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586A -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Google Patents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3586A KR20100013586A KR1020080075178A KR20080075178A KR20100013586A KR 20100013586 A KR20100013586 A KR 20100013586A KR 1020080075178 A KR1020080075178 A KR 1020080075178A KR 20080075178 A KR20080075178 A KR 20080075178A KR 20100013586 A KR20100013586 A KR 201000135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pole
- multiband
- directional antenna
- parallel plate
- plate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시스템 중 건물 내부 및 음영지역에서 기지국과 이동국으로의 원활한 신호 중계를 위한 전면 방향성을 가지는 소형의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가 개시된다.
개시된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는, 동축케이블에 접속된 제1 평행판 전송선과; 제1 평행판 전송선과 안테나 방사소자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일정 길이의 폭이 변화하는 제2 평행판 전송선과; 제2 평행판 전송선과 연결되어 저주파 대역 신호를 방사하는 제1 다이폴과; 제1 다이폴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전자기 결합하여 고주파 대역 신호를 방사하는 제2 다이폴과; 방사소자와 간격을 가지고 후면 방사를 전면 방사로 반사시켜주는 반사판과;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임피던스를 정합하고, 전면 방사를 부가해주는 반사 벽 및 수직 스터브와; 수직 스터브에 연결되어 안테나의 크기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수평 스터브로 소형의 광대역 및 다중대역 안테나를 구현함으로써, 소형의 크기이면서 다양한 콘텐츠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고속 전송하기 위한 광대역 특성과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다중대역 특성을 갖는 소형의 안테나를 제공하게 된다.
소형화, 광대역, 다중대역, 전자기 결합, 안테나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중 건물 내부 및 음영지역에서 기지국과 이동국으로의 원활한 신호 중계를 위한 전면 방향성을 가지는 소형의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에 관한 기술이다.
현재 국내에서 서비스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800MHz, 900MHz 대역의 TRS, 셀룰러와 1800MHz 대역의 PCS, 2000MHz 대역의 WCDMA, 2300MHz 대역의 Wibro, 2600MHz 대역의 DMB가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서로 다른 사업자들이 서비스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 및 음영지역에서는 서비스를 중계할 목적의 안테나를 주파수 대역 별로 각각 설치를 해야 했고, 이 때문에 안테나 제작, 구매, 설치에 많은 비용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 들어 이동 통신 서비스는 기존의 주된 역할이었던 전화 통화 서비스 외 다양한 콘텐츠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고속 전송하는 서비스(WCDMA)를 하고 있다. 이러한 많은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할당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지게 되고 이러한 서비스를 중계 및 제공할 안테나 역시 광대역 특성을 구비해야 한다.
한편, 안테나의 실내 설치 시 안테나가 건물 미관을 해치지 않으려면 안테나의 크기가 작아야 하고 그 두께가 얇아야 한다. 하지만, 주파수 특성상 안테나는 크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크기가 줄어들면 안테나의 특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환경의 미관을 고려하여 안테나 성능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소형이고,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넓은 대역폭 특성이 있으며, 사업자가 여러 안테나를 설치할 필요 없이 하나의 안테나 설치로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안테나를 이루는 금속 간의 접촉을 줄여 신호 간섭을 억제함으로써 신호의 정확성을 도모하도록 한 소형의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의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는,
신호가 실린 전자파를 전송해주는 동축케이블에 접속된 제1 평행판 전송선과;
상기 제1 평행판 전송선과 안테나 방사소자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일정 길이의 폭이 변화하는 제2 평행판 전송선과;
상기 제2 평행판 전송선과 연결되어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1다이폴; 및
상기 제1다이폴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전자기 결합하여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2다이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는,
신호가 실린 전자파를 전송해줄 외부 동축케이블에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송해주는 동축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의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는,
방사소자와 간격을 가지고 후면 방사를 전면 방사로 반사시켜주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임피던스를 정합하고, 전면 방사를 부가해주는 반사 벽 및 수직 스터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스터브에 연결되어 안테나 표면 전류 길이를 연장시켜 안테나의 크기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수평 스터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이면서도 저주파와 고주파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광대역 및 다중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의 크기가 작고 그 두께가 얇은 안테나로도, 다양한 콘텐츠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고속 전송하기 위한 광대역 특성과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다중 대역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작은 안테나의 제공이 가능하므로, 실내 설치시 안테나가 건물 미관을 해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의 구성을 보인 개략 구조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결합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가 실린 전자파를 전송해줄 외부 동축케이블에 연결되는 커넥터(1)와; 상기 커넥터(1)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송해주는 동축 케이블(2)과; 상기 신호가 실린 전자파를 전송해주는 동축케이블(2)에 접속된 제1 평행 판 전송선(3)을 구비한다.
