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860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860B1
KR102049860B1 KR1020130032952A KR20130032952A KR102049860B1 KR 102049860 B1 KR102049860 B1 KR 102049860B1 KR 1020130032952 A KR1020130032952 A KR 1020130032952A KR 20130032952 A KR20130032952 A KR 20130032952A KR 102049860 B1 KR102049860 B1 KR 10204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unit
cleaner
chamber
pre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9852A (en
Inventor
유선일
송승현
김효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860B1/en
Priority to CN201410119718.2A priority patent/CN104068794B/en
Publication of KR2014011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8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8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 상기 본체 외부에서 유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분리부; 상기 먼지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저장부; 상기 먼지분리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필터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프리필터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프리필터부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body; A dust separator separating the dus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dust storage unit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a pre-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wherein the pre-filter unit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cleaner body, and when the pre-filter unit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inside of the pre-filter unit is moved to the outside. A cleaner may be provided which is visually exposed.

Description

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진공청소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 내부에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 내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팬 모터가 내장되는 본체,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 그리고 이물질을 걸러 내는 집진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진공청소기를 편의상 청소기라 한다.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inside the main body.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fan motor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is built,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air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acuum cleaner is called a cleaner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청소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캐니스터 청소기(10) 본체(1)를 도시하고 있다.Hereinafter, a general clea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shows a canister cleaner 10 body 1.

청소기는 본체(1) 내부에 구비되는 팬 모터를 구동시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흡입력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고, 먼지를 걸러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일반적인 청소기의 메커니즘이라 할 수 있다.The cleaner generates a suction force by driving a fan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1. Through this suction force, it is a general cleaner mechanism to suck dust and air from the outside and to discharge the air by filtering the dust.

미도시된 흡입 노즐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연결부(2)를 통해 본체(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본체(1) 내부로 유입된 먼지는 먼지분리부에서 분리되고, 먼지는 먼지저장부로 유입되며,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프리필터부(미도시)를 통해 다시 한 번 필터링된 후 팬 모터로 유입된다. Air and dust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not shown) flow into the main body 1 through the connection part 2. Then,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storage unit, the dust separated air is filtered once again through the pre-filter unit (not shown) fan motor Flows into.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먼지분리부와 먼지저장부는 하나의 어셈블리(4)를 이루며, 본체(1)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최근에는 먼지분리부에서 사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s shown, generally, the dust separator and the dust storage unit constitute one assembly 4 and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main body 1. Recently, it is common to separate dust from air using the cyclone principle in the dust separator.

상기 프리필터부는 일반적으로 본체(1) 내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4)를 본체로부터 분리하거나, 다른 구성들을 본체(1)에서 분리한 후에야 프리필터부가 비로소 본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prefilter part is generally provided inside the body 1. Therefore, the prefilter par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nly after the assembly 4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r other components ar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

상기 먼지분리부, 먼지저장부 그리고 프리필터부는 청소기를 사용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먼지와 접촉을 하게 된다. 접촉되는 먼지량 또는 저장되는 먼지량의 차이에 의해서, 이들 구성들 간에는 청소가 요구되는 빈도 수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저장부의 청소 빈도 수가 가장 클 수 있고, 상대적으로 프리필터부의 청소 빈도 수가 가장 작을 수 있다. The dust separator, the dust storage unit and the prefilter unit ar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dust as a cleaner is us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dust contacted or the amount of dust stored,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at which cleaning is required between these configurations. For example, the cleaning frequency of the dust storage unit may be the largest, and the cleaning frequency of the prefilter unit may be the smallest.

이러한 구성들의 청소는 보다 효율적인 청소를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본체(1)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미세 먼지의 함유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정 시점에서 이러한 구성들의 청소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각각의 구성들의 자체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eaning of these configurations allows for more efficient cleaning. In addition, the content of fine dust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1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ean these components at the appropriate tim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its own function of each component.

그러나, 일반적으로 먼지분리부는 먼지저장부 내에 위치되어, 그 오염 정도가 본체(1) 외부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먼지저장부를 청소하기 위해서, 아직 청소가 필요하지 않은 먼지분리부를 청소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먼지분리부와 먼지저장부는 하나의 어셈블리(2)를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However, in general, the dust separation unit is located in the dust storage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difficult to check outside the body (1). In addition, in order to clean the dust storage unit, there is a problem of cleaning the dust separation unit that does not yet need cleaning.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dust storage unit generally constitute one assembly 2.

이러한 어셈블리(2) 구조로 인해, 어셈블리(2)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이는 어셈블리(2)의 장착과 탈착을 위해서 보다 많은 사용자의 수고를 필요로 하게 된다. Due to the structure of the assembly 2, the size of the assembly 2 is bound to be large, which requires more user's labor for mounting and detaching the assembly 2.

또한, 상기 먼지분리부와 먼지저장부의 청소 빈도 수보다는 낮지만, 상기 프리필터부의 청소를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필터부를 본체에서 분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어셈블리(2)나 기타 커버 등과 같은 구성들은 본체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리필터부 청소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용자의 수고를 필요로 하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less than the frequency of cleaning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dust storage unit, in order to clean the pre-filter unit, as described above, the pre-filter unit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o this end, components such as the assembly 2 or other covers must be preceded by separation from the body. Therefore, the user needs more effort for cleaning the prefilter unit.

그리고, 프리필터부는 본체(1)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프리필터부의 청소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프리필터부를 본체(1)에서 분리시킨 후에야 프리필터부의 오염 정도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since the prefilter par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easily grasp the cleaning time of the prefilter part. This is because the user can grasp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prefilter unit only after separating the prefilter unit from the main body 1.

따라서, 먼지분리부, 먼지저장부 그리고 프리필터부의 오염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leaner which can easily grasp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the dust storage unit and the prefilter unit, and is easy to use.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일반적인 청소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the general cleaner.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프리필터부가 본체 외부에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청소기를 제공하여, 프리필터부의 오염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visible to the outside of the pre-filter unit, to provide a cleaner that can easily grasp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pre-filte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프리필터부를 본체 외부에서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프리필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prefilter unit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clean the prefilte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먼지분리부를 본체 외부에서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먼지분리부의 오염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먼지분리부의 청소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dust separator and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dust separator so that the dust separator can be mounted and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먼지보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적이 작은 프리필터부와 먼지분리부를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ilter unit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hav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compared to the dust storage unit in one assembly,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handle and us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먼지분리부와 프리필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먼지보관부를 본체와 독립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t least on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and the dust storage unit to be detachable independently from the main body,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handle and us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먼지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먼지보관부, 먼지분리부 그리고 프리필터부를 본체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시켜, 각각의 구성들의 오염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각각의 구성들을 청소하는 빈도 수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어서, 청소기 자체의 청소 빈도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적정한 청소 빈도 수를 갖고 각각의 구성들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ose the dust storage unit,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the dus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cleaner that can easily grasp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each component . In this way, the user may have a different frequency of clean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leaning frequency of the cleaner itself.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respective components with an appropriate frequency of cleaning.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 상기 본체 외부에서 유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분리부; 상기 먼지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저장부; 상기 먼지분리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필터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프리필터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프리필터부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body; A dust separator separating the dus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dust storage unit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a pre-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wherein the pre-filter unit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cleaner body, and when the pre-filter unit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inside of the pre-filter unit is moved to the outside. A cleaner may be provided which is visually exposed.

