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782A - Vacuun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n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782A
KR20100018782A KR1020080077444A KR20080077444A KR20100018782A KR 20100018782 A KR20100018782 A KR 20100018782A KR 1020080077444 A KR1020080077444 A KR 1020080077444A KR 20080077444 A KR20080077444 A KR 20080077444A KR 20100018782 A KR20100018782 A KR 20100018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air
motor
motor housing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25954B1 (en
Inventor
황정배
양병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954B1/en
Publication of KR2010001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7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9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PURPOSE: A vacuum cleaner is provided to improve service life of a filter by improving suction performance of a suction motor. CONSTITUTION: A vacuum cleaner is composed of a main body, a suction motor, a motor housing, and a filter assembly. The suction motor is formed in the main body. Multiple air suction holes are formed in the motor housing. The air suction holes are composed of first suction holes(112) and second suction holes(113). The size of the first suction holes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suction holes. The filter assembly filters air before the air is inhaled to the suction motor.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Vacuunm cleaner}Vacuum cleaner {Vacuun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터 하우징의 구조를 개선하여 흡입 모터의 흡입력이 모터 입구측에 고르게 작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motor housing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can be evenly applied to the motor inlet side.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a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side the body.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청소기 본체 내부를 원활히 유동할 수 있어야 하며, 먼지를 포함한 공기 중에서 먼지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진공 청소기의 성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Such a vacuum cleaner should be able to smoothly flow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inside the cleaner body, and the dust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ir including the dust. This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the vacuum cleaner.

이를 위하여, 진공 청소기에는 먼지 분리 챔버가 포함되는 먼지 분리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는 청소기의 본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To this end, it is common for the vacuum cleaner to be provided with a dust separation apparatus including a dust separation chamber. The dust separation device may b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한편, 진공 청소기에는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다수의 필터가 제 공될 수 있다. 특히, 흡입 모터의 전방에는, 흡입 모터로 들어가는 공기로부터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acuum cleane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ers to separate the dust from the air. In particular, in front of the suction motor, a filter may be provided that allows dust to be separated from the air entering the suction motor.

즉, 공기는 상기 필터를 거쳐 상기 흡입 모터로 흡입될 수 있다. That is, air may be sucked into the suction motor through the filter.

또한, 흡입 모터의 전방에는, 공기가 상기 흡입 모터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필터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front of the suction motor, it is common to form an air inlet for allowing air to be sucked into the suction motor. The air inlet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lter.

한편, 종래의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흡입 모터의 전방(입구측) 중 어느 한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 유입부와 가깝게 위치하는 필터 부분에만 흡입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the air inlet is formed in any limited position in front of the inlet motor (inlet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ction force is excessively applied only to the filter portion located close to the air inlet.

이 경우, 모터 흡입력이 많이 작용하는 필터 부분 위주로 공기가 많이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필터의 일정 부분에 먼지가 적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a large amount of air passes around the filter portion in which the motor suction force is larg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st accumulates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lter.

결국엔, 모터의 흡입 성능이 약화되고 필텅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Eventu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motor is weakened and the life of the peeler is shortened.

본 실시예는 흡입 모터의 흡입력이 필터의 전면에 분산되어 작용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aim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is distributed and ac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이를 위하여, 모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부가 필터의 전면에 대응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o this e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vacuum cleaner to be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formed in the motor housing.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제공되며, 공기가 흡입 모터로 흡입되기 전에 필터링 되도록 하는 필터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모터 하우징에는 공기 흡입부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main body to form an appearance; A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suction mot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motor housing for allowing the suction motor to be received therein; And a filter assembly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tor housing and configured to filter the air before being sucked into the intake motor, wherein the motor hou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suction units.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며,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방에 제공되며,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필터 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공기 흡입부에는, 상기 필터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흡입부와, 상기 제 1 흡입부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제 2 흡입부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cleaner includes: a body forming an appearance; A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suction mot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motor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suction motor therein and to form an air suction unit; And a filter member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otor housing to separate dust from the air, wherein the air suction part includes a first suction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er member and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suction part. The second suction part is formed small.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하우징에 공기 흡입부가 다수 개가 형성되므로, 필터에는 모터의 흡입력이 분산 작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a plurality of air intakes are formed in the motor hous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motor can be distributed to the filter.

또한, 필터의 전면을 통하여 공기가 통과하게 되므로 필터의 일정 부분에 먼지의 적체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ir passe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there is an effect that accumulation of dust does not occur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lter.

