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704A - 단어와 그림의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단어와 그림의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704A
KR20100016704A KR1020080076289A KR20080076289A KR20100016704A KR 20100016704 A KR20100016704 A KR 20100016704A KR 1020080076289 A KR1020080076289 A KR 1020080076289A KR 20080076289 A KR20080076289 A KR 20080076289A KR 20100016704 A KR20100016704 A KR 20100016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s
picture
word
language
pi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도
김세훈
조영순
Original Assignee
김상도
김세훈
조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도, 김세훈, 조영순 filed Critical 김상도
Priority to KR102008007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6704A/ko
Priority to PCT/KR2009/004351 priority patent/WO2010016715A2/ko
Publication of KR2010001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Abstract

본 발명은 웹 서버를 이용한 외국어 단어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품사에 의해 분류된 단어 그룹과, 유사한 발음·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 그룹과, 2개 이상의 의미를 갖는 단어 그룹과, 앞글자가 같은 단어 그룹과, 마지막 글자가 같은 단어 그룹과, 반의어 단어 그룹과, 단수 및 복수의 단어 그룹과, 접두사 접미사로 분류된 그룹 각 각을 분류하여 분류표 형식으로 저장 입력하되, 각 단어와 그림이 연결되도록 하는 저장 방법과,
웹서버와 연결된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림 혹은 단어를 클릭하여 단어와 그림을 보며 발음을 듣고 눈에 익히는 단계; 대분류의 그림을 클릭하면 클릭한 부위가 확대되고, 이 확대된 그림을 클릭하여 발음을 들으며 눈에 익히는 단계; 상기 단어와 그림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복습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단어 혹은 그림을 클릭하면 그 하부에 의미가 같은 그림 혹은 단어가 띄워지고, 다시 그 하부에 관련된 단어와 문장이 띄워져 관련된 단어 및 문장을 습득하는 단계; 화면에 띄워진 그림 혹은 동영상을 정해진 시간 안에 발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학습 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반복적으로 그림과 단어를 보고 들으면서 눈에 익히도록 하고, 세분화된 분류에 따라 다양한 검색이 가능하며 학습 의욕을 향상시키고, 또한 복습은 물론 게임을 즐기며 영어를 학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다른 외국어도 동시에 습득할 수 있는 발명이다.
Figure P1020080076289
인터넷, 외국어 학습, 대분류, 소분류

Description

단어와 그림의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SAVING METHOD OF WORDS AND FIGURES AND INTERNET LEARNING METHOD OF FOREIGN LANGUAGE USING DATABASE}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을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빠르고 효과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림에 의한 분류, 단어의 품사, 유사 발음, 스펠링 수, 단어의 처음 글자, 마지막 글자 그리고, 그룹별로 세분화된 단어를 바탕으로 그림과 영상을 보며 외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어학습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인터넷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영어는 물론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등 세계 모든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순이 다른 한국어를 사용하는 우리 나라 사람이 외국어 특히 영어를 습득하기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일반인은 물론 학생들도 학교에서 배우는 정규 과목 이외에 원어민 강사를 초빙하거나, 영어 학원에 다니거나 혹은 방송을 청취하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영어 학습에 매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과 많은 시간을 투자해도 대다수는 중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첫째로 체계화된 학습 방법이 없어 학습 의욕을 높이지 못하고, 투자시간에 비하여 학습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수준이 천차만별임에도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일방적으로 강요되는 학습이 학습 의욕을 떨어뜨린다.
또한, 우리의 교육 여건이 언어적인 요소와 비언어적인 구성 요소를 인위적으로 분리하여 발음, 어휘, 문법을 중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습 의욕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근래에는 학습 의욕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그림이나 발음이 자동 출력되는 학습지나, 기계 장치, 영상, 음악을 활용하는 방법도 개발되어 활용되고는 있으나, 종류가 너무 많아 선택이 어렵고, 구입한 물품이 자신의 공부 방법과 맞지 않는 경우에는 경제적인 손실, 시간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간과 공간의 무 제약성, 경제성, 다양한 콘텐츠의 접합, 빠르고 폭 넓은 지식 검색을 바탕으로 하는 인터넷 영어 학습 방법이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이중 하나의 실 예를 살펴보면, 국내 특허 제 557226호의 영어학습 데이터베 이스의 구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인터넷을 통한 영어학습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원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로그인으로 회원 여부를 확인받은 후 영어를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단계 이후 학습자가 자신이 학습할 곳을 클릭하여 시작하고, 만약 새 학습자이면 프로그램의 화면 구성과 매트릭스에 대하여 설명을 확인하는 목차를 확인한다.
이후 유닛(Unit)을 시작하되, 새 학습자는 유닛 1부터 시작하는 단계; 이후 유닛을 학습하되, 먼저 학습할 내용을 설명한 뒤 설명하고자 하는 단어나 문장을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되게 하는 단계; 학습자는 이런 설명을 듣고 화면에 나타낸 매트릭스의 자리에 입력장치로 선택하는 단계; 매트릭스의 자릿값을 가리킨 후에 단어에 해당하는 발음을 음성입력장치인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거쳐 입력된 음성을 음성인식모듈을 이용하여 점수로 평가한 후 발음 학습 여부를 판단하여 문장 이수를 결정한다.
기본문장 학습이 끝나면 응용문장연습을 제공하는 단계; 학습자는 문장에 있는 단어를 하나씩 매트릭스에 삽입하면서 문장의 구성과 성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응용문장연습이 끝나면 여러 단어를 조합해서 이전에 배웠던 내용을 복습할 수 있도록 한 자유문장연습 단계; 자유문장연습단계가 끝나면 다음 유닛으로 넘어가고, 이후 생활영어의 경우는 여러 표현들을 조합해서 한 문장씩 표현을 익히면서 동시에 매트릭스에 한 블록(셀)씩 문장의 성분에 맞게 채워서 학습자로 하여금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학습이 끝나면 배운 내용의 범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또한 많은 문제가 있다.
