, 개방된 공진기의 끝 면에서 금속 내심 내부에 튜닝 스크류를 삽입하도록 하여 금속 내심의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여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진기의 공진주파수는 튜닝 스크류와 내심의 길이로는 약간의 조절만 가능하며, 공진주파수의 주 결정요소는 공진기의 크기가 된다. 그러므로 공동 공진기의 소형화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In the conventional double coaxial cavity resonator, one end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avity resonator and is short-circuited in a metal cavity of an arbitrary shape to form an inner core made of a met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t has a resonance frequency. In additio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tor can be adjusted by inserting a tuning screw into the inside of the metal at the end surface of the opened resonator to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etal inside. However,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tor can only be slightly adjusted by the length of the tuning screw and the inner core, and the main determining factor of the resonance frequency is the size of the resonator. Therefore, miniaturization of the cavity resonator is very important.

공동 공진기의 경우 공진기를 사용하는 여파기를 비롯한 초고주파 부품에 주로 많이 사용되며, 부품의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있어서 공진기의 크기는 매우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In the case of a cavity resonator, it is mainly used for a very high frequency component including a resonator, and the size of the resonato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iniaturization of the compon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동 공진기에 메타물질 기술을 적용시키고 코일을 이용하여 소형화 특성을 갖는 공동 공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vity resonator having a miniaturization characteristic by applying a metamaterial technology to a cavity resonator and using a coi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튜닝이 가능한 CRLH 전송선 구조의 공동 공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vity resonator of a tunable CRLH transmission line structure.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공동 공진기는 내부에 공동을 가지는 외심부,A cavity resonat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ore portion having an inner cavity,

상기 공동 내에 위치하며 상기 공동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갖는 내심부, 상기 공동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내심부 중앙으로 내려오는 봉형의 튜닝 스크류, 그리고 상기 외심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심부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튜닝 스크류의 하면은 내심부 바닥면과 이격거리를 갖는다.A tubular tuning screw which is connected to the cavity bottom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opened on the top surface, a rod-shaped tuning screw which is connected to the cavity top surface and descends to the center of the inner cor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uning screw has a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ttom.

상기 튜닝 스크류는 내심부의 원통 내부에 삽입되어 내심부의 내주면과 튜닝 스크류의 외주면 간에 갭이 형성되도록 외주 직경을 설정하고, 등가 회로적으로 캐패시터를 형성한다.The tuning screw is inserted into a cylinder of the inner core to set the outer diameter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ning screw, and a capacitor is formed in an equivalent circuit.

상기 내심부 바닥면과 상기 튜닝 스크류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정한다.The resonance frequency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ep core and the tuning screw.

상기 튜닝 스크류는 알루미늄 재질의 봉에 표면을 은으로 도금한다.The tuning screw is plated with silver on the aluminum rod.

상기 코일은 외심부 내주면에 연결 또는 단락 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정한다.The coil is connected or short-circui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ore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상기 코일은 에어코일이다.The coil is an air coil.

상기 코일은 금속 도선으로 형성된다.The coil is formed of a metal wire.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공동 공진기에 메타물질 기술을 적용시키고 코일을 이용하여 소형화 특성을 갖는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a metamaterial technique is applied to a cavity resonator and a miniaturization characteristic is obtained by using a coil.

또한, 튜닝이 가능한 CRLH 전송선 구조의 공동 공진기를 제공한다.Also provided is a cavity resonator of a tunable CRLH transmission lin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 공진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동 공진기를 Ⅱ-Ⅱ선을 따라 외심부, 내심부, 튜닝 스크류 그리고 코일을 자른 도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RLH 전송선로의 등가회로이다.
도 4는 도 3의 전송선로의 위상 속도를 보여주는 전송선의 분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RLH 공동 공진기와 기존 공진기를 이용한 대역 통과 여파기 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1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avity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vity resonator shown in FIG. 1,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in which the outer core portion, the inner core portion, the tuning screw, and the coil are cut.
3 is an equivalent circuit of a CRLH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spersion diagram of a transmission line showing the phase velocity of the transmission line of FIG.
5 is a graph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a bandpass filter using a CRLH cavity resonator and an existing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 공진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avity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5를 참고로 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 공진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cavity reson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5. FIG.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 공진기의 내부를 사시한 도면으로, 최외곽 선이 외심부(100)의 내주면을 나타내며, 최외곽 선 바깥쪽에 외심부(100)가 구성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nal structure of a cavity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most line represent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ore 100, and the outer core 100 is formed outside the outermost line.

