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909A - 해충 포집기 - Google Patents

해충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909A
KR20100012909A KR1020080074334A KR20080074334A KR20100012909A KR 20100012909 A KR20100012909 A KR 20100012909A KR 1020080074334 A KR1020080074334 A KR 1020080074334A KR 20080074334 A KR20080074334 A KR 20080074334A KR 20100012909 A KR20100012909 A KR 2010001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pad
paper
escape
pe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택
박명수
박승기
Original Assignee
김승택
박명수
박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택, 박명수, 박승기 filed Critical 김승택
Priority to KR1020080074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909A/ko
Publication of KR2010001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친환경적이며 포집기에 포집된 해충이 다시 외부로 탈출할 수 없도록 한 해충 포집기이 개시된다. 개시된 해충포집기는 해충유인제가 함침되어 가로수의 외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패드와; 상기 패드가 부착된 가로수의 외면을 덮으며 상단 및 하단이 고정밴드를 통해 가로수에 고정되는 직물지를 포함하되, 상기 직물지의 고정밴드가 권취된 내면에는 직물지와 가로수의 외면 사이에 해충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간격재용 실이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직물지의 상하측의 내측 단부에는 해충이 패드방향으로 유인될 수는 있지만 유인된 다음에는 외부로 탈출할 수 없게 하는 탈출방지천이 가로수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충, 포집, 패드, 직물지, 탈출방지천

Description

해충 포집기{UNIT OF EXTERMINATION VERMINE}
본 발명은 해충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 친환경적이며 포집기에 포집된 해충이 다시 외부로 탈출할 수 없도록 한 해충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매년 가을이 되면 가로수나 공원수 등에 짚을 엮어 나무줄기를 보호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는 데, 이를 일반적으로 해충 포집기 또는 잠복소라 부른다. 상기 해충 포집기는 동절기가 되기 직전에 가로수등에 설치되어, 월동하기 위해 줄기를 타고 내려오는 솔나방이나 미국흰불나방과 같은 해충을 유인 포집하여 성충이나 알, 번데기 상태로 겨울을 넘기는 월동처(越冬處)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듬해 봄에 해충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탈출하기 직전 철거함으로써 해충을 방제하는 유용한 수단이다.
종래의 해충 포집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볏짚(11)의 후면에 볏짚 보다 폭이 작은 부직포(12)를 배치한 다음 볏집(11)과 부직포(12)를 봉제하여 서로 고정 하고, 볏집의 전면에는 띠 형상의 접착패드(13)를 고정하여 제조되었다. 그리고,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접착패드(13) 위에 미도시된 이형필름을 덮은 다음 현장에서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나서 접착패드(13)가 가로수에 부착되도록 해충 포집기를 가로수에 배치한 다음 해충 포집기의 양단을 고정밴드를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설치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해충포집기는 볏집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볏집 자체에 서식하는 유해해충이 가로수에 전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스러기등이 도로에 낙하하여 도로미화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각시 부직포에서 발생하는 포르말린 같은 유해성분으로 인해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겨울철 고온현상에 의해 해충들의 동면주기가 불규칙해짐에 따라, 소각을 위해 해충포집기를 철거하기 전에 해충이 해충포집기에서 탈출해 버리는 경우가 많은 데, 상기와 같은 해충포집기는 해충이 자유롭게 포집기에서 탈출할 수 있기 때문에 해충을 적절하게 방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친환경적이며 포집기에 포집된 해충이 다시 외부로 탈출할 수 없도록 하여 방제효율을 증대시킨 해충 포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유인제가 함침되어 가로수의 외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패드와; 상기 패드가 부착된 가로수의 외면을 덮으며 상단 및 하단이 고정밴드를 통해 가로수에 고정되는 직물지를 포함하되, 상기 직물지의 고정밴드가 권취된 내면에는 직물지와 가로수의 외면 사이에 해충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간격재용 실이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직물지의 상하측의 내측 단부에는 해충이 패드방향으로 유인될 수는 있지만 유인된 다음에는 외부로 탈출할 수 없게 하는 탈출방지천이 가로수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딜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물지 상하측의 내측 단부에 설치된 상측의 탈출방지천과 하측의 탈출방지천은 신축가능한 연결끈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패드방향으로 휘어지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집기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직물지로 구성되므로 친환경적이며 포집기에 포집된 해충이 다시 외부로 탈출할 수 없기 때문에 방제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충포집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포집기가 가로수에 설치된 상태도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가로수에 패드가 부착된 상태도이며, 도4은 도2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5는 도2의 B-B선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충포집기는 패드(110) 및 직물지(120)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110)는 해충유인제가 함침되어 가로수의 외면에 부착되는 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로수의 외면에 군데군데 부착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형형상 뿐만 아니라 사각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패드(110)에는 접착제 뿐만 아니라 발효과 즙, 당밀 또는 페르몬과 같은 해충유입제가 함침되어 있어 가로수에 서생하는 해충을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다.
상기 직물지(1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10)가 부착된 가로수의 외면을 덮으며 상단 및 하단이 고정밴드(130)를 통해 가로수에 고정된다. 상기 직물지는 환경에 유익한 천연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며, 직물지를 관통하여 해충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촘촘하게 재직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직물지(120)의 상하단을 고정밴드(130)로 고정하게 되면 직물지(120)와 가로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아 해충이 포집기 내부로 유인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직물지의 고정밴드(130)가 고정된 내면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지와 가로수의 외면 사이에 해충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간격재용 실(140)이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간격재용 실(140)에 의해 간격재용 실(140)과 간격재용 실(140) 사이에는 해충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간(141)이 형성되어서, 상기 유입공간(141)으로 해충이 패드(110)로 유인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10)로 유인된 해충이 다시 포집기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직물지의 상하측의 내측 단부에는 해 충이 패드방향으로 유인될 수는 있지만 유인된 다음에는 외부로 탈출할 수 없게 하는 탈출방지천(150)이 가로수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즉, 상기 탈출방지천(150)은 해충이 포집기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일방향성 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패드(110)로 유인된 해충이 외부로 다시 탈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탈출방지천(150)은 바람직하게 패드(110)방향으로 휘어지게 설치됨으로써 일방향성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데, 직물지(120)의 끝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거나 별도의 천을 봉제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물지(120) 상하측의 내측 단부에 마련된 상측의 탈출방지천(150)과 하측의 탈출방지천(150)을 신축가능한 연결끈(16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탈출방지천(150)은 신축가능한 연결끈(1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서 항상 패드(110)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내부로는 탈출방지천을 밀면서 용이하게 유인될 수 있지만 내부에서 외부로는 탈출방지천이 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탈출방지천이 들려지지 않기 때문에 탈출이 극히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충포집기는 동절기가 되기 전에 가로수등에 설치되어서 월동하기 위해 줄기를 타고 내려오는 솔나방이나 미국흰불나방과 같은 해충을 유인 및 포집하는 데 사용되는 데, 이 때 해충은 포집기 내부에 설치된 패드(110)에 함침된 해충유인제에 의해 유인되어 직물지와 가로수 사이의 유입공간(141)으로 유입되며 유인된 다음에는 탈출방지천(150)에 의해 포집기 외부로는 더 이상 탈출할 수 없게 되는 상태로 포집기에 포집된다. 이 후 봄에 해충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탈출하기 직전 철거하여 소각하게 되는 데, 겨울철 온난화로 인해 예상보다 해충이 동면에서 일찍 깨더라도 외부로 탈출할 수 없기 때문에 해충방제에 효율적이라는 잇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해충포집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포집기의 설치상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가로수에 패드가 부착된 상태도이며,
도4은 도2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5는 도2의 B-B선의 단면도이다.

