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616A -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616A
KR20100013616A KR1020080075226A KR20080075226A KR20100013616A KR 20100013616 A KR20100013616 A KR 20100013616A KR 1020080075226 A KR1020080075226 A KR 1020080075226A KR 20080075226 A KR20080075226 A KR 20080075226A KR 20100013616 A KR20100013616 A KR 20100013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server
list fil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092B1 (ko
Inventor
남기선
권오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7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0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09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이면서 원활하게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컨텐츠제공서버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웹 컨텐츠를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기 저장하고, 소정의 이벤트 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리소스를 접속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와,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리소스를 저장하고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내장형 웹 서버가 상기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75226
웹 컨텐츠, 네트워크, 내장형 웹서버, 무선 통신

Description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WEB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WEB SERVIC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웹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제한된 배터리량과 상대적으로 고가인 네트워크 이용요금을 지불해야하는 제한적 자원을 고려하여, 무선통신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이면서 원활하게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컨텐츠제공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PC 환경과는 달리,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는 단말장치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E-메일 또는 홈페이지 등의 웹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고가인 네트워크 이용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또한, 일반적인 유선통신 환경과는 달리,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는 단말장치의 이동성을 위하여 제한된 배터리량을 이용하기 때문에, 단말장치가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웹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배터리량의 부족을 겪게 될 수 있다.
헌데, 종래의 일반적인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웹 서비스를 이 용하는 방식은, 단말장치가 웹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각 페이지를 갱신하기 위해 해당 웹 서버에 빈번하게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지속적으로 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사용량이 많아지게 된다.
이에, 종래의 일반적인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는, 웹 서비스 이용 시에 배터리 사용량이 늘어나 배터리량의 부족을 겪는 일이 대부분이며, 또한 네트워크 이용요금 역시 매우 고액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배터리 사용량과 비용면의 문제점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웹 컨텐츠를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기 저장하고, 소정의 이벤트 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리소스를 접속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와,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리소스를 저장하고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내장형 웹 서버가 상기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에 따르는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여,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제한적 자원을 고려하여,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이면서 원활하게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관리자와, 외부의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저장하는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와,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상기 리소스를 실행하는 내장형 웹 서버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하고,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내장형 웹 서버에서 실행되는 상기 리소스의 실행결과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및 이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이면서 원활하게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리소스를 저장하는 웹컨텐츠구동관리자와, 상기 웹 컨텐츠 구동관리자의 리소스 중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를 저장하는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와, 상기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에 가입한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와, 외부로부터 접속된 소정의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가입자 등록이 요청되면, 요청에 따른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상기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에 저장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웹 컨텐츠 구동관리자로부터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서버관리자를 포함하는 컨텐츠제공서버를 제공하여,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제한적 자원을 고려하여,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이면서 원활하게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저장하고, 소정의 이벤트 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리소스를 소정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 및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리소스를 저장하고, 상기 웹 컨텐츠 구동 시 상기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내장형 웹 서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소스는, 상기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 구동에 필요한 리소스파일정보, 웹 페이지정보, 사진정보, XHTML리소스정보,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관리자; 외부의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저장하는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상기 리소스를 실행하는 내장형 웹 서버;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하고,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내장형 웹 서버에서 실행되는 상기 리소스의 실행결과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해당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형 웹 서버는, 상기 웹 브라우저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리소스를 실행하여 실행에 따른 실행결과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하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하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시켜 상기 정보관리자에 저장하고, 상기 웹 브라우저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컨텐츠제공서버 간의 상기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의 세션을 관리하여, 상기 내장형 웹 서버로부터 소정 데이터의 외부저장이 요청되면 요청되는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 제공하여 저장을 요청하는 세션관리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장형 웹 서버는,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리소스를 실행한 상기 실행결과가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저장하도록 상기 세션관리자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버는,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리소스를 저장하는 웹컨텐츠구동관리자; 상기 웹 컨텐츠 구동관리자의 리소스 중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를 저장하는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 상기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에 가입한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 및 외부로부터 접속된 소정의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가입자 등록이 요청되면, 요청에 따른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상기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에 저장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웹 컨텐츠 구동관리자로부터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서버관리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관리자는, 상기 웹 컨텐츠 구동관리자의 상기 웹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에 저장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변경된 웹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경하여 상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에 저장하 고,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관리자는, 상기 웹 컨텐츠의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한 이력의 단말장치들이 접속된 해당 기지국의 트래픽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트래픽 상태가 제공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관리자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따른 변경된 리소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웹 컨텐츠 구동관리자로부터 요청에 따른 상기 변경된 리소스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관리자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의 리소스 실행에 따라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 및 저장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의 서비스가입자에 대응하는 리소스로서 상기 웹컨텐츠구동관리자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리소스를 저장하고,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 각각에 대응하는 각 웹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을 각각 저장하고, 소정의 이벤트 시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된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에 대응되는 상기 정보리스 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배포서버; 및 상기 배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상기 웹 컨텐츠 구동 시 상기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내장형 웹 서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배포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 각각에 대응하는 각 웹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을 각각 저장하는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 및 단말장치가 접속된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장치가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됨에 