상기 프리필터부는 상기 먼지저장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에 대한 상기 프리필터부의 장착과 분리는 다른 구성들과 무관하게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filter unit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er body independently of the dust storage unit. In addition, the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prefilter part to the main body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r independently of other configurations.

따라서, 프리필터부의 장착과 분리가 매우 용이함과 아울러 오염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청소 메카니즘과 함께 먼지가 적어도 2중 이상으로 필터링되는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만족도 및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install and detach the prefilter unit and can easily grasp the contamination. This makes it easy for the user to see that the dust is filtered at least twice with the cleaning mechanism. Therefore, user satisfaction and produc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상기 먼지분리부는 사이클론 원리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The dust separator may separate dust by a cyclone principle.

상기 먼지분리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먼지분리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먼지분리부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The dust separato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er body, and when the dust separator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inside of the dust separato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먼지분리부는 상기 먼지저장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The dust separato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er body independently of the dust storage unit.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상기 청소기 본체에 일체로 착탈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즉, 가장 큰 체적을 갖는 먼지보관부를 먼지분리부와 프리필터부와 개별적 그리고 독립적으로 형성하여, 먼지보관부의 청소 용이 및 먼지분리부와 프리필터부의 청소 용이가 가능하게 된다.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is composed of one assem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vable body is integrally removable. That is, the dust storage part having the largest volume is formed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of the dust separation part and the prefilter part, thereby making it easy to clean the dust storage part and the dust separation part and the prefilter part.

상기 먼지보관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먼지보관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먼지보관부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The dust storage unit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cleaner body, and when the dust storage unit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inside of the dust storage unit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는, 각각의 챔버와 상기 각각의 챔버를 동시에 개폐하는 단일 챔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 커버를 통해, 상기 먼지분리부 챔버와 프리필터부 챔버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챔버 커버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유로는 손잡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dust separator and the prefilter unit may include a single chamber cover for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each chamber and each chamber. And, through the chamber c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ust separation chamber and the pre-filter unit chamber is in communication. In detail, a connection flow path may be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chamber cover to communicate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with each other. This connection flow path may also perform a handle function.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leaner body may include a seating unit for mounting the dust separator and the prefilter unit.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먼지분리부로부터 먼지가 상기 먼지보관부가 유입되는 먼지 배출구;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서 공기와 먼지가 상기 먼지분리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그리고 상기 프리필터부에서 공기가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ating part may include: a dust outlet through which the dust storage part flows dust from the dust separation part; An air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air and dust flow into the dust separator; In addition, an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prefilter unit to the cleaner body may be provided.

상기 먼지보관부는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부는 상기 프리필터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dust storage unit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The dust separator may be provided on the prefilter unit.

상기 먼지보관부는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는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dust storage unit may be provided above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사이클론 원리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분리부; 상기 먼지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저장부; 상기 먼지분리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팬 모터로 유입시키는 프리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필터부와 상기 먼지분리부는 단일 어셈블리로 구비되고, 상기 단일 어셈블리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단일 어셈블리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body having a fan motor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a cyclone principle, the dust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dust from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dust storage unit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a pre-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to be introduced into the fan motor, wherein the pre-filter unit and the dust separator are provided as a single assembly, and when the single assembly is mounted to the cleaner body, It may be provided with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of the single assembly is visible to the outside.

상기 단일 어셈블리와 상기 먼지저장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ingle assembly and the dust storage unit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leaner body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먼지저장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먼지분리부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dust storage unit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in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단일 어셈블리는, 먼지분리부 챔버; 프리필터부 챔버;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부 챔버와 프리필터부 챔버를 개폐하는 단일 챔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ngle assembly, the dust separator chamber; A prefilter unit chamber; And it may include a single chamb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separation chamber and the pre-filter unit chamber.

상기 챔버 커버를 통해, 상기 먼지분리부 챔버와 상기 프리필터부 챔버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Through the chamber cover, the dust separator chamber and the prefilter chamber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은 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Features of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unless contradictory or exclusive in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프리필터부가 본체 외부에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청소기를 제공하여, 프리필터부의 오염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that can be visu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e-filter unit, to easily determin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pre-filte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프리필터부를 본체 외부에서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프리필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ilter unit may be mounted and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clean the prefilte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먼지분리부를 본체 외부에서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먼지분리부의 오염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먼지분리부의 청소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dust separator and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dust separator so that the dust separator can be mounted and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먼지보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적이 작은 프리필터부와 먼지분리부를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pre-filter unit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hav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compared to the dust storage unit as one assemb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handle and us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먼지분리부와 프리필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먼지보관부를 본체와 독립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and the dust storage unit can be detachab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thereby providing a cleaner that is easy to handle and us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먼지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먼지보관부, 먼지분리부 그리고 프리필터부를 본체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시켜, 각각의 구성들의 오염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각각의 구성들을 청소하는 빈도 수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어서, 청소기 자체의 청소 빈도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적정한 청소 빈도 수를 갖고 각각의 구성들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xposing the dust storage unit,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the dus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that can easily grasp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each component have. In this way, the user may have a different frequency of clean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leaning frequency of the cleaner itself.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respective components with an appropriate frequency of cleaning.

도 1은 일반적인 청소기 본체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터링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에 대한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필터링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cleaner body;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body shown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ing assembly shown in FIG. 2;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body shown in FIG. 5; FIG. And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ing assembly shown in FIG. 5.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lea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청소기 본체, 먼지분리부, 먼지보관부 그리고 프리필터부 사이의 위치 관계, 결합 관계, 유로 연결 관계 그리고 이러한 구성들의 세부 구성의 특징과 관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청소기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leaner body, the dust separator, the dust storage part and the prefilter part, the coupling relationship, the flow path connection relationship and the features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se components.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2 to 4,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lean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청소기 본체(30)의 전방에는 연결부(31)가 구비된다. 미도시된 흡입 노즐과 연장관을 통해 지면 등으로부터 먼지와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연결부(31)를 통해 먼지와 공기가 본체(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leaner body 30. Dust and air may be introduced from the ground or the like through the suction nozzle and the extension tube, which are not shown, and the dust and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3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1.

