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053U -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 Google Patents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053U
KR20100013053U KR2020090008158U KR20090008158U KR20100013053U KR 20100013053 U KR20100013053 U KR 20100013053U KR 2020090008158 U KR2020090008158 U KR 2020090008158U KR 20090008158 U KR20090008158 U KR 20090008158U KR 20100013053 U KR20100013053 U KR 201000130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combustion
moxibustion
mugwort
worm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429Y1 (ko
Inventor
최영배
Original Assignee
최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배 filed Critical 최영배
Priority to KR2020090008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429Y1/ko
Publication of KR201000130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4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기 배출 및 내부 관찰이 가능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쑥뜸기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는 다수개의 훈기공(孔)이 형성된 일정한 규격을 갖는 원통 형상의 연소용 도자기와, 상기 연소용 도자기 내부의 하단부에 180~200g의 구운 소금층을 두고, 상기 구운 소금층 위에 경계를 두어 다수개의 원추 형상의 쑥봉을 올려놓고 연소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반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손잡이가 있는 쑥봉 연소대를 포함하되, 상기 쑥봉(70)은 1개당 8~10g으로 제작하여 6~8개를 상기 쑥봉 연소대에 올려놓고, 상기 연소용 도자기의 규격보다 크며 상ㆍ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하부로부터 2~4cm 위에 복수개의 고정수단를 두어 상기 연소용 도자기를 내부에 삽입ㆍ고정시키는 투명 아크릴 소재의 도자기 보호통과, 상기 도자기 보호통 상부의 내부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 볼록부를 가지며 연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아크릴 소재의 보호통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통 덮개의 연기 배출구에는 연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DC 6V용 팬을 설치하고, 상기 보호통 덮개의 연기 배출구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선단부에 나사 체결구를 구비한 접이식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쑥봉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를 스위치의 ON/OFF 조작으로 쉽게 구동/정지 가능한 팬과, 탈부착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호스를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내부 관찰이 가능한 투명 아크릴 소재의 도자기 보호통 및 보호통 덮개를 통해 내부 쑥봉의 불량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 및 과다연소를 관찰할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도 안전하게 쑥뜸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소용 도자기에 쑥봉 이외에 생강, 솔잎, 소금이 혼합되어 구워진 구운 소금층을 둠으로써, 한번의 쑥뜸으로 쑥, 생강, 솔잎, 소금의 효능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독특한 효과가 있다.
쑥뜸기, 팬, 접이식 호스, 구운 소금층, 생강, 솔잎, 투명 아크릴

Description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The moxa cautery implement that smoke emission and inside observation is easy}
본 고안은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기 배출 및 내부 관찰이 가능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쑥을 환부에 놓고 그 위에 직접 불을 붙이거나 쑥 밑 부분에 보조장치를 사용하여 쑥을 연소시킬때 발생하는 쑥의 뜨거운 훈기와 약효성분이 피부의 경혈을 통해 체내로 흡수되어 기혈 순환을 활발하게 소통시킴으로써 각종 질병치료 및 예방을 위한 전통적인 치료법으로서, 탕약 및 침술 치료법과 함께 한방의학에 있어 중요한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쑥뜸을 뜨는 과정에서 원추형상의 쑥봉을 환부 위에 올려 놓고 직접 뜸을 뜨는 원시적인 방법인 직접 구법은 순간적이고 직접적인 강한 열 자극으로 상당한 고통이 따르고 화상에 의한 흉터가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근자에는 쑥봉의 연소 시 발생되는 뜨거운 훈기를 환부에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간접 구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간접 쑥뜸기가 제안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도, 쑥봉이 연소할 때 발생되는 과도한 연기 및 냄새로 인해 쑥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어, 연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간접 쑥뜸기가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0719호(2004. 2. 13)에 제안된 바 있는 휴대용 쑥뜸기(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9331호(2006. 9. 20)에 제안된 바 있는 뜸기(이하 '종래기술 2'이라 한다)에 의하면, 쑥뜸 시 발생되는 연기의 배출 수단이 기술 되어 있다(도 1의 (가) (나) 참조).
