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294A -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 - Google Patents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294A
KR20100014294A KR1020097013688A KR20097013688A KR20100014294A KR 20100014294 A KR20100014294 A KR 20100014294A KR 1020097013688 A KR1020097013688 A KR 1020097013688A KR 20097013688 A KR20097013688 A KR 20097013688A KR 20100014294 A KR20100014294 A KR 20100014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filtering device
cleaning fluid
split r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난 벤-호린
Original Assignee
아르칼 필트레이션 시스템즈 씨.에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칼 필트레이션 시스템즈 씨.에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르칼 필트레이션 시스템즈 씨.에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1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7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44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 B01D29/46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of flat, stacked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특히 직경이 큰 파이프용 역류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12)은 입구(14), 출구(20) 그리고 분할 링(80a, 80b)에 의해 세개의 그룹(D1, D2, D3)으로 분할되는 적층 필터링 디스크를 가지고 있다. 세정 단계에서, 필터링 디스크가 서로 분리될 때, 각각의 그룹의 디스크가 분할 링중의 하나 위에 지지되므로 디스크의 자중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유체 필터링 장치, 디스크, 분할 링, 피스톤, 로드, 와이어, 스토퍼

Description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REVERSE-FLOW SELF-RINSING FLUID FILTERS}
본 발명은 유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농업 용수 관개 설비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과 같은 역류 자체 세정 또는 분출 타입의 디스크 필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1999년 6월 24일 공개된 국제공개공보 WO 99/30796에 개시된 종류의 필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종류의 전형적인 디스크 필터의 효율은 필터 디스크 직경의 증가와 필터 디스크 수의 증가 특히 필터가 수직으로 위치되는 경우에, 즉 필터 유닛의 전체적인 축선방향 길이의 증가의 함수로서 악화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a 및 1b는 이러한 영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필터링 단계에서 디스크(D)는 고정 지지부(S)에 대하여 피스톤(P)을 가압하는 스프링의 힘으로 조밀하게 압축된 적층 디스크를 형성하며, 세정이 필요할 경우에 피스톤(P)은 이완되고 상승하여 디스크가 서로 분리되어 세정수가 디스크 사이로 유동하도록 갭의 형성을 허용한다.
그러나, 축적되는 자중 때문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디스크의 바닥에 가까이 위치된 디스크는 간격을 벌리는데 방해를 받는다. 따라서, 세정의 효 율은 적층 디스크 바닥의 고정 지지부(S)로부터 임의의 디스크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고정 지지부가 상부에 배치되고 이동가능한 피스톤이 바닥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도 7 및 8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종래의 필터링 장치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의 자중에 의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상쇄하기 위하여 자중 인자에 대한 제어를 획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류 유동 세정 단계에서 작동하는 동안, 다수의 디스크를 몇개의 그룹으로 분할하므로써 각각의 그룹이 이웃한 그룹의 디스크 무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필터링할 유체를 위한 입구 및 필터링한 유체를 위한 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입구와 출구 사이의 유체의 경로에 위치된 다수의 필터링 디스크, 필터링 단계 동안에 적층 디스크에 압축력을 가하기 위한 수단, 유체가 출구로부터 인접한 디스크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하여 유동하는 세정 단계 동안에 디스크를 서로 멀어지게 변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축력을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유체 필터링 장치가 제공되며, 적층 디스크를 그룹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이 소정 개수의 디스크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세정 단계에서 각각의 디스크 그룹이 상기 분할 수단중의 하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크 이완 방향으로 피스톤의 이동이 우선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된 분할 링보다 피스톤에 가까이 있는 분할 링에 전달되고 그 다음에 나머지 분할 링에 대하여 전달되도록 분할 수단은 단계적인 이격 수단을 통해 피스톤에 연결된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의 특징 및 장점과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된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과 더불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는 필터링 단계 동안에 조밀하게 압축된 적층 디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b 는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역류 단계 동안에 디스크의 불규칙한 분포 현상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필터링 단계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장치의 부분적으로 단면을 도시한 3차원 도면;
도 3a 는 도 2의 필터링 장치의 축선방향의 단면도;
도 3b 는 도 3a의 Ⅲ -Ⅲ 라인을 따라 취한 반경방향의 단면도;
도 4 는 역류 단계 동안에 도 3의 필터의 단면도;
도 5 는 필터링 단계 동안에 본 발명의 변경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장치의 단면도;
도 6 은 역류 단계 동안에 도 5의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필터링 단계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 은 역류 단계에서 도 7의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필터링 단계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10 은 역류 단계에서 도 9의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11 은 필터링 단계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및
도 12 는 역류 단계에서 도 11의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4에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나타낸 필터링 장치는 입구 섹션(14)을 구비한 메인 하우징 섹션(12)을 포함하고 있다. 메인 하우징 섹션(12)으로 들어오는 유체(주로, 물)의 유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차단하고 메인 하우징 섹션(12)을 세정수 출구(18)와 연통시기기 위하여 회전식 양방향 밸브(16)가 설치된다(도 4 참조).