제1 평행판 전송선(3)은 동일 폭을 가진 두 개의 도체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이러한 제1 평행판 전송선(3)은 전자파를 안테나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평행판 전송선(3)을 통해 입력된 전자파가 방사 소자들을 만나 임피던스가 변하게 될 때 외부 시스템과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일정 길이의 폭이 변화하는 제2 평행판 전송선(4)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2 평행판 전송선(4) 역시 동일 폭을 가진 두 개의 도체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평행판 전송선(4)과 연결되어 저주파(800MHz대역)를 방사하는 제1 다이폴(5)을 구비한다. 제1 다이폴(5)은 평면형 다이폴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평행판 전송선(3)(4)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전면 방사 효과를 위한 반사판(7)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여기서 제1 다이폴(5)은 저주파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다이폴(5)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다이폴(5)과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전자기 결합하여 고주파(1700MHz대역)를 방사하는 제2 다이폴(6)을 구비한다. 제2 다이폴(6)은 제1 다이폴(5)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위치하는 데,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는다. 제1 및 제2 평행판 전송선(3)(4)과 제1다이폴(5)은 직접 연결되어 전자파가 입사되는 데 반해, 제2다이폴(6)은 전자기 결합을 통해 전자파가 입사되고, 그 크기는 고주파 대역(1700MHz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진다. 또한, 제2다이폴(6)과 제1다이폴(5)은 주 방사 부분과 겹치지 않게 양 쪽으로 두 소자가 배열되어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는, 방사소자인 제1 및 제2 다이폴(5)(6)과 간격을 가지고 후면 방사를 전면 방사로 반사시켜주는 금속 재질의 반사판(7)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7)의 가장자리에는 반사벽(8) 및 수직 스터브(9)를 설치하여, 임피던스를 정합하고, 전면 방사의 효과를 증가시켜주게 된다. 반사벽(8) 및 수직 스터브(9)는 반사판(7)이 작아질 때 생기는 후면 방사를 전면방사가 되게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직 스터브(9)는 전면 방사의 효과를 증감하기 위해 그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스터브(9)의 끝단에는 안테나 표면 전류 길이를 연장시켜 안테나의 크기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수평 스터브(10)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러한 수평 스터브(10)의 역시 안테나의 소형화 효과를 증감시키기 위해 그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다이폴(5)과 제2다이폴(6)은 각각 고정 지지대(12)에 의해 반사판(7)에 고정되는데, 제1다이폴(5) 및 제2다이폴(6)과 고정 지지대(12)는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의 나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는 레이돔(11)을 이용하여 커버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 동축케이블에 연결된 커넥터(1)를 통해 전자파가 수신되고, 동축 케이블(2)을 통해 수신된 전자파는 제1 평행판 전송선(3) 및 제2 평행판 전송선(4)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1 평행판 전송선(3)과 제2 평행판 전송선(4)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평행판 전송선(3)(4)은 같은 폭을 가진 두 개의 도체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평행판 전송선(3)(4)은 전자파를 방사소자들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 평행판 전송선(4)의 폭과 간격으로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 시스템 임피던스인 50Ω으로 설계해 손실을 최소화한다.