하지만 도 1의 (가)에 도시된 종래기술 1은, 연기 배출 수단으로 사용된 팬(20)을 사용함에 있어 연기유도커버(18)와 연결된 호스(19)에 상기 팬을 부착하고 있으나, 실외로 노출되는 호스의 끝부분에 부착하여 상기 호스(19)의 길이가 길수록 호스 및 쑥뜸기 내부의 연기가 순환되지 않아 연기 배출이 어려워 연기에 따른 쑥진이 호스 및 쑥뜸기 내부에 달라붙어 유지보수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의 (나)에 도시된 종래기술 2는, 연기 배출 수단으로 뜸기 내부에 팬(20)이 부착되어 있어 외부공기 흡입관(3)으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한약재의 연소 시 발생되는 연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팬을 통해 배출관(19a)으로 배출하고 일부 혼합공기는 유도관(2)을 통해 다시 연소부(1)로 유입되어 한약재의 완전 연소가 가능하다고 기술되어 있으나, 상기 유도관(2)을 통해 연소 중인 한약재의 연기가 역류되어 혼합공기의 순환을 방해하여 뜸기 내부의 연기가 배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외부공기 흡입관(3), 상기 유도관(2) 등 뜸기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 가 높은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쑥뜸기는 일반적으로 도자기로 제작된 쑥봉 연소통과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어, 쑥뜸 중 내부 쑥봉의 연소 상황을 관찰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쑥봉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여 쑥뜸 장소의 구애를 받지않으며, 쑥봉의 연소 상황을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한번의 쑥뜸으로 쑥, 생강, 솔잎, 소금의 효능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쑥뜸기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는 다수개의 훈기공(孔)(110)이 형성된 일정한 규격을 갖는 원통 형상의 연소용 도자기(100)와, 상기 연소용 도자기 내부의 하단부에 180~200g의 구운 소금층(50)을 두고, 상기 구운 소금층 위에 경계를 두어 다수개의 원추 형상의 쑥봉(70)을 올려놓고 연소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반(210)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손잡이(230)가 있는 쑥봉 연소대(200)를 포함하되, 상기 쑥봉(70)은 1개당 8~10g으로 제작하여 6~8개를 상기 쑥봉 연소대(200)에 올려놓고,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의 규격보다 크며 상ㆍ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하부로부터 2~4cm 위에 복수개의 고정수단(310)을 두어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를 내부에 삽입ㆍ고정시키는 투명 아크릴 소재의 도자기 보호통(300)과,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 상부의 내부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 볼록부(470)를 가지며 연기 배출구(430)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아크릴 소 재의 보호통 덮개(400)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통 덮개(400)의 연기 배출구(430)에는 연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DC 6V용 팬(450)을 설치하고, 상기 보호통 덮개(400)의 연기 배출구(43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선단부에 나사 체결구를 구비한 접이식 호스(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운 소금층(50)은 소금 이외에 생강, 솔잎을 함께 혼합하되, 혼합비율은 소금 : 생강 : 솔잎을 2 : 1 : 1로 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과 환부 사이에 일정한 규격을 갖는 광목(廣木) 소재의 환부 보호용 천(미도시)을 둠으로써, 상기 쑥봉(70)의 연소 시 발생되는 훈기를 환부에 용이하게 침투시키며 환부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팬(450)은 AA사이즈의 일반 소형 건전지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쑥봉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를 스위치의 ON/OFF 조작으로 쉽게 구동/정지 가능한 팬과, 탈부착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호스를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내부 관찰이 가능한 투명 아크릴 소재의 도자기 보호통 및 보호통 덮 개를 통해 내부 쑥봉의 불량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 및 과다연소를 관찰할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도 안전하게 쑥뜸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소용 도자기에 쑥봉 이외에 생강, 솔잎, 소금이 혼합되어 구워진 구운 소금층을 둠으로써, 한번의 쑥뜸으로 쑥, 생강, 솔잎, 소금의 효능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독특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의 (가) (나)는 연기 배출 수단을 갖는 종래 쑥뜸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의 전체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용 도자기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쑥봉 및 구운 소금층의 적층구조와, 연소용 도자기를 도자기 보호통에 고정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보호통에 조립ㆍ설치된 고정 수단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 이 용이한 쑥뜸기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를 통한 쑥뜸 시 발생되는 연기와 훈기의 유출 경로를 도시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의 핵심 기술적 구성은, 연소용 도자기(100), 쑥봉 연소대(200), 도자기 보호통(300), 보호통 덮개(400), 접이식 호스(500), 구운 소금층(50) 및 다수개의 쑥봉(7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는, 상기 구운 소금층(50) 및 다수개의 쑥봉(70)이 적층되어 연소되는 도자기로, 원적외선 및 음이온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배출하는 황토 및 게르마늄을 혼합하여 제작하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는 다수개의 훈기공(孔)(110)이 형성된 일정한 규격을 갖는 간단한 구조의 원통 형상이다.