본체(30) 내부로 유입된 먼지와 공기는 본체(30) 내부의 유로를 통해 먼저 먼지분리부(50)로 유입된다. Dust and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30 are first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50 through a flow path inside the main body 30.

상기 먼지분리부(50)에서는 필터링 또는 사이클론 원리를 통해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된다.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프리필터부(60)로 유입되며, 먼지는 먼지보관부(40)로 유입된다.In the dust separator 50, dust is separated from the air through a filtering or cyclone principle. The dust separ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pre-filter unit 60,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storage unit 40.

따라서,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들은 상기 먼지보관부(40)에 보관되며, 아직 걸러지지 않은 미세 먼지 입자들은 프리필터부(60)를 통해 필터링될 수 있다.Therefore, large particles or foreign matters are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40, fine dust particles not yet filtered can be filtered through the pre-filter unit 60.

프리필터부(60)를 통해 미세 먼지 입자가 걸러진 공기는, 다시 본체(30) 내부로 유입되어, 팬 모터(미도시)를 거쳐 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air in which the fine dust particles are filtered through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30 again and discharged outside the main body through a fan motor (not shown).

팬 모터는 본체(30) 내부에 구비되며, 흡입력을 발생시켜 외부로부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한다. 따라서, 전술한 경로를 거친 공기는 팬 모터를 통해서 비로소 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an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30 and generates suction force to suck air and dust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bove path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nly through the fan moto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먼지분리부(50)와 먼지보관부(40) 사이의 연통과 상기 먼지분리부(50)와 상기 프리필터부(60) 사이의 연통은 본체(30)와 무관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연통 구조가 상기 본체(30)에 형성되지 않고, 본체(30) 외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dust storage unit 40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are independent of the main body 30. Is preferr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such a communication structure is not formed in the main body 30 but is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먼지분리부(50)와 먼지보관부(40) 사이의 연통은, 상기 먼지분리부(50)와 먼지보관부(40)가 상기 본체(30)에 장착되어야 비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통 구조가 상기 본체(30)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dust storage unit 40,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dust storage unit 40 must be mounted on the main body 30 to be formed as a rain. Can be. However, such a communication structure may be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30.

또한,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 사이의 연통은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가 상기 본체(30)에 장착되는 것과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는 하나의 어셈블리(70)를 이룰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formed irrespective of whether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30. . To this end,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may form one assembly 70.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를 통해서 먼지가 이중으로 걸러진다. 따라서, 먼지를 거르는 이들 구성을 하나의 어셈블리(70)로 구성하고, 이를 필터링 어셈블리(70)라 할 수 있다. Dust is filtered twice through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Therefore, these components for filtering dust may be configured as one assembly 70,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filtering assembly 70.

먼지보관부(40)는 청소를 위해, 본체(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본체(30)에는 먼지보관부 안착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보관부(40)는 일측이 상기 안착부(35)에 안착되고 타측은 청소기 본체(30) 외부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Dust storage unit 4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main body 30 for cleaning. To this end, the main body 30 may be provided with a dust storage portion seating portion (35). In addition, the dust storage unit 40 is preferably one side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35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30).

구체적으로, 상기 먼지보관부(40)는 챔버(41)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41) 내부에 먼지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챔버(41)는 투명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챔버(41) 내부를 보고 먼지가 얼만큼 축적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detail, the dust storage part 40 includes a chamber 41, and dust may be stored in the chamber 41. The chamber 41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check the inside of the chamber 41 to see how much dust is accumulated.

먼지보관부(40)는 내부의 먼지를 배출하기 위한 커버(4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43)를 챔버(4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사용자는 챔버(41) 내부의 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The dust storage unit 40 preferably includes a cover 43 for discharging the dust therein. By separating the cover 43 from the chamber 41, the user can discharge the dust inside the chamber 41 to the outside.

또한, 사용자가 상기 먼지보관부(40)를 본체(30)에 장착하거나 본체(3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먼지보관부(40)에는 손잡이(4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41)는 본체(30) 상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for a user to mount the dust storage unit 40 to the main body 30 or to separate it from the main body 30, the dust storage unit 4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handle 41. The handle 41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1)를 통해, 상기 먼지보관부(40)를 본체(30)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넣으면서 상기 먼지보관부(40)를 상기 안착부(35)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먼지보관부(40)를 본체(30) 후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먼지보관부(40)를 본체(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The user may seat the dust storage part 40 on the seating part 35 while pushing the dust storage part 40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30 through the handle 41. Then, by pulling the dust storage portion 40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30, the dust storage portion 4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먼지보관부(40)는 먼지분리부(50)와는 독립적인 챔버(41)를 갖고 본체(30)에 탈착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먼지보관부(40)는 프리필터부(60)와는 독립적인 챔버(41)를 갖고 본체(30)에 탈착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 the dust storage portion 40 preferably has a chamber 41 independent of the dust separation portion 50 and is detachable to the main body 30. In addition, the dust storage unit 40 preferably has a chamber 41 independent of the pre-filter unit 60 is removable to the main body 30.

따라서, 가장 청소 빈도 수가 높은 먼지보관부(40)를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와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먼지보관부(40)의 체적과 무게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먼지보관부(40)를 청소하거나 취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dust storage unit 40 having the highest cleaning frequency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dust storage unit 40. . Through this, the user can more easily clean or handle the dust storage unit 40.

먼지분리부(50)는 챔버(5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챔버(51) 내에서 공기와 먼지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챔버(51) 내에는 보다 효과적인 먼지 분리를 위한 필터(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52)는 고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터(52)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통공(5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ust separator 50 may include a chamber 51, and air and dust may be separated from the chamber 51. The chamber 51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52 for more effective dust separation. The filter 52 may be formed in a solid shape, and a hollow may be formed therein.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3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52.

또한, 상기 먼지분리부(50)에는 유입구(56)와 배출구(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56)를 통해서, 본체 내부로부터 공기와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와 먼지는 챔버(51) 내에서 사이클론 원리를 통하여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st separation unit 5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56 and the outlet 55. Through the inlet 56, air and dust may be introduc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introduced air and dust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cyclone principle in the chamber 51.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후술하는 공기 배출구(57, 도 4 참조)를 통해 프리필터부(60)로 배출된다. 그리고, 먼지는 배출구(55)를 통해서 먼지보관부(40)로 배출된다.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prefilter unit 60 through an air outlet 57 (see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dust is discharged to the dust storage unit 40 through the discharge port (55).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구(56)는 먼지분리부(50)의 일측 즉 본체(30) 측에 형성되고, 배출구(55)는 먼지분리부(50)의 타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inlet 5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ust separator 50, that is, the main body 30 side, the outlet 55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ust separator 50.