제2 평행판 전송선(4)을 통해 전자파가 입사할 때 외부 시스템 임피던스와 상이한 값을 가지는 방사소자들을 만나게 되면 반사파가 생기며 안테나의 방사 특성이 저하된다. 이때 일정 길이의 폭이 다른 부분을 갖는 제2 평행판 전송선(4)을 두면, 시스템 임피던스와 방사소자와의 임피던스가 정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원리는 위에서 언급한 전송선의 폭과 임피던스의 변화 관계로부터 알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제2 평행판 전송선(4)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방사소자인 제1다이폴(5)과 직접 연결되어 방사소자로 신호가 실린 전자파를 전달해준다.
제1 다이폴(5)은 평면형 다이폴 형태를 가지며 전면 방사 효과를 줄 반사판(7)과 일정간격을 두어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때 제1 다이폴(5)은 저주파 대역 (800MHz 대역)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공진 주파수의 대략 반 파장 길이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제1 다이폴(5)이 제2 평행판 전송선(4)으로부터 저주파 대역(800MHz 대역)의 전자파를 입력받았을 때 생기는 전장(13)과 안테나 표면 전류의 분포도(14)이다. 제1 다이폴(5)의 좌우 부분이 같은 전류 방향을 형성, 공진하여 입력되는 전자파를 공중으로 방사시킨다. 이때 공진되는 전류의 길이가 동작 주파수를 결정한다.
한편, 제2 다이폴(6)은 제1 다이폴(5)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위치하는데 서로 직접 연결되지는 않는다. 제2 평행판 전송선(4)과 제1 다이폴(5)은 직접 연결되어 전자파가 입사되는데 반해 제2 다이폴(6)은 전자기 결합을 통해 전자파가 입사되고 고주파 대역(1700MHz 대역)에서 공진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도 5는 제2 다이폴(6)이 제2 평행판 전송선(4)으로부터 고주파 대역 (1700MHz 대역) 전자파를 입력받았을 때 생기는 전장(15)과 안테나 표면 전류의 분포도(16)이다. 우선, 제2 평행판 전송선(4)이 제1 다이폴(5)을 통해 입사가 되고 제2 다이폴(6)을 향해 전자기 결합이 이루어져 제2 다이폴(6)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제2 다이폴(6)은 제1 다이폴(5)과 반대 방향의 전류방향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전자기 결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특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로 독립적인 조절이 가능한 다중대역 특성이다. 다중대역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방사소자를 소자 표면의 전류 분포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이때, 이들의 형태가 직접적인 연결로 이루어질 때는 서로 종속적인 특성을 가지게 된다. 즉, 어느 대역을 담당하는 부분의 크기와 길이를 변화시키게 되면 다른 대역도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하지 만, 전자기 결합의 경우 각각의 대역을 담당하는 부분의 변화에 둔감하여 서로 독립적인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자기 결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두 번째 특징은 광대역 특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 결합을 통해 저주파 대역(800MHz)의 고차 모드 공진을 2000MHz대역(WCDMA)에 위치하게 하고, 고주파 대역(1700MHz)의 고차 모드를 2300 ~ 2600MHz(Wibro, DMB) 대역에 순차적으로 위치하게 하여 1700 ~ 2700MHz의 광대역 특성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 설계 시 고주파 대역의 제2 다이폴(6)을 조절하여 1700MHz대역과 2600MHz대역을 조절할 수가 있다. 그 밖에 제1 다이폴(5)과 제2 다이폴(6)과의 간격을 조절해 전자기 결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2 다이폴(6)은 제1 다이폴(5)과 서로 주 방사 부분이 겹치지 않게 제 1 다이폴(5) 양쪽으로 두 개의 소자가 배열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두 개의 소자는 서로 주 급전부분이 연결되어 전자기 결합된 전자파가 양쪽으로 원활하게 전달 되게 된다. 두 소자 배열의 간격은 담당 주파수 대역(1700, 2600MHz)의 방사 패턴을 결정하기 때문에 전면 방사 특성을 가지며 왜곡되지 않은 모양을 가지도록 적정 간격을 유지해 줄 필요가 있다.
