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160A -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및 포커스 이동을 위한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및 포커스 이동을 위한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160A
KR20100013160A KR1020080074705A KR20080074705A KR20100013160A KR 20100013160 A KR20100013160 A KR 20100013160A KR 1020080074705 A KR1020080074705 A KR 1020080074705A KR 20080074705 A KR20080074705 A KR 20080074705A KR 20100013160 A KR20100013160 A KR 20100013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groups
group
order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160A/ko
Priority to US12/417,072 priority patent/US20100031176A1/en
Publication of KR2010001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Abstract

본 발명은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및 포커스 이동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이동 방법은 2 이상의 포커스 항목들을 다차원적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된 2 이상의 포커스 그룹들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탭 입력에 따라 포커스를 다른 그룹으로 이동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계층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현재 포커스된 그룹에 속해 있는 포커스 항목이나 하위 그룹으로 포커스를 이동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탭 입력에 따라 포커스를 다른 항목이나 하위 그룹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및 포커스 이동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 매체{Method for defining orders of focus movements and focus move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포커스 이동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커스 항목을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해 웹 문서상의 포커스 항목들을 다차원적으로 그룹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웹 브라우저에서 탭 인덱스(tab index)는 포커스(Focus)의 이동 순서를 정의하는데, 웹 브라우저의 대표격인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및 FireFox에서는 폼(Form) 관련 태그(tag), 링크(link) 및 이미지(image)에 탭 인덱스(tab index)가 적용되고, Opera 는 폼(Form) 관련 태그에만 탭 인덱스가 적용된다(HTML Spec.에서 탭 인덱스는 Form의 <select>, <input>, <textarea>, <button>에 정의되어 있지만 브라우저마다 이를 결정하는 정책은 각각 다름). PC 환경의 웹 브라우저는 마우스, 터치펜(터치스크린의 경우)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사용하여 원하는 웹 브라우저 상의 링크나 버튼을 선택하면 되지만, TV와 같이 포인팅 디바이스가 없는 환경에서 특정 링크나 버튼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키보드의 탭 키(tab key) 또는 그와 같은 기능을 갖는 리모콘 상의 특정 키를 여러 번 눌러서 이동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웹 문서, 특히 포털 사이트(fortal site)는 수십~수백 개의 포커싱(focusing) 가능한 링크 및 버튼들을 가지므로 포인팅 디바이스가 없는 환경에서 탭 기능의 키를 눌러 해당 링크나 버튼을 찾아가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보통의 웹 문서에는 탭 인덱스(Tab Index)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링크나 버튼이 웹 브라우저의 정책에 따라 링크나 이미지 순서대로 정의가 된다. 설사 웹 문서에 탭 인덱스가 있다 설정되어있다 하더라도 그 구성이 1차원적이기 때문에 링크나 버튼을 찾아 가기 위해서는 모든 링크 및 버튼들을 순서대로 이동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도 1a 및 도 1b의 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탭 인덱스는 1차원적인 일련의 정수 값을 갖는 리스트의 형태를 갖는다.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Google 사이트(http://www.google.co.kr)에서 탭 인덱스는 <a>, <input>, <button> 등이 글을 읽는 방향(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대로 탭 인덱스가 정해진다. 탭 인덱스는 컨텐츠 제작자가 명시적으로 순서를 정해주지 않으면, 포커싱 가능한 (focusable)한 항목에(<a>, <input>, <button>, <select>) 탭 인덱스가 순서대로 적용이 된다. 따라서 포인팅 디바이스가 없는 환경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국문 모드의 구글 사이트를 영문 모드로 변환한 뒤에 검색하기 위해서는 26번째 항목, "Google.com in English"(도 1b, 26)를 선택하고 다시 8번째 검색 창(도 1b, 8)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최악의 경우 탭 키 혹은 리모콘에 맵핑되어 있는 버튼을 34 번을 눌러야 한다. 결국 네이버(Naver)나 다음(Daum)과 같이 수백 개의 탭 인덱스로 구성되어 있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그 수의 n/2 (n은 포커싱 가능한 항목의 총 개수)만큼의 탭 이동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포인팅 디바이스가 없는 기기에서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는 탭 인덱스를 효율적으로 정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보다 빨리 찾아가기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신속하고 간편한 포커스 이동을 위한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및 포커스 이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은