먼저, DB 즉 데이터 베이스가 기존 방식을 벗어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기존 교과서 방식에 따라 분류된 품사(동사, 명사 등)를 바탕으로 함으로써 다양한 문장 및 단어를 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둘째, 영어 단어에 한정됨으로써, 학습 의욕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위 발명을 비롯한 대다수의 다른 종래 기술은 단순히 영어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고, 그 문장을 읽고 발음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순한 구성에 지나지 않아 쉽게 싫증이 나고 학습 의욕이 떨어진다.
셋째, 기존 방식의 인터넷 학습 방법은 영어 혹은 일어 등 한가지 이외에는 학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넷째, 단어를 검색하거나 문장을 구성하는 데 있어, 데이터 베이스가 부족해 문장을 올바르게 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를 비롯한 모든 단어는 2개 이상의 다른 뜻을 가진 단어도, 발음이 비슷한 단어도 많이 있다. 따라서 이들 단어가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으면 정확한 발음도 정확한 문장 구성도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국어 단어를 그룹별로 분류하고 세분화하되, 대그룹-소그룹으로 분리하여 저장하고, 품사에 따라, 의미에 따라, 유사 발음에 따라, 스펠링 순서 및 단어의 처음 글자, 마지막 글자별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검색 및 문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림, 만화, 영상 등을 활용하여 외국어를 습득하되, 커서를 올려놓고 클릭하면 특정 부위가 확대되거나, 이동하며 혹은 순차적으로 교체되며 학습자에게 다양한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외국어 학습이 재미있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 문장의 길이를 스스로 혹은 프로그램에 따라 단계적으로 학습하고, 게임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하여 학습 의욕을 향상시키는 외국어 단어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언어 선택이 자유롭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국어가 즉 한국어, 영어, 일본어 혹은 중국어가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2개 이상의 외국어를 동시에 습득할 수 있는 외국어 단어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외국어 인터넷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 이 있다.
본 발명은 웹 서버를 이용한 외국어 단어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품사에 의해 분류된 단어 그룹과, 유사한 발음·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 그룹과, 2개 이상의 의미를 갖는 단어 그룹과, 앞글자가 같은 단어 그룹과, 마지막 글자가 같은 단어 그룹과, 반의어 단어 그룹과, 단수 및 복수의 단어 그룹과, 접두사 접미사로 분류된 그룹 각각을 분류하여 분류표 형식으로 저장 입력하되, 각 단어와 그림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웹서버와 연결된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림 혹은 단어를 클릭하여 단어와 그림을 보며 발음을 듣고 눈에 익히는 단계; 대분류의 그림을 클릭하면 클릭 부위가 확대되고, 이 확대된 그림을 클릭하여 발음을 들으며 눈에 익히는 단계; 상기 단어와 그림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복습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단어 혹은 그림을 클릭하면 그 하부에 의미가 같은 그림 혹은 단어가 띄워지고, 다시 그 하부에 관련된 단어와 문장이 띄워져 관련된 단어 및 문장을 습득하는 단계; 화면에 띄워진 그림 혹은 동영상을 정해진 시간 안에 발음하는 단계;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첫째, 저장된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여 단어를 익히기 쉽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저장 방식은 품사에 따른 분류, 유사한 발음,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의 분류, 2개 이상의 의미를 갖는 단어의 분류, 앞글자 혹은 마지막 글자에 동일한 단어의 분류, 반의어, 단수 및 복수, 접두사, 접미사에 따른 분류 등보다 세분화되고 체계화된 분류를 바탕으로 관련된 모든 단어를 한눈에 볼 수 있어 학습 효과가 뛰어난 발명이다.
둘째, 본 발명은 그림과 이 그림에 인접하여 띄워지는 단어를 이용하여 사물을 눈으로 보면서 발음하고 들을 수 있어 학습 효과가 우수하고 단어를 암기하기보다는 눈으로 익히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셋째, 본 발명은 그림을 선택하여 특정 부위를 확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띄도록 하고, 다양한 변화를 주어 학습 의욕을 높일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넷째, 본 발명은 화면에 띄워진 그림과 단어를 좌, 우측 화면으로 이동시키며 반복적으로 익히도록 하는 복습 기능을 갖는 발명이다.
다섯째, 본 발명은 그림, 단어, 동영상, 만화를 활용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게임을 통해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여섯째, 본 발명은 영어, 한국어는 물론 일본어, 중국어, 스페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적어도 2개 이상의 언어를 화면에 띄워 학습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모든 창의 화면 상단에 언어 선택 항목이 띄워져 사용자가 언제라도 원하는 언어로 바꿔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창에 언어 선택 항목이 띄워짐으로써 언어 선택이 자유롭고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인터넷의 저장 방법 예컨대, 오라클, MySQL, MSSQL과 같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응용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관계형 데이터 DB는 하나 또는 여러 컬럼으로 이루어지는 레코드를 만들고, 이 레코드들이 모여 테이블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외국어 단어가 컬럼이 되고, 이들을 묶는 소분류가 레코드가 되며, 다시 소분류를 묶어 테이블을 구성하는 것이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 예로 프로그래머(programmer)에 따라 혹은 웹 및 서버의 환경에 따라 다른 방식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며, 비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C 본체와 이 PC 본체에 주메모리와 CPU 그리고 그래픽제어기와 오디오제어기가 갖추어지는 것은 당연하고, 연결 방식도 CPU는 PCI버스를 통해 "PCI to PCI Bridge"와 연결되고 다시 상기 "PCI to PCI Bridge"는 PCI버스를 통해 하드디스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제어기는 PCI버스를 통해 "PCI to ISA Bridge"와 연결되고 다시 상기 "PCI to ISA Bridge"는 ISA버스를 통해 UART(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언어 선택 영역을 표시한 예시도를 나 타낸 것이고, 도 2 내지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로써,
도 2는 그림에 의한 저장 방법이고, 도 3a는 둘 이상의 의미를 가진 단어의 저장 방법이며, 도 3b는 단어 중 마지막 글자가 같은 단어를 저장하는 방법이다. 또한, 도 4는 단어를 그룹별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이다.
