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305A -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및 이동통신 다중기지국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및 이동통신 다중기지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305A
KR20100018305A KR1020080077016A KR20080077016A KR20100018305A KR 20100018305 A KR20100018305 A KR 20100018305A KR 1020080077016 A KR1020080077016 A KR 1020080077016A KR 20080077016 A KR20080077016 A KR 20080077016A KR 20100018305 A KR20100018305 A KR 2010001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ata
mobile terminal
reverse
revers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065B1 (ko
Inventor
한상진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0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다중 기지국 시스템은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이동 단말기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역방향 데이터와 동일한 사본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역방향 데이터 및 상기 사본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어국은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사본 데이터를 기초로 에러 정정하여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추출하므로,
데이터 전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송신 속도를 개선하고 보다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중 기지국, 업링크, 역방향 데이터

Description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및 이동통신 다중 기지국 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lural BSC and U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plural BSC}
무선 이동통신 망에서 이동단말기에서 제어국으로의 빠르고 에러가 적은 역방향 데이터의 전송 방법 등에 관련된 발명이다. 하나의 기지국만을 거쳐서 교환국으로 전송되었던 역방향 데이터를 다중 기지국을 거쳐 전송함으로써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보다 빠른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즉, 다수의 기지국으로 동일한 역방향 데이터 등을 전송하거나 하나의 역방향 데이터를 2 이상으로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는 기술분야에 관련된다.
현재 이동 통신망에서는 점진적인 기술의 진화로 동일 대역폭 내에서 보다 고속화된 데이터 전송이나 또는 대역폭 증가를 통한 데이터 전송 속도 향상에 대한 많은 발전이 있었다. 특히 기존에는 다운링크(Downlink) 위주의 데이터 속도 개선에서 이제는 업링크(Uplink)에 대한 데이터 개선에 대하여 많은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더 많이, 더 빨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지만, 핸드오프(Handoff)와 같은 지역에서는 빠른 페이딩, 낮은 C/I 또는 Ec/Io등으로 인해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가 어렵다. 특히 업링크에 있어서는 단말기의 전송 전력 제한과 시스템 로드에 대한 영향으로 인하여 핸드오프 등의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이 매우 불안정하고 낮아지는 현상이 지속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망에서 역방향 링크에 대해서 데이터 전송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하나의 기지국만을 데이터 전송 경로로 이용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복수의 기지국을 데이터 전송 경로로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신뢰도 있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은, 제1 기지국과 접속된 이동 단말기가 제2 기지국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의 역방향 전송 대상인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각각 전송하는 전송 단계; 및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국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수신된 제1 수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기지국으로 수신된 제2 수신 역방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 단계 이전에, 제1 기지국과 접속된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제2 기지국을 탐색하여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탐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색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하는 역방향 데이터의 수신 에러율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기지국과 접속된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제2 기지국을 탐색하여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색 단계는 제1 기지국과 접속된 단말기가 제1 기지국의 핸드오프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기지국과 접속된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제2 기지국을 탐색하여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색 단계에서 제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기지국 중에서 역방향 데이터 송신 에러 발생률이 가장 작은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각각 1대1 대응시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 비율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의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 에러 발생률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은,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이동 단말기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전송 대상인 역방향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역방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을 제어하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수신된 제1 수신 역방향 데이터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수신된 제2 수신 역방향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접속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기지국인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하여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전송 대상인 역방향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접속되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역방향 데이터의 수신 에러율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는 것을 확인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다른 기지국인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하여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역방향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접속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기지국의 핸드오프 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확인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다른 기지국인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하여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하나의 역방향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기지국 중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을 제외하고 데이터 수신 에러 발생률이 가장 작은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접속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다른 기지국인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각각 1대1 대응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 비율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의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 에러 발생률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다중 기지국 연결 이동 단말기는, 제1 기지국에 접속되는 다중 기지국 연결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2 기지국을 탐색하는 탐색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 대상인 역방향 데이터를 각각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색부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역방향 데이터의 수신 에러율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다른 기지국인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탐색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기지국의 핸드오프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다른 기지국인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기지국 중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을 제외하고 데이터 수신 에러 발생률이 가장 작은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각각 1대1 대응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 비율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의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 에러 발생률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다중 기지국 제어국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제어하여 다중 기지국 제어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수신 역방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수신 역방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수신 역 방향 데이터 및 상기 제2 수신 역방향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의 역방향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서 단말기는 기지국을 거쳐 제어국 등으로 역방향 데이터 전송시에는 데이터 전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송신 속도를 개선하고 보다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에 기여할 수 있다.