먼저, 이와 같은 도 1과 도2를 참고로 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 공진기는 내부에 공동(110)을 가지는 외심부(100), 공동(110) 내부의 바닥면과 연결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내심부(200), 공동(110) 내부의 상면과 연결되고 내심부(200) 중앙으로 내려오는 봉형의 튜닝 스크류(300) 그리고 외심부(100) 내주면과 내심부(200) 외주면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400)을 포함한다.1 and 2, the cavity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outer core 100 having a cavity 110 therein, a cavity 100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0, A tubular tuning screw 300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vity 200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vity 20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00 (Not shown).

외심부(100)는 외심부(100)를 가로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공동(110)의 평면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 공진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cavity 110 when the outer core 100 is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outer core 100 may have one of various shapes capable of resonating such as polygonal, circular or elliptical.

내심부(200)은 외심부(100)의 내부인 공동(110)의 바닥면과 연결된 원통형의 금속으로 구성하며, 공동(110)의 상면과 이격거리(d2)를 가진다.The inner core portion 200 is formed of a cylindrical metal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0 inside the outer core portion 100 and has a distance d 2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0.

튜닝 스크류(300)은 외심부(100)의 내부인 공동(110)의 상면과 연결되어 내심부(200)의 원통 내부로 내려오는 봉형태의 금속재질로 구성한다.The tuning screw 300 is formed of a rod-shaped metal material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0, which is the inside of the outer core 100, and descends into the cylinder of the inner core 200.

이러한 튜닝 스크류(300)의 지름(r2)는 내심부(200)의 지름(r3)보다 작게 구성하여 내심부(200)의 내주면과 튜닝 스크류(300)의 외주면이 닿지 않게 구성하고, 튜닝 스크류(300)의 하면과 내심부(200)의 원통 내부의 바닥면이 이격거리를 가져 닿지 않게 구성하여 내심부(200)와 튜닝 스크류(300) 간의 갭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등가회로적으로 커패시터를 형성하도록 한다.The diameter r 2 of the tuning screw 30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r 3 of the inner core portion 200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re portion 200 does not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ning screw 300, The gap between the inner core portion 200 and the tuning screw 300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w 3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re portion 200 do not touch each other, Respectively.

이러한 내심부(200)와 튜닝 스크류(30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inner core portion 200 and the tuning screw 300.

코일(400)은 외심부(100)의 내주면과 내심부(200)의 외주면을 연결한다.The coil 400 conne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re portion 100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re portion 200.

이러한 코일(400)은 하나 이상으로 공동(110)에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기본적으로 에어코일을 사용하여 구성하나, 특정한 형상과 무관하게 인덕턴스 값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구조에 대해 적용 가능하며, 공진기의 구조물의 변경으로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얻는다면 그 형태를 한정 짓지 않는다.These coils 400 can be configured in one or more cavities 110 and are basically constructed using air coils but can be applied to any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an inductance value regardless of a specific shape, The shape of the resonator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desired resonance frequency is obtained.

이러한 코일은 에어코일 또는 금속 도선으로 형성하며, 코일(400) 외심부(100) 내주면에 연결 또는 단락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정한다.Such a coil is formed of an air coil or a metal wire, and is connected or short-circui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portion 100 of the coil 400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이렇게 구성되는, 외심부(100), 내심부(200), 튜닝 스크류(300) 그리고 코일(400)은 전도도가 좋은 금속으로 구성하며, 본 실시예에서의 튜닝 스크류(300)은 알루미늄에 은을 도금하여 구성한다.The outer core portion 100, the inner core portion 200, the tuning screw 300, and the coil 400 are formed of a metal having high conductivity. The tuning screw 300 in this embodiment is made of aluminum, Plat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외심부(100)의 공동(110), 내심부(200), 튜닝 스크류(300)이 봉형태를 갖는 공동 공진기의 각 구조의 수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The numerical values of the respective structures of the cavity resonator having the rods of the cavity 110, the inner core portion 200 and the tuning screw 300 of the outer core por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외심부(100)의 내부 공동(110) 바닥면의 지름(a)는 34mm이고, 높이(h1)는 30mm이다.The diameter 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vity 110 of the outer core portion 100 is 34 mm and the height h1 is 30 mm.

