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411A - 어류 양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류 양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411A
KR20100018411A KR1020080077160A KR20080077160A KR20100018411A KR 20100018411 A KR20100018411 A KR 20100018411A KR 1020080077160 A KR1020080077160 A KR 1020080077160A KR 20080077160 A KR20080077160 A KR 20080077160A KR 20100018411 A KR20100018411 A KR 20100018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hollow fiber
discharged water
water
anaerobic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진
김승현
제가티산 비리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8007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8411A/ko
Publication of KR2010001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조로부터 배출되는 양식 방출수(aquaculture effluent)를 처리한 후 다시 양식조로 순환시킴으로써 방출수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어류 양식 시스템은, 양식조; 상기 양식조로부터 배출된 방출수를 받아 그 일부를 상기 양식조로 되돌려 보내고, 상기 방출수의 나머지를 배출하는 썸프(Sump); 상기 썸프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방출수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탈질화 작업(denitrification)을 수행하는 혐기성 반응기(Anaerobic Reactor); 상기 혐기성 반응조에 의해 탈질화된 상기 방출수로부터 고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막 생물 반응기(Membrane Bio-Reactor: MBR); 및 상기 막 생물 반응기에 의해 얻어진 여과수를 살균 처리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부를 포함한다.
양식, 순환, MBR

Description

어류 양식 시스템{Aquaculture System}
본 발명은 어류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식조로부터 배출되는 양식 방출수(aquaculture effluent)를 처리한 후 다시 양식조로 순환시킴으로써 방출수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에 따른 어류 수요 증가 및 특정 어류의 멸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어류 양식업이 발전하고 있다. 어류 양식업이 발전하면서, 어류 양식 시스템의 생산성을 높이고 물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서, 양식에 사용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양식 방출수의 순환설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다.
물고기가 먹다 남은 먹이와 물고기의 신진대사로 인해 생성되는 배설물, 단백질, 암모니아 등은 양식에 사용되는 물의 오염을 야기한다. 예를 들면, 암모니아(ammonia: NH3/NH4+) 는 어류에게 특히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암모니아가 질화되어 생성되는 질산 이온(nitrate: NO3-) 및 아질산 이온(nitrite: NO2-)도 일정 허용치를 초과할 경우 어류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양식조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방출수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이러한 오염 물질을 제 거하기 위한 양질의 수처리가 담보되어야 한다.
오염된 양식 수에 대한 수 처리를 위해 현재 채택되고 있는 방법은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구성과 함께 물리적 처리를 위한 구성을 각각 구비하는 것이다.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구성은 물고기의 신진대사에 의해 생성되는 암모니아 를 포함하는 질소 화합물을 호기성 미생물 또는 혐기성 미생물 등의 대사 기능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호기성 반응기 및 혐기성 반응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물학적 처리의 부산물로서 생성되는 오니를 제거하기 위하여 오니 침전조가 더 부가되기도 한다.
물리적 처리를 위한 구성은 오염된 양식 수로부터 고형 성분, 예를 들면 먹다 남은 먹이 및 물고기의 배설물을 제거하기 위한 포획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획부는, 고형 성분이 침전되는 입자 트랩, 상기 입자 트랩을 통과한 고형 성분을 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침전물 트랩, 및 상기 침전물 트랩마저 통과한 미세한 고형 성분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수 처리 방법은, 오염된 양식 수의 처리를 위해 물리적 처리를 위한 구성과 더불어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구성을 별도로 설치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초기시설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들고,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며, 처리 수질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식 방출수(aquaculture effluent)에 대한 양질의 수처리를 좁은 공간에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수질을 담보할 수 있는 양식수의 순환설비를 갖춘 어류 양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어류 양식 시스템은, 양식조; 상기 양식조로부터 배출된 방출수를 받아 그 일부를 상기 양식조로 되돌려 보내고, 상기 방출수의 나머지를 배출하는 썸프(Sump); 상기 썸프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방출수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탈질화 작업(denitrification)을 수행하는 혐기성 반응기(Anaerobic Reactor); 상기 혐기성 반응조에 의해 탈질화된 상기 방출수로부터 고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막 생물 반응기(Membrane Bio-Reactor: MBR); 