따른 서비스가입자정보 및 배포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에 대응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배포서버관리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포서버관리자는, 상기 해당 웹 컨텐츠의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한 이력의 단말장치들이 접속된 해당 기지국의 트래픽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트래픽 상태가 제공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저장한 컨텐츠제공서버가 접 속된 단말장치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하는 단계; 수신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상기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제공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른 상기 리소스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수신되는 리소스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컨텐츠 구동 시, 상기 단말장치의 내장형 웹 서버가 상기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은, 외부의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상기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리소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기 저장된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상기 리소스를 내장형 웹 서버가 실행하여, 상기 리소스의 실행결과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하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기 저장된 상기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리소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리소스를 실행한 상기 실행결과에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리소스들을 단말장치에 미리 저장하도록 하여, 단말장치가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단말장치 내에 마련된 내장형 웹 서버가 단말장치 내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웹 컨텐츠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단말장치에서 웹 서비스 이용할 때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지속적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유지해야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네트워크 상태에 종속되지 않는 웹 서비스를 단말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단말장치의 배터리량 부족 및 고액의 네트워크 이용요금을 부담하는 종래의 문제점 해결하고 웹 서비스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저장하고, 소정의 이벤트 시 정보리스트파일 및 리소스를 소정의 단말장치(예 : 100)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200)와,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리소스를 저장하고, 웹 컨텐츠 구동 시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내장형 웹 서버(2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텐츠제공서버(200)가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리소스는, 컨텐츠제공서버(200) 자신이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 구동에 필요한 리소스파일정보, 웹 페이지정보, 사진정보, XHTML리소스정보,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컨텐츠제공서버(200)는 다양한 웹 컨텐츠(예 : E-메일, 홈페이지, 쇼핑몰 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웹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제공서버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컨텐츠제공서 버(200)는 자신이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기 저장하고, 단말장치(100)가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되어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정보리스트파일 및 리소스를 소정의 단말장치(예 : 100)로 제공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리소스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웹 컨텐츠 구동이 요청되면, 단말장치(100)내의 내장형 웹 서버(20)가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게 해당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이벤트는, 단말장치(100)가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서버(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단말장치(100)를 설명하면, 단말장치(100)는 정보관리자(30),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 내장형 웹 서버(20), 웹 브라우저(10)를 포함한다.
정보관리자(30)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의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써,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리소스를 저장한다.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외부의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수신하여 정보관리자(30)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러한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소정의 웹 컨텐츠 즉 컨텐츠제공서버(200) 자신이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이 수신되면 이를 수신하여 정보관리자(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정보리스트파일에 기초하여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해당 리소스를 해당 컨텐츠제공서버(200)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정보관리자(30)에 저장한다. 이에, 단말장치(100)에는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가 저장되게 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가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하는 경우,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정보리스트파일이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에 의해 정보관리자(30)에 저장되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리소스는, 복수개의 상이한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복수개의 상이한 웹 컨텐츠 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정보관리자(30)에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하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해당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요청/수신하여 정보관리자(30)에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정보관리자(30)에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하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정보관리자(30)에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시켜 정보관리자(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시점에 웹 브라우저(10)로부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정보관리자(30)에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컨텐츠제공서버(20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 이에,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된 리소스를 정보관리자(30)에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는,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저장된 웹 컨텐츠의 리소스와 최대한 동일한 상태로 업데이트되어 유지될 수 있다.
내장형 웹 서버(2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웹 컨텐츠 구동이 요청되면, 정보관리자(30)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를 실행한다.
내장형 웹 서버(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장치(100) 내에서 웹 컨텐츠를 구동하고자 할 때, 웹 컨텐츠의 실행에 따른 웹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주동하는 서버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내장형 웹 서버(20)는, 사용자가 소정의 웹 컨텐츠 구동을 요청함에 따라 웹 브라우저(10)로부터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정보관리자(30)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를 찾아 실행한다. 이에, 내장형 웹 서버(20)는 실행에 따른 실행결과를 웹 브라우저(10)로 반환/제공한다.
여기서, 내장형 웹 서버(20)는, 정보관리자(30)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에 포함된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는 CGI(Common Gateway Interface)엔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 브라우저(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하고, 소정의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내장형 웹 서버(20)에서 실행되는 리소스의 실행결과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웹 브라우저(10)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서비스가입을 원하는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도록 요청하면, 웹 브라우저(10)는, 네트워크(1)를 통해 해당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이름, 나이, 성별 등) 및 단말장치(100)의 기기정보(단말번호, 식별정보, 데이터저장용량, 특징정보 등)를 포함하는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컨텐츠제공서버(200)로 제공하여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한다.
그리고,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서비스에 가입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이에 해당하는 웹 컨텐츠 구동을 요청하게 되면, 웹 브라우저(10)는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을 내장형 웹 서버(20)로 요청한다. 이에, 해당 웹 컨텐츠를 구동함에 따라 내장형 웹 서버(20)로부터 반환되는 실행결과를 수신하여, 웹 브라우저(10)는 실행결과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단말장치(100)에 따르면, 서비스가입자로서 컨텐츠제공서버(200)에 등록하여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구동할 수 있는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최신 업데이트된 상태로 기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을 요청하면,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내장형 웹 서버(20)가 단말장치(100) 내에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실행결과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웹 브라우저(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와 컨텐츠제공서버(200) 간의 웹 컨텐츠에 따른 해당 웹 서비스의 세션을 관리하여, 내장형 웹 서버(20)로부터 소정 데이터의 외부저장이 요청되면 요청되는 데이터를 컨텐츠제공서버(200)로 제공하여 저장을 요청하는 세션관리자(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장형 웹 서버(20)는, 구동이 요청된 웹 컨텐츠의 리소스를 실행한 실행결과가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해당 웹 컨텐츠의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저장하도록 세션관리자(50)로 요청한다. 여기서, 추가로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은, 단말장치(100)에서 내장형 웹 서버(20)에 의해 웹 컨텐츠가 구동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가 생성되거나 또는 기존의 데이터가 수정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E-메일 웹 컨텐츠를 단말장치(100)에서 구동하는 중, 사용자가 작성한 메일을 장기 보존하고자 선택하게 되면, 이는 단말장치(100) 뿐만이 아니라 해당 E-메일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200)에도 장기 보존되도록 저장되어야 할 것이며, 이때 내장형 웹 서버(20)는 장기 보존 선택된 메일 을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라 판단하고, 이를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저장하도록 세션관리자(50)로 요청하게 된다.