즉, 데이터를 중복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보다 신뢰도 있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효과가 성취되며,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분산 전송으로 인해 특정 기지국에 편중되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1는 이동단말기(100), 제1 기지국(300), 제2 기지국(500), 제어국(700) 및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9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탐색부(110) 및 데이터 송신부(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국은 수신부(710) 및 추출부(7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탐색부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역방향 송신 데이터 에러율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다른 기지국인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하거나,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기지국의 핸 드오프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가능한 다른 기지국인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역방향 데이터 및 사본 데이터를 각각 송신한다.
상기 제어국의 수신부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본 데이터를 수신한다.
추출부는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사본 데이터를 기초로 에러정정을 수행하여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동단말기가 최초로 보내는 역방향데이터가 제1 기지국으로 송신될 때, 채널 상황이 안 좋아져서 데이터 패킷의 일부분이 소실 또는 왜곡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본 데이터의 해당 부분에서 소실 등이 된 데이터를 보충하여 원래의 정상적인 역방향 데이터를 복원 내지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송신부는 하나의 역방향 데이터를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로 분할하여 각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제어국의 복원부에서는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기지국의 각 채널 상태가 안 좋아 전체적인 할당 대역폭이 작더라도 보다 빠른 송신이 가능해진다.
상기 분할 비율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의 송신되는 역방향 송신 데이터 에러 발생률 등을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에서는 제2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제2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을 알리고, 제2 기지국에서 전송에 대한 ACK를 수신후 제2 기지국으로 제2 수신 역방향 데이터 또는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역방향데이터가 110010100101...인 경우, 제1 기지국으로는 110010100101.. 110010100101..과같이 전송하고 제2 기지국으로는 110010100101.. 110010100101..과 같이 전송하여 중복되게 전송하고 제어국에서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호 비교하여 하나의 데이터로 추출함으로써 이동단말기의 송신 이득이 상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에서 제1 기지국으로 역방향데이터인 110010100101를 64kbps속도로 송신하려 하지만 무선환경 악화 또는 기타 필요시에 32kbps로 낮추어 101100 만 전송한다. 이 때 제2 기지국으로는 32kbps로 100011이라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아래 표 참조). 수신된 각 신호를 제어국에서 다시 결합하여 하나의 역방향 데이터로 복원한다
역방향데이터 1 1 0 0 1 0 1 0 0 1 0 1
제1분할 역방향 데이터 1 0 1 1 0 0
제2분할 역방향 데이터 1 0 0 0 1 1
위의 표에서는 50:50으로 분할하였지만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 품질에 따라서 상기 비율은 가변적으로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오프 지역 등에서의 다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필요한 데이터 속도를 낮출 수 있다는 점과, 다중 페이딩 환경에서 페이딩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시스템에서는 단말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송할 것인가를 사전 약속을 통해 알고 있다. 즉, 다수의 기지국으로 데이터 전송 시 단말기가 시스템으로 이를 알려주는 정보(시그널링 메시지의 예약비트(Reserved bit)를 사용하는 것은 일실시예 중에 하나가 될 수 있다.)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가 가능하다. 즉, 이러한 정보로서 특정 3 bit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이 101로 설정시에는 짝/홀 교차방식 전송, 110인 경우에는 4 bit씩 중복 교차 전송, 001인 경우에는 8 bit씩 일부 교차 방식 등으로 분할 할 수 있고, 단말이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해 이벤트 발생 시 실시간으로 시스템에 알려주면, 전송 방식 변경에 대한 메시지 수신 후 특정 시간 후부터는 사전 약속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낮출 수 있고, 필요시 추가적인 리던던시(redundancy)코딩을 적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제2 기지국과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어 시스템에서는 단말기에게 요구하는 전력을 비교적 낮게 가져갈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수의 기지국으로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의 정도를 상쇄할 수 있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2는 이동단말기(100), 제1 기지국(300), 제2 기지국(500), 제어국(700) 및 MSC(900)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기지국의 커버리지에서 핸드오프지역으로 진입하거나, 제1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데이터의 수신율이 소정 기준 이하가 되어 신호 품질이 열악해지는 등의 경우에 제2 기지국을 탐색한다(S102). 