및 상기 막 생물 반응기에 의해 얻어진 여과수를 살균 처리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막 생물 반응기는 침지형 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지형 막 모듈은 처리되어야 할 물과의 접촉 면적을 가능한 많이 확보하기 위하여 중공사막 다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막 생물 반응기는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세정을 위한 기체, 바람직하게는 산소를 분출하는 산기관을 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파울링(fouling)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막 생물 반응기에 활성탄 가루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썸프로부터 상기 양식조로 되돌려 보내지는 상기 방출수의 일부는 분무 바(sprayer bar)를 통해 상기 양식조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혐기성 반응기는 상기 썸프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방출수를 기계적으로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양식 시스템은, 상기 혐기성 반응기 내에서 수행되는 탈질화 작업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혐기성 반응기에 설탕 용액을 제공하는 설탕 용액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어류 양식 시스템에 의하면, 양식 방출수에 대한 양질의 수처리를 좁은 공간에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수질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방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먹다 남은 먹이 및 어류의 배설물 등의 고형 성분의 여과에 따른 중공사막의 파울링(fouling)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양식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양식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류 양식 시스템은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는 양식조(100)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공기 공급부에 의해 물고기의 생존을 위한 산소가 상기 양식조(100)에 공급될 수 있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양식조(100)에 담겨져 있는 물은 물고기가 먹다 남은 먹이와 물고기의 신진대사로 인해 생성되는 배설물, 단백질, 암모니아 등에 의해 오염된다. 오염된 물은 양식조(100)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양식조(100)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방출수의 적어도 일부가 썸프(Sump: 200)로 흘러들어간다. 썸프(200)에 흘러들어온 방출수는 제1 펌프(300)에 의해 그 일부가 상기 양식조(100)로 되돌려 보내지고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가 혐기성 반응기(Anaerobic Reactor: 500)로 보내진다.
썸프(200)로부터 양식조(100)로 되돌려 보내지는 방출수는 분무 바(sprayer bar: 400)을 통해 상기 양식조(100) 내로 투입된다.
썸프(200)로부터 배출된 방출수는 혐기성 반응기(500) 내에서 탈질화(denitrification)된다. 즉, 혐기성 조건에서 질산 이온은 아질산 이온으로 환원되고 아질산 이온은 질소 기체로 환원된다.
탈질화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기물질이 존재하여야 한다. 유기물질이 산화됨으로써 질소가 환원되는 동안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러한 유기물질로는 메틸알코올(CH3OH)이 적당하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탈질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여줄 유기물 질로서 설탕(C12H22O11)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류 양식 시스템은 혐기성 반응기(500) 내에 설탕 용액을 제공하기 위한 설탕 용액 제공부(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설탕 용액 제공부(600)는 혐기성 반응기(500)로 투입되는 설탕 용액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혐기성 반응기(500) 내에서 탄소 대 질소의 중량비가 4:1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설탕 용액 제공부(600)는 혐기성 반응기(500) 내에서 수행되는 탈질화 작업의 정도를 조절한다.
한편, 탈질화 반응이 반응기(500) 내에서 균일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혐기성 반응기(500)는 상기 썸프(200)로부터 유입되는 방출수를 기계적으로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혐기성 반응기(500) 내에서 탈질화 반응을 거친 방출수가 혐기성 반응기(500)로부터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막 생물 반응기(Membrane Bio-Reactor: MBR)(700) 내로 유입된다.
물고기의 신진대사에 의해 생성된 암모니아가 막 생물 반응기(700)에서 질화(nitrification)되어 질산 이온 또는 아질산 이온이 생성된다. 또한, 물고기가 먹다 남은 먹이 및 물고기의 배설물 등을 포함하는 고형 성분이 막 생물 반응기(700) 내에서 걸러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막 생물 반응기(700)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막 생물 반응기(700)는 방출수가 담기는 반응조(710), 및 상기 반응조(710) 내의 방출수에 침지되어 있는 막 모 듈(720)을 포함한다. 침지형 막 모듈(720) 대신에 가압식 막 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막 생물 반응기(700)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침지형 막 모듈(720)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막 모듈(720)은 내부에 집수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헤더(721, 722)를 각각 포함한다. 이 2개의 헤더(721, 722) 사이에는 다발 형태의 중공사막(723)이 배열된다. 상기 중공사막(723)은 그 안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외표면 측에서 내표면 측으로 여과수가 투과할 수 있다.