Claims (2)

  1. 해충유인제가 함침되어 가로수의 외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패드와;
    상기 패드가 부착된 가로수의 외면을 덮으며 상단 및 하단이 고정밴드를 통해 가로수에 고정되는 직물지를 포함하되,
    상기 직물지의 고정밴드가 권취된 내면에는 직물지와 가로수의 외면 사이에 해충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간격재용 실이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직물지의 상하측의 내측 단부에는 해충이 패드방향으로 유인될 수는 있지만 유인된 다음에는 외부로 탈출할 수 없게 하는 탈출방지천이 가로수의 외면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지 상하측의 내측 단부에 마련된 상측의 탈출방지천과 하측의 탈출방지천은 신축가능한 연결끈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패드방향으로 휘어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포집기.
KR1020080074334A 2008-07-30 2008-07-30 해충 포집기 KR20100012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334A KR20100012909A (ko) 2008-07-30 2008-07-30 해충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334A KR20100012909A (ko) 2008-07-30 2008-07-30 해충 포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09A true KR20100012909A (ko) 2010-02-09

Family

ID=4208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334A KR20100012909A (ko) 2008-07-30 2008-07-30 해충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9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92Y1 (ko) * 2010-04-21 2013-01-15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용 롤트랩
KR20220076854A (ko) * 2020-12-01 2022-06-08 김기홍 수목용 해충 포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92Y1 (ko) * 2010-04-21 2013-01-15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용 롤트랩
KR20220076854A (ko) * 2020-12-01 2022-06-08 김기홍 수목용 해충 포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4645B2 (ja) 果樹カメムシ類の捕獲器
US20150020437A1 (en) Resonating trap for catching insects
KR20180033014A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JP3541217B2 (ja) 果樹カメムシの乾式トラップ
US20140007488A1 (en) Passive Flycatcher
KR101852714B1 (ko) 해충포획기
KR20100012909A (ko) 해충 포집기
KR200447935Y1 (ko) 해충포획용 트랩
KR101478671B1 (ko) 수목이나 거치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해충 포집용 잠복소 및 이를 이용한 해충의 제거방법
KR101835679B1 (ko) 땅바닥 설치형 잡해충 포집기
KR20170139389A (ko) 땅 속 매립식 해충 포집기
KR102542677B1 (ko) 수목용 해충 포집기
KR200221535Y1 (ko) 포충기
CN201742832U (zh) 一种多功能鞘翅目昆虫诱捕器
KR101027584B1 (ko) 해충방제용 수목보호대
CN112568208B (zh) 一种植物保护的灭害虫装置
KR101334738B1 (ko) 수목용 해충 포집 장치
CN201451106U (zh) 农林害虫性诱捕器
CN212064998U (zh) 一种蝴蝶兰种植防虫害型吊盆
CN103283700A (zh) 果蝇诱捕器
CN214316750U (zh) 一种吸虫粘虫装置
KR200367906Y1 (ko) 수목용 해충포집기
CN213819475U (zh) 一种扇片式诱捕装置
CN218303033U (zh) 一种林业工程园林绿化带蚊虫治理插地式低位诱杀装置
CN218104611U (zh) 一种便携式害虫诱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