출구 하우징 섹션(20)이 메인 하우징 섹션(12)에 장착되어, 필터링한 물을 위한 출구(22) 뿐만 아니라 역류 세정수를 위한 입구를 형성한다(도 4).
하우징 섹션(12, 22)은 분할 벽(24)에 의해서 분리된다.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26으로 나타낸 메인 필터 장치 구조가 플랜지(28)에 의해 분할 벽(24)에 장착된다. 메인 필터 장치 구조는 적층 필터 디스크(D)가 둘레에 지지되는 세개(또는 세개 이상)의 노즐식 튜브(30)로 형성된 케이지를 포함하고 있다. 역류 단계에서 세정수는 튜브(30)를 통하여 공급된다. 따라서, 튜브는 바닥에서 개방되어 있고 상부측에서 폐쇄되어 있다.
필터링 장치의 바람직한 두가지 작동 단계에 따라 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단일 방향의 밸브 조립체가 구비된다.
이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원뿔형의 천공된 컵(40)을 포함하고 있다. 컵의 안쪽에 끼워맞춤되는 가요성 라이닝 슬리브(42)(예를 들면, 고무로 만들어짐)가 그 안에 위치되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컵(40) 안에 슬리브를 부착시키고 디스크 압축 피스톤 조립체를 변위시키기 위해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중공의 니플 형태의 연장부(44)가 구비된다(도 4의 유동 경로 참조).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견고함을 위해서)의 중공형 로드(46)가 컵(40)의 상부로부터 스프링 하우징 부재(50)로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구성요소(30, 40, 46, 50, 64)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중요한 장점으로 간주된다.
플랜지 캡(52)이 스프링 하우징 부재(50) 위에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코일 스프링(54)은 피스톤 캐리어(56)의 쇼울더(56a)와 캡(52) 사이에서 압축된다.
피스톤 또는 플런저(60)는 예를 들면 리테이너 링(62)에 의해서 연장 로드(56b)에 부착되고 실린더(64)에 의해 둘러싸인다. 로드(56b)는 예를 들면 스크루(72)에 의해서 벨 형상의 디스크 압축 캡(70)에 연결된다. 캡(70)의 림(70a)이 적층 디스크 위에 끼워져서 플랜지(28)로 구성된 고정 지지부에 대하여 디스크를 누른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세부적인 내용이 본 발명의 적용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비록 본 명세서에서 추천되고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필터 장치의 기술 분야에 원래 알려져 있는 다른 설계 특징이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개별적인 디스크 사이에 끼워져 적층 디스크를 대체로 동일한 디스크 수의 세개의 그룹(D1, D2, D3)으로 분할하는 분할 링(80a, 80b)을 구비하는 것에 있다.
일련의 디스크 이격 로드(82)(예시된 실시예에서 세개)가 구비되어 플랜지(70a)로부터 적층 디스크와 평행하게 디스크 안에(또는 밖에) 뻗어 있다. 로드(82)는 분할 링(80a, 80b) 둘레에 수직 정렬을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 이어를 통하여 자유롭게 뻗어 있다. 스토퍼(84a, 84b)가 디스크 이격 로드(82)에 부착되어 있다. 분할 링(80a)과 관련된 스토퍼(84a)는 분할 링(80a) 아래 소정의 제 1 거리에 배치된다. 분할 링(80b)과 관련된 스토퍼(84b)는 분할 링(80b) 아래 더욱 멀리 떨어진 제 2 거리에 배치된다.
필터링 장치(10)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정상적인 필터링 단계에서, 물(또는 다른 유체)은 입구(14)를 통하여 필터링 장치(10)로 들어가고 적층 디스크(D)를 통과하도록 강요된다. 디스크는 캡(70)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54)의 힘하에서 압축 상태에 있다(이 단계에서 분할 링(80a, 80b)에 의해서 세개의 그룹(D1, D2, D3)으로 디스크를 분할한 것은 어떠한 효과도 갖지 않는다).
필터링된 물은 컵(40)의 개구를 통하여 유동하고, 한편 고무 슬리브(42)는 안쪽으로 수축하며 이와 같은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세정 사이클이 개시되어야 한다고 일단 결정되면(자동 측정 또는 타이머에 의해서), 유동 방향은 반대로 된다. 즉, 유동 방향은 출구(22)로부터 밸브(16)를 폐쇄함으로써 차단되는 입구(14)의 방향으로 반대로 된다(도 4 참조).