유입구(56)는 상기 챔버(51)내에 접선 방향으로 공기와 먼지가 유입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입구(56)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먼지는 나선 형상 회전하면서 점차 먼지분리부(50)의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Inlet 56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air and dust in the tangential direction in the chamber 51. Therefore, air and dus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56 may gradually flow to the rear of the dust separator 50 while rotating in a spiral shape.

이러한, 나선 형상의 회전을 통해 질량이 상대적으로 큰 먼지들은 챔버(5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배출구(55)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필터(52)의 통공(53)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52)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필터(52) 내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57)를 통해 프리필터부(60)로 배출된다.The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mass through the spiral rota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5 while rotat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51. After the dust is separated, the ai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53 of the filter 52 and flows into the filter 52, and then, through the air outlet 57 formed inside the filter 52, the prefilter unit. Discharged to (60).

상기 먼지분리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보관부(40)와 독립적으로 상기 본체(3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본체(30)에는 상기 먼지분리부(50)가 장착되는 먼지분리부 안착부(3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dust separation unit 5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30 independently of the dust storage unit 40.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ust separator seating portion 33 on which the dust separator 50 is mounted is formed in the main body 30.

상기 먼지분리부(50)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56)는 상기 본체(30)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부(50)와 상기 먼지보관부(40)가 상기 본체(3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배출구(55)는 상기 먼지보관부(40)와 연통될 수 있다. As the dust separator 5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the inlet 56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0. In addition, as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dust storage part 40 are mounted to the main body 30, the discharge port 55 may communicate with the dust storage part 40.

상기 먼지분리부(50)의 챔버(51)는 투명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챔버(51) 내부를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챔버(51) 내의 오염 정도와 상기 필터(52)의 오염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chamber 51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refore, the user can visually see the inside of the chamber 51. Through thi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 the chamber 51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52 can be easily grasped. Therefore, the cleaning time point can be easily grasped.

상기 먼지분리부(50)는 커버(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4)를 챔버(51)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챔버(51)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54)에 상기 필터(52)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54)를 분리하면 상기 필터(52)가 상기 챔버(5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필터(52) 청소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dust separator 50 may include a cover 54. When the cover 54 is removed from the chamber 51, the inside of the chamber 51 may be opened. 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lter 52 may be coupled to the cover 54. Thus, when the cover 54 is removed, the filter 52 may be separated from the chamber 51. Through this, the filter 52 can also be easily cleaned.

한편, 상기 먼지분리부(50)의 장착과 분리 방향은 상기 먼지보관부(40)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 전방으로 먼지분리부(50)를 밀어 넣음으로써 장착이 가능하고, 반대로 본체 후방으로 먼지분리부(50)를 잡아당김으로써 분리가 가능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and separation dir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dust storage unit 40. That is, it is possible to mount by pushing the dust separation unit 50 in front of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is possible by pulling the dust separation unit 50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먼지분리부(50)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프리필터부(60)로 유입된다. 즉, 프리필터부(60)의 유입구(65)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프리필터(62)를 통해 필터링된 후 프리필터부(60)의 배출구(63)을 통해 본체(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from the dust separator 50 is introduced into the prefilter unit 60. That i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65 of the prefilter unit 60 is filtered through the prefilter 62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30 through the outlet 63 of the prefilter unit 60. Can be.

이를 위해서, 상기 프리필터(62)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67)은 프리필터(62)의 외측에 형성하고, 배출구(63)은 프리필터(62)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67)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프리필터(62)를 관통한 후 상기 배출구(63)를 통해 본체(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63)는 공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공기 배출구라 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efilter 62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inlet 67 may be formed outside the prefilter 62, and the outlet 63 may be formed inside the prefilter 62.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67 may pass through the prefilter 62 and then flow into the main body 30 through the outlet 63. The outlet 63 may be referred to as an air outlet because it discharges air.

보다 구체적으로, 프리필터부(60)는 챔버(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챔버(61) 내부에 프리필터(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62)는 미세 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헤파 필터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efilter unit 60 may include a chamber 61, and a prefilter 62 may be provided inside the chamber 61. The prefilter 62 may be a hep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fine dust.

여기서, 상기 프리필터(62)의 형상은 먼지분리부(50)의 필터(52)와 유사하도로록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챔버(61)를 투명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챔버(61) 내부를 육안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챔버(61) 내부의 오염 정도와 프리필터(62)의 오염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Here, the shape of the prefilter 62 may be manufactured to be similar to the filter 52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In addition, the chamber 6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refore, the user can visually inspect the inside of the chamber 61. Through thi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 the chamber 61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prefilter 62 can be easily grasped.

상기 프리필터부(60)는 커버(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64)를 챔버(61)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챔버(61)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64)에 상기 프리필터(62)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64)를 분리하면 상기 프리필터(62)가 상기 챔버(6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필터(62) 청소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prefilter unit 60 may include a cover 64. When the cover 64 is separated from the chamber 61, the inside of the chamber 61 may be opened. In addition, one side of the prefilter 62 may be coupled to the cover 64. Therefore, when the cover 64 is removed, the prefilter 62 may be separated from the chamber 61. Through this, the filter 62 can also be easily cleaned.

한편, 상기 프리필터부(60)의 장착과 분리 방향은 상기 먼지보관부(40) 또는 먼지분리부(50)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 전방으로 프리필터부(60)를 밀어 넣음으로써 장착이 가능하고, 반대로 본체 후방으로 프리필터부(60)를 잡아당김으로써 분리가 가능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and separation direction of the pre-filter unit 60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dust storage unit 40 or dust separation unit 50. That is, it is preferable to mount by pushing the prefilter unit 60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to be detachable by pulling the prefilter unit 60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30)에는 상기 프리필터부(60)의 장착을 위해서, 프리필터부 안착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리필터부(60)가 상기 안착부(34)에 결합되면, 상기 배출구(63)가 상기 본체(30)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In order to mount the prefilter unit 60, the prefilter unit seating part 34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30. Therefore, when the prefilter part 60 is coupled to the seating part 34, the outlet 63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0.

상기 프리필터부(60)는 상기 먼지보관부(40)와 독립적으로 상기 안착부(34)에 결합되거나 상기 안착부(34)로부터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리필터부(60)의 청소를 위해서 먼지보관부(40)를 본체(30)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The prefilter unit 6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34 independently from the dust storage portion 40 or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34.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 dust storage part 40 from the main body 30 for cleaning the prefilter part 60, and use becomes very convenient.