이에, 세션관리자(50)는, 내장형 웹 서버(20)로부터 소정 데이터(예 : 장기 보존 선택된 메일)의 외부저장이 요청되면, 네트워크(1)의 상태를 체크한 후, 요청된 소정 데이터의 실시간 저장 필요성을 확인하고,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요청된 소정 데이터를 컨텐츠제공서버(200)로 제공하여 저장을 요청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의 상태를 체크한 결과, 통신 상태에 장애가 있으면, 세션관리자(50)가 추후에 네트워크(1)가 통신 가능한 상태일 때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소정 데이터(예 : 장기 보존 선택된 메일)를 저장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단말장치(100)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해당 웹 컨텐츠를 구동할 때, 네트워크(1)를 통해 해당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지속적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유지해야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내장형 웹 서버(20)가 단말장치(100) 내에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함에 따라 해당 웹 컨텐츠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1)의 사용량을 크게 줄여 단말장치(100)의 배터리량 부족 및 고액의 네트워크 이용요금 부담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웹 서비스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컨텐츠제공서버(200)를 설명하면, 컨텐츠제공서버(200)는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210),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220), 웹컨텐츠구동관리자(230), 서버관리자(240)를 포함한다.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210)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의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써,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 관련된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서비스가입자정보는,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개인정보(이름, 나이, 성별 등) 및 단말장치(이하, 단말장치(100)이라 함)의 기기정보(단말번호, 식별정보, 데이터저장용량, 특징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웹컨텐츠구동관리자(230)는,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리소스를 저장한다. 즉, 웹컨텐츠구동관리자(230)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이용할 때 웹 컨텐츠를 실제 구동하는 구동부로써,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리소스를 모두 저장하고 있다.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220)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의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써, 웹컨텐츠구동관리자(230)의 리소스 중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를 저장한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는, 컨텐츠제공서버(200) 자신이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 구동에 필요한 리소스파일정보, 웹 페이지정보, 사진정보, XHTML리소스정보,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보리스트파일은 이러한 리소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관리자(240)는, 외부로부터 접속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서비스가입자 등록이 요청되면, 요청에 따른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210)에 저장하고,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220)에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며, 웹컨텐츠구동관리자(230)로부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획득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서버관리자(240)를 설명하면, 컨텐츠제공서버(200)의 전체적인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관리자(24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서비스가입자 등록이 요청되면,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210)에 저장함으로써,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처리한다. 그리고, 서버관리자(240)는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220)에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 단말장치(100)로부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가 요청되면 요청된 리소스를 웹컨텐츠구동관리자(230)로부터 획득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때, 서버관리자(240)는 어떤 웹 컨텐츠의 정보리스트파일을 어떤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였는지에 대한 제공 이력을 기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가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되면, 컨텐츠제공서버(200)는 자신이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들을 단말장치(100)로 미리 제공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일반적으로 종래의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면, 서버관리자(240)는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210) 및 웹컨텐츠구동관리자(230)를 제어하여 웹 컨텐츠를 구동시켜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관리자로 써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관리자(240)는 컨텐츠제공서버(2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웹컨텐츠구동관리자(230)의 웹 컨텐츠가 업데이트되는 등 웹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220)에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변경된 웹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경한다. 그리고, 서버관리자(240)는,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에 접속하여 해당 웹 컨텐츠의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때, 서버관리자(240)는, 기억하고 있는 제공 이력에 기초하여, 변경된 해당 웹 컨텐츠의 이전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하였던 단말장치(100)들이 접속된 해당 기지국(미도시, 네트워크(1)에 포함되는 구성임)의 트래픽 상태를 체크한다. 이에, 서버관리자(240)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트래픽 상태인 단말장치(100)를 선별하여, 제공 가능한 트래픽 상태의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서버관리자(240)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수신한 단말장치(100)로부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따른 변경된 리소스가 요청되는 경우, 웹컨텐츠구동관리자(230)로부터 요청에 따른 변경된 리소스를 획득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또한, 서버관리자(24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웹 컨텐츠의 리소스 실행에 따라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가 수신되어 저장이 요청되는 경우, 저장 요청된 데이터를 단말장치(100)의 서비스가입자에 대응하는 리소스로서 웹컨텐츠구동관리자(220) 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컨텐츠제공서버(200)의 웹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컨텐츠제공서버(200)는 단말장치(100)에 기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한 리소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도록 유도하고, 단말장치(100)에서 저장 요청되는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단말장치(100)의 서비스가입자에 대응하는 리소스로서 웹컨텐츠구동관리자(220)에 저장하여, 단말장치(100)에 저장되는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가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저장된 웹 컨텐츠의 리소스와 최대한 동일한 상태로 업데이트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제공서버(200)에 따르면, 자신이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들을 단말장치(100)에 미리 저장하도록 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해당 웹 컨텐츠를 구동할 때, 단말장치(100)가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지속적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유지해야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네트워크(1)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도록 유도함으로써, 단말장치(100)의 입장에서 배터리량 부족 및 고액의 네트워크 이용요금 부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웹 서비스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들을 단말장치(100)에 미리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함에 따라,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내장형 웹 서버(20)가 단말장치(100) 내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웹 컨텐츠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 웹 컨텐츠 구동 시에, 네트워크(1)를 통해 해당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지속적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유지해야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네트워크(1)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기 때문에, 네트워크(1) 상태에 종속되지 않는 웹 서비스를 단말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네트워크(1)의 사용량을 크게 줄여 단말장치(100)의 배터리량 부족 및 고액의 네트워크 이용요금을 부담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웹 서비스의 속도를 개선하고 네트워크(1)에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리소스를 저장하고, 단말장치(예 : 100)로부터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가 요청되면 요청된 리소스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와,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 각각에 대응하는 각 웹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을 각각 저장하고, 소정의 이벤트 시 단말장치(100)가 접속된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대응되는 정보리스트파일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배포서버(400)와, 배포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웹 컨텐츠 제 공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웹 컨텐츠 구동 시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내장형 웹 서버(2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는 다양한 웹 컨텐츠(예 : E-메일, 홈페이지, 쇼핑몰 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웹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제공서버일 수 있고, 이러한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이에, 배포서버(400)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들 각각에 대응하는 각 웹 컨텐츠의 정보리스트파일을 저장하고 있게 된다.