또한,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에 적층되는 상기 구운 소금층(50) 및 다수개의 쑥봉(70)의 적층구조는, 상기 연소용 도자기의 하부에 구운 소금의 양을 180~200g으로 하여 2~3cm 높이로 쌓은 구운 소금층(50)을 형성하고, 상기 구운 소금층(50) 위에 후술하는 쑥봉 연소대(200)를 두고, 상기 쑥봉 연소대에 다수개의 쑥봉(70)을 올려놓되, 상기 쑥봉(70)은 1개당 약쑥의 양을 8~10g으로 하여 제작하며, 6~8개의 쑥봉(70)을 상기 쑥봉 연소대(200)에 올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쑥봉(70)은, 내부에 중공(中孔)이 형성된 원추 형상으로 제작하여 쑥봉 연소 시 발생되는 훈기가 상기 중공을 통해 하향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 기 구운 소금층(50)을 거쳐 훈기가 환부에 제공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쑥봉을 제작하는 방법은 원추형상의 홈이 형성된 금형틀에 약쑥가루를 넣고 압력을 가해 원추 형상의 덩어리를 만든 후 막대기 등으로 중앙에 중공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쑥봉 제작도구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소용 도자기의 하부에 적층된 구운 소금층(50)은, 쑥뜸 시 상기 다수개의 쑥봉이 연소하며 발생되는 훈기 및 연기 중 훈기만 구운 소금과 혼합되어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훈기공(110)으로 배출되고, 연기는 하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필터링(filtering)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구운 소금층은 지속적으로 재활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운 소금층(50)은 소금 이외에 생강 및 솔잎을 함께 혼합하여 굽되, 혼합비율은 소금 : 생강 : 솔잎을 2 : 1 : 1로 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혼합 과정에서 알갱이가 작아질 경우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훈기공(110) 위에 철망(미도시)을 두어 작은 알갱이가 밑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금뜸은 환부의 소독작용과 관절에 물이 찼을때, 복통, 설사, 구토, 배 손발이 차가울 때, 뇌출혈 등에 좋으며, 생강뜸은 관절염 및 소염효과가 좋으며, 솔잎은 변비에 좋은 다양한 효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연기 배출이 용이한 쑥뜸기를 통해 쑥의 효능 이외에 소금, 생강, 솔잎의 다양한 효능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독특한 효과가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쑥봉 연소대(200)는, 상기 연소용 도자기 내 부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개의 쑥봉(70)을 올려놓는 수단으로, 금속소재로 제작하되, 쑥봉(50)의 연소 시 발생되는 훈기가 하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반(210)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손잡이(230)로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쑥봉 연소대(200)는, 상기 구운 소금층(50)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구운 소금층(50)과 상기 다수개의 쑥봉(70) 간의 경계를 두어 쑥뜸을 마친 후 연소하고 남은 쑥봉의 재가 상기 구운 소금층(50)에 섞이지 않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230)와, 원반(210)의 테두리에 턱이 형성되어 있어 안전하게 뜨거운 쑥봉의 재를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 외부로 옴겨 처리할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은,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의 규격보다 크며 상ㆍ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하부로부터 2~4cm 위에 복수개의 고정수단(310)을 두어 상기 연소용 도자기를 내부에 삽입ㆍ고정시켜 환부에 올려놓는 수단으로, 투명 아크릴 소재로 제작한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수단(310)은 L 형상(311)의 플라스틱 재질로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 하부의 소정부위에 대응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3~4개 정도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에 체결방식은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 및 상기 고정수단(310)에 나사홈을 두어 볼트(313a, 313b) 및 너트(315)로 체결하여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과 후술하는 보호통 덮개(400)를 투명 아크릴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쑥뜸 시 연소 중인 쑥봉(50)이 불량하여 불완전 연소 및 과다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과도한 연기 및 불씨 등을 상기 보호통 덮개(400)를 열 지 않고도 쑥뜸기 사용자 및 제3자가 확인이 가능하여 수시로 쑥뜸기 내부 상황을 관찰할 수 있어 안전하게 쑥뜸을 할 수 있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통 덮개(400)는, 투명 아크릴 소재로 제작된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을 덮는 수단으로, 하부면에 상기 도자기 보호통 상부의 내부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 볼록부(470)를 두어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을 덮었을 때 상기 보호통 덮개(40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하며, 중앙에 연기 배출구(430)를 형성하되, 상기 연기 배출구(430) 