전술한 먼지보관부(40), 먼지분리부(50) 그리고 프리필터부(60)는 각각 투명 챔버(41, 51, 61)를 포함하고, 본체(30)에 장착시 챔버(41, 51, 61)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The dust storage unit 40,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includes the transparent chambers 41, 51, and 61, respectively, and the chambers 41, 51, 61)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is visually exposed to the outside.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는 단일 필터링 어셈블리(7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를 본체(30)에 결합하거나 본체에서 분리할 때, 이들 구성들이 일체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As shown,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formed of a single filtering assembly 70. This means that when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ar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body 30, these components can be integrally coupled and separated.

이를 위해서, 상기 필터링 어셈블리(70)는 단일 챔버 커버(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커버(71)는 동시에 상기 먼지분리부(50)의 챔버(51)와 프리필터부(60)의 챔버(6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챔버 커버(71)를 통해 상기 두 개의 챔버(51, 61)가 서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ltering assembly 70 may comprise a single chamber cover 71. The chamber cover 71 may simultaneously open or close the chamber 51 of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chamber 61 of the prefilter unit 60. In addition, the two chambers 51 and 61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hamber cover 7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 커버(71) 내부에는 연결 유로(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로(72)는 먼지분리부(50)의 공기 배출구(57)와 상기 프리필터부(60)의 유입구(65)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a connection flow passage 72 may be formed in the chamber cover 71. The connection passage 72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air outlet 57 of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inlet 65 of the prefilter unit 60.

상기 챔버 커버(71)는 두 개의 개별적인 챔버들을 단일 어셈블리(70)로 연결하는 한편, 양자를 서로 연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챔버 커버(71)를 통해 두 개의 개별적인 챔버들(먼지분리부 챔버와 프리필터부 챔버)를 동시에 개폐함과 아울러 두 개의 개별적인 챔버들을 서로 연통시키게 된다.The chamber cover 71 may connect two separate chambers to a single assembly 70,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communicating the two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chamber cover 71 simultaneously opens and closes two separate chambers (dust separator chamber and prefilter chamber) and communicates the two separate chambers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서, 상기 챔버 커버(71) 내부에는 연결 유로(7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 유로(72)는 상기 단일 어셈블리(70)의 손잡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 유로(72)의 외부를 잡고 상기 단일 어셈블리(70)를 본체(30)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가 일체로 상기 본체(30)에 장착되거나 상기 본체(30)에서 분리될 수 있다.To this end, a connection flow passage 72 may be formed in the chamber cover 71. In addition, the connection channel 72 may perform a handle function of the single assembly 70. Therefore, the user may grasp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flow path 72 to mount or detach the single assembly 70 to the main body 30. That is,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integrally mounted to the main body 30 or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어셈블리(70)의 장착과 분리 방향은 먼지보관부(40)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일 어셈블리(70)는 상기 먼지보관부(4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는 좌우로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먼지분리부(50)는 상기 먼지보관부(40)의 하부 좌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프리필터부(60)는 상기 먼지보관부(40)의 하부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보관부(40), 먼지 분리부(50) 그리고 프리필터부(60)는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각각의 구성들의 내부를 본체(30) 외부에서 용이하게 살펴볼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directions of the single assembly 70 may be the same as the dust storage unit 40. In addition, the single assembly 70 may be located under the dust storage unit 40,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Specifically, the dust separation unit 50 may be locat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dust storage unit 40,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locat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dust storage unit 40. have. Therefore, the dust storage unit 40,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may form a triangular shap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look inside the respective components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전술한 실시예에서, 체적이 가장 크고 청소 빈도수가 가장 큰 먼지보관구(50)는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와는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본체(30)에 독립적으로 장착 및 분리된다. 아울러, 먼지보관부(50)와 마찬가지로,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의 내부는 본체(30)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들의 오염도를 본체(30)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ust storage port 50 having the largest volume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cleaning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and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independently. Are separated. In addition, similar to the dust storage unit 50, the interior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can be said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Therefore, the pollution degree of each component can be easily grasped | ascertained from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30. FIG.

아울러, 이러한 노출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는 먼지분리부(50)를 통한 먼지 분리를 본체(30)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제품 사용에 대한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순히 청소기를 통한 청소뿐만 아니라,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만족스러운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xposure feature allows the user to visually grasp the dust separation through the dust separation unit 50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Therefore, produc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user can be satisfied with the use of the produc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tisfactory cleaner by visually checking not only the cleaning through the cleaner but als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eaner.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5 to 7,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31)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먼지가 본체(30), 먼지분리부(50), 먼지보관부(40), 프리필터부(60) 등을 통하여 유동하는 메커니즘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embodiment basically has the same or similar feature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mechanism in which air and dust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1 flow through the main body 30, the dust separation unit 50, the dust storage unit 40, the prefilter unit 60, and the like may be the same. have.

그러나,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먼지분리부(50), 먼지보관부(40) 그리고 프리필터부(60)들 사이의 위치관계, 연결관계 그리고 형상 등의 특징이 다르를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may differ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erms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the shape between the dust separator 50, the dust storage unit 40, and the prefilter unit 60. .

먼저, 연결부(31)를 통해 본체(30) 내부로 유입된 먼지는 본체(30) 내부의 유로를 통해 먼지분리부(50)로 유입된다. 상기 먼지분리부(50)는 상기 본체(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기 먼지분리부(50)는 투명 챔버(51)와 필터(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30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31 is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ion unit 50 through the flow path inside the main body 30. The dust separator 50 may be located behind the main body 30. Similarly, the dust separator 50 may include a transparent chamber 51 and a filter 52.

상기 본체(30)에는 상기 먼지분리부(50)가 안착되는 먼지분리부 안착부(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부(50)는 상기 본체(30)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30)의 전방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본체(3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3)에는 연통부(36)와 유입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30 is provided with a dust separator seating portion 33 on which the dust separator 50 is seated. The dust separator 50 may be mounted to the main body 30 by pushing the dust separating unit 50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30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30. In addition, the seating part 33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art 36 and an inlet part 37.

상기 먼지분리부(50)가 상기 안착부(33)에 안착되면, 상기 먼지분리부(50)에 형성되는 배출구(55)가 상기 연통부(36)와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미도시된 먼지분리부 유입구와 상기 유입부(37)이 서로 연통된다. When the dust separator 5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33, the outlet 55 formed in the dust separator 5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36. In addition, the dust separator inlet and the inlet 37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본체(30)의 유입부(37)와 상기 먼지분리부(50)의 유입구를 통해 먼지분리부(50) 내부로 먼지와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먼지분리부(50) 내부의 필터(52)와 필터(52)의 통공(52)를 통해서, 공기와 먼지가 분리된다. Therefore, dust and air are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or 50 through the inlet 37 of the main body 30 and the inlet of the dust separator 50. Air and dust are separated through the filter 52 and the through hole 52 of the filter 52 inside the dust separator 50.