여기서,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가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리소스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 자신이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 구동에 필요한 리소스파일정보, 웹 페이지정보, 사진정보, XHTML리소스정보,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자신이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기 저장하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 각각은 단말장치(100)가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되어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 발생을 배포서버(400)에 알리고, 이에 배포서버(400)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접속된 해당 단말장치(100)로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해당하는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하면,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해당하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리소스를 미리 저장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웹 컨텐츠 구동이 요청되면, 단말장치(100)내의 내장형 웹 서버(20)가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게 해당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이벤트는, 단말장치(100)가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여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 및 배포서버(4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2실시예의 단말장치(10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특징을 구현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단말장치(100)와 실질적인 동작이 동일하므로, 같은 참조번호로 기재하였으며,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 및 배포서버(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정도로 단말장치(100) 동작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310)와, 웹컨텐츠구동관리자(330)와, 서버관리자(3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310)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의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써,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 스에 가입한 가입자에 관련된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서비스가입자정보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웹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개인정보(이름, 나이, 성별 등) 및 단말장치(이하, 단말장치(100)이라 함)의 기기정보(단말번호, 식별정보, 데이터저장용량, 특징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웹컨텐츠구동관리자(330)는,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리소스를 저장한다. 즉, 웹컨텐츠구동관리자(330)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여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이용할 때 웹 컨텐츠를 실제 구동하는 구동부로써,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리소스를 모두 저장하고 있다.
서버관리자(340)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의 전체적인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서버관리자(34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된 단말장치(100)의 웹 브라우저(10)로부터 서비스가입자 등록이 요청되면,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310)에 저장함으로써,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처리한다. 그리고 서버관리자(340)는 소정의 이벤트 즉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서비스가입자로서 등록됨을 배포서버(400)로 알린다. 이때, 서버관리자(340)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의 서비스가입자등록 시에 저장하는 서비스가입자정보 및 배포요청을 배포서버(4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서비스가입자로서 등록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서버관리자(340)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의 정보리스트파 일을 수신한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가 요청되면, 요청된 리소스를 웹컨텐츠구동관리자(330)로부터 획득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에, 단말장치(100)가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되면,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는, 배포서버(400)에 가입 등록 사실을 알리고,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의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들을 단말장치(100)로 미리 제공하여 정보관리자(3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일반적으로 종래의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여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면, 서버관리자(340)는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310) 및 웹컨텐츠구동관리자(330)를 제어하여 웹 컨텐츠를 구동시켜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관리자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관리자(340)는 웹컨텐츠구동관리자(330)의 웹 컨텐츠가 업데이트되는 등 웹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웹 컨텐츠의 변경에 따른 리소스변경정보를 배포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서버관리자(340)는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로부터 변경된 리소스가 요청되는 경우, 웹컨텐츠구동관리자(330)로부터 요청에 따른 변경된 리소스를 획득하여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로 제공한다.