선단부에 스위치(410)의 ON/OFF를 통해 구동/정지되는 팬(450)을 장착하여 쑥뜸 시 연소 중인 쑥봉(70)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팬(450)은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저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DC 6V용 팬을 사용하며, 상기 연기 배출구(430) 선단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각각에 나사홈(미도시)을 둠으로써 상기 팬(450)의 고장 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위치(410)는 AA사이즈의 일반 소형 건전지 4개를 삽입할 수 있는 전지부(미도시)를 두어 전선(미도시)을 연결하여 상기 스위치(410)의 ON/OFF 조작을 통해 상기 팬(45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쑥뜸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상기 팬(450)을 작동 시켜 쑥뜸 시 발생되는 연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접이식 호스(500)는, 상기 팬(450)을 통해 흡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 수단으로, 상기 팬(450)에 고정ㆍ체결되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이식 호스(500)의 선단부에 나사 체결구(미도시)를 두어 이동 및 상기 접이식 호스(50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 호스(500)는, 후렉시블(flexible) 또는 자바라(じゃ-ばら[蛇腹]) 호스라고 하며, 접힘이 가능하여 길이 조절 및 확장이 용이한 시중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PVC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호스로, 쑥뜸 시 상기 접이식 호스(500)를 창가 또는 환기구 주변까지 길이를 확장시켜 외부로 연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를 통한 쑥뜸 시 발생되는 연기와 훈기의 유출 경로를 도시한 도면으로 다수개의 쑥봉(70)을 연소 시 발생되는 연기는 상향으로 퍼져 상기 팬(450)에 흡입되어 상기 접이식 호스(50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며, 훈기는 상기 쑥봉(7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하향으로 퍼져 구운 소금층(50)에 뜨거운 열기를 제공하여 상기 구운 소금층(50)에서도 훈기가 발생되어 쑥봉의 훈기와 함께 환부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과 환부 사이에 일정한 규격을 갖는 광목(廣木) 소재의 환부 보호용 천(미도시)을 둠으로써, 상기 쑥봉(70)의 연소 시 발생되는 훈기를 환부에 용이하게 침투시키며 환부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는, 쑥봉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를 스위치의 ON/OFF 조작으로 쉽게 구동/정지 가능한 팬과, 탈부착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호스를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내부 관찰이 가능한 아크릴 소재의 도자기 보호통을 통해 내부 쑥봉의 불량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 및 과다연소를 관찰할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도 안전하게 쑥뜸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소용 도자기에 쑥봉 이외에 생강, 솔잎, 소금이 혼합되어 구워진 구운 소금층을 둠으로써, 한번의 쑥뜸으로 쑥, 생강, 솔잎, 소금의 효능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독특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의 (가) (나)는 연기 배출 수단을 갖는 종래 쑥뜸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의 전체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용 도자기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쑥봉 및 구운 소금층의 적층구조와, 연소용 도자기를 도자기 보호통에 고정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보호통에 조립ㆍ설치된 고정 수단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를 통한 쑥뜸 시 발생되는 연기와 훈기의 유출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연소용 도자기 110: 훈기공(孔)
200: 쑥봉 연소대 210: 원반
230: 손잡이 300: 도자기 보호통
310: 보호수단 400: 보호통 덮개
410: 스위치 430: 연기 배출구
450: 팬 500: 접이식 호스

Claims (4)

  1. 쑥뜸기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는 다수개의 훈기공(孔)(110)이 형성된 일정한 규격을 갖는 원통 형상의 연소용 도자기(100)와,
    상기 연소용 도자기 내부의 하단부에 180~200g의 구운 소금층(50)을 두고, 상기 구운 소금층 위에 경계를 두어 다수개의 원추 형상의 쑥봉(70)을 올려놓고 연소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반(210)과 일정한 높이를 갖는 손잡이(230)가 있는 쑥봉 연소대(200)를 포함하되,
    상기 쑥봉(70)은 1개당 8~10g으로 제작하여 6~8개를 상기 쑥봉 연소대(200)에 올려놓고,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의 규격보다 크며 상ㆍ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하부로부터 2~4cm 위에 복수개의 고정수단(310)을 두어 상기 연소용 도자기(100)를 내부에 삽입ㆍ고정시키는 투명 아크릴 소재의 도자기 보호통(300)과,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 상부의 내부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 볼록부(470)를 가지며 연기 배출구(430)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아크릴 소재의 보호통 덮개(400)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통 덮개(400)의 연기 배출구(430)에는 연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DC 6V용 팬(450)을 설치하고,