또는 제2 기지국은 제1 기지국과 근접한 기지국의 세트로 지정할 수도 있다. 또, 이동 단말기는 역방향 신호 품질이 제일 우수한 기지국을 탐색하여 제2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에서 핸드오프가 되는 경우에는 시그널링이 제공되는 액티브 세트(active set) 기지국 중에서, 현재 액티브 세트에 있는 모든 기지국을 선택할 수도 있고, 동일한 섹터, BSC(기지국 제어국), PCF/PDSN에 있는 기지국만을 선택할 수 도 있다. 또, 제1 기지국을 제외하고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신호세기가 가장 센 기지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어느 임계치 이상(기지국 수신 신호 세기)의 값을 가지거나 특정 지리적 조건(제1 기지국 반경 100미터 이내)을 만족하는 기지국 모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1 기지국으로 수신된 역방향 데이터와 제2 기지국으로 수신된 사본 데이터는 동일한 역방향 데이터이다.
즉, 역방향 데이터 및 사본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어국에서는 상기 수신된 역방향 데이터(S105) 및 사본 데이터(S106)를 수신하고 상호 비교하여 역방향 데이터를 에러 정정(S107)하여 전체의 에러 수신율을 낮추는 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2의 경우와 다른 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역방향데이터를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로 분할하고 각각을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송신(S203,S204)하며, 각 분할된 역방향 데이터는 제어국에서 하나로 결합되어 역방향 데이터로 복원(S207)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다중 기지국 시스템은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이동 단말기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역방향 데이터와 동일한 사본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역방향 데이터 및 상기 사본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어국은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사본 데이터를 기초로 에러 정정하여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추출하므로,
데이터 전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송신 속도를 개선하고 보다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업 분야에서 보다 빠른 데이터 역방향 전송이 가능해지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도1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다중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100: 이동단말기 110: 탐색부
120: 데이터 송신부 300: 제1 기지국
500: 제2 기지국 700: 제어국
710: 수신부 720: 추출부 또는 복원부
900: MSC(이동교환국)

Claims (17)

  1.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이동 단말기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역방향 데이터와 동일한 사본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역방향 데이터 및 상기 사본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어국은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사본 데이터를 기초로 에러 정정하여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추출하는 이동통신 다중 기지국 시스템.
  2.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이동 단말기 및 제어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역방향 데이터를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어국은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복원하는 이동통신 다중 기지국 시스템.
  3.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되는 다중 기지국 연결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되는 제2 기지국을 탐색하는 탐색부; 및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역방향 데이터와 동일한 사본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다중 기지국 연결 이동 단말기.
  4.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되는 다중 기지국 연결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되는 제2 기지국을 탐색하는 탐색부; 및
    역방향 데이터를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다중 기지국 연결 이동 단말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결되는 채널의 역방향 송신 데이터 에러율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되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연결 이동 단말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기지국의 핸드오프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접속 되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연결 이동 단말기.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기지국 중에서 역방향 송신 데이터 에러 발생률이 가장 작은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연결 이동 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비율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연결되는 채널의 신호 품질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연결 이동 단말기.