또한, 서버관리자(340)는, 단말장치(100)의 세션관리자(50)로부터 웹 컨텐츠의 리소스 실행에 따라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가 수신되어 저장이 요청되는 경우, 저장 요청된 데이터를 단말장치(100)의 서비스가입자에 대응하는 리소스로서 웹컨텐츠구동관리자(32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포서버(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420), 배포서버관리자(440)를 포함한다.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420)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의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 각각에 대응하는 각 웹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리소스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리스트파일을 각각 저장한다. 즉,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420)에는 각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아 제공하는 웹 컨텐츠 각각의 정보리스트파일이 저장된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 각각이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 구동에 필요한 리소스파일정보, 웹 페이지정보, 사진정보, XHTML리소스정보,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보리스트파일은 이러한 리소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배포서버관리자(440)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예 : 300)로부터 단말장치(100)가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됨에 따른 서비스가입자정보 및 배포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대응되는 정보리스트파일을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420)로부터 획득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배포서버관리자(440)를 설명하면, 배포서버관리자(440)는 단말장치(100)가 접속된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예 : 300)로부터 서비스가입자정보 및 배포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즉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웹 컨텐츠 제 공서비스서버(300)에 대응되는 정보리스트파일을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420)로부터 획득하여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로 제공한다. 이때, 배포서버관리자(440)는 어떤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의 정보리스트파일을 어떤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였는지에 대한 제공이력을 기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자신이 원하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서비스가입자로 등록하면, 자신이 가입한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의 정보리스트파일을 우선적으로 배포서버(400)로부터 제공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100)가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되면, 단말장치(100)는 배포서버(400)로부터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의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받고, 이에 단말장치(100)는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한 리소스들을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로 요청/수신하여 미리 리소스들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포서버관리자(440)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로부터 웹 컨텐츠의 변경에 따른 리소스변경정보가 수신되면, 리소스변경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420)에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들 중 해당하는 정보리스트파일을 변경된 웹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경한다. 그리고, 배포서버관리자(440)는,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에 접속하여 해당 웹 컨텐츠의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때, 배포서버관리자(440)는, 기억하고 있는 제공 이력에 기초하여, 변경된 해당 웹 컨텐츠의 이전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하였던 단말장치(100)들이 접속된 해 당 기지국(미도시, 네트워크(1)에 포함되는 구성임)의 트래픽 상태를 체크한다. 이에, 배포서버관리자(440)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트래픽 상태인 단말장치(100)를 선별하여, 제공 가능한 트래픽 상태의 단말장치(100)에 접속하여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받은 단말장치(100)는, 기 저장된 해당 정보리스트파일과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를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요청/수신하여 정보관리자(3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받은 단말장치(100)는, 우선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웹 브라우저(10)로부터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로 요청/수신하여 정보관리자(3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에 저장된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웹 컨텐츠를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저장된 웹 컨텐츠의 리소스와 최대한 동일한 상태로 업데이트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의 웹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배포서버(400)는 단말장치(100)에 기 저장하도록 한 리소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도록 유도하고,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에서 저장 요청되는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단말장치(100)의 서비스가입자에 대응하는 리소스로서 웹컨텐츠구동관리자(320)에 저장하여, 단말장치(100)에 저장되는 해당 웹 컨텐츠의 리 소스가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저장된 웹 컨텐츠의 리소스와 최대한 동일한 상태로 업데이트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들을 단말장치(100)에 미리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함에 따라,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해당 웹 컨텐츠를 구동할 때,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내장형 웹 서버(20)가 단말장치(100) 내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웹 컨텐츠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네트워크(1)를 통해 해당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지속적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유지해야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네트워크(1)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기 때문에, 네트워크(1) 상태에 종속되지 않는 웹 서비스를 단말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네트워크(1)의 사용량을 크게 줄여 단말장치(100)의 배터리량 부족 및 고액의 네트워크 이용요금을 부담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웹 서비스의 속도를 개선하고 네트워크(1)에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어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어흐름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단말장치(100)가 서비스가입을 원하는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제공서버(200)의 웹 서비스에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된다(S10). 그리고, 컨텐츠제공서버(200)는 소정의 이벤트 시, 단말장치(100)가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될 시, 단말장치(100)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한다(S20).
이에, 단말장치(100)는 수신되는 정보리스트파일을 저장하고(S30),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컨텐츠제공서버(200)로 요청한다(S40). 이에, 컨텐츠제공서버(200)는 요청에 따른 리소스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S50), 단말장치(100)는 수신되는 리소스를 저장하게 된다(S60).
이 후, 단말장치(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하여(S70), 기 저장된 리소스에 대응하는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뒤면, 단말장치(100)의 내장형 웹 서버(20)가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S80).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단말장치(100)의 웹 브라우저(10)는, 사용자에 의한 가입요청에 따라, 네트워크(1)를 통해 해당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이 름, 나이, 성별 등) 및 단말장치(100)의 기기정보(단말번호, 식별정보, 데이터저장용량, 특징정보 등)를 포함하는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컨텐츠제공서버(200)로 제공하여 서비스가입자 등록을 실행한다(S100). 이에, 컨텐츠제공서버(200)는 외부로부터 접속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서비스가입자 등록 요청에 따른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210)에 저장한다(S110).
이처럼,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되면, 컨텐츠제공서버(200)는, 자신이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대응하여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220)에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120).
이에,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수신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정보관리자(30)로 전달하여 정보관리자(30)에 저장하도록 한다(S140). 한편,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수신된 정보리스트파일에 기초하여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해당 리소스를 컨텐츠제공서버(200)로 요청한다(S150). 리소스를 요청받은 컨텐츠제공서버(200)는, 리소스를 가진 웹컨텐츠구동관리자(230)로부터 요청된 리소스를 획득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160). 이에,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수신되는 리소스를 정보관리자(30)로 전달하여 정보관리자(30)에 저장하도록 한다(S170).
이에, 단말장치(100)가 서비스가입자로서 컨텐츠제공서버(200)에 등록되면,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들이 단말장치(100)에 미리 제공되어 저장된다.
이 후, 임의의 시점에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자신이 서비스에 가입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이에 해당하는 웹 컨텐츠 구동을 요청하게 되면, 웹 브라우저(10)는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을 내장형 웹 서버(20)로 요청한다(S180). 이에, 단말장치(100)의 내장형 웹 서버(20)는, 웹 브라우저(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정보관리자(30)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를 찾아 리드하여(S190), 리소스를 실행한다(S200).