2 이상의 포커스 항목들을 2 이상의 그룹들로 나누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그룹들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 그룹별로 각 그룹에 속한 포커스 항목들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들 및 포커스 이동 순서를 이용하여 포커스 이동 순서를 정의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이동 방법은
하나 이상의 포커스 항목을 포함하는 2 이상의 포커스 그룹들을 표시하는 단계;
2 이상의 포커스 그룹들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탭 입력에 따라 포커스를 다른 그룹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기록 매체는
2 이상의 포커스 항목들을 2 이상의 그룹들로 나누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그룹들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 그룹별로 각 그룹에 속한 포커스 항목들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들 및 포커스 이동 순서를 이용하여 포커스 이동 순서를 정의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기록 매체는
하나 이상의 포커스 항목을 포함하는 2 이상의 포커스 그룹들을 표시하는 단계;
2 이상의 포커스 그룹들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탭 입력에 따라 포커스를 다른 그룹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지 않는 TV, 프린터와 같은 전자 기기에서 브라우저 기술을 사용한 어프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때, 복잡한 탭 인덱스를 관계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웹 문서의 포커스 항목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웹 문서의 탭 인덱스를 별개의 외부 문서로서 정의(아래,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3")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동작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이동 순서 결정 방법 및 포커스 이동 방법은 TV, 프린터 등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지 않는 모든 종류의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 기기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예: HTML, XML 등) 기반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 기기는 브라우저(browser)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포털 사이트(fortal site) 등의 다양한 웹 문서를 프리젠테이션하거나 전자 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의 이동 순서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웹 문서에 포함된 복수의 포커스 항목(focusable element)들을 2 이상의 그룹들로 분류한다.
2) 2 이상의 그룹들에 대해 그룹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한다.
3) 각 그룹별로 각 그룹에 속한 포커스 항목들에 대해 항목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한다.
4) 단계 1) 내지 단계 3)에서 각각 결정된 그룹들, 그룹 포커스 이동 순서 및 항목 포커스 이동 순서를 참조하여 포커스 이동 순서를 정의하는 파일을 생성한다.
아래의 <문서 1>은 일반적인 탭 인덱스 방식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에 의해 프리젠테이션될 문서가 9개의 포커스 항목들(a-i)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때, 종래에는 포커스 항목들을 1차원적으로 나열(도 2 참조)하여 리스트(list)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포커스 이동 순서를 정의하였다. 이 방식에 의하면 포커스는 a->b->c->d->e->f->g->h>i의 순서로 이동하게 된다.
<문서 1>
A : <INPUT name="a" tabindex="1">
B : <INPUT name="b" tabindex="2">
C : <INPUT name="c" tabindex="3">
D : <INPUT name="d" tabindex="4">
E : <INPUT name="e" tabindex="5">
F : <INPUT name="f" tabindex="6">
G : <INPUT name="g" tabindex="7">
H : <INPUT name="h" tabindex="8">
I : <INPUT name="i" tabindex="9">
아래의 <문서 2>는 종래의 방식에 의한 또 다른 탭 인덱스 방식을 보여준다. 문서 2와 문서 1가 다른 점은 복수의 포커스 항목들(focusable elements) 중 일부 항목들(b, d-f, h, i)에 대해 탭 인덱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그러나 종래의 탭 인덱스 순서 결정(ordering) 방식에 의하면 탭 인덱스가 있는 포커스 항목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탭의 순서가 부여된 후, 나머지 탭 인덱스가 없는 포커스 항목들에 대해 탭 순서가 부여된다. 따라서 문서 2에 의한 포커스 이동 순서는 a->c->g->b->d->e->f->h->i와 같이 정의된다.
포털 사이트의 컨텐츠 제작자가 수백 개에 달하는 링크와 버튼에 탭 순서를 부여하기 위해 일일이 탭 인덱스를 계산하고 정의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일 것이다. 따라서 문서 2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다.