안테나의 전면 방향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상기 언급된 제1 및 제2 다이폴(5)(6)의 후방에는 금속재질의 반사판(7)이 위치하게 되어 후면을 향해 방사된 전자파를 반사시켜 전면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를 소형화하기 위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반사 판(7)의 크기를 줄였다. 하지만, 반사판(7)이 작아지게 되면 전자파의 반사 효과가 줄어들게 되어 전면 방향성과 안테나 이득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반사판(7)의 가장자리 부분에 반사벽(8)과 수직 스터브(9)를 두어 전면 방사를 돕는다. 특히, 반사벽(8)은 그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안테나의 임피던스 정합을 돕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안테나의 방사 소자의 특성상 상하 방향으로 수직 편파가 생기고, 반사판(7)의 위/아래쪽 가장자리에 반사벽(8)과 수직 스터브(9)를 위치하게 하여 전면 방사를 돕게 한다. 만약, 안테나의 방사소자가 좌우 방향에서 편파가 이루어진다면 반사벽(8)과 수직 스터브(9)의 위치를 좌/우쪽 가장자리로 바꾸어 둘 수 있다. 그 밖에 주파수 대역 별로 전면 방사효과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직 스터브(9)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스터브(9)의 끝 단에는 제1 다이폴(5)의 방향으로 수평 스터브(10)가 뻗어 있다. 제1 다이폴(5) 근방에 수평 스터브(10)가 위치함으로써 제1 다이폴(5)은 증가한 유효 표면 전류 길이(17)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수평 스터브(10)의 길이가 길어지면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가 더욱 낮아지며 저주파 대역을 담당하는 제1 다이폴(5)의 길이가 줄어들 소지가 남게 된다. 이를 이용하면 제1 다이폴(5)과 반사판(7)의 길이를 줄여 안테나를 소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수평 스터브(10)의 표면에 흐르는 전류는 제1 다이폴(5)과 같은 방향의 전류 분포를 가지기 때문에 기존에 잘 알려진 소형화 기술들의 전류가 상쇄되는 문제를 극복할 수 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1 다이폴(5), 반사판(7), 반사벽(8), 수평스터브(10), 수직스터브(9)의 표면에 흐르는 저주파 대역(800MHz 대역) 전류 분포도와 제1 다이폴(5)의 표면 전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안테나의 정재파 비를 측정한 측정그래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의 저주파대역 중 900MHz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수평 방사패턴에 대한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대한 안테나의 저주파대역 중 900MHz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수직 방사 패턴에 대한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대한 안테나의 고주파대역 중 1800MHz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수평 방사 패턴에 대한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9b는 본 발명에 대한 안테나의 고주파대역 중 1800MHz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수직 방사 패턴에 대한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및 다중대역 안테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및 다중대역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및 다중대역 안테나의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 다이폴이 저주파 대역(800MHz 대역)의 전자파를 입력받았을 때 생기는 전장과 안테나 표면 전류의 분포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2 다이폴이 고주파 대역(1700MHz 대역)의 전자파를 입력받았을 때 생기는 전장과 안테나 표면 전류의 분포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1 다이폴, 반사판, 반사벽, 수평스터브, 수직스터브의 표면에 흐르는 저주파 대역(800MHz 대역) 전류 분포도와 제1 다이폴의 공진 전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안테나의 정재파 비를 측정한 측정그래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의 저주파대역 중 900MHz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수평 방사 패턴에 대한 특성도.
도 8b는 본 발명에 대한 안테나의 저주파대역 중 900MHz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수직 방사 패턴에 대한 특성도.
도 9a는 본 발명에 대한 안테나의 고주파대역 중 1800MHz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수평 방사 패턴에 대한 특성도.
도 9b는 본 발명에 대한 안테나의 고주파대역 중 1800MHz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수직 방사 패턴에 대한 특성도.