내심부(200)가 공동(110)의 바닥면에 연결된 내심부(200)의 지름(r4)은 11mm이고, 내심부(200)의 내주의 바닥면의 지름(r3)은 7mm이며, 내심부(200)의 내부에 공간이 시작되는 것은 외주면(100) 바닥면에서 7.5mm 높이(d4)부터 시작되고, 내심부(200) 상면과 외심부(100) 상면 간의 이격거리(d2)는 2mm이다.The diameter r 4 of the inner core portion 200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10 of the inner core portion 200 is 11 mm and the diameter r 3 of the inner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core portion 200 is 7 mm, It is within the deep space begins in the interior of the 200 is started from 7.5mm height (d 4) in term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00, the bottom, within the spacing between core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ore 100, the upper surface distance (d 2 ) Is 2 mm.

튜닝 스크류(300)의 지름(r2)은 2.2mm이고 내심부(200)의 내주면과 닿지 않게 구성한다.The diameter r 2 of the tuning screw 300 is set to 2.2 mm and does not contac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ore portion 200.

코일(400)의 구경(d3)은 6mm이고, 외주면(100) 및 내주면(200)에 코일(400)이 연결되는 위치인 높이(d1)는 13.2mm이며, 외주면(100) 및 내주면(200)에 코일(400)이 연결되는 부위의 지름(r1)은 1mm이다.The diameter d3 of the coil 400 is 6 mm and the height d 1 at which the coil 400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00 is 13.2 m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00 The diameter r 1 of the portion where the coil 400 is connected is 1 mm.

도 3은 위와 같이 구성된 공동 공진기에서 사용된 CRLH(Composite Right-/Left-Handed) 전송선로의 등가회로이다.3 is an equivalent circuit of a composite right- / left-handed (CRLH) transmission line used in the cavity resonato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일반적인 전송선에 직렬 커패시턴스 CL과 병렬 인덕턴스 LL 성분을 추가하여 CRLH 전송선을 구현하게 되면, 2개의 직렬공진과 병렬공진을 갖는 전송선이 된다. 이 전송선로에서는 공진 주파수 이하에서는 Backward-wave가 발생하여 기존 전송선로와 반대 방향의 파동 방향을 갖는다. 더불어 직렬 공진과 병렬 공진 주파수에서는 음의 파동 방향과 양의 파동 방향이 중첩이 되어 위상속도가 0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전송선로의 길이에 따라서 선로 양단에서 발생되는 위상 지연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전송선 양단의 거리와 무관하게 파가 진행될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CRLH 전송선로를 가지고 공진기를 만들게 되면 마찬가지로 공진기의 길이에 무관한 공진주파수를 갖는 공진기가 구현이 가능함을 의미한다.When a CRLH transmission line is implemented by adding a series capacitance C L and a parallel inductance L L component to a general transmission line, the transmission line has two series resonance and parallel resonance. In this transmission line, a backward-wave occurs below the resonance frequency, and has a wave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conventional transmission line. In addition, at the series resonance and the parallel resonance frequency,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negative wave direction and the positive wave direction are overlapped and the phase velocity becomes zero. In other words, there is no phase delay occurring at both ends of the transmission lin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line, which means that the wave can proceed irrespectiv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ssion lines. If a resonator is formed with this CRLH transmission line, it means that a resonator having a resonance frequency irrespective of the length of the resonator can be implemented.

이러한 특성을 동축 공동 공진기에 구현하기 위해서 LR, CR, CL, LL 의 총 4개의 LC 성분들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In order to realize such a characteristic in the coaxial cavity resonator, it is found that a total of four LC components of L R , C R , C L and L L are required.