첨부된 도 5 내지도 11은 본 발명을 활용하여 외국어를 습득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5a, b는 본 발명의 학습 방법 중 그림을 클릭했을 때 발음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여 발음을 듣고,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예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 중 그림의 특정 부위를 클릭했을 때 이 부위가 확대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예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 중 단어를 클릭하면 이와 동일한 그림이 띄워지고 커서가 깜빡거려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예시도 이다.
또한, 도 8a, b는 알고 있는 혹은 적어도 한번 이상 익힌 단어, 그림, 문장을 이동시키며 복습할 수 있도록 한 예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 중 단어를 클릭하면 그 하단에 관련된 그림과 단어, 문장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한눈에 관련된 단어 및 문장을 보고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예시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으로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마지막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으로, 한글 문장을 클릭하면 이에 맞는 예시와 이와 연관된 그림 혹은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해 영어 등의 외국어 학습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운 로드를 통해 영어 학습기, PDP, 혹은 이동 통신망 및 다른 장치에도 활용되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먼저, 영어 학습을 위한 데이터 저장 방법을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방법은 크게 그림을 이용한 분류 방법과, 단어를 이용하는 분류 방법 그리고, 기능에 따른 분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그림과 단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마에 따라 분류하여 카테고리를 형성하고, 이 카테고리 즉 대그룹을 눌렀을 때 그에 해당하는 소그룹 혹은 단어와 그림이 화면에 띄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림에 의한 분류
첨부된 도 2는 그림을 이용해 영어 단어를 분류하여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그림의 하단에 해당 단어가 표시되고, 이 단어 혹은 그림을 클릭하면 발음이 출력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한다.
상기 그림은 그룹별로 묶이고, 각각은 세분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그림은 테마에 따라 음식, 인체, 병원, 물건, 복장, 운송, 부품, 건설, 건축, 기후, 우주, 자연, 위치, 형상, 스포츠, 동물, 조류, 곤충, 식물 등의 카테고리 즉 대그룹으로 분류되고, 다시 대그룹은 그에 해당하는 소그룹 혹은 그림이 분류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인체는 얼굴, 흉부, 팔, 다리 등의 소그룹으로, 병원은 산부인과, 내과, 외과, 의사 등 소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첨부된 도 2는 음식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영어 단어는 그림의 상부 혹은 측면에도 위치할 수 있다.
단어에 따른 분류
1. 품사를 기준으로 하는 분류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품사를 기준으로 하는 분류가 기본적으로 저장 입력된다. 이는 영어 학습이 사용자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저장되는 것이며, 그 방법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1) 대명사, (2) 관사, (3)명사, (4) 형용사, (5) 동사, (6) 조동사, (9) 부사, (8) 전치사, (9) 접속사, (10) 감탄사 등으로 분류되어 입력된다.
2. 둘 이상 다른 의미를 갖는 단어에 의한 분류
영어 혹은 외국어는 하나의 단어가 2개 이상의 뜻을 갖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단어 "act" 경우 "1 행위, 행동, 짓, 소행", "2 [종종 Act] 법령, 조례(條例)(law);[보통 the Acts] (법정·의회의) 결의, 결의서", "3 [종종 Act] (연극 의) 막", "4 (쇼·서커스 등의) 프로그램 중의 하나"라는 의미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반복적인 검색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들 단어를 전체적으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킨다.
첨부된 도 3a는 이러한 분류를 클릭했을 때 나타나는 본 발명의 분류 섹터로써 이들 단어 또한 스펠링 수와 abc 순서에 따라 다시 분류된다.
다시 말해, 분류표 중 최 좌측은 스펠링을 기준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순차적으로 분류 저장된 것이고, 그 다음 칸부터는 스펠링 수에 따라 분류되도록 하되, 이 역시 상부는 abc 순서로 저장된다.
3. 발음이 유사한 단어 및 유사한 의미에 의한 분류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영어도 유사한 발음을 하는 단어가 많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어만을 별도로 모아 데이터 베이스화 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클릭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말라죽는[고사(枯死)] 병; 충해; 그 해충, 진디"의 의미를 가지는 단어 blight과 "빛나는, 번쩍이는, 눈부신, 밝은"의 의미를 가지는 bright는 발음이 유사하여 혼동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을 순차적으로 분류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영어 학습 효과를 높인다.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 역시 마찬가지로 분류 저장된다.
4. 반의어, 단·복수, 과거분사, ∼ed 비교, 접두사·접미사에 따른 분류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품사에 의한 단어 분류와 더불어 반의어, 단·복수, 과거분사, ∼ed 비교, 접두사·접미사를 기초로 하는 영어 단어를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분류 형식은 도 3a, b와 같이 스펠링 순서와 스펠링 수에 의해 분류되어 사용자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다.
5. 스펠링 수 및 처음 글자 혹은 마지막 글자에 의한 분류
영어 단어는 표음문자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스펠링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전의 영어 사전 및 학습지는 abc 순서에 따라 기술되어 있어 유사 단어를 비교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펠링 수를 기준으로 영어 단어를 분류 저장함과 아울러 단어의 마지막 글자 혹은 처음 글자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단어를 쉽게 찾아 학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방법 즉, 스펠링 수, 처음 글자, 마지막 글자를 찾는 방법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b은 영어 단어의 끝 다시 말해. 마지막 글자를 기준으로 단어를 분류하는 것으로, 상단 소제목에 기재된 a, b, c ∼ 아래로 마지막 글자가 그에 해당하는 단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구성이다.