이때, 내장형 웹 서버(20)는 S200단계의 실행결과에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10). 여기서, 추가로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은, 단말장치(100)에서 내장형 웹 서버(20)에 의해 웹 컨텐츠가 구동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가 생성되거나 또는 기존의 데이터가 수정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내장형 웹 서버(20)는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해당 웹 컨텐츠의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저장하도록 세션관리자(50)로 요청한다(S220).
이에, 단말장치(100)의 세션관리자(50)는, 내장형 웹 서버(20)로부터 소정 데이터의 외부저장이 요청되면, 네트워크(1)의 상태를 체크한 후, 요청된 소정 데이터의 실시간 저장 필요성을 확인하고,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요청된 소정 데이터를 컨텐츠제공서버(200)로 제공하여 저장을 요청한다(S230). 여기서, 네트워크(1)의 상태를 체크한 결과, 통신 상태에 장애가 있으면, 세션관리자(50)가 추후에 네트워크(1)가 통신 가능한 상태일 때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소정 데이터(예 : 장기 보존 선택된 메일)를 저장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컨텐츠제공서버(200)는, 이처럼 단말장치(100)로부터 웹 컨텐츠의 리소스 실행에 따라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의 저장이 요청되면, 저장 요청된 데이터를 단말장치(100)의 서비스가입자에 대응하는 리소스로서 웹컨텐츠구동관리자(220)에 저장할 수 있다(S240).
한편, S210 단계의 판단결과,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내장형 웹 서버(20)는 S200단계의 리소스를 실행할 때 외부의 컨텐츠제공서버(200)로의 접속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50). 이러한, 판단이 필요한 이유는, S160단계에서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리소스가 해당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이기 때문에, 전체 리소스가 아닌 경우, 단말장치(100) 내부에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웹 컨텐츠를 무리없이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S25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컨텐츠제공서버(200)로의 접속이 필요한 경우, 내장형 웹 서버(2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컨텐츠제공서버(200)와 링크 접속하여, 컨텐츠를 요청하고(S260), 이에 컨텐츠제공서버(200)는 요청된 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270). 이처럼, 컨텐츠제공서버(200)가 단말장치(100)와 접속 상태를 유지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컨텐츠제공서버(200)가 단말장치(100)로 일반적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에 해당하므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처럼, 단말장치(100)의 내장형 웹 서버(20)는, S250단계에서 접속이 필요치 않아 기 저장된 리소스만을 실행한 경우의 실행결과, 또는 S250단계에서 접속이 필요하여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 및 컨텐츠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른 실행 결과를 웹 브라우저(10)로 반환한다(S280). 이에, 단말장치(100)의 웹 브라우저(10)는 반환되는 실행결과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29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컨텐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들을 단말장치(100)에 미리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함에 따라,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내장형 웹 서버(20)가 단말장치(100) 내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웹 컨텐츠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 웹 컨텐츠 구동 시에, 네트워크(1)를 통해 해당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지속적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유지해야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네트워크(1)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기 때문에, 네트워크(1) 상태에 종속되지 않는 웹 서비스를 단말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네트워크(1)의 사용량을 크게 줄여 단말장치(100)의 배터리량 부족 및 고액의 네트워크 이용요금을 부담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웹 서비스의 속도를 개선하고 네트워크(1)에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어흐름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한편, 제2실시예의 단말장치(10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의 특징을 구현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단말장치(100)와 실질적인 동작이 동일하므로, 같은 참조번호로 기재하였다.
먼저,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가입요청에 따라, 네트워크(1)를 통해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이름, 나이, 성별 등) 및 단말장치(100)의 기기정보(단말번호, 식별정보, 데이터저장용량, 특징정보 등)를 포함하는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로 제공하여 서비스가입자 등록을 실행한다(S310). 이에,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는 외부로부터 접속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서비스가입자 등록 요청에 따른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저장한다.
이처럼,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되면,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가입자정보 및 배포요청을 배포서버(400)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서비스가입자로서 등록을 알린다(S320). 이에, 배포서버(400)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에 대응되는 정보리스트파일을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420)로부터 획득하여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로 제공한다(S330).
이에,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수신된 정보리스트파일 을 정보관리자(30)에 저장한다(S340). 한편,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수신된 정보리스트파일에 기초하여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해당 리소스를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로 요청한다(S350). 리소스를 요청받은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는, 리소스를 가진 웹컨텐츠구동관리자(330)로부터 요청된 리소스를 획득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360). 이에,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수신되는 리소스를 정보관리자(30)에 저장한다(S370).
이에, 단말장치(100)가 서비스가입자로서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에 등록되면,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들이 단말장치(100)에 미리 제공되어 저장된다.
이 후, 단말장치(100)가 네트워크(1)를 통해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는 웹컨텐츠구동관리자(330)의 웹 컨텐츠가 업데이트되는 등 웹 컨텐츠의 리소스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80), 변경되는 경우, 웹 컨텐츠의 변경에 따른 리소스변경정보를 배포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S390). 이처럼, 리소스변경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배포서버(400)는, 리소스변경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420)에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들 중 해당하는 정보리스트파일을 변경된 웹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경한다(S400). 그리고, 배포서버(4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에 접속하여 해당 웹 컨텐츠의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410). 이처럼,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 공받은 단말장치(100)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저장한다(S420).