이것은 기본적인 동축 공동 공진기는 전송선로 형태이므로 LR 과 CR 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게 된다. 더불어 내심부(200) 내부에 튜닝 스크류(300)를 포함하는 공동 공진기는 튜닝 스크류(300)와 내심부(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의하여 갭(gap) 커패시턴스가 존재하게 되며, 이것은 CL 역할을 하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basic coaxial cavity resonator is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line, so that L R and C R are basically possessed. In addition to the cavity resonator comprises a tuning screw (300) therein within the mandrel (200) is a gap (gap) by the spacing between the tuning screw 300 and the I core 200, and the capacitance is present, this C L role .

도 4는 도 3의 전송선로의 위상 속도를 보여주는 전송선의 분산도로 가로축은 위상상수 β (Beta)이며, 세로축은 주파수 축이다.FIG. 4 is a graph showing the phase velocity of the transmission line of FIG. 3 along the dispersion axis of the transmission line. The horizontal axis is the phase constant beta (Beta) and the vertical axis is the frequency axis.

음의 위상상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Backward-wave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으며, 양의 위상상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정상적인 전송선로와 동일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불연속 구간을 결정하는 것이 앞서 언급한 2개의 공진주파수이며, 2개의 공진주파수에서는 위상속도가 0이 된다. 상기의 공진주파수 및 분산도 특성은 CRLH 전송선의 LC 성분들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것은 공진기의 구조물의 변경으로 원하는 공진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공진기의 크기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공진기의 크기와 무관하게 CRLH 전송선로를 구현하여 위상속도가 0이 되는 공진주파수를 갖는 공진기를 만들 수가 있다.Backward-wave is generated in the frequency band with a negative phase constant. In the frequency band having a positive phase constant,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normal transmission line are shown. And, to determine the discontinuity section is the above-mentioned two resonance frequencies, and at two resonance frequencies, the phase velocity becomes zero. The above resonance frequency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are determined by the LC components of the CRLH transmission line. This means that a desired resonant frequency can be obtain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resonator, and it does not depend only on the size of the resonator. In other words, the CRLH transmission line can be realiz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resonator, so that a resonator having a resonant frequency with a phase velocity of 0 can be 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RLH 공동 공진기와 기존 공진기를 이용한 대역 통과 여파기 특성을 비교한 도면으로, 도 1과 도 2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 공진기를 다수개 사용하여 만든 Duplexer를 포함하는 RFEU(RF Frond-End Unit)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측정하였다.FIG. 5 is a graph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a bandpass filter using a CRLH cavity resonator and an existing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RF frond-end unit (RFEU) including the duplexer was fabricated and measured.

본 실시예에서 RFEU의 크기를 주로 결정하는 것이 공진기의 길이이며, 공진기의 길이가 소형화 됨에 따라서 RFEU의 크기도 소형화 된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RFEU에서는 길이가 52mm인 공동 공진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을 사용하면 길이 30mm인 공동 공진기로도 동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것은 약 40%의 소형화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the length of the resonator that mainly determines the size of the RFEU, and as the length of the resonator is reduced, the size of the RFEU is also miniaturized. In the conventional RFEU, a cavity resonator having a length of 52 mm was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same performance with a cavity resonator having a length of 30 mm. This means about 40% miniaturization.

또한 도 5는 Duplexer 중 Tx-Port와 Antenna-Port 간에 구현된 대역통과여파기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설명에서 나타난 본 발명의 공동 공진기의 성능 구현을 증명하고 있다.FIG. 5 shows characteristics of a bandpass filter implemented between a Tx-Port and an Antenna-Port in a duplexer, and demonstrates the performance of the cavity reson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외심부 110: 공동
200: 내심부 300: 튜닝 스크류
400: 코일
100: outer core part 110: joint
200: inner deep part 300: tuning screw
400: coil

Claims (7)