6. 그룹에 따른 분류
영어 단어 또한 상기한 그림과 같이 테마에 따라 카테고리를 형성하는 대분류와, 소분류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첨부된 도 4는 단어를 그룹별로 분류하고, 각 그룹은 다시 소그룹으로 분류되어 영어 단어가 저장된다.
대분류는 크게 91가지로 분류되는데, 1. 대명사로부터 91. 한계에 이르기까지 분류되고,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1 대명사 2 인체 3 친척 관계 4 음식 5 복장 6 색상 7 생사 8 용모 9 건강 의료
10 숫자 11 시기 12 관계 13 일상 14 언어 15 기후 16 행사 17 신체행위 18 이동
19 운송 20 건물 21 건축 22 위치 23 물건 24 형상 25 운동 26 여가 27 문예
28 동물 29 해양 30 조류 31 곤충 32 식물 33 우주 34 자연 35 소리 36 지역
37 사회 38 법률 39 국제 40 교육 41 기업 42 직업 43 호칭 44 직위 45 상업
46 공업 47 농업 48 군사 49 종교 50 감각 51 감정1 52 감정2 53 감정3 54 도덕
55 태도1 56 태도2 57 태도3 58 성격 59 문서 60 문법 61 특성 62 구분 63 가부
64 강약 65 결정 미정 66 결합 분리 67 비밀 공개 68 공격 방어 69 관리 70 기본 71 능력 72 단순 복잡
73 단위 74 명예 75 명확 76 변화 77 부분 78 재산 79 사건 80 성패 81 시작
82 안전 83 우열 84 운영 85 유무 86 적합 87 중요 88 증감 89 청결 90 취득
91 한계 ·
상기 분류는 본 발명자가 다년간 연구 노력에 의해 얻어진 결과로 영어 단어를 학습함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분류이다.
또한 상기 각 대분류는 소분류로 나뉘어 각 각에 맞는 단어가 입력 저장된다.
각각의 소분류를 몇 가지 살펴보면,
1. 대명사 - 주격, 소유격
2. 인체 - 얼굴, 손발, 몸통, 내장
3. 친족 - 인간, 가족, 조상, 부모, 부부, 자식, 형제, 손자, 친척, 혈통, 성별, 혼사, 연령, 경칭
4. 음식 - 식사, 빵, 곡물, 육류, 국물, 견과, 과일, 채소, 근, 과자, 음료, 기호, 조미, 주류, 유지, 발효, 식기, 식체, 상태, 행위
5. 복장 - 얼굴, 손, 발, 상의, 하의, 속, 여성, 정장, 제복, 평복, 보조, 가방, 지갑, 장식, 장신, 소재, 방식, 도구, 세면, 화장, 상태, 행위, 유행
6. 색상 - 종류, 상태, 행위
7. 생사 - 출생, 양육, 성장, 생존, 죽음
8. 용모 - 용모 매혹, 미, 비만, 여윈, 안색
9. 건강, 의료 - 건강 강, 약, 피로, 회복, 의료 과목, 검사, 치료, 상처, 증상, 질병, 장애, 전염, 보조, 예방, 유전, 장비, 약, 병리
10. 숫자 - 계산, 덧셈, 빼기, 곱셈, 나눗셈, 총계
11. 시기 - 년, 계절, 월, 주, 요일, 일, 시, 분, 초, 어제, 오늘, 내일, 미래, 전, 후, 현재, 최근, 최신, 즉시, 곧, 가끔. 자주, 사이, 순간, 일시, 항상, 영원, 동시, 돌연, 세대, 임박, 시대, 옛날, 현대, 부터, 까지, 정기, 표, 경과, 긴급, 단기, 선행, 이른, 적시, 천문, 신, 구
12. 관계 - 친구, 동포, 선배, 이웃, 경쟁, 적, 타인, 수행, 제자, 조수, 친밀, 화목
·
·
·
90. 취득 - 취득, 수집, 제공, 분실, 포기, 복귀, 위임, 처분
91. 한계 - 한계, 경계, 극한, 무한, 범위, 절정, 한정
등이다.
여기서 이러한 분류는 단어의 그룹에 따른 분류뿐만 아니라 상술한 그림 분류에서도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대그룹 및 소그룹은 그림과 병행하여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철자에 따라, 단어의 처음 및 마지막 글자에 따라 혹은 품사 등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 상기의 그룹은 그림 분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림 분류 역시 대그룹과 소그룹으로 나뉘어 저장되는데 이 그림을 이와 같이 분류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은 영어뿐만 아니라, 다른 외국어 학습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한 분류에서 기준은 세계적인 공용어인 영어 또는, 한국어가 기준이 된다. 이는 단어 및 문장을 해석할 때, 한국어 또는 영어를 기준으로 영문 또는 한글의 예시가 표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방법으로 일본어, 스페인어, 독일어, 중국어 등을 그림, 단어 등으로 분류하여 한국어와 영어 또는 일본어 등이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동시에 2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모든 화면 상단에는 언어 지정 항목이 항상 표시된다.