<문서 2>
A : <INPUT name="a" tabindex="1">
B : <INPUT name="b">
C : <INPUT name="c" tabindex="2">
D : <INPUT name="d">
E : <INPUT name="e">
F : <INPUT name="f">
G : <INPUT name="g" tabindex="3">
H : <INPUT name="h">
I : <INPUT name="i">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웹 문서(또는 파일, 컨텐츠)는 다수의 포커싱 가능한 항목들(focusable elements)(예: 폼 관련된 태그, 링크, 이미지)을 포함한다. 따라서 포인팅 디바이스가 없는 환경에서 탭 인덱스(tab index)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1차원적인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또는 탭 인덱싱(tab indexing)) 방법이 아닌 새로운 계층적인(또는 다차원적인; multi-dimensional)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항목의 다차원적인 그룹화(multi-dimensional grouping)의 예를 보여 준다.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3에서도 웹 문서는 9개의 포커스 항목들(a-i)을 포함한다. 루트(root)에 계층 1(level 1)이 부여된다. 9개의 포커스 항목들은 3개 의 상위 그룹([1]~[3])으로 분류된다. 계층 2에 해당하는 상위 그룹([1]~[3])은 하나 이상의 포커스 항목들 및/또는 하위 그룹을 포함하는 가상의 집합이다. 가령 그룹 [1]은 포커스 항목 'a'와 하위 그룹 '[1][2]'을 포함하며, 하위 그룹 '[1][2]'은 다시 포커스 항목 'b'와 'c'를 포함한다.
포커스 항목들에 대한 그룹화(grouping)가 완료되면 상위 그룹들에 대해 그룹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여기서 상위 그룹들은 [1]->[2]->[3]의 그룹 포커스 이동 순서를 갖는다.
그런 다음 각 그룹별로 상위 그룹에 속한 포커스 항목들에 대해 항목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위 그룹 [1]에서는 항목 포커스 이동 순서는 a->[1][2], b->c[3]로 결정되고, 상위 그룹 [2]에서는 항목 포커스 이동 순서는 d->e->f로 결정되고, 상위 그룹 [3]에서는 항목 포커스 이동 순서는 d->e->f로 결정된다.
위와 같은 그룹화 및 이동 순서 결정은 웹 문서에 포함된 포커스 항목들의 성질, 생성 시기, 사용자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웹 문서 제작자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그룹들, 그룹 포커스 이동 순서 및 항목 포커스 이동 순서를 참조하여 포커스 순서를 정의하는 문서(또는 파일)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를 위해 현재의 탭 인덱스 정책(예: HTML Specification)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속성의 추가함으로써 명시적으로 탭 인덱스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1)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1
아래의 <문서 3>는 종래의 포커스 항목과 관련된 태그(tag) 내의 계층을 나타내는 속성(attribute)을 이용하여 계층적인 탭 인덱스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즉 태그 내의 계층을 나타내는 속성, "tabindex"에 다차원의 값(예: [2][3])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문서 3>
A : <INPUT name="a" tabindex="[1][1]">
B : <INPUT name="b" tabindex="[1][2][1]">
C : <INPUT name="c" tabindex="[1][2][2]">
D : <INPUT name="d" tabindex="[2][1]">
E : <INPUT name="e" tabindex="[2][2]">
F : <INPUT name="f" tabindex="[2][3]">
G : <INPUT name="g" tabindex="[3][1]">
H : <INPUT name="h" tabindex="[3][2]">
I : <INPUT name="i" tabindex="[3][3]">
아래의 <문서 4>는 <문서 3>에서의 정의 방식과 유사하나 순차적인 탭 인덱스의 순서화(ordering)을 일부 생략한 것이다. 하지만, <문서 4>의 포커스 이동 순 서는 <문서 3>의 포커스 이동 순서와 동일하다.