이 후, 서비스에 가입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는지 판단하여(S430), 임의의 시점에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해당 웹 컨텐츠 구동을 요청하게 되면, 단말장치(100)가 내부적으로 웹 컨텐츠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는 S410 단계에서 정보관리자(30)에 저장한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비교하여, 컨텐츠제공서버(200)에 접속 후 변경된 리소스를 컨텐츠제공서버(200)로 요청/수신함으로써 수신된 변경 리소스를 정보관리자(30)에서 업데이트한다(S440).
한편, S430단계에서 웹 컨텐츠 구동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0)의 웹 브라우저(10)는 단말장치(100)가 내부적으로 웹 컨텐츠 구동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웹 컨텐츠의 구동을 내장형 웹 서버(20)로 요청하고, 내장형 웹 서버(20)는, 정보관리자(30)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 즉, S440단계에서 업데이트된 리소스를 실행하고, 실행결과를 웹 브라우저(10)로 반환함으로써, 웹 브라우저(10)는 사용자에게 실행결과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450).
여기서, 전술한 S440단계, S450단계를 설명함에 있어서, S440단계를 먼저 도시하여 S440단계가 S450단계 보다 앞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기재일 뿐이다. 즉, S440단계는 단말장치(100)의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에 의해 수행되고, S450단계는 단말장치(100)의 내장형 웹 서버(20)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S450단계가 앞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양 단계가 거의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양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내장형 웹 서버(20)에 의해 해당 웹 컨텐츠가 실행되는 동안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40)에 의해 리소스가 업데이트됨에 따른 시간지연은, 실제 웹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을 정보의 작은 지연일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 및 배포서버(400)에 의해,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300)가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들을 단말장치(100)에 미리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함에 따라,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내장형 웹 서버(20)가 단말장치(100) 내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웹 컨텐츠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 따른 도 7에서는, 전술한 도 6에 도시된 S210단계 내지 S270단계에 설명하였던, 단말장치(100)에서의 웹 컨텐츠 실행에 따른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외부의 컨텐츠제공서버(200, 도 7에서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에 저장하는 구성, 웹 컨텐츠 실행 시 외부의 컨텐츠제공서버(200, 도 7에서는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 서버(300))로의 접속이 필요한 경우의 링크 접속의 구성을 생략하였지만, 이러한 구성 역시 도 7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도 구현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이에,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 웹 컨텐츠 구동 시에, 네트워크(1)를 통해 해당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웹 컨텐츠 제공서 비스 서버(300)에 지속적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유지해야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네트워크(1)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기 때문에, 네트워크(1) 상태에 종속되지 않는 웹 서비스를 단말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100)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네트워크(1)의 사용량을 크게 줄여 단말장치(100)의 배터리량 부족 및 고액의 네트워크 이용요금을 부담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웹 서비스의 속도를 개선하고 네트워크(1)에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리소스들을 단말장치에 미리 저장하도록 하여, 단말장치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단말장치 내에 마련된 내장형 웹 서버가 단말장치 내에 기 저장된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를 실행하여 단말장치 스스로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웹 서비스 이용 시의 네트워크 사용량을 크게 줄이고 네트워크 상태에 종속되지 않는 웹 서비스를 단말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적용할 경우, 웹 서비스 제공 속도 및 단말장치의 배터리 수명, 고액의 네트워크 이용요금 부담 등을 포함하는 웹 서비스 제공 환경 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단말장치 및 컨텐츠제공서버, 배포서버 및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컨텐츠제공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네트워크 20 : 내장형 웹 서버
100 : 단말장치 200 : 컨텐츠제공서버
300 :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 400 : 배포서버

Claims (25)

  1.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저장하고, 소정의 이벤트 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리소스를 소정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 및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리소스를 저장하고, 상기 웹 컨텐츠 구동 시 상기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내장형 웹 서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상기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 구동에 필요한 리소스파일정보, 웹 페이지정보, 사진정보, XHTML리소스정보,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단말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관리자;
    외부의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저장하는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상기 리소스를 실행하는 내장형 웹 서버;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가입자등록을 실행하고,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내장형 웹 서버에서 실행되는 상기 리소스의 실행결과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 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해당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웹 서버는,
    상기 웹 브라우저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리소스를 실행하여 실행에 따른 실행결과를 상기 웹 브라우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하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업데이트관리자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하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시켜 상기 정보관리자에 저장하고, 상기 웹 브라우저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정보관리자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컨텐츠제공서버 간의 상기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의 세션을 관리하여, 상기 내장형 웹 서버로부터 소정 데이터의 외부저장이 요청되면 요청되는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 제공하여 저장을 요청하는 세션관리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장형 웹 서버는,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리소스를 실행한 상기 실행결과가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저장하도록 상기 세션관리자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컨텐츠제공서버에 있어서,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리소스를 저장하는 웹컨텐츠구동관리자;
    상기 웹 컨텐츠 구동관리자의 리소스 중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를 저장하는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
    상기 웹 컨텐츠에 따른 웹 서비스에 가입한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 및
    외부로부터 접속된 소정의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가입자 등록이 요청되면, 요청에 따른 서비스가입자정보를 상기 서비스가입자정보관리자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에 저장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웹 컨텐츠 구동관리자로부터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서버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관리자는,
    상기 웹 컨텐츠 구동관리자의 상기 웹 컨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에 저장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변경된 웹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변경하여 상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에 저장하고,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관리자는,
    상기 웹 컨텐츠의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한 이력의 단말장치들이 접속된 해당 기지국의 트래픽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트래픽 상태가 제공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관리자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따른 변경된 리소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웹 컨텐츠 구동관리자로부터 요청에 따른 상기 변경된 리소스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서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관리자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의 리소스 실행에 따라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 및 저장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의 서비스가입자에 대응하는 리소스로서 상기 웹컨텐츠구동관리자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서버.