내부에 공동을 가지는 외심부,
상기 공동 내에 위치하며 상기 공동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갖는 내심부,
상기 공동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내심부 중앙으로 내려오는 봉형의 튜닝 스크류, 그리고
상기 외심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심부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
을 포함하며,
상기 튜닝 스크류의 하면은 내심부 바닥면과 이격거리를 갖고,
상기 코일은 에어코일인 공동 공진기.
An outer core portion having a cavity therein,
An inner core portion located in the cavity and connected to the cavity bottom surfac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A bar-shaped tuning screw connected to the cavity top surface and descending to the center of the inner core, and
And at least one coil conne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re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re portion,
/ RTI >
The lower surface of the tuning screw has a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deep portion,
Wherein the coil is an air coil.
제1항에서,
상기 튜닝 스크류는 내심부의 원통 내부에 삽입되어 내심부의 내주면과 튜닝 스크류의 외주면 간에 갭이 형성되도록 외주 직경을 설정하고, 등가 회로적으로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공동 공진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uning screw is inserted into a cylinder of an inner core to set an outer diameter so as to form a gap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r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ning screw and form a capacitor in an equivalent circuit.
제1항에서,
상기 내심부 바닥면과 상기 튜닝 스크류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공동 공진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djusts a resonance frequency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ep core and the tuning screw.
제1항에서,
상기 튜닝 스크류는 알루미늄 재질의 봉에 표면을 은으로 도금한 공동 공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uning screw is formed by plating a surface of an aluminum rod with silver.
제1항에서,
상기 코일은 외심부 내주면에 연결 또는 단락 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공동 공진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il is connected to or short-circuited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ore portion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13907A 2012-10-15 2012-10-15 Cavity resonator KR1013945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907A KR101394518B1 (en) 2012-10-15 2012-10-15 Cavity reson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907A KR101394518B1 (en) 2012-10-15 2012-10-15 Cavity reson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426A KR20140048426A (en) 2014-04-24
KR101394518B1 true KR101394518B1 (en) 2014-05-14

Family

ID=5065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907A KR101394518B1 (en) 2012-10-15 2012-10-15 Cavity reson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51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329A (en) * 1996-04-05 1997-10-21 Kokusai Electric Co Ltd High speed tuning filter
KR100844163B1 (en) 2007-03-15 2008-07-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Multiple notch filter
KR20100018917A (en) * 2008-08-07 2010-02-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ing coupl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5329A (en) * 1996-04-05 1997-10-21 Kokusai Electric Co Ltd High speed tuning filter
KR100844163B1 (en) 2007-03-15 2008-07-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Multiple notch filter
KR20100018917A (en) * 2008-08-07 2010-02-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Rf cavity delay filter for improving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426A (en)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2215A (en) Microwave resonant cavity of inner conductor with spiral groove structure
KR100992089B1 (en) Band rejection filter
CN103262338B (en) Tunable high frequency filter
US20060284708A1 (en) Dielectrically loaded coaxial resonator
EP2544297B1 (en) Adjustable resonator filter and method for adjusting coupling between resonator cavities
JPWO2006075439A1 (en) Tunable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215434B1 (en) Variable high frequency filter device and assembly
EP2429026A1 (en) Filter for radio frequency signals
KR20080089782A (en) Resonator having parallel connection capacitor, cavity filter and band pass filter using the same
US9812751B2 (en) Plurality of resonator cavities coupled by inductive apertures which are adjusted by capacitive parts
FI124178B (en) Adjustable resonator
KR20160015063A (en)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Notch Structure
US9007150B2 (en) TM mode RF filter having dielectric rod resonators with cylindrical parts of different diameter
CN105356022B (en) A kind of tunable filter for introducing groove and removable metal column
KR101394518B1 (en) Cavity resonator
CN103151595B (en) There is the resonator of liner resonance rod
KR100844163B1 (en) Multiple notch filter
US7142837B1 (en) Multiple-section bandpass filter for broadcast communications
KR200404258Y1 (en) Coupling Boss Coaxial Filter
WO2014101320A1 (en) An adjustable coupling for use with an input resonator and/or an output resonator of a bandpass filter
GB2505161B (en) A microwave resonator and a tuneable filter including such a resonator
EP3014698B1 (en) Resonator structure for a cavity filter arrangement
EP1191626B1 (en) Resonator filter
KR101238258B1 (en) Metamaterial crlh coaxial cavity resonator
CN212461993U (en) Microwave resonator and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