<문서 4>
A : <INPUT name="a" tabindex="[1]">
B : <INPUT name="b" tabindex="[1][2]">
C : <INPUT name="c">
D : <INPUT name="d" tabindex="[2]">
E : <INPUT name="e">
F : <INPUT name="f">
G : <INPUT name="g" tabindex="[3]">
H : <INPUT name="h">
I : <INPUT name="i">
2)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2
<문서 5>
<TabGroup> // root
<TabGroup> // [1]
A : <INPUT name="a">
<TabGroup> // [1][2]
B : <INPUT name="b">
C : <INPUT name="c">
</TabGroup>
</TabGroup>
<TabGroup> // [2]
D : <INPUT name="d">
E : <INPUT name="e">
F : <INPUT name="f">
</TabGroup>
<TabGroup> // [3]
G : <INPUT name="g">
H : <INPUT name="h">
I : <INPUT name="i">
</TabGroup>
</TabGroup>
위 방법은 그룹 지정을 위한 별도의 태그(예: 탭 그룹(tabgroup))를 도입하여 포커스 이동 순서를 정의하는 것이다. 즉 각각의 계층에 속하는 그룹에 탭 그룹을 부여한 후 각 그룹에 속하는 포커스 항목들을 그 그룹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3)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3
상기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1 및 2는 프리젠테이션할 웹 문서의 내부에 포함된 태그의 속성을 이용하거나 새로운 태그를 추가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즉 포커스의 이동 순서를 내부적으로 조작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 탭 인덱스를 구성하여 조작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즉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또는 템플릿(Template) 파일를 이용하거나 웹 페이지의 계층적인 탭 인덱스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CSS(Cascade Style Sheet) 파일이 HTML 문서의 레이아웃(layout)을 정의하듯이 원래의 웹 문서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별개의 문서를 구성한 후 원래의 문서에 링크(link) 시키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포커스 항목들을 포함하는 웹문서(문서 6)는 HTML 태그 중 <link> 태그를 이용하여 탭 인덱스를 정의하는 외부 문서(문서 7)와 링크되어 있다. 따라서 문서 6에 대한 포커스 이동 순서는 외부 문서에 의해 정의된다.
<문서 6>
<link href=”./tabindex.css”></link>
 A : <INPUT name="a" class="c1">
 B : <INPUT name="b" class="c2">
 C : <INPUT name="c" class="c3">
 D : <INPUT name="d" class="c4">
 E : <INPUT name="e" class="c5">
 F : <INPUT name="f" class="c6">
 G : <INPUT name="g" class="c7">
 H : <INPUT name="h" class="c8">
 I : <INPUT name="i">
<문서 7> (tabindex.css)
#c1
{
Tabindex: [1];
}
#c2
{
Tabindex: [1][2];
}
#c4
{
Tabindex: [2];
}
#c7
{
Tabindex: [3];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이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의 이동 순서를 정의하는 방법에 의해 정의된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이동 방법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룹화된 2 이상의 포커스 그룹들을 표시한다.
2) 사용자로부터 그룹 포커스 이동을 위한 탭 입력을 수신한다.
3) 탭 입력에 따라 포커스를 다른 그룹으로 이동한다.
4) 사용자가 원하는 포커스 그룹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단계 2) 내지 3)을 반복한다.
5) 사용자로부터 계층 변경(또는 그룹 선택) 요청을 수신한다.
6) 현재 포커스된 그룹에 속해 있는 포커스 항목이나 하위 그룹으로 포커스(또는 커서)를 이동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구현된 웹 문서의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포커스 항목 들은 복수의 포커스 그룹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되어야 한다. 가령 도 4a는 3개의 포커스 그룹들([1]-[3])을 포함한다. 포커스 그룹 [1]은 포커스 항목 a-c를 가지며(여기서 b-c는 다시 하위 그룹 [1][2]에 속하게 된다), 포커스 그룹 [2]은 포커스 항목 d-f를 가지며, 포커스 그룹 [3]은 포커스 항목 g-i를 가질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그룹 [1] 내지 [3]은 나머지 다른 그룹과 구별되도록 표시된다.
현재 커서(cursor)(또는 포커스(focus))가 그룹 [1]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만약 사용자가 그룹 [2] 또는 그룹 [3]을 선택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탭 키(tab key)를 눌러야 하며, 탭 키 입력에 응답하여 커서는 그룹 [2]를 거쳐 그룹 [3]으로 차례대로 이동하게 된다.