고무 슬리브(42)는 유입되는 물의 압력하에서 즉시 팽창하고 원뿔형 컵(40)의 개구를 폐쇄한다. 따라서, 물은 튜브(30)로 들어가게 되고 필터링 디스크에 대항하여 노즐을 통하여 반경방향으로 분출한다.
동시에, 물은 로드(46)를 통하여 피스톤 캐리어 아래의 공간으로 그리고 수압하에서 상승하기 시작하는 피스톤(60) 아래의 공간으로 또한 보내진다. 이러한 상승 이동은 플랜지(70a)를 구비한 캡(70)에 전달되고, 따라서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완시키고 효과적인 분출 효과를 위해 요구되는 디스크의 간격 벌림을 촉진한다.
세개의 그룹(D1, D2, D3)으로 디스크를 분할하는 것은 점차적으로 달성된다. 먼저, 분할 링(80a)이 스토퍼 요소(84a)에 의해서 상승되고, 다음에 링(80b)과 스토퍼(84b) 사이에 남겨진 최초 거리(이 최초 거리는 분할 링(80a)과 스터퍼(84a) 사이의 최초 거리보다 필수적으로 더욱 크다)에 의존하여 링(80b)만이 상승하게 된다.
각각의 디스크 그룹(이 실시예에서는 전체 디스크 수의 대략 1/3에 해당)은 세정 목적을 위한 디스크의 간격 벌림에 대하여 의존하지 않으며 따라서 축적되는 자중의 영향이 효과적으로 감소(대략적으로 그룹(D3)에 대하여 2/3 그리고 그룹(D2)에 대하여 1/3)된다.
세정수는 출구(18)를 통하여 시스템의 밖으로 배출된다. 세정 단계의 종료시에, 물 유동 방향을 다시 반대로 함으로써 도 3a에 도시된 작동 단계가 재개된다.
이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대한 몇가지 변경 및 개량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사용한 것과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필터링 조립체(126)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며 이격 로드(82a, 83b)가 분할 링(180a, 180b)에 묶여 있는, 디스크 그룹(D1, D2)의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분리를 위해 요구되는 상이한 길이로 되어 있는, 와이어(182a, 182b)로 각각 대체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구조 및 작동 모드의 나머지 세부적인 내용은 실질적으로 바뀌지 않았으므로 추가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
도 7 및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도 3 및 4에 도시된 것의 뒤집힌 형태, 즉 피스톤 조립체가 필터링 장치 유닛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경우에 디스크의 중력은 반대로 작용한다. 즉, 적층 디스크가 피스톤 캡(270)의 플랜지(270a)에 놓여 있다. 따라서, 이격 로드(282)는 필터 조립체의 출구 쪽에서 플레이트(224)에 부착되어 있다.
로드(282)는 적층 디스크의 외부에 뻗어 있는데, 이러한 설계 변경은 앞서 설명한 어떠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개량된 이격 로드 및 모드 변경이 발생할 때 로드를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과 관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일방향 밸브처럼 기능하는 가요성 슬리브(42)(도 1 참조)가 아니라, 컵(340)의 안쪽에 끼워지는 원뿔형 솔리드 밸브 보디(342)가 사용된다. 밸브 보디(344)는 가이드 튜브(390) 상에서 자유롭게 왕복이동 가능하다. 밸브 보디(342)에 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스토퍼(384a, 384b)를 구비한 이격 로드(382)이다. 필터링 모드(도 9)로부터 세정 모드(도 10)로의 변환은 다음과 같이 일어난다. 필터링 단계에서, 물은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컵(344)의 개구를 통하여 출구로 유동할 수 있다. 적층 디스크는 압축 상태에 있다.
유동 방향이 반대로 될 때(도 10), 분출하는 물의 충격 및 압력은 밸브 보디(344)의 폐쇄 뿐만 아니라 피스톤(360) 및 캡(370)의 상승을 야기한다.