언어 지정 방법
Figure 112008056126327-PAT00001
언어 지정은 목차 혹은 습득을 위한 항목 지정 이전에 혹은 지정 후에도 언제라도 재설정이 가능하도록 모든 화면의 상단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위 그림과 같이 좌측 언어 선택 항목에서 한국어를 지정하고, 우측 항목에서 다른 언어를 지정하여 클릭하며 그림, 단어 혹은 문장이 지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언제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언어를 바꿔 볼 수 있으며, 쉽고 편리하게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저장된 본 발명의 외국어 단어 데이터를 활용한 학습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라클, MySQL, MS SQL과 같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응용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미 보편화 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 또는 여러 컬럼으로 이루어진 레코드를 만들고, 이 레코드들이 모여 테이블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외국어 단어가 컬럼이 되고, 이들을 묶는 소분류가 레코드가 되고, 다시 소분류를 묶어 테이블을 구성할 것이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 예로 프로그램에 따라 혹은 웹 및 서버의 환경에 따라 선택될 있으며, 비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기와 메인 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망이 갖추어지고, 상기 서버에 다수의 학습 정보가 상기한 일 예의 방식인 데이터 베이스가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가입, 다운로드 및 로그인
웹 서버에 띄어진 본 발명의 외국어 학습 방법은 가입 및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웹서버에 가입, 로그인에 대한 기술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초기 화면
로그인 후 본 발명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초기 화면에서 항목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초기 화면은
Figure 112008056126327-PAT00002
구성으로, 화면의 상단에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만들어져 있고, 그 하부로 목차와, 그림, 단어의 분류 그리고, 실질적인 학습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목차의 세부 항목은 전체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 항목에는 본 발명의 모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영어,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을 암기하기보다는 보고 들으며, 눈으로 반복적으로 익히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외국어가 습득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대분류와 소분류로 분류된 단어와 그림을 반복적으로 보고 듣도록 하고, 선택된 단어 및 그림의 의미를 명확하게 인식하며, 관련 단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여 굳이 암기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외국어가 습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림에 의한 학습
1. 눈으로 보는 기본적인 학습
사용자가 목차에서 혹은 초기 화면에서 그림 분류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화면은 상기 표 1과 같이 분류표가 나타난다.
사용자가 다시 분류표에 커서를 이동시켜 클릭하면 첨부된 도 2와 같이 그림과 함께 영어 단어 혹은 한국어 혹은 다른 외국어가 그림의 하단, 상단 혹은 좌우 측에 표시되어 클릭과 동시에 단어가 발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고 듣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인 실 예로 첨부된 도 4a가 있다.
그룹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그림과 함께 "medicine"을 클릭하며, 이 단어의 의미인 의학과 관련된 여러 개의 그림이 표시된다.
이중 사용자가 "hospital"를 클릭하면 그림이 확대되고, 이와 관련된 단어와 그림이 함께 표시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클릭하여 발음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외국어를 처음 배우는 어린이들에게 매우 유익한 학습 방법이다.
2. 2차 학습
첨부된 도 4b는 상기한 그림 학습 방법에서 한층 진보된 것이다.
그림에서 대분류-소분류를 클릭하며 발음을 듣고, 눈으로 보며 학습하는 방법은 동일하지만, 그림 하단에 혹은 그림 상단 및 좌, 우측단에 적어도 2개의 외국어가 표시되고, 각 각을 누르면 발음을 듣고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을 살펴보면, 언어 선택 항목에서 2개가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좌측 항목은 영어로, 우측 항목은 중국어가 선택된 것이다. 물론 이 선택은 언제라도 사용자에 의해 다른 언어로 재선택될 수 있다.
그림 변화의 확대 축소에 따른 학습
본 발명은 고정된 화면 보다는 그림을 확대 혹은 축소하며 사용자가 싫증을 내지 않고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방법이다.
물론 이 역시 대분류와 소분류로 분리되고,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여 눈에 익히기 쉽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인 것이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 6은 대분류에서 "인체"를 클릭하면, 화면 좌측에 사람의 인체가 띄워지고, 이 인체의 일부를 클릭하면 다시 우측으로 클릭한 부위가 확대된 상태로 동시에 띄워진다.
또한, 대분류 그림과 소분류 사이에는 도면과 같이 영어 혹은 한국어 혹은 선택된 언어(화면 상단의 언어 선택 항목)가 동시에 띄워지며, 사용자는 이를 클릭하여 발음을 듣는다.
여기서 첨부된 도 6의 일 예는 사용자가 대분류의 그림에서 배꼽 부위를 클릭한 경우로, 그 그림과 배꼽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umbilicus"가 띄워져 있는 것이다. 또 하단의 예는 폐, 허파를 클릭했을 때 영어 단어 "lung"와 그에 해당하는 그림이 표시된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는 대분류와 소분류를 한눈에 보며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어 클릭에 따라 그림이 띄워지는 학습 방법
도 7의 실시 예는 상기한 도 6의 실시 예와는 반대의 개념이다.
즉, 우측 화면에 띄워진 단어를 클릭하면 이와 연관된 그림이 띄워지고, 띄워진 그림에 커서가 깜빡거려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단어는 대그룹과 소그룹으로 나뉘어 선택되고 아울러 스펠링의 순서 혹은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된 모든 단어가 띄워질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그림을 통해 어느 정도 단어를 익힌 다음에 보다 확실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단어 및 그림을 이동시키며 복습하는 방법
이 방법은 이미 알고 있거나 혹은 그림 및 단어 클릭을 통해 눈으로 익힌 다음 단어를 좌측 혹은 우측 화면으로 이동시키며 복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 8a는 영어 단어 혹은 일본어, 중국어 단어를 이동시키며 반복적으로 익혀 습득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선택된 언어를 마우스 혹은 키보드로 클릭하여 발음을 듣고 습득하되, 어느 정도 습득되며 이 단어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중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단어 클릭 시 그림이 함께 띄워질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수많은 단어 중 이미 알고 있는 혹은 암기한 단어를 이동시킴으로써, 잔여의 단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고, 이동된 단어를 다시 클릭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복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 8b는 그림과 단어를 동시에 이동시키며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11도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어 혹은 그림 클릭과 동시에 문장과 그와 관련된 그림이 띄워진 방법에 의한 학습
단어와 그림 그리고 발음을 듣고 영어 혹은 다른 외국어가 익숙해 지면, 사용자는 단어를 지정하여 그와 관련된 그림과, 발음 듣기, 관련 단어 보기 및 문장을 동시에 띄워 공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9는 이러한 학습 방법의 일 예로, 분류표에서 하나의 단어를 선택하면, 그 하부에 그와 관련된 그림이 띄워진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 9와 같이 분류표에서 "bank"를 클릭하면, 하부에 "bank"와 관련된 뜻을 가진 그림이 띄워진다.