    상기 보호통 덮개(400)의 연기 배출구(43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선단부에 나사 체결구를 구비한 접이식 호스(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운 소금층(50)은 소금 이외에 생강, 솔잎을 함께 혼합하되, 혼합비율은 소금 : 생강 : 솔잎을 2 : 1 : 1로 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보호통(300)과 환부 사이에 일정한 규격을 갖는 광목(廣木) 소재의 환부 보호용 천(미도시)을 둠으로써, 상기 쑥봉(70)의 연소 시 발생되는 훈기를 환부에 용이하게 침투시키며 환부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450)은 AA사이즈의 일반 소형 건전지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KR2020090008158U 2009-06-24 2009-06-24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KR200453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58U KR200453429Y1 (ko) 2009-06-24 2009-06-24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58U KR200453429Y1 (ko) 2009-06-24 2009-06-24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53U true KR20100013053U (ko) 2010-12-31
KR200453429Y1 KR200453429Y1 (ko) 2011-05-03

Family

ID=4447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58U KR200453429Y1 (ko) 2009-06-24 2009-06-24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42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683B1 (ko) * 2012-10-09 2014-09-15 정순국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N104644429A (zh) * 2014-04-10 2015-05-27 蒋业成 督任二脉铺灸盒
CN104758167A (zh) * 2014-01-06 2015-07-08 何小丁 背部自我艾灸器
CN105078741A (zh) * 2014-05-06 2015-11-25 徐峰 安全万向自动吹灸器
CN105106012A (zh) * 2015-09-29 2015-12-02 南京康龙威康复医学工程有限公司 利于提高艾灸效果的温灸仪
CN107693345A (zh) * 2016-10-18 2018-02-16 陈梦杰 一种艾灸炉
CN109512663A (zh) * 2018-12-14 2019-03-26 湖南大商帮科技股份有限公司 明火净烟艾灸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994B1 (ko) * 2013-04-30 2015-01-02 신동진 온열 및 부항 치료 겸용 쑥뜸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568A (ko)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0254568Y1 (ko) 2001-06-04 2001-12-01 양한조 한방의료보조용 부항쑥뜸기
KR100874821B1 (ko) 2007-06-20 2008-12-19 김진섭 쑥뜸기
KR20090024909A (ko) * 2007-09-05 2009-03-10 율원산업 주식회사 뜸 치료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683B1 (ko) * 2012-10-09 2014-09-15 정순국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N104758167A (zh) * 2014-01-06 2015-07-08 何小丁 背部自我艾灸器
CN104644429A (zh) * 2014-04-10 2015-05-27 蒋业成 督任二脉铺灸盒
CN105078741A (zh) * 2014-05-06 2015-11-25 徐峰 安全万向自动吹灸器
CN105106012A (zh) * 2015-09-29 2015-12-02 南京康龙威康复医学工程有限公司 利于提高艾灸效果的温灸仪
CN107693345A (zh) * 2016-10-18 2018-02-16 陈梦杰 一种艾灸炉
CN109512663A (zh) * 2018-12-14 2019-03-26 湖南大商帮科技股份有限公司 明火净烟艾灸仪
CN109512663B (zh) * 2018-12-14 2020-11-13 湖南大商帮科技股份有限公司 明火净烟艾灸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429Y1 (ko) 201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429Y1 (ko) 연기 배출과 내부 관찰이 용이한 쑥뜸기
CN206730135U (zh) 自动升降式多级过滤无烟艾灸器
CN105055162A (zh) 全自动智能艾灸仓
CN203539685U (zh) 手持气压助燃艾灸仪
CN104666072A (zh) 一种中药生物物理温补药灸仪
CN203763493U (zh) 艾灸盒
CN213431663U (zh) 一种全自动净烟艾灸理疗床
CN206482845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砭石艾灸器
CN205083996U (zh) 大型灸疗罐
CN106924033A (zh) 一种温度可调的密封式艾灸器
CN207562106U (zh) 一种温度可调的密封式艾灸器
CN104367471B (zh) 一种艾灸按摩活血温经仪
CN206324996U (zh) 一种艾相伴无烟聚能扶阳艾灸器
CN206675715U (zh) 一种艾灸装置
CN205054839U (zh) 一种艾灸器
CN205054840U (zh) 一种全自动智能艾灸仓
CN211024061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温灸器
CN208677914U (zh) 一种艾灸塔装置
CN203400317U (zh) 一种多功能艾疗仪
CN206603926U (zh) 一种手持式灸罐
CN208905804U (zh) 一种电动艾灸仪
KR20120096840A (ko) 대나무 소금 쑥뜸기
CN210872963U (zh) 一种艾灸盒
CN210844238U (zh) 一种艾灸盒
CN207055652U (zh) 一种艾灸条熄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