상기 먼지분리부(50)의 챔버(50) 내부에서 분리된 먼지는 먼지분리부(50)의 배출구(55)와 상기 본체(30)의 연통부(36)를 통해, 먼지보관부(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dust separated in the chamber 50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is through the outlet 55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6 of the main body 30, the dust storage unit 40 Can be introduced into.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33)은 상기 본체(3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한 전방 안착부(33a)와 상기 본체(3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평한 후방 안착부(3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33 includes a front seating portion 33a tha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ody 30 and a rear seating portion 33b that is substantially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body 30. Can be.

상기 유입부(37)는 상기 후방 안착부(33b)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통부(36)은 상기 전방 안착부(33a)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nlet portion 37 may be formed in the rear seating portion 33b, and the communicating portion 36 may be formed in the front seating portion 33a.

이러한 유입부(37)와 연통부(36)의 위치로 인해, 상기 먼지보관부(40)는 먼지분리부(50)의 전방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Due to the location of the inflow portion 37 and the communication portion 36, the dust storage portion 40 is preferably provided in fron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본 실시예에서 먼지보관부(40)의 구체적인 특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먼지보관부(40)의 장착과 분리 방향은 상기 본체(3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임이 바람직하다. Specific features of the dust storage unit 40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directions of the dust storage part 40 are preferably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30.

구체적으로는, 상기 먼지보관부(40)를 상기 본체(30)에서 수직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먼지보관부(40)가 상기 본체(30)에 형성된 먼지보관부 안착부(35)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본체(30)에서 수직 방향으로 더욱 누름으로써, 상기 먼지보관부(40)가 상기 본체(30)에서 수직 방향 상부로 팝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단순히 상기 먼지보관부(40)를 집어 올림으로써, 상기 먼지보관부(40)를 상기 본체(30)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먼지보관부(40)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Specifically, by pressing the dust storage portion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30, the dust storage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dust storage portion seating portion 35 formed in the main body 30. Can be. On the contrary, by further pres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30, the dust storage portion 40 may pop up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30. Therefore, at this time, by simply picking up the dust storage unit 40, it will be possible to separate the dust storage unit 40 from the main body 30. Therefore, the dust storage unit 40 does not need a separate handle.

또한, 상기 먼지분리부(50)는 커버(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4)를 챔버(5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챔버(51) 내부와 필터(52)를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separator 50 may include a cover 54. By separating the cover 54 from the chamber 51, the inside of the chamber 51 and the filter 52 can be cleaned. These features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상기 먼지분리부(5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필터(52)의 내부로 유입된 후, 프리필터부(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50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52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prefilter unit 60.

이를 위해서,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 사이에는 연결 유로(72)가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 connection passage 72 may be formed between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상기 연결 유로(72)부터 유입된 공기는 프리필터부(60) 내부로 유입되어 다시 한번 미세 먼지가 걸러진다. 이를 위해서, 상기 프리필터부(60)는 챔버(61)와 챔버(61) 내부에 구비되는 프리필터(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ir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channel 72 is introduced into the prefilter unit 60 to filter fine dust once again. To this end, the prefilter unit 60 may include a chamber 61 and a prefilter 62 provided in the chamber 61.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필터(62)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리필터(62)의 일측으로부터 공기가 상기 프리필터(62)를 관통하여, 상기 프리필터(62)의 타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을 통해, 공기 중의 미세 먼지가 프리필터(62)를 통해 걸러지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filter 62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at is, air from one side of the prefilter 62 may pass through the prefilter 62 and flow to the other side of the prefilter 62. Through this flow, fine dust in the air is filtered through the prefilter 62.

미세 먼지가 걸러진 공기는 챔퍼(61)의 타측에 형성되는 배출구(63)를 통해 프리필터부(60)에서 배출될 수 있다. The fine dust filtered air may be discharged from the prefilter unit 60 through an outlet 63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chamfer 61.

상기 프리필터부(60)도 본체(30)의 외측에서 분리 또는 장착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30)에는 프리필터부 안착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필터부 안착부(34)에는 연통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38)는 상기 챔버(61)의 배출구(63)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리필터부(60)가 상기 안착부(34)에 안착되며, 상기 배출구(6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연통부(38)를 통해 본체(30) 내부의 팬 모터로 유입될 수 있다. The prefilter unit 60 may also be detachable or moun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Therefore, the pre-filter unit seating part 34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30. In addition, a communication part 38 may be formed in the prefilter part seating part 34. The communication unit 38 may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63 of the chamber 61. That is, the prefilter part 6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34,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port 63 may be introduced into the fan motor inside the main body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38. have.

상기 팬 모터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30)에 형성되는 배출부(39)를 통해 본체(3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39)는 어느 하나의 바퀴(32)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an moto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39 formed in the main body 30. As shown in FIG. 5, the discharge part 39 may be forme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any one wheel 32.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는 단일 필터링 어셈블리(7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를 본체(30)에 결합하거나 본체에서 분리할 때, 이들 구성들이 일체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As shown,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formed of a single filtering assembly 70. This means that when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ar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body 30, these components can be integrally coupled and separated.