Claims (12)
- 다중대역 및 광대역 특성을 갖는 방향성 안테나에 있어서,신호가 실린 전자파를 전송해주는 동축케이블에 접속된 제1 평행판 전송선과;상기 제1 평행판 전송선과 안테나 방사소자 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일정 길이의 폭이 변화하는 제2 평행판 전송선과;상기 제2 평행판 전송선과 연결되어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1다이폴; 및상기 제1 다이폴과 일정 간격을 가지고 전자기 결합하여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방사하는 제2 다이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실린 전자파를 전송해줄 외부 동축케이블에 연결되어 수신 신호를 상기 동축 케이블에 연결해주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2항에 있어서, 방사소자와 간격을 가지고 후면 방사를 전면 방사로 반사시 켜주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좌우에 설치되어 임피던스를 정합하고, 전면 방사를 부가해주는 반사 벽 및 수직 스터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터브에 연결되어 안테나 표면 전류 길이를 연장시켜 안테나의 크기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수평 스터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평행판 전송선은 동일한 폭을 가진 두 개의 도체가 일전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평행판 전송선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폴은 평면형 다이폴 형태를 가지며, 저주파 대역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공진 주파수의 반 파장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이폴은 고주파 대역에서 공진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이폴은 제1 다이폴과 서로 주 방사 부분이 겹치지 않도록 제1 다이폴 양쪽으로 두 개의 소자가 배열되는 있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터브는 개수의 증감을 통해 주파수 대역 별로 전면 방사 효과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벽과 수직 스터브는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5178A KR101007667B1 (ko) | 2008-07-31 | 2008-07-31 |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5178A KR101007667B1 (ko) | 2008-07-31 | 2008-07-31 |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3586A true KR20100013586A (ko) | 2010-02-10 |
KR101007667B1 KR101007667B1 (ko) | 2011-01-13 |
Family
ID=4208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5178A KR101007667B1 (ko) | 2008-07-31 | 2008-07-31 |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7667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123B1 (ko) * | 2010-12-17 | 2014-03-31 | 주식회사 케이티 | 광대역 단일 공진 안테나 |
KR101520223B1 (ko) * | 2014-03-28 | 2015-05-13 | 세이지 엘리펀트 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전송선 로드 안테나 모듈 |
US9787400B2 (en) | 2015-04-08 | 2017-10-10 |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 Fiber-wireless system and methods for simplified and flexible FTTX deployment and installation |
CN109888497A (zh) * | 2019-03-18 | 2019-06-14 |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平面偶极子双频段天线及天线装置 |
US10530479B2 (en) | 2012-03-02 | 2020-01-07 |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 Systems with optical network units (ONUs) for high bandwidth connectivity,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
US10735838B2 (en) | 2016-11-14 | 2020-08-04 |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 Transparent wireless bridges for optical fiber-wireless network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
KR102331332B1 (ko) * | 2021-08-11 | 2021-12-01 |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 이동통신 중계기용 안테나 |
CN114678681A (zh) * | 2022-02-25 | 2022-06-28 |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 一种宽带大功率反射振子及实现方法 |
KR102433334B1 (ko) * | 2021-05-07 | 2022-08-18 |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 소형 셀 용의 안테나 시스템 |
KR102586162B1 (ko) * | 2023-03-07 | 2023-10-05 | 국방과학연구소 | 대역저지 및 동작주파수 대역 가변 특성을 갖는 전도체 비발디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안테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7749B1 (ko) * | 2000-09-19 | 2002-08-09 |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 다채널 3상태 신호검출 및 표시장치 |
KR200222277Y1 (ko) * | 2000-12-08 | 2001-05-02 | 주식회사감마누 | 다중대역 방향성 패치 안테나 |
KR20030081926A (ko) * | 2002-04-15 | 2003-10-2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화물 커버 장치 |