중공사막(723)의 양 말단이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포팅제로 상기 제1 및 제2 헤더(721, 722)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포팅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이들 열경화성 수지에 실리카, 카본 블랙, 불화 카본 등의 충전재를 혼입시킴으로써 포팅제의 강도 향상 및 경화 수축 감소를 꾀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공사막(723)의 양 말단은 개방(open)된 상태로서 상기 헤더(2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집수부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펌프(80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압에 의해 중공사막(723)을 통과한 여과수는 상기 제1 및 제2 헤더(721, 722) 내의 집수부에서 1차적으로 모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처리될 원수로부터 고형물을 걸러낼 수 있는 여과막 모듈이라면 평막, 중공사막 등 여과막의 형태와 관계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처리되어야 할 물과의 접촉 면적을 가능한 많이 확보하기 위하여 중공사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중공사막(723)의 양 말단 모두로부터 투과수를 수거하기 위하여 2 개의 헤더(721, 722)를 사용하는 양단 집수 방식은 물론이고, 중공사막의 한쪽 말단으로부터만 투과수를 수거하기 위하여 1개의 헤더를 사용하는 단단 집수 방식을 이용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단 집수 방식의 경우 헤더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중공사막의 말단부는 열경화성 수지 등으로 밀봉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위 수직형의 중공사막 모듈(720)에 관한 것으로서, 처리되어야 할 원수(liquid substrate)에 모듈(720)이 침지될 때 상기 2개의 헤더(721, 722)는 수면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중공사막(723)은 수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다만,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더 잘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을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는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않 될 것이며 수평형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막 생물 반응기(700)는, 상기 중공사막 다발(723)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공사막 다발(723)의 세정을 위한 기체를 분출하는 산기관(7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산기관(730)에는 다수의 산기홀이 형성되어 있어 컴프레서(compressor)(미도시)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가 상기 산기홀을 통해 양식 방출수로 분출된다.
양식 방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물고기의 신진대사에 의해 생성된 암모니아가 막 생물 반응기(700) 내에서 질화(nitrification)되어 질산 이온 또는 아질산 이온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호기성 조건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산기관(730)을 통해 분출되는 공기는 산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사막(723)의 기공을 통과한 미생물이 존재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중공사막(723)을 투과한 여과수는 자외선 살균부(900)에서 약 200~400 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으로 살균 처리된 후 양식조(100)로 다시 유입된다.
한편, 막 생물 반응기(700)의 채택에 의해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들 중 하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중공사막(723)의 파울링(fouling)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파울링은 중공사막(723)의 표면이 고형(solid) 또는 아교질의(gelatinous) 물질로 도포되어 물이 투과되는 기공(pores)이 차단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러한 파울링 현상으로 말미암아 중공사막을 투과하는 여과수의 유속이 현저히 감소된다.
중공사막의 파울링은 그 원인에 따라 무기 파울링(inorganic fouling), 유기 파울링(organic fouling), 및 미생물 파울링(microbiological fouling)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무기 파울링은 칼슘과 같은 고체에 의해 유발되며 그 대부분이 적절한 전처리(pre-treatment)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유기 파울링은 기름과 같은 유기 물질에 의해 유발되며, 미생물 파울링은 호기성 세균, 혐기성 세균, 및 이들의 신진대사에 의한 배설물 등에 의해 유발된다. 특히 세균은 급속도로 번식하여 중공사막의 기공을 차단한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중공사막의 경우에는 처리되어야 할 원수를 염소 처리(chlorination)함으로써 미생물 파울링을 제어할 수 있으나, 폴리아미드 중공사막의 경우에는 중공 사막 자체가 염소의 산화력을 견딜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중공사막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파울링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막 생물 반응기(700) 내에 활성탄 가루(Powdered Activated Carbon: PAC)를 도입한다.
활성탄 가루(PAC)는 중공사막의 파울링을 야기하는 주요 성분인 유기 물질 및 미생물 체외 고분자 물질(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들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활성탄 가루(PAC)가 존재할 경우, 중공사막의 표면 위에 케이크(cake) 층이 증착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착되는 케이크 층 자체가 큰 다공성을 갖게 되기 때문에 파울링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한 막 생물 반응기 및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하지 않은 막 생물 반응기의 비교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으로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않된다.