이를 위해서, 상기 필터링 어셈블리(70)는 단일 챔버 커버(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커버(71)는 동시에 상기 먼지분리부(50)의 챔버(51)와 프리필터부(60)의 챔버(6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챔버 커버(71)를 통해 상기 두 개의 챔버(51, 61)가 서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 커버(71)는 각각의 커버(54, 64)를 연결 유로(72)를 통해 단일 커버로 형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커버를 통해서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를 단일 어셈블리로 구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ltering assembly 70 may comprise a single chamber cover 71. The chamber cover 71 may simultaneously open or close the chamber 51 of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chamber 61 of the prefilter unit 60. In addition, the two chambers 51 and 61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hamber cover 71. Therefore, the chamber cover 71 may be referred to as forming a single cover of each cover 54, 64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72). Through such a single cover,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assembly.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 커버(71) 외부에는 연결 유로(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로(72)는 먼지분리부(50)의 공기 배출구와 상기 프리필터부(60)의 유입구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a connection flow path 72 may be formed outside the chamber cover 71. The connection passage 72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air outlet of the dust separator 50 with the inlet of the prefilter unit 60. These structures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상기 챔버 커버(71)는 두 개의 개별적인 챔버들을 단일 어셈블리(70)로 연결하는 한편, 양자를 서로 연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챔버 커버(71)를 통해 두 개의 개별적인 챔버들(먼지분리부 챔버와 프리필터부 챔버)를 동시에 개폐함과 아울러 두 개의 개별적인 챔버들을 서로 연통시키게 된다.The chamber cover 71 may connect two separate chambers to a single assembly 70,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communicating the two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chamber cover 71 simultaneously opens and closes two separate chambers (dust separator chamber and prefilter chamber) and communicates the two separate chambers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서, 상기 챔버 커버(71) 외부에는 연결 유로(7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 유로(72)는 상기 단일 어셈블리(70)의 손잡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 유로(72)의 외부를 잡고 상기 단일 어셈블리(70)를 본체(30)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가 일체로 상기 본체(30)에 장착되거나 상기 본체(30)에서 분리될 수 있다.To this end, a connection flow passage 72 may be formed outside the chamber cover 71. In addition, the connection channel 72 may perform a handle function of the single assembly 70. Therefore, the user may grasp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flow path 72 to mount or detach the single assembly 70 to the main body 30. That is,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integrally mounted to the main body 30 or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30.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와는 달리, 먼지분리부(50)가 프리필터부(6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분리부(50)의 챔버(51)와 프리필터부(60)의 챔버(6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챔버(51)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챔버(6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ust separator 50 may be located above the prefilter unit 60. In addition, the chamber 51 of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chamber 61 of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51 may be formed by the chamber 61.

이는, 상기 챔버들(51, 61) 사이의 거리가 좁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상기 연결 유로(72)를 통한 손잡이 기능 구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단일 어셈블리(70)에는 별도의 손잡이(7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71)는 상기 단일 어셈블리(70)의 상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먼지분리부(5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is mean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hambers 51 and 61 is narrow, and thus it may not be easy to implement a handle function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72. For this reason, the single assembly 7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handle 71. In addition, the handle 71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ingle assembly 70, in particular, at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or 5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71)를 잡고 상기 단일 어셈블리(7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단일 어셈블리를 본체에 결합시킬 수 있고, 반대로 단일 어셈블리를 본체 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단일 어셈블리를 본체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Thus, the user can grab the handle 71 and move the single assembly 70 forward to engage the single assembly to the body, and conversely pull the single assembly to the rear of the body to separate the single assembly from the body. Can b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어셈블리(70)의 장착과 분리 방향은 먼지보관부(40)와 다를 수 있다. 즉, 먼지보관부(40)는 본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장착과 분리가 수행되나, 단일 어셈블리(70)는 본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장착과 분리가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directions of the single assembly 70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dust storage unit 40. That is, the dust storage unit 40 is mounted and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 single assembly 70 may be mounted and sepa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단일 어셈블리(70)는 상기 먼지보관부(4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먼지분리부(50)는 상기 먼지보관부(40)의 수직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ingle assembly 70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dust storage unit 40 and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Specifically, the dust separation unit 50 may be located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dust storage unit 40.

전술한 실시예에서, 체적이 가장 크고 청소 빈도수가 가장 큰 먼지보관구(50)는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와는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본체(30)에 독립적으로 장착 및 분리된다. 아울러, 먼지보관부(50)와 마찬가지로,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의 내부는 본체(30)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들의 오염도를 본체(30)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ust storage port 50 having the largest volume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cleaning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and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independently. Are separated. In addition, similar to the dust storage unit 50, the interior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can be said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Therefore, the pollution degree of each component can be easily grasped | ascertained from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30. FIG.

아울러, 이러한 노출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는 먼지분리부(50)를 통한 먼지 분리를 본체(30)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제품 사용에 대한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순히 청소기를 통한 청소뿐만 아니라,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만족스러운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xposure feature allows the user to visually grasp the dust separation through the dust separation unit 50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Therefore, produc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user can be satisfied with the use of the produc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tisfactory cleaner by visually checking not only the cleaning through the cleaner but als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eaner.

전술한 실시예에서, 체적이 가장 크고 청소 빈도수가 가장 큰 먼지보관구(50)는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와는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본체(30)에 독립적으로 장착 및 분리된다. 아울러, 먼지보관부(50)와 마찬가지로, 먼지분리부(50)와 프리필터부(60)의 내부는 본체(30)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들의 오염도를 본체(30)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ust storage port 50 having the largest volume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cleaning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dust separator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and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independently. Are separated. In addition, similar to the dust storage unit 50, the interior of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can be said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Therefore, the pollution degree of each component can be easily grasped | ascertained from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30. FIG.

아울러, 이러한 노출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는 먼지분리부(50)를 통한 먼지 분리를 본체(30)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제품 사용에 대한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순히 청소기를 통한 청소뿐만 아니라,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만족스러운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xposure feature allows the user to visually grasp the dust separation through the dust separation unit 50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Therefore, produc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user can be satisfied with the use of the produc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tisfactory cleaner by visually checking not only the cleaning through the cleaner but als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eaner.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프리필터부(60)는 본체(30) 외부로 노출되고, 다른 구성들을 본체(30)에서 분리할 필요없이 직접적으로 프리필터부(60)를 본체에 결합시키거나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filter unit 6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0 and directly couples the prefilter unit 60 to the main body or does not need to separate other components from the main body 30. Can be separated from

많은 경우, 사용자는 프리필터부(60)의 존재와 기능 그리고 이를 청소해야할 필요성을 못 느낄 수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프리필터부(60)가 본체(30)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이다. In many cases, the user may not feel the presence and function of the prefilter unit 60 and the need to clean it. This is because the prefilter unit 60 is generally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30.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리필터부(60)가 본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프리필터부의 기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아울러, 먼지분리부(50)뿐만 아니라 프리필터부(60)를 통해서 먼지가 이중으로 걸러진다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제품 신뢰도 향상 및 사용자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ince the prefilter unit 6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function of the prefilter un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at the dust is filtered twice through the pre-filter unit 60 as well as the dust separator 5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product reli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그리고, 먼지보관부(40), 먼지분리부(50) 그리고 프리필터부(60) 각각의 챔버들을 투명하게 제작함으로써, 사용자는 공기와 먼지의 유동, 먼지의 분리, 먼지의 보관 그리고 필터링을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각각의 구성들의 오염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 이외에도 청소 메카니즘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품 신뢰도 향상 및 사용자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Then, by transparently manufacturing the chambers of the dust storage unit 40, the dust separation unit 50 and the pre-filter unit 60, the user can visually observe the flow of air and dust, separation of dust, storage and filtering of dust. It can be grasped. This allows the user to easily grasp the cleaning mechanism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easily grasp the contamination level of each compon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product reli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20 : 청소기 30 : 청소기 본체
40 : 먼지보관부 50 : 먼지분리부
60 : 프리필터부 70 : 필터링 어셈블리(먼지분리부와 프리필터부)
71 : 단일 챔버 커버 72 : 연결 유로
20: cleaner 30: cleaner body
40: dust storage unit 50: dust separation unit
60: prefilter unit 70: filtering assembly (dust separation unit and prefilter unit)
71: single chamber cover 72: connection flow path