결국, 모터의 흡입 성능이 좋아지게 되며, 필터의 수명이 길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motor is improved, and the life of the filter is lon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that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is separat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먼지 분리 장치(50)와,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20)와, 상기 본체(10) 또는 진공 청소기(1)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30)가 포함된다.1 to 3,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appearance and a dust separation device 50 detachably provided to the main body 10. And a cover member 20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a moving wheel 30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or the vacuum cleaner 1.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흡입 노즐(미도시)과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12)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흡입 노즐과 호스 연결부(12)의 사이에는 연장관 및 연결 호스가 제공된다.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 hose connecting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not show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n extension tube and a connection hose are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nozzle and the hose connection part 12.

따라서, 상기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연장관 및 연결 호스를 거치고, 상기 호스 연결부(12)를 통하여 상기 본체(10)로 유입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passes through the extension pipe and the connection hose, and flows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hose connection part 12.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에는,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챔버(미도시)와, 상기 먼지 분리 챔버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유닛(51)과, 상기 먼지 분리 장치(51)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집진 손잡이(52)가 제공된다.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includes a dust separation chamber (not shown) for separating dust from air, a dust collecting unit 51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chamber, and the dust separation device 51. A dust collecting handle 52 is provided to facilitate gripping of the dust.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먼지 분리 챔버에는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먼지 분리 챔버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ust separation chamber may be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is separated dust. The air outlet may be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chamber.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15)가 제공된다. 상기 안착부(15)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의 저면에 대응되며,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15 to allow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to be seated. The seating part 15 may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and may be concave downward.

그리고, 상기 안착부(15)에는, 상기 호스 연결부(1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9)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9)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part 15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9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hose connection part 1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9 may be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사용자는 상기 집진 손잡이(52)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 를 잡아당길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는 안착부(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user may pull out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while holding the dust collecting handle 52. Then,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15.

한편, 상기 커버 부재(20)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 및 본체(10)가 동시에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ver member 20 may allow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and the main body 10 to be shielded at the same time.

상세히,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커버 손잡이(21)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손잡이(21)에는, 상기 커버 부재(20)를 개방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누름부(22)가 제공된다. In detail, the cover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cover handle 21 which can be gripped by a user. In addition, the cover handle 21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22 for operating to open the cover member 20.

또한,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상기 커버 부재(2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25)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부(25)는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25 to allow the cover member 20 to be rotatable. The hinge portion 25 may be provided above the main body 10.

한편,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의 후측에는, 공기가 모터 하우징(100)로 흡입되기 전에 공기 중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필터 어셈블리(40)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rea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a filter assembly 40 is provided to allow dust to be separated from the air before the air is sucked into the motor housing 100.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의 공기 배출부(미도시)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42)와, 사용자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파지부(43)가 포함된다.The filter assembly 40 may include an air inlet 42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an air outlet (not shown) of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flows into the filter assembly 40, and a user may filter the filter. A gripping portion 43 is included to enable gripping the assembly 40.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는 공기 중에서 먼지가 필터링 되도록 하는 필터 부재가 제공될 것이다.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filter assembly 40 will be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to filter the dust in the air.

상기 공기 유입부(42)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41)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부(42)는 상기 먼지 분리 챔버의 공기 배출부(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배출부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The air inlet 42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41 which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assembly 40. In addition, the air inlet 4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outlet (not shown) of the dust separation chamber, and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ir outlet.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가 상기 안착부(15)에 안착되면 상기 공기 유입부(42)는 상기 공기 배출부에 연통된다.In addition, when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5, the air inlet 4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outlet.

한편,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는, 상기 공기 배출부와 공기 유입부(42)간에 실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실링부(48)가 제공된다. 상기 실링부(48)는 상기 공기 유입부(42)의 외주상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assembly 40, the sealing portion 48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sealing between the air outlet and the air inlet 42. The sealing part 48 may be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air inlet part 42.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부(42)는 상기 실링부(48)에 의하여 상기 먼지 분리 장치(50)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유입부(42)는 상기 공기 배출부와 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inlet 42 may be seen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device 50 by the sealing portion 48. Thus, the air inlet 4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outlet.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0)가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8)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8 for mounting the filter assembly 40. The mounting portion 18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lter assembly 40.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는 상기 장착부(18)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40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mounting unit 18.