  9.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제어하는 다중 기지국 제어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역방향 데이터와 동일한 사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사본 데이터를 기초로 에러 정정하여 상기 역방 향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다중 기지국 제어국.
  10.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제어하는 다중 기지국 제어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역방향 데이터와 동일한 사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다중 기지국 제어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비율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연결되는 채널의 신호 품질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 제어국.
  12. 제1 기지국과 접속된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기지국에 접속하여 상기 역방향 데이터와 동일한 사본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및
    상기 제어국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수신된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수신된 상기 사본 데이터를 기초로 에러 정정하여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13. 제1 기지국과 접속된 이동 단말기가 역방향 데이터를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및
    상기 제어국이 제1 기지국으로 수신된 제1 분할 역방향 데이터 및 제2 기지국으로 수신된 제2 분할 역방향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역방향 데이터로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1 기지국 연결되는 채널의 역방향 송신 데이터 에러율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는 경우를 확인하는 채널 확인 단계를 상기 전송 단계 이전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기지국의 핸드오프 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확인하는 확인 단계를 상기 전송 단계 이전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기지국 중에서 역방향 송신 데이터 에러 발생률이 가장 작은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비율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연결되는 채널의 신호 품질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KR1020080077016A 2008-08-06 2008-08-06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및 이동통신 다중기지국 시스템 KR101519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016A KR101519065B1 (ko) 2008-08-06 2008-08-06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및 이동통신 다중기지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016A KR101519065B1 (ko) 2008-08-06 2008-08-06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및 이동통신 다중기지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305A true KR20100018305A (ko) 2010-02-17
KR101519065B1 KR101519065B1 (ko) 2015-05-12

Family

ID=4208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016A KR101519065B1 (ko) 2008-08-06 2008-08-06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및 이동통신 다중기지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4062B2 (en) 2011-12-09 2014-12-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ual communications network base st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4062B2 (en) 2011-12-09 2014-12-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ual communications network base st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065B1 (ko) 201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841B2 (ja) 時分割複信の符号分割多重接続(tdd−cdma)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ソフトハンドオーバおよびソフターハンドオーバの方法
KR10043446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향 공유 채널의 전력 제어를 위한통신 수행 장치 및 방법
EP12384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with power control
US7212515B2 (en) Fast macrodiversity switching with interleaving in wireless networks
US7110786B2 (en)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nd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US6937582B1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relating to mobile radio systems with the possibility of switching channel coding schemes
JP4170341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通信方法
US6496496B1 (en) Crucial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s
KR20020036639A (ko)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 공유 채널에 사용하는송신 형식 결합 지시기를 전송 장치 및 방법
US116011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ower adjustment in UE and base station
GB24081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throughpu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50009523A1 (en) Protocol using forward error correction to improve handover
US7535885B2 (en) Method of selecting transport channel parameters, radio system, controller,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MXPA04007658A (es) Metodo de control de potencia de canal compartido de enlace descedente para acceso multiple de division de codigo de banda ancha.
US6341124B1 (en) Accommodating packet data loss at base stations interfacing between a packet switched network and a CDMA macrodiversity network
KR100740831B1 (ko) 하향링크 공유채널을 위한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KR101519065B1 (ko) 다중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통신 방법 및 이동통신 다중기지국 시스템
EP1408707B1 (en) A recognition method of identifying a primary cell in site selective diversity transmit control
US9131458B2 (en) Method of controlling base station transmitting power during soft handoff
CN103079261A (zh) 在无线电发射设备和无线电接收设备之间传送数据的方法
US759969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during handoff
KR100876798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적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공통제어정보 채널의 지연값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5513890A (ja) 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ダウンリンク接続を行う方法及びシステム
US7768957B2 (en)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receiving signals from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US9077398B2 (en) Network coding by beam fo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