  15.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리소스를 저장하고,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가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 각각에 대응하는 각 웹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을 각각 저장하고, 소정의 이벤트 시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된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에 대응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배포서버; 및
    상기 배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저장하고, 상기 웹 컨텐츠 구동 시 상기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내장형 웹 서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상기 웹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 구동에 필요한 리소스파일정보, 웹 페이지정보, 사진정보, XHTML리소스정보,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 중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된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장치가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됨에 따른 서비스가입자정보 및 배포요청이 수신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 각각에 대응하는 각 웹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을 각각 저장하는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 및
    단말장치가 접속된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장치가 서비스가입자로 등록됨에 따른 서비스가입자정보 및 배포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해당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에 대응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배포서버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포 서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포서버관리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웹 컨텐츠 제공서비스서버로부터 해당 웹 컨텐츠의 리소스변경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리소스변경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웹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관리자의 정보리스트파일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정보리 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포 서버.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포서버관리자는,
    상기 해당 웹 컨텐츠의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한 이력의 단말장치들이 접속된 해당 기지국의 트래픽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트래픽 상태가 제공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포 서버.
  21.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 및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리소스를 저장한 컨텐츠제공서버가 접속된 단말장치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제공하는 단계;
    수신되는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상기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제공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른 상기 리소스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수신되는 리소스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컨텐츠 구동 시, 상기 단말장치의 내장형 웹 서버가 상기 기 저장된 리소스를 실행하여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서비스 제공 방법.
  22.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웹 컨텐츠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리스트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에 속하는 상기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리소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기 저장된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상기 리소스를 내장형 웹 서버가 실행하여, 상기 리소스의 실행결과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정보관리자에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에 대응하는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정보리스트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기 저장된 상기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웹 컨텐츠의 구동이 요청되면, 상기 기 저장된 정보리스트파일과 상기 변경된 정보리스트파일을 비교하여 변경된 리소스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컨텐츠에 해당하는 리소스를 실행한 상기 실행결과에 추가로 생성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075226A 2008-07-31 2008-07-31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2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5226A KR101129092B1 (ko) 2008-07-31 2008-07-31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5226A KR101129092B1 (ko) 2008-07-31 2008-07-31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16A true KR20100013616A (ko) 2010-02-10
KR101129092B1 KR101129092B1 (ko) 2012-03-26

Family

ID=4208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5226A KR101129092B1 (ko) 2008-07-31 2008-07-31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0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0062A (ko) * 2012-08-07 2014-02-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쿠폰정보 관리 시스템 및 쿠폰정보 관리 방법
KR20150013191A (ko) * 2012-05-05 2015-02-0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클라우드-기반 파일 시스템 내에서의 파일 핸들링
WO2015133858A1 (en) * 2014-03-06 2015-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loading time in electronic device
KR20160025127A (ko) * 2014-08-26 2016-03-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국어 지원을 위한 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5271B2 (en) * 2003-10-29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software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upgrade during execution
KR20070015674A (ko) * 2005-08-01 2007-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콘텐츠 메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40609B1 (ko) * 2006-10-17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80039727A (ko) * 2006-11-01 2008-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스트리밍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191A (ko) * 2012-05-05 2015-02-0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클라우드-기반 파일 시스템 내에서의 파일 핸들링
KR20140020062A (ko) * 2012-08-07 2014-02-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쿠폰정보 관리 시스템 및 쿠폰정보 관리 방법
WO2015133858A1 (en) * 2014-03-06 2015-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loading time in electronic device
KR20150104898A (ko) * 2014-03-06 2015-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딩 타임을 개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6068506A (zh) * 2014-03-06 2016-11-0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提高电子装置中的加载时间的设备和方法
US10721289B2 (en) 2014-03-06 2020-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loading time in electronic device
CN106068506B (zh) * 2014-03-06 2020-11-17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提高电子装置中的加载时间的设备和方法
KR20160025127A (ko) * 2014-08-26 2016-03-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국어 지원을 위한 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092B1 (ko) 201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9434B2 (en) Automatically provisioning a WWAN device
JP7197574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登録
US10712915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a client on a terminal
KR101019011B1 (ko) 이동 디바이스의 오버-디-에어 가입
TWI614703B (zh) 資訊推薦方法及資訊推薦裝置
US20140122638A1 (en) Webpage Browsing Method And Device
CN104584011B (zh) 用于web内容和web服务的安全网络内插入的方法和系统
US8495617B2 (en) Interworking system between user terminal and smart card for executing widget, and method thereof
WO2010073530A1 (ja) 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管理装置、それに用い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04857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更新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更新情報提供方法
EP2635073A1 (en) Access point selection based on number of successful connections
KR101129092B1 (ko)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US10715628B2 (en) Attribute operating method and device
AU20162592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in a processing device
CN107634854B (zh) 业务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CN103634348A (zh) 终端设备以及发布信息的方法
CN110741617A (zh) 资源更新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058182B1 (ko)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1848B1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 처리 방법
JP2012014445A (ja) 配信サーバ及び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2009177617A (ja) 通信端末及びサーバ
Gudla et al. A unified Push Notifications service for mobile devices
KR20140065502A (ko)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실행 장치
CN113836405B (zh) 信息查询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908949B (zh) 信息更新方法、装置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