종래의 탭 인덱싱 방법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항목들은 다차원적인 구조(또는 복수의 계층)을 가지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계층 변경 또는 포커스 그룹을 선택을 위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현재 커서가 포커스 그룹 [1](도 3, 계층 2)에 위치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궁극적으로 항목 'a'(계층 3)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탭 키 이외의 계층 변경을 위한 특정한 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면 계층 변경을 위한 기능들을 키보드 또는 리모콘의 하나 이상의 키들(상위 계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키, 하위 계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키)에 맵핑(mapping)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만약 커서(cursor)가 그룹 [1]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계층 변경을 위한 키를 입력하면 그룹 [1]이 선택되면서 포커스는 계층 3으로 이동된 다. 그룹 [1]은 포커스 항목 'a'와 하위 그룹 [1][2]를 포함하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항목 'a'와 하위 그룹 [1][2]는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된다. 현재 커서가 항목 'a'에 위치해 있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계층 변경 키(또는 포커스 항목 선택을 위한 제 3의 키)를 입력한다면 궁극적으로 포커스 항목 'a'이 선택될 것이지만 만약 사용자가 탭 키를 누른다면 커서는 하위 그룹 [1][2]로 이동할 것이다. 주의하여야 할 점은 탭 키를 가지고는 포커스(또는 커서)를 다른 계층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는 점이다. 위 예에서 계속해서 탭 키를 누르더라도 커서는 포커스 항목 'a'와 하위 그룹 [1][2] 사이를 오고 갈 뿐 모 계층(parent layer)인 그룹 [1]이나 자식 계층(child layer)인 포커스 항목 'b' 또는 'c'로 이동할 수 없다.
도 5는 도 1a에서 이미 언급한 구글 사이트를 본 발명에 의해 재구성한 웹 문서의 예를 보여준다. 총 26개의 포커스 항목은 5개의 포커스 그룹들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이동 방법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비해 포커스 항목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해야할 키의 수가 현저히 줄어든다. 가령 도 1b의 종래의 포커스 이동 방법에서 사용자가 현재 국문 모드의 구글 사이트를 영문 모드로 변환한 뒤에 검색하기 위해서는 총 34 번의 키 입력을 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도 5)에 의할 경우 동일한 작업을 10회 내외의 키 입력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은 웹 문서의 작성에 관한 정책(예: HTML Specification)을 수정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브라우저(browser)의 고유 기능으로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다수의 포커스 항목을 포함하는 포탈 사이트(fortal site)의 예를 보여준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 1a의 포탈 사이트에 포함된 포커스 항목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포커스 항목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보여 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항목의 다차원적인 그룹화(multi-dimensional grouping)의 예를 보여 준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의 이동 방법을 보여주는 웹 문서의 예를 보여준다.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계층의 변경 과정을 보여주는 웹 문서의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1a에서 이미 언급한 구글 사이트를 본 발명에 의해 재구성한 웹 문서의 예를 보여준다.

Claims (18)

  1. 2 이상의 포커스 항목들을 2 이상의 그룹들로 나누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그룹들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 그룹별로 그룹에 속한 포커스 항목들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들 및 포커스 이동 순서를 고려하여 포커스 이동 순서를 정의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파일은 상기 그룹들 및 포커스 이동 순서를 이용하여 각각의 포커스 항목과 관련된 태그 내의 계층을 나타내는 속성(attribute)을 정의하는 것인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을 나타내는 속성은 탭 인덱스인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파일은 상기 그룹들과 포커스 이동 순서를 그룹 지정을 위한 태그를 도입하여 정의하는 것인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지정을 위한 태그는 탭 그룹인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들 및 포커스 이동 순서를 이용하여 포커스 이동 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별개의 파일을 생성하는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파일은 자바 스크립트 또는 템플릿 파일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인 포커스 이동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파일은 상기 2 이상의 포커스 항목들을 다차원적으로 그룹화하는 것인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파일은 상기 2 이상의 포커스 항목들을 복수의 계층으로 구성하는 것인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파일은 마크-업 언어 기반의 문서인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방법.
  11. 하나 이상의 포커스 항목을 포함하는 2 이상의 포커스 그룹들을 표시하는 단 계;
    사용자로부터 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탭 입력에 따라 포커스를 다른 그룹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이동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이동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계층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현재 포커스된 그룹에 속해 있는 포커스 항목이나 하위 그룹으로 포커스를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커스 이동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이동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탭 입력에 따라 포커스를 다른 포커스 항목이나 하위 그룹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이동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포커스 그룹들은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포커스 이동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이동 방법은 상기 포커스 항목 또는 하위 그룹을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커스 이동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이동 방법은 사용자 입력 수단의 특정 버턴을 계층 변경을 위한 버튼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커스 이동 방법.