실시예 1
막 생물 반응기의 체적 1리터당 500mg의 활성탄 가루(PAC)를 사용하였다. 파울링 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막 투과압(Transmembrane Pressure: TMP)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막 투과압(TMP)은 중공사막의 흡입 측에서 매일 측정되었다. 중공사막 을 통한 흡입은 3시간 동안 수행된 후 5분 동안 정지하는 방식으로 계속되었다.
또한, 중공사막의 기공 차단에 의한 회복 불가능한 저항(Rf)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활성탄 가루(PAC)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과수 흐름에 대한 막 저항(Membrane Resistance)(Rt)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막 저항(Rt)은 i) 막 자체의 저항(Rm), ⅱ) 케이크 저항(Rc), 및 ⅲ) 기공 차단에 의한 회복 불가능한 저항(Rf)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입 펌프의 가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중공사막에 대한 세정을 실시하면 중공사막 표면에 형성된 케이크 층이 제거되기 때문에 중공사막의 막 저항(Rt)은 Rm과 Rf만의 합이 된다. 따라서, 흡입 펌프의 가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중공사막의 세정을 실시한 후 깨끗한 물을 다양한 유속으로 중공사막을 통과시키면서 그 각각에 대응하는 막 투과압(TMP)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J = TMP/(μRt)의 식을 이용하여 Rm과 Rf의 합인 막 저항(Rt)을 계산하였다.
비교예 1
막 생물 반응기에 활성탄 가루(PAC)가 도입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막 투과압(TMP)의 변화 및 유속에 따른 막 저항(Rt)을 측정하였다.
도 3은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한 막 생물 반응기 및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하지 않은 막 생물 반응기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막 투과압(TMP)의 변화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하지 않은 막 생물 반응기의 경우 중공사막의 막 투과압(TMP)이 약 2 kPa에서 시작하여 15일이 경과한 후에는 약 24 kPa이 되어 약 1.47 kPa/day의 막 투과압(TMP)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한 막 생물 반응기의 경우에는 중공사막의 막 투과압(TMP)이 약 1 kPa에서 시작하여 30일이 경과한 후에는 약 28 kPa이 되어 약 0.90 kPa/day의 막 투과압(TMP)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즉, 활성탄 가루(PAC)를 막 생물 반응기에 도입함으로써 중공사막의 막 투과압(TMP) 증가율이 현저히 감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활성탄 가루(PAC)의 도입에 의해 중공사막의 파울링이 급격히 억제된다고 말할 수 있다.
도 4는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한 막 생물 반응기 및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하지 않은 막 생물 반응기에 있어서 유속에 따른 막 저항(Rt)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하지 않은 막 생물 반응기에 비하여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한 막 생물 반응기의 경우 기공 차단에 기인한 중공사막의 파울링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중공사막의 기공을 차단하는 주요 성분인 유기 물질 및 미생물 체외 고분자 물질(EPS)이 활성탄 가루(PAC)에 흡수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양식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생물 반응기(Membrane Bio-Reactor: MBR)를 나타내고,
도 3은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한 막 생물 반응기 및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하지 않은 막 생물 반응기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막 투과압(TMP)의 변화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한 막 생물 반응기 및 활성탄 가루(PAC)를 도입하지 않은 막 생물 반응기에 있어서 유속에 따른 막 저항(Rt)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0 : 양식조 200 : 섬프(Sump)
300 : 제1 펌프 400 : 분무 바(Sprayer Bar)
500 : 혐기성 반응기(Anaerobic Reactor)
600 : 설탕 용액 제공부
700 : 막 생물 반응기(Membrane Bio-Reactor: MBR)
710 : 반응조 720 : 막 모듈 721 : 제1 헤더
722 : 제2 헤더 723 : 중공사막 730 : 산기관
800 : 제2 펌프 900 : 자외선 살균부

Claims (12)

  1. 양식조;
    상기 양식조로부터 배출된 방출수를 받아 그 일부를 상기 양식조로 되돌려 보내고, 상기 방출수의 나머지를 배출하는 썸프(Sump);
    상기 썸프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방출수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탈질화 작업(denitrification)을 수행하는 혐기성 반응기(Anaerobic Reactor);
    상기 혐기성 반응조에 의해 탈질화된 상기 방출수로부터 고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막 생물 반응기(Membrane Bio-Reactor: MBR); 및