밸브 보디(344)의 이러한 이동은 먼저 분할 링(380a) 아래의 스토퍼(384a) 및 제 1 그룹의 디스크(D1)의 들어올림을 야기하고, 다음에 밸브 보디(344)의 추가적인 이동은 제 2 그룹의 디스크(D2)의 들어올림을 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컵(342)의 개구는 폐쇄되어 완전히 반대로 유동하는 세정 사이클이 일어난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밸브 보디(442)의 폐쇄가 피스톤 캡(470)에 연결되어 더욱 향상된 점(그리고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음)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상이하다. 따라서, 이격 로드(482)는 도 10에 도시된 것에 비하여 더욱 확장되어 있고 컵(470)에 확실하게 연결되어 있다. 반대로 유동하는 세정 단계(도 12)가 개시될 때, 밸브 보디(442) 및 피스톤(460)에 작용하는 수압의 조합된 힘이 가해지고 밸브의 안전한 폐쇄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가 예를 들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내에서 또 다른 실시예가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변경 및 개조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로서,
    필터링할 유체를 위한 입구 및 필터링한 유체를 위한 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입구와 출구 사이에 유체의 경로에 위치된 다수의 필터링 디스크;
    필터링 단계 동안에 고정 지지부에 대해서 적층 디스크에 압축력을 가하기 위한 수단; 및
    유체가 출구로부터 인접한 디스크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하여 유동하는 세정 단계 동안에 디스크를 고정 지지부로부터 멀어지고 또한 디스크를 서로 멀어지게 변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축력을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적층 디스크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이 소정 개수의 디스크 사이에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세정 단계에서 각각의 그룹은 상기 분할 수단중의 하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압축력을 가하는 수단은 고정 지지부의 반대측 적층 디스크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고정 지지부의 방향으로 피스톤을 가압하기 위해 구비되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피스톤은 고정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 디스크에 구비 되는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캡 부재를 통하여 적층 디스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피스톤의 이동이 고정 지지부로부터 덜 멀리 떨어져 배치된 분할 링보다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분할 링에 먼저 전달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그 다음 나머지 분할 링에 대하여 전달되도록 순차적인 이격 수단에 연결된 일련의 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순차적인 이격 수단은 피스톤 캡에 고정되고 적층 디스크를 따라 뻗어 있는 일련의 로드를 포함하고 있고, 로드에는 분할 링과 단계적으로 결합하고 피스톤의 이동과 동조하여 이동하는 스토퍼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로드는 적층 디스크의 내부 표면을 따라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로드는 적층 디스크의 외부 표면을 따라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순차적인 이격 수단은 피스톤 캡에 고정되고 적층 디스크를 따라 뻗어 있는 일련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있고, 와이어에는 분할 링과 단계적으로 결합하고 피스톤의 이동과 동조하여 이동하는 스토퍼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와이어는 적층 디스크의 내부 표면을 따라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와이어는 적층 디스크의 외부 표면을 따라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피스톤의 이동이 피스톤 캡 부재 덜 멀리 떨어져 배치된 분할 링보다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분할 링에 먼저 전달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그 다음 나머지 분할 링에 대하여 전달되도록 순차적인 이격 수단에 연결된 일련의 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순차적인 이격 수단은 고정 지지부에 고정되고 적층 디스크를 따라 뻗어 있는 일련의 로드를 포함하고 있고, 로드에는 분할 링과 단계적으로 결합하고 피스톤의 이동과 동조하여 이동하는 스토퍼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적층 디스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노즐식 튜브;
    필터링 단계 동안에는 필터링한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며 역류 단계 동안에는 세정 유체가 노즐식 튜브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출구에 설치된 일방향 밸브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밸브는 원뿔형의 천공된 컵 부재 및 상기 출구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배치된 가요성 라이닝 슬리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밸브는 원뿔형의 천공된 컵 부재 그리고 필터링한 유체가 유동하는 개방 위치와 역류 세정 유체가 유동하는 폐쇄 위치로 컵 부재내에서 왕복이동 가능한 상보적인 원뿔형의 밸브 보디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밸브 부재의 이동이 출구로부터 덜 멀리 떨어져 배치된 분할 링보다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분할 링에 먼저 전달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그 다음 나머지 분할 링에 대하여 전달되도록 순차적인 이격 수단 에 연결된 일련의 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순차적인 이격 수단은 밸브 부재에 고정되고 적층 디스크를 따라 뻗어 있는 일련의 로드를 포함하고 있고, 로드에는 분할 링과 단계적으로 결합하는 스토퍼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로드는 적층 디스크의 내부 표면을 따라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로드는 피스톤 캡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20. 제 1 항에 기재한 것과 대체로 유사하고 첨부 도면의 도 2 내지 12를 참고하여 설명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링 장치.