그림은 "bank"의 의미인 은행과, 제방 둑과 관련된 2개의 그림이 띄워져 사용자로 하여금 "bank"의 의미가 은행은 물론 제방, 둑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그림 다음으로, 관련된 단어 및 문장이 띄워지는데, 예를 들면 은행과 관련된 단어 즉, "a credit bank", "대출 은행" - "a commercial bank", "시중 은행"이라는 단어와 함께 마지막에는 은행과 관련된 문장이 띄워지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단어에 대한 의미와 관련 단어, 관련 문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게임에 의한 학습 방법
첨부된 도 10은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습득하도록 한 것이다.
게임 방식은 화면에 띄워진 영상 혹은 그림 혹은 단어를 정해진 시간 이내에 발음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사자"의 동영상 혹은 그림이 띄워지면 사용자는 띄워진 그림 및 동영상을 발음하여 이 발음이 CUP에 내장된 음성인식장치에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다음 그림 및 동영상이 띄워지도록 하고, 이전 동영상 및 그림은 좌측으로 순차 이동하도록 한다.
물론 띄워지는 동영상 및 그림의 개수와 정답 유, 무를 판단하여 점수를 매기고, 점수가 미달이면 다시 반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틀린 문제의 정답은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동영상 혹은 그림 상, 하단 혹은 좌, 우측단에 띄워지는 단어 및 문장을 클릭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문장을 기준으로 하는 학습 방법
첨부된 도 11은 문장을 통한 학습 방법이다.
문장은 단어 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띄워지며,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입력한 경우, 이 단어를 중심으로 단어 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띄워진다.
사용자가 문장을 클릭하면, 지정된 언어(화면 상단의 언어 선택 항목에서 지정된 언어)가 띄워짐과 동시에 이와 관련된 그림이 동시에 띄워진다.
물론 문장을 읽고, 이 문장을 화면 좌측으로 이동시켜 이미 익힌 문장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반대로 이를 다시 클릭하여 복습하며 우측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문장이 띄워지는 순서는 단어 수에 의한 것이지만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기적으로 띄워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학습 방법을 설명하였다.
물론 이러한 방법은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에 따라 순서 없이 진행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학습 방법은 체계적이고, 세분화되며, 모든 단어가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그림과 함께 듣고 보며 눈으로 익히고, 말을 반복하며 자연스럽게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러한 다음 문장이나 관련 회화를 학습하도록 하는 체계적인 학습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언어 선택 영역을 표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의 그림에 따른 분류를 나타낸 도면,
도 3a, 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의 단어에 따른 분류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의 목차에 따른 분류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b는 본 발명의 학습 방법 중 그림을 클릭했을 때 음이 출력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 중 그림의 특정 부위를 클릭했을 때 이 부위가 확대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 중 단어를 클릭하면 이와 동일 그림이 커서가 위치하도록 하는 예시도,
도 8a, b는 암기한 혹은 적어도 한번 이상 암기 또는 읽어본 단어, 그림, 문장을 이동시켜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 중 단어를 클릭하면 그 하단으로 그림과 해석 그리고, 그에 맞는 문장이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으로 그림 혹은 영상이 학습 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교체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방법으로, 한글 문장을 클릭하면 이에 맞는 예시와 이와 연관된 그림 혹은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만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의 예시도.

Claims (14)

  1. 인터넷을 이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저장 방법에 있어서,
    그림과 단어를 테마별로 분류하여 카테고리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해당 카테고리를 누르면 해당 카테고리의 전체 그림과 단어가 화면에 띄워지도록 하며,
    화면 상단에 언어 선택 항목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언어를 바꾸면 그림항목의 카테고리일 경우 그림은 그대로 있고 단어가 해당 언어로 일괄적으로 변경되고 단어분류 카테고리일 경우 해당 카테고리의 단어가 지정한 다른 언어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와 그림의 저장 방법.