한편,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후측에는, 흡입 모터(130 : 도 4 참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모터 하우징(100)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side of the filter assembly 40, there is provided a motor housing 100 for receiving the suction motor 130 (see Fig. 4) therein.

이하에서는, 모터 하우징(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motor housing 100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와 모터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to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tor housin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130)와, 상기 흡입 모터(130)가 수용되도록 하는 모터 하우징(100)이 포함된다.4 to 6,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motor 13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motor housing 100 for receiving the suction motor 130. do.

상기 흡입 모터(130)는, 공기가 전방에서 흡입되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uction motor 1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ir is sucked from the front and discharged to the side.

상기 모터 하우징(100)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110)가 포함된다.The motor housing 100 includes a housing cover 110 that forms a front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100.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110)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서 배출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 흡입부(111)가 다수 형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air suction parts 111 are formed in the housing cover 110 to allow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lter assembly 40 to be sucked.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부(111)에는, 상기 하우징 커버(11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비교적 큰 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 흡입부(112)와, 상기 제 1 흡입부(112)의 주변에 다수가 형성되며 비교적 작은 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2 흡입부(113)가 포함된다. Here, the air suction unit 111, the first suction unit 11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cover 110, the relatively large hole is formed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first suction unit 112 A second suction part 113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formed with a relatively small hole is included.

상기 제 1 흡입부(112) 및 제 2 흡입부(113)는 대략 원형으로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흡입부(113)는 상기 제 1 흡입부(112)의 외측에 다수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110)의 전면에 걸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ction part 112 and the second suction part 113 penetrate substantially circularly. In addition, the second suction part 113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suction part 112, and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그리고, 상기 제 1 흡입부(112) 및 제 2 흡입부(113)는 상기 하우징 커버(110)의 전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하우징 커버(110)의 전면에 걸쳐 고르게 흡입될 수 있다.The first suction part 112 and the second suction part 113 are evenly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Therefore, air may be sucked evenly 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한편, 상기 제 1 흡입부(112) 및 제 2 흡입부(113)는, 상기 하우징 커버(110)의 전면 중 상기 장착부(1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ction part 112 and the second suction part 113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art 18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즉, 상기 공기 흡입부(111)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0), 특히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내부에 제공되는 필터 부재의 일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air intake 1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40 provided in the filter assembly 40, in particular, the filter assembly 40.

그리고,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 흡입부(111)는 상기 장착부(18)의 후측에 골고루 분산 배치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5, the air intake 111 may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8).

따라서, 상기 공기 흡입부(111)를 통하여 흡입력이 작용되면, 상기 장착부(18)에 장착되는 필터 어셈블리(40)에는 상기 흡입력이 골고루 분산되어 작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력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어느 한 부분에만 집중되지는 않는다.Therefore, when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air suction unit 111, the suction force may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filter assembly 40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18. That is, the suction force is not concentrated only on any part of the filter assembly 40.

상기 제 1 흡입부(112)가 상기 제 2 흡입부(113)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흡입 모터(130)의 흡입력은 상기 제 1 흡입부(112) 측에서 더 크게 작용될 수는 있을 것이다.Since the first suction part 11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suction part 113,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130 may be greater on the side of the first suction part 112.

그러나, 상기 흡입력은 상기 제 2 흡입부(113)의 존재에 의하여, 어느 한 위치에 집중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커버(110)의 전면에 걸쳐 골고루 작용될 수 있다.However, the suction force is not concentrated at any one position by the presence of the second suction part 113, and may be evenly appli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결국, 상기 하우징 커버(110)의 전방에 위치되는 필터 어셈블리(40)에는, 흡입력이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전면에 걸쳐 골고루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As a result, in the filter assembly 40 located in front of the housing cover 110, the suction force may be evenly applied 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assembly 40 without biasing to either side.

한편,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41)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45)가 포함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면부(41)와 후면부(45)의 사이에는 필터 부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filter assembly 40 includes a front portion 41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filter assembly 40 and a rear portion 45 forming a rear surfa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filter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portion 41 and the rear portion 45.

여기서, 상기 필터 부재에는, 공기가 용이하게 필터링 되도록 다공성 재질의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Here, a filter made of a porous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filter member so that air is easily filtered.

상기 후면부(45)에는 관통공(46)이 형성된다. 공기는 상기 관통공(46)을 통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후에 상기 공기 흡입부(111)를 통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46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45.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assembly 40 through the through hole 46, and then may be sucked into the motor housing 100 through the air inlet 111.