  17. 2 이상의 포커스 항목들을 2 이상의 포커스 그룹들로 나누는 단계;
    상기 2 이상의 그룹들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 그룹별로 그룹에 속한 포커스 항목들의 포커스 이동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들 및 포커스 이동 순서를 이용하여 포커스 이동 순서를 정의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8. 하나 이상의 포커스 항목을 포함하는 2 이상의 포커스 그룹들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탭 입력에 따라 포커스를 다른 포커스 그룹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74705A 2008-07-30 2008-07-30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및 포커스 이동을 위한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 매체 KR20100013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705A KR20100013160A (ko) 2008-07-30 2008-07-30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및 포커스 이동을 위한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 매체
US12/417,072 US20100031176A1 (en) 2008-07-30 2009-04-02 Method of defining focus movement order and moving foc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705A KR20100013160A (ko) 2008-07-30 2008-07-30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및 포커스 이동을 위한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160A true KR20100013160A (ko) 2010-02-09

Family

ID=4160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705A KR20100013160A (ko) 2008-07-30 2008-07-30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및 포커스 이동을 위한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31176A1 (ko)
KR (1) KR201000131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8662A (ja) * 2010-12-15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40040824A1 (en) * 2012-08-02 2014-02-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navigation
CN102833608B (zh) * 2012-08-22 2015-06-17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避免智能电视屏幕显示双控制焦点的实现方法
USD745050S1 (en) * 2013-01-09 2015-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10649619B2 (en) * 2013-02-21 2020-05-12 Oath Inc. System and method of using context in selecting a response to user device interaction
US9436357B2 (en) * 2013-03-08 2016-09-06 Nook Digital, Ll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viewing comic book electronic publications
CN108351899A (zh) 2015-11-18 2018-07-3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网页中导航的方法和设备
US10838598B2 (en) * 2018-06-03 2020-11-17 Apple Inc. Focus movement between virtual user interface elements and native user interface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9284B1 (en) * 1998-04-01 2001-06-19 Microsoft Corporation Directional navigation system in layout managers
US6570590B1 (en) * 1999-03-02 2003-05-27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sharing in a frame
US6918090B2 (en) * 2002-01-23 2005-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setting of navigation order in aggregated content
US20090013275A1 (en) * 2007-07-05 2009-01-08 Darrell May System and method for quick view of application data on a home screen interface triggered by a scroll/focus 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1176A1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003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856645B2 (en) Generating formatted documents based on collected data content
US9489131B2 (en) Method of presenting a web page for accessibility browsing
US5905498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mantic network display
JP5020075B2 (ja) 文書処理装置
KR20100013160A (ko) 포커스 이동 순서 정의 및 포커스 이동을 위한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기록 매체
US20130262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reviewing patent documents
US5973695A (en) Method for graphically displaying a UNIX directory structure
US20150339375A1 (en) Web application for debate maps
US20080028308A1 (en) Visual display method for sequential data
US20080235563A1 (en) Document displaying apparatus, document display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3510378A (ja) インターラクティブグラフィカルインタフェースを用いてデータ構造を生成及び操作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508642A (ja) 新規フラグメント及び新規スキームを用いたマークアップ言語環境において新規文書を生成するための文書処理及び管理方法
KR20120135243A (ko) 공유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Dadzie et al. Hide the stack: toward usable linked data
WO2006051969A1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方法
WO2006051955A1 (ja) サーバ装置及び名前空間発行方法
WO20091117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on screen synchronization of selection in virtual document
KR101229495B1 (ko) 웹 페이지의 탭 인덱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70022367A1 (en) Multidimensional tabbing for electronic devices
Stegemann et al. Interactive construction of semantic widgets for visualizing semantic web data
KR101355480B1 (ko) 돔 트리 기반 마우스를 이용한 웹문서 내 영역선택방법
JP4788241B2 (ja)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
KR100863418B1 (ko)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문서의 하이퍼 링크 처리 방법
Bergström Augmenting digital libraries using web-based visualiz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