  2. 웹 서버를 이용한 외국어 단어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품사에 의해 분류된 단어 그룹과, 유사한 발음·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 그룹과, 2개 이상의 의미를 갖는 단어 그룹과, 앞글 자가 같은 단어 그룹과, 마지막 글자가 같은 단어 그룹과, 반의어 단어 그룹과, 단수 및 복수의 단어 그룹과, 접두사 접미사로 분류된 그룹 각각을 분류하여 분류표 형식으로 구성하여 저장하고,
    다시, 상기 단어와 그림을 일정한 테마로 묶어 대분류로 나누고, 이 대분류를 세분화한 소분류로 저장하되, 그림과 단어가 연결되어 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단어와 그림 저장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각 그룹은 사용자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분류표 형식으로 저장되도록 하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혹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스펠링 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단어 저장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는 그림의 상, 하단 혹은 좌, 우측단에 띄워지도록 하되, 각 그림과 단어는 대분류와 소분류로 분류되고, 대분류는 1. 대명사, 2. 인체, 3. 친척, 관계, 4. 음식, 5. 복장, 6. 색상, 7. 생사, 8. 용모, 9. 건강·의료, 10. 숫자, 11. 시기, 12. 관계, 13. 일상, 14. 언어, 15. 기후, 16. 행사, 17. 신체행위, 18. 이동, 19. 운송, 20. 건물, 21. 건축, 22. 위치, 23. 물건, 24. 형상, 25. 운동, 26. 여가, 27. 문예, 28. 동물, 29. 해양, 30. 조류, 31. 곤충, 32. 식물, 33. 우주, 34. 자연, 35. 소리, 36. 지역, 37. 사회, 38. 법률, 39. 국제, 40. 교육, 41. 기업, 42. 직업, 43. 호칭, 44. 직위, 45. 상업, 46. 공업, 47. 농업, 48. 군사, 49. 종교, 50. 감각, 51. 감정 1, 52. 감정 2, 53. 감정 3, 54. 도덕, 55. 태도 1, 56. 태도 2, 57. 태도 3, 58. 성격, 59. 문서, 60. 문법, 61. 특성, 62. 구분, 63. 가부, 64. 강약, 65. 결정·미정, 66. 결합·분리, 67. 비밀·공개, 68. 공격·방어, 69. 관리, 70. 기본, 71. 능력, 72. 단순·복잡, 73. 단위, 74. 명예, 75. 명확, 76. 변화, 77. 부분, 78. 재산, 79. 사건, 80. 성패, 81. 시작, 82. 안전, 83. 우열, 84. 운영, 85. 유무, 86. 적합, 87. 중요, 88. 증감, 89. 청결, 90. 취득, 91. 한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단어 저장 방법.
  5. 웹서버와 연결된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림 혹은 단어를 클릭하여 단어와 그림을 보며 발음을 듣고 눈에 익히는 단계;
    대분류의 그림을 클릭하면 클릭한 부위가 확대되고, 이 확대된 그림을 다시 클릭하여 발음을 들으며 눈에 익히는 단계;
    상기 단어와 그림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복습하는 단계;
    분류된 단어 혹은 그림을 클릭하면 그 하부에 의미가 같은 그림 혹은 단어가 띄워지고, 다시 그 하부에 관련된 단어와 문장이 띄워져 관련된 단어 및 문장을 습득하는 단계;
    화면에 띄워진 그림 혹은 동영상을 정해진 시간 안에 발음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화면의 상단에 띄워지는 언어 선택 항목을 선택하여 언어를 설정하도록 하되, 좌우 양측에 띄워지는 창의 각 항목을 지정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언어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단계는 화면에 띄워진 영상 혹은 그림을 정해진 시간에 적어도 1회 이상 발음하며 다음 동영상 및 그림이 띄워지도록 하되, 기준 점수에 미달이면 반복하여 영상 및 그림이 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단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8. 품사에 의해 분류된 단어 그룹과, 유사한 발음·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 그룹과, 2개 이상의 의미를 갖는 단어 그룹과, 앞글자가 같은 단어 그룹과, 마지막 글자가 같은 단어 그룹과, 반의어 단어 그룹과, 단수 및 복수의 단어 그룹과, 접두사 접미사로 분류된 그룹 각각을 분류하여 분류표 형식으로 저장 입력하는 단계;
    상기 각 단어와 그림이 연결하는 단계;
    로그인 후 초기 화면의 상부에 띄워진 언어 선택 항목을 커서로 이동하여 언어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그림 혹은 단어를 클릭하여 단어와 그림을 동시에 보며 발음을 듣고 익히는 단계;
    대분류의 그림을 클릭하면 클릭 부위가 확대되고, 이 확대된 그림과 대분류 그림 사이에 적어도 1개의 단어가 띄워져 이를 클릭하여 발음을 들으며 단어를 익히는 단계;
    알고 있거나 눈에 익힌 단어를 화면 좌측으로 이동시켜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다시 좌측 화면에 이동한 단어 및 그림을 클릭하며 우측으로 이동시켜 복습하는 단계;
    분류된 단어 혹은 그림을 클릭하면 그 하부에 의미가 같은 그림 혹은 단어가 띄워지고, 다시 그 하부에 클릭한 단어와 관련된 단어와 문장이 띄워져 클릭 단어와 관련한 모든 단어 및 문장을 한눈에 보며 습득하는 단계;
    화면에 띄워진 그림 혹은 동영상을 정해진 시간 안에 발음하면 다음 동영상 및 그림이 띄워지고, 틀린 문제는 다시 띄워져 복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와 그림의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9. 인터넷을 이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테마별로 분류된 그림을 클릭하며 화면에 띄워 학습하되,
    그림 밑에 있는 단어를 클릭하면 발음을 들을 수 있고,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다른 언어를 지정하여 전환하면 그림은 그대로 있고, 단어가 다른 언어로 전환되어 2개국 이상의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10. 인터넷을 이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계 모든 언어가 테마별로 분류되어 있고,
    테마별로 분류된 언어 중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클릭하면 화면에 띄워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이때 그 단어의 해석과 그 단어에 해당하는 그림 및 관련된 문장이 동시에 띄워져 한눈에 이들을 보며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다른 언어를 지정하여 전환하면, 그림은 그대로 있고, 단어와, 문장이 지정된 언어로 전환되어 다른 언어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11. 테마별로 분류된 그림을 클릭하면 해당 그림이 화면이 띄워지고,
    사용자가 상기 그림 중 학습하고자 하는 부위를 클릭하면, 클릭한 부위가 확대되고,
    그림 밑에 있는 단어를 누르면 확대된 그림을 보면서 발음을 들을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다른 언어를 지정하여 전환하면 그림은 그대로 있고, 단어가 전환되어 다른 언어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12. 만화를 이용한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띄워진 만화를 보면서 학습하되, 만화 밑에 있는 외국어와, 해석을 보며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외국어를 클릭하면 발음도 들을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가 외국어를 변경하면 세계 모든 언어로 만화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언어가 전환되어 다른 언어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13. 화면에 띄워진 그림과 단어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인 경우, 사용자는 이 그림과 단어 또는 문장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다시 사용자가 이를 클릭하면 원래의 자리로 복귀하며 복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사용자가 다른 언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 언어를 지정하여 바꿔가며 학습하도록 하되, 이때 그림은 그대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14. 동영상을 이용한 인터넷 학습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을 띄워 외국어를 학습하되,
    시간을 정해 사용자가 동영상과 관련된 단어 및 문장을 발음하도록 하고,