여기서, 상기 관통공(46) 및 상기 공기 흡입부(111)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46)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111)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Here, the through hole 46 and the air intake 111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refo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46 may be easily sucked into the air suction unit 111.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전면에는 먼지가 골고루 필터링 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40) 내에서 편중되어 적체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dust may be evenly filter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assembly 40.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dust does not accumulate and accumulate in the filter assembly 40.

결국,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서의 공기 통과가 원활해지므로, 상기 흡입 모터(130)의 흡입 성능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since the air passage in the filter assembly 40 is smooth,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suction motor 130 is improved.

상기 모터 하우징(100)에는, 상기 흡입 모터(1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모터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102)가 다수 형성된다.In the motor housing 100,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arts 102 are formed to discharg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130 to the outside of the motor housing 100.

상기 흡입 모터(130)의 전방에서 흡입되어 측방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공 기 배출부(102)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공기 배출부(102)는 상기 흡입 모터(130)의 측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air outlet 102 corresponds to the side of the suction motor 130 so that the air sucked from the front of the suction motor 130 and discharged to the side can be easily moved to the air outlet 102. It can be formed at the position.

또한, 상기 흡입 모터(130)와 상기 하우징 커버(110)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 모터(130)의 일측이 상기 모터 하우징(10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가이드(120)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coupling guide 120 is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motor 130 and the housing cover 110 to allow one side of the suction motor 130 to be easily coupled to the motor housing 100.

상기 흡입 모터(130)는 상기 결합 가이드(120)에 의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The suction motor 130 may be supported inside the motor housing 100 by the coupling guide 120.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130)의 타측에는, 상기 흡입 모터(130)가 상기 모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140)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흡입 모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motor 130, a support 140 is provided to allow the suction motor 130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100. The support 140 functions to absorb vibrations and noises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13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inside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먼지 분리 장치(50 : 도 1 참조)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를 거쳐 상기 모터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50 (see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cked into the motor housing 100 through the filter assembly 40.

상세히, 상기 공기 유입부(42)를 통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 부재(미도시)에 통과되면서 먼지가 필터링 된다.In detail,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assembly 40 through the air inlet 42 passes through a filter member (not shown), and dust is filtered out.

그리고, 상기 필터 부재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관통공(46)을 통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40)로부터 배출된다. 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 assembly 40 through the through hole 46.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흡입부(112) 및 제 2 흡입부(113)를 통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하우징 커버(110)의 전면으로 고르게 흡입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lter assembly 40 may be sucked into the motor housing 100 through the first suction part 112 and the second suction part 113. Therefore, the air may be sucked evenly to the front of the housing cover 110.

반대로,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0)의 전면을 거쳐 고르게 필터링 되므로, 먼지는 상기 필터 부재의 전면에 걸쳐 분산 적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contrary, since air is evenly filtered across the front of the filter assembly 40, dust may be accumulated and accumulated over the front of the filter element.

한편, 상기 모터 하우징(100)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130)의 전면으로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130)의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sucked into the motor housing 100 may be sucked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ction motor 130, and the sucked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suction motor 130.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13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102)를 통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된 후 후방으로 꺾이며, 상기 배기부(150)를 통하여 청소기의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1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otor housing 100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102 and then folded backward, and the outside of the cleaner through the exhaust unit 150. To be discharged.

상기와 같은 공기 유동에 의하면, 필터 어셈블리의 후면과 모터 하우징의 전면에 흡입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므로, 공기는 필터 부재의 전면을 거치면서 필터링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ir flow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ction pressure acts evenly on the rear of the filter assembly and the front of the motor hous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can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ront of the filter member.