KR1020097013688A 2006-12-19 2006-12-19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 KR20100014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L2006/001460 WO2008075327A1 (en) 2006-12-19 2006-12-19 Reverse-flow self-rinsing fluid fil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294A true KR20100014294A (ko) 2010-02-10

Family

ID=3834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688A KR20100014294A (ko) 2006-12-19 2006-12-19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00213109A1 (ko)
EP (1) EP2097151B1 (ko)
JP (1) JP4990371B2 (ko)
KR (1) KR20100014294A (ko)
CN (1) CN101605585B (ko)
AU (1) AU2006352169B2 (ko)
BR (1) BRPI0622164A2 (ko)
ES (1) ES2419279T3 (ko)
IL (1) IL199373A0 (ko)
MX (1) MX2009006565A (ko)
WO (1) WO2008075327A1 (ko)
ZA (1) ZA2009039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950B1 (ko) * 2012-08-01 2014-07-04 정말분 이물질 자동 제거수단이 구비된 농업용수 여과기의 피스톤식 역압 푸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0852B (zh) * 2009-07-08 2012-09-05 王克涛 一种可反清洗的过滤器
EP2625452A1 (en) 2010-10-07 2013-08-14 Amiad Filtration Systems Ltd. Fluid diverting system
DE102012203784A1 (de) * 2012-03-12 2013-09-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m einstellbaren Filter
US10456717B2 (en) * 2013-11-04 2019-10-29 Yitzhak Orlans Disc filter including disc cleaning assembly
CN103977620B (zh) * 2014-03-12 2016-01-20 大庆市慧灵石油科技有限公司 可调隙排污反洗过滤器
CN108465284B (zh) * 2018-04-24 2023-12-19 九江前发精细化工有限公司 具备反冲洗功能的水处理过滤器
CN108728338B (zh) * 2018-07-31 2024-05-17 广州穗阳生物学研究有限公司 容积可变的反向流过滤器及其应用
CN110170196A (zh) * 2019-07-04 2019-08-27 辽宁蓝海川流流体控制设备有限公司 一种滤芯结构
CN110812943B (zh) * 2019-11-06 2021-11-19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过滤结构、前置过滤器及过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22675A (en) * 1997-12-18 2001-01-28 Ar Kal Plastics Products 1973 Reverse flow spin-cleaning liquid filters
JP3462432B2 (ja) * 1999-07-30 2003-11-05 Smc株式会社 逆洗機構付フィルタ装置
JP3877503B2 (ja) * 2000-07-24 2007-02-07 株式会社クボタ 凝集反応槽
JP2002079009A (ja) * 2000-09-07 2002-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フィルター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950B1 (ko) * 2012-08-01 2014-07-04 정말분 이물질 자동 제거수단이 구비된 농업용수 여과기의 피스톤식 역압 푸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90371B2 (ja) 2012-08-01
EP2097151A1 (en) 2009-09-09
ES2419279T3 (es) 2013-08-20
AU2006352169B2 (en) 2011-08-11
JP2010513012A (ja) 2010-04-30
MX2009006565A (es) 2009-08-31
BRPI0622164A2 (pt) 2011-12-27
WO2008075327A1 (en) 2008-06-26
IL199373A0 (en) 2010-03-28
US20100213109A1 (en) 2010-08-26
WO2008075327A9 (en) 2008-08-28
EP2097151B1 (en) 2013-02-27
CN101605585B (zh) 2012-08-22
ZA200903921B (en) 2010-03-31
CN101605585A (zh) 2009-12-16
AU2006352169A1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4294A (ko) 역류 자체 세정 유체 필터
US4430232A (en) Disc filter for liquids
AU747925B2 (en) Reverse flow spin-cleaning liquid filters
JP3462432B2 (ja) 逆洗機構付フィルタ装置
WO2013111682A1 (ja) 濾過装置
US4834873A (en) Combined reverse osmosis unit and water inflow control valve f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US10525384B2 (en) Filter element and filtering apparatus
CN1016405B (zh) 流体过滤器
JP6554388B2 (ja) 濾過装置
CN104128027A (zh) 一种反冲洗叠片过滤器
CN2815468Y (zh) 一种盘片式过滤器
CN1274918C (zh) 压力冲洗装置上的阀组件
CN105036248B (zh) 一种蜂窝式纤维过滤器
JP5614717B2 (ja) バルブ
EP0076016A1 (en) Filtering apparatus
US20070029249A1 (en) Reverse flow spin-cleaning liquid filters
CN206008176U (zh) 多腔自清洗过滤器
KR101212573B1 (ko) 연속운전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세척 방법
CN208885692U (zh) 液压站粗精一体过滤器
IL171256A (en) Reverse-flow self-rinsing fluid filters
WO2015072874A1 (ru) Масляный фильтр
JPS6056524B2 (ja) 逆洗式濾過装置
RU160493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газоотводчик для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сетей
CN202700192U (zh) 盘片式自动过滤器
EP2357029B1 (en) Self cleaning filte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