Claims (20)

청소기 본체;
상기 본체 외부에서 유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분리부;
상기 먼지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저장부;
상기 먼지분리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필터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프리필터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프리필터부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고,
상기 먼지분리부는 상기 먼지저장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먼지분리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먼지분리부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 cleaner body;
A dust separator separating the dus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dust storage unit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It includes a pre-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The prefilter unit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cleaner body, and when the prefilter unit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inside of the prefilter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visually,
And the dust separator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cleaner body independently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when the dust separator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inside of the dust separator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부는 상기 먼지저장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refilter unit is detachable to the cleaner body independently of the dust storage unit.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는 사이클론 원리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ust sepa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separating the dust by the cyclone princip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상기 청소기 본체에 일체로 착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separator and the pre-filter unit is composed of on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vacuum cleaner can be attached to the cleaner body integrall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저장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먼지저장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먼지저장부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dust storage uni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cleaner body, when the dust storage unit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dust storage unit is visible to the outs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는, 각각의 챔버와 상기 각각의 챔버를 동시에 개폐하는 단일 챔버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dust separator and the pre-filt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ngle chamb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chamber and each chamber at the same tim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커버를 통해, 상기 먼지분리부 챔버와 프리필터부 챔버가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chamber cover, the dust separation chamber and the pre-filter chamb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cleaner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separator and the pre-filter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for mount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먼지분리부로부터 먼지가 상기 먼지저장부가 유입되는 먼지 배출구;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에서 공기와 먼지가 상기 먼지분리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그리고
상기 프리필터부에서 공기가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eating portion,
A dust outlet through which dust enters the dust storage unit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n air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air and dust flow into the dust separator; And
And a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prefilter unit into the cleaner bod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저장부는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의 전방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dust storage unit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fron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는 상기 프리필터부의 상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dust sepa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filt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는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side by side sid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저장부는 상기 먼지분리부와 상기 프리필터부의 상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dust storage unit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op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pre-filter unit.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사이클론 원리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 중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분리부;
상기 먼지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저장부;
상기 먼지분리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팬 모터로 유입시키는 프리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필터부와 상기 먼지분리부는 단일 어셈블리로 구비되고, 상기 단일 어셈블리는 상기 먼지저장부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단일 어셈블리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단일 어셈블리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 cleaner body provided with a fan motor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a cyclone principle, the dust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dust storage unit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a pre-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introducing the air into the fan motor.
The prefilter unit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is provided as a single assembly, the single assembly is provided detachably to the cleaner body independently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the inside of the single assembly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ingle assembly is mounted to the cleaner body.
삭제delet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저장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먼지분리부의 내부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6,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ust storage unit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interior of the dust separation unit is visible to the outsid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어셈블리는,
먼지분리부 챔버;
프리필터부 챔버;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부 챔버와 프리필터부 챔버를 개폐하는 단일 챔버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single assembly,
Dust separation chamber;
A prefilter unit chamber; And
And a single chamb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separator chamber and the prefilter chambe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커버를 통해, 상기 먼지분리부 챔버와 상기 프리필터부 챔버가 서로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9,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separator chamber and the pre-filter unit chamber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hamber cover.
KR1020130032952A 2013-03-27 2013-03-27 vacuum cleaner KR102049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52A KR102049860B1 (en) 2013-03-27 2013-03-27 vacuum cleaner
CN201410119718.2A CN104068794B (en) 2013-03-27 2014-03-27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52A KR102049860B1 (en) 2013-03-27 2013-03-27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852A KR20140119852A (en) 2014-10-13
KR102049860B1 true KR102049860B1 (en) 2020-01-08

Family

ID=5159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952A KR102049860B1 (en) 2013-03-27 2013-03-27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9860B1 (en)
CN (1) CN10406879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179B1 (en) 2014-09-11 2015-12-16 주식회사 에코프로 Cathod active material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700A (en) * 2002-10-15 2004-05-13 Toshiba Tec Corp Vacuum cleaner
JP2007160091A (en) * 2005-12-10 2007-06-2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57202B (en) * 1972-07-20 1978-07-17 Philips Nv VACUUM CLEANER.
EP0187938A1 (en) * 1984-12-17 1986-07-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vice in the casing of a suction cleaner to indicate the saturation degree of the dust filter bag
US7143469B2 (en) * 2001-02-06 2006-12-05 The Hoover Company Dirt collecting system
JP4342526B2 (en) * 2006-03-14 2009-10-14 株式会社東芝 Electric vacuum cleaner
CN101108088B (en) * 2006-07-19 2012-07-1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Vacuum cleaner
CN101637372A (en) * 2008-07-31 2010-02-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1542185B1 (en) * 2008-12-29 2015-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separating dpparatus
CN102450981B (en) * 2010-10-27 2016-08-10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Display for du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700A (en) * 2002-10-15 2004-05-13 Toshiba Tec Corp Vacuum cleaner
JP2007160091A (en) * 2005-12-10 2007-06-2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68794B (en) 2016-09-14
CN104068794A (en) 2014-10-01
KR20140119852A (en)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6348B1 (en)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system
US7395579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7559964B2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EP1952743B1 (en) Multi-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having filter assembly
EP1674023A1 (en)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unit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same
JP2007021177A (en) Dust separation device
JP2007229470A (en) Dust separa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GB2447716A (en) Upright vacuum cleaner
US8726460B2 (en) Vacuum cleaner
AU2011218669A1 (en) Vacuum cleaner with recirculated cooling air
KR102178458B1 (en) Vacuum cleaner
KR101411175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with the apparatus
JP4743668B2 (en) Cyclone vacuum cleaner
KR100577280B1 (en) Vacuum cleaner
KR102049860B1 (en) vacuum cleaner
JP643011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EP1743558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KR20100010162A (en) A vacuum cleaner
KR101250079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cum cleaner
KR100562112B1 (en) Filter structure of vacuum cleaner
KR102039005B1 (en) Dust separator and electric cleaner
AU2014100580A4 (en)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system
KR200394919Y1 (en) Dust collecting unit
KR101216101B1 (en) A vacuum cleaner
KR101196029B1 (en) Dust collect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