이 경우, 공기 중 먼지는 필터 부재의 전면에 고르게 적체될 수 있다.In this case, dust in the air may be accumulated even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따라서, 필터 부재의 어느 일 부분에만 먼지가 적체됨으로써 먼지 분리 성능 및 흡입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 부재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dust separation performance and suction performance can be solved by accumulating dust on only one portion of the filter membe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e of the filter member can be lo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분리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to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와 모터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assembly and the moto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flow inside th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A body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A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suction mot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상기 흡입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모터 하우징; 및A motor housing for allowing the suction motor to be received therein; And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제공되며, 공기가 흡입 모터로 흡입되기 전에 필터링 되도록 하는 필터 어셈블리가 포함되며,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tor housing, includes a filter assembly to allow air to be filtered before being sucked into the suction motor, 상기 모터 하우징에는 공기 흡입부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The motor housing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ir inlet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 흡입부에는,In the air intake, 크기가 서로 다른 제 1 흡입부 및 제 2 흡입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A vacuum cleaner including a first suction part and a second suction part having different sizes.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흡입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면 중앙부에 형성되며,The first suction part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상기 제 2 흡입부는 상기 제 1 흡입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The second suction part is a vacuum clean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suct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The filter assembly,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전면부와,A front part in which an air inlet is formed, 공기가 배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후면부 및A rear part through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so that air is discharged;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 사이에 개입되는 필터 부재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And a filt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공기 흡입부는,The air intake unit, 상기 모터 하우징의 일면 중 상기 필터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And a vacuum cleaner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member among one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터 하우징에는 일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가 포함되고,The motor housing includes a housing cover forming one surface,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The air suction unit is formed over the front of the housing cover.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A body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본체에 제공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A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suction mot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상기 흡입 모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며,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모터 하우징; 및A motor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suction motor therein and to form an air suction unit; And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방에 제공되며,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필터 부재가 포함되며,I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motor housing, includes a filter member for separating the dust in the air, 상기 공기 흡입부에는,In the air intake, 상기 필터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흡입부와,A first suction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er member; 상기 제 1 흡입부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제 2 흡입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And a second suction part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suction par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2 흡입부는 상기 제 1 흡입부의 주위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The second suction unit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lurality at the same interval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suction uni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1 흡입부 및 제 2 흡입부는 상기 필터 부재의 일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And the first suction part and the second suction part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공기 흡입부는,The air intake unit,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이 상기 필터 부재 전면에 작용되도록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에 걸쳐 분포되는 진공 청소기.And a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is distributed 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so that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KR1020080077444A 2008-08-07 2008-08-07 Vacuunm cleaner KR1010259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444A KR101025954B1 (en) 2008-08-07 2008-08-07 Vacuun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444A KR101025954B1 (en) 2008-08-07 2008-08-07 Vacuun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782A true KR20100018782A (en) 2010-02-18
KR101025954B1 KR101025954B1 (en) 2011-03-30

Family

ID=4208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444A KR101025954B1 (en) 2008-08-07 2008-08-07 Vacuun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95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64B1 (en) 2015-11-19 2017-03-30 (주)월드엠에스 BREAD CRUMBS for fried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read crumbs for fried food
US10736475B2 (en) 2015-11-10 2020-08-11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KR20200096968A (en) * 2017-12-20 2020-08-14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2767U (en) 1977-03-28 1978-10-20
JPS55172140U (en) 1979-05-29 1980-12-10
JPS60106570U (en) 1983-12-26 1985-07-2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vacuum cleaner
GB9726676D0 (en) 1997-12-17 1998-02-18 Notetry Ltd A vacuum clean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6475B2 (en) 2015-11-10 2020-08-11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US10786126B2 (en) 2015-11-10 2020-09-29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US11357370B2 (en) 2015-11-10 2022-06-14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US11432690B2 (en) 2015-11-10 2022-09-06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KR101721564B1 (en) 2015-11-19 2017-03-30 (주)월드엠에스 BREAD CRUMBS for fried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read crumbs for fried food
KR20200096968A (en) * 2017-12-20 2020-08-14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954B1 (en)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291B1 (en) Vaccum Air Cleaner
US7485164B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US7318848B2 (en)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AU2011218669B2 (en) Vacuum cleaner with recirculated cooling air
JP2006110320A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it
US11937759B2 (en) Vacuum cleaner
KR20110066782A (en)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suction motor for a vacuum cleaner
WO2012032721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025954B1 (en) Vacuunm cleaner
KR102178458B1 (en) Vacuum cleaner
KR100414808B1 (en) Vacuum cleaner
JP615807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643011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100093442A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CA2738294C (en) Vacuum cleaner
WO2020262633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100018778A (en) Vacuunm cleaner
KR101126885B1 (en) A coupling structure of filter for a vacuum cleaner
KR102049860B1 (en) vacuum cleaner
CN113271832B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111743455B (en) Air treatment component and cleaning equipment with same
KR100562112B1 (en) Filter structure of vacuum cleaner
KR20070107508A (en) Dust seperation apparatus and vaccum cleaner equipped it
KR20070048875A (en) Vacuum cleaner
KR101199398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