JP2004187195A (ja) * | 2002-12-06 | 2004-07-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アンテナ装置 |
-
2008
- 2008-07-31 KR KR1020080075178A patent/KR1010076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60357B2 (en) | 2010-12-17 | 2014-06-24 | Kt Corporation | Wideband single resonance antenna |
KR101379123B1 (ko) * | 2010-12-17 | 2014-03-31 | 주식회사 케이티 | 광대역 단일 공진 안테나 |
US10530479B2 (en) | 2012-03-02 | 2020-01-07 |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 Systems with optical network units (ONUs) for high bandwidth connectivity,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
KR101520223B1 (ko) * | 2014-03-28 | 2015-05-13 | 세이지 엘리펀트 테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전송선 로드 안테나 모듈 |
US9787400B2 (en) | 2015-04-08 | 2017-10-10 |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 Fiber-wireless system and methods for simplified and flexible FTTX deployment and installation |
US10735838B2 (en) | 2016-11-14 | 2020-08-04 |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 Transparent wireless bridges for optical fiber-wireless network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
CN109888497A (zh) * | 2019-03-18 | 2019-06-14 |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平面偶极子双频段天线及天线装置 |
CN109888497B (zh) * | 2019-03-18 | 2024-03-22 |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平面偶极子双频段天线及天线装置 |
KR102433334B1 (ko) * | 2021-05-07 | 2022-08-18 |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 소형 셀 용의 안테나 시스템 |
KR102331332B1 (ko) * | 2021-08-11 | 2021-12-01 |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 이동통신 중계기용 안테나 |
CN114678681A (zh) * | 2022-02-25 | 2022-06-28 |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 一种宽带大功率反射振子及实现方法 |
CN114678681B (zh) * | 2022-02-25 | 2023-05-09 |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 一种宽带大功率反射振子及实现方法 |
KR102586162B1 (ko) * | 2023-03-07 | 2023-10-05 | 국방과학연구소 | 대역저지 및 동작주파수 대역 가변 특성을 갖는 전도체 비발디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열안테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7667B1 (ko) | 2011-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7667B1 (ko) | 다중대역 및 광대역 방향성 안테나 | |
EP1487051B1 (en) | Multiple-element antenna with electromagnetically coupled floating antenna element | |
FI121519B (fi) | Suuntakuvioiltaan muokattava antenni | |
KR100269584B1 (ko) | 쵸크 반사기를 갖는 저 사이드로브 이중 편파 지향성 안테나 | |
US8044862B2 (en) | Antenna system having electromagnetic bandgap | |
CN101527392B (zh) | 双频宽带e形微带天线 | |
EP2747201B1 (en) | Multimode wideband antenna module and wireless terminal | |
KR20130134793A (ko) | 이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 |
KR20060053336A (ko) | 초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 |
KR20120086838A (ko) | Pcb 기판형 광대역 이중 편파 다이폴 안테나 | |
CN108832287B (zh) | 三频段WiFi天线 | |
KR20100068480A (ko) | 코로케이션 인센서티브 다중 대역 안테나 | |
EP2613408A1 (en) | Low-noise-figure aperture antenna | |
CN112290193A (zh) | 毫米波模组、电子设备及毫米波模组的调节方法 | |
JP4691054B2 (ja) |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 |
CN107591614B (zh) | 一种高增益全向阵列天线 | |
KR102093204B1 (ko) | 격리도 개선 구조를 갖는 광대역 mimo 안테나 | |
KR100425571B1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대역 옴니 안테나 | |
KR100924126B1 (ko) | 프랙탈 구조를 이용한 다중 대역 안테나 | |
US11923611B2 (en) | Dual-frequency and dual-polarizatio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 |
US20030210190A1 (en) | Dipole antenna structure | |
KR101060504B1 (ko) | 내장형 안테나 | |
KR20040009635A (ko) |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용 고 전후방비 개선 안테나 | |
RU2825550C1 (ru) | Направленная антенн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приема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поля линейной поляризации с высокой кроссполяризационной развязкой в двух широких диапазонах радиочастот | |
JP2017038123A (ja) | 多周波アンテ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