    발음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 동영상은 좌측으로 이동하며 새로운 동영상이 띄워져 게임을 즐기면서 빠른 속도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사용자가 다른 언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 언어를 지정하여 바꿔가며 학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KR1020080076289A 2008-08-05 2008-08-05 단어와 그림의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KR20100016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289A KR20100016704A (ko) 2008-08-05 2008-08-05 단어와 그림의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PCT/KR2009/004351 WO2010016715A2 (ko) 2008-08-05 2009-08-04 단어와 그림의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289A KR20100016704A (ko) 2008-08-05 2008-08-05 단어와 그림의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704A true KR20100016704A (ko) 2010-02-16

Family

ID=4166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289A KR20100016704A (ko) 2008-08-05 2008-08-05 단어와 그림의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16704A (ko)
WO (1) WO2010016715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665A2 (ko) * 2010-04-16 2011-10-20 브레인보카주식회사 동영상을 이용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4055937A1 (en) * 2012-10-04 2014-04-10 Ledon Horacio Reading system
KR101416242B1 (ko) * 2011-10-21 2014-07-08 김성기 대표 단어를 바탕으로 한 유추 방법을 통한 어학 학습 방법
WO2015099464A1 (ko) * 2013-12-26 2015-07-02 강진호 3차원 멀티미디어 활용 발음 학습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발음 학습 지원 방법
KR20150082961A (ko) * 2014-01-08 2015-07-16 김성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어휘 학습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6581B (zh) * 2016-07-11 2017-08-21 范珮瑄 句子圖像化輔助多國語言學習的系統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399A (ko) * 2000-10-17 2002-04-25 조승진 만화를 통한 다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72418A (ko) * 2001-03-09 2002-09-16 윤명석 데이터 통신망을 통한 내용영역 학습방식의 인터렉티브영어 학습시스템 및 그 영어 학습방법
KR100505346B1 (ko) * 2002-12-28 2005-08-03 장석 플래쉬 기법을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KR100767575B1 (ko) * 2005-12-23 2007-10-17 원종민 단어의 구성 철자에 부여된 이미지 캐릭터의 연상에 따라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그기록 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665A2 (ko) * 2010-04-16 2011-10-20 브레인보카주식회사 동영상을 이용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1129665A3 (ko) * 2010-04-16 2012-03-08 브레인보카주식회사 동영상을 이용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6242B1 (ko) * 2011-10-21 2014-07-08 김성기 대표 단어를 바탕으로 한 유추 방법을 통한 어학 학습 방법
WO2014055937A1 (en) * 2012-10-04 2014-04-10 Ledon Horacio Reading system
WO2015099464A1 (ko) * 2013-12-26 2015-07-02 강진호 3차원 멀티미디어 활용 발음 학습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발음 학습 지원 방법
KR20150082961A (ko) * 2014-01-08 2015-07-16 김성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어휘 학습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6715A2 (ko) 2010-02-11
WO2010016715A3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ke Language in relation to a unified theory of the structure of human behavior
Wierzbicka Experience, evidence, and sense: The hidden cultural legacy of English
Cairo The Functional Art: An introduction to information graphics and visualization
Fontenelle Practical lexicography: a reader
Seidenberg Kabbalah and Ecology
Yanez-Prieto On literature and the secret art of (im) possible worlds: Teaching literature-through-language
KR20100016704A (ko) 단어와 그림의 저장 방법 및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인터넷 외국어 학습 방법
Metro-Roland Hip hop hermeneutic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 theory of cross-cultural understanding
McCallum Thinking through Queer Narrative Forms with Ben Marcus and Renee Gladman
Priem Seeing, hearing,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things: on silences, senses and emotions during the “zero hour” in Germany
Denroche Metaphor, metonymy, language learning and translation
Wright Ideologies and methodologies in language and literacy instruction in postcolonial Eritrea
Chapman The Rhetoric and Ritual of Celestial Signs in Early Imperial China
Aldhawiyah An Error Analysis of the Use of English Articles in Descriptive Text
Liang Localising People's Theatre in East Asia: performing Hakka women and pear-growers on Taiwan's fault line
Lestari CORRELATIONAL STUDY BETWEEN STUDENTS’HABIT OF LISTENING ENGLISH SONGS AND THEIR VOCABULARY MASTERY
Dapia The metaphor of translation: Borges and Mauthner's critique of language
McCarroll The Liberation of the Feminine: Embodying Kuṇḍalinī
Rahmani English for Specific Language ESP
Galloway et al. Through A Classical Eye: Transcultural & Transhistorical Visions in Medieval English, Italian, and Latin Literature in Honour of Winthrop Wetherbee
Güleryüz Adamhasan Teaching and learning phrasal verbs through conceptual metaphors
SETYAWATI et al. AN ANALYSIS OF GRAMMATICAL ERROR IN ACADEMIC WRITING BY THE THIRD SEMESTER STUDENTS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OF UIN RADEN MAS SAID SURAKARTA IN ACADEMIC YEAR 2022/2023
Ma The relation between the writing system and the use of metaphor in English and Chinese
Frehner James Joyce in Kakanien (1904-1915). Mit Erzähl-Theoretischen Analysen Des" Ulysses" Im Anhang by Franz Karl Stanzel
Tanemura A Multigeneration Study of Japanese American Heritage Language Learners of Japane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