    상기 막 생물 반응기에 의해 얻어진 여과수를 살균 처리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 생물 반응기는 침지형 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형 막 모듈은 중공사막 다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막 생물 반응기는,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세정을 위한 기체를 분출하는 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산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 생물 반응기에 활성탄 가루가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수의 일부를 상기 썸프로부터 상기 양식조로 되돌려 보내고, 상기 방출수의 나머지를 상기 썸프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흡입 여과를 위해 상기 막 생물 반응기에 음압을 가하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분무 바(sprayer ba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썸프로부터 상기 양식조로 되돌려 보내지는 상기 방출수의 일부는 상기 분무 바를 통해 상기 양식조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성 반응기는 상기 썸프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방출수를 기계적으로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성 반응기 내에서 수행되는 탈질화 작업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혐기성 반응기에 유기물을 제공하는 유기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물질은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
KR1020080077160A 2008-08-06 2008-08-06 어류 양식 시스템 KR20100018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160A KR20100018411A (ko) 2008-08-06 2008-08-06 어류 양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160A KR20100018411A (ko) 2008-08-06 2008-08-06 어류 양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411A true KR20100018411A (ko) 2010-02-17

Family

ID=4208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160A KR20100018411A (ko) 2008-08-06 2008-08-06 어류 양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84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8380A (zh) * 2011-08-24 2013-03-0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节能型工厂化循环水刺参保苗工艺方法
KR101448892B1 (ko) * 2014-03-07 2014-10-14 대한민국 양식장 배출수내 유기물 및 질소제거를 위한 공정 및 방법
CN104221969A (zh) * 2014-09-25 2014-12-24 苏州市相城区新时代特种水产养殖场 一种水产养殖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8380A (zh) * 2011-08-24 2013-03-0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节能型工厂化循环水刺参保苗工艺方法
KR101448892B1 (ko) * 2014-03-07 2014-10-14 대한민국 양식장 배출수내 유기물 및 질소제거를 위한 공정 및 방법
CN104221969A (zh) * 2014-09-25 2014-12-24 苏州市相城区新时代特种水产养殖场 一种水产养殖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9328B2 (ja) 汚水に含まれた有機物質および窒素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と汚水処理装置
CN102639449A (zh) 用于控制反渗透和纳滤膜生物污染的填充床生物反应器
CN107531527B (zh) 水处理系统及水处理方法
CN109231713A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零排放系统
JP5544512B2 (ja) 魚介類の循環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
JPWO2009090725A1 (ja) 槽外設置型膜分離活性汚泥法
US11053150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200484293Y1 (ko) 분리막 여과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426361B1 (ko) 암모니아성 질소 및 아질산성 질소를 함유한 폐수의 처리 시스템
CN202346863U (zh) 一种生活污水处理与回用装置
KR20100018411A (ko) 어류 양식 시스템
KR100949077B1 (ko) 싱글헤드형 uf침지식중공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US9758393B2 (en) Fresh water generation system
CN205346948U (zh) 一种膜生物反应器与生物膜反应器相结合的污水处理装置
Gupta et al.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system for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An overview
CN114230086A (zh) 一种污水处理装置及高性能mbr组合工艺
KR20030097075A (ko) 생물막활성탄과 마이크로필터모듈을 이용한 오·폐수고도처리장치
KR101054613B1 (ko) 생물처리공정과 막분리공정이 결합된 단일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재활용수 생산장치
KR102663413B1 (ko) 양식수 공급 및 여과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95072B1 (ko) 가축분뇨를 포함하는 고농도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360375B1 (ko) 생물반응기 내의 슬러지를 분리하고 분리막을 세정하는장치 및 그 방법
Johir et al. Membrane Hybrid System i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KR101773304B1 (ko) 경사판 및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반류수의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
KR100444700B1 (ko) 부직포 여과막이 부착되어 있는 생물학적 반응조가 구비된폐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CA32279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wastewater str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