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775A -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 Google Patents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775A
KR20100012775A KR1020080074843A KR20080074843A KR20100012775A KR 20100012775 A KR20100012775 A KR 20100012775A KR 1020080074843 A KR1020080074843 A KR 1020080074843A KR 20080074843 A KR20080074843 A KR 20080074843A KR 20100012775 A KR20100012775 A KR 20100012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ube
present
motor fa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5134B1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1020080074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1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80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Abstract

[명칭]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구성] 대구경의 대포, 자주포, 함포 등을 통해 적진의 상공으로 발사할 수 있으며 적정한 고도에 이르면 아군 지휘부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받아 분리용 폭약을 폭파, 포탄으로부터 본 발명의 기구장치가 방출되도록 하며 동시에 튜브 내부로 수소 개스 혹은 헬륨 개스가 순간적으로 충진되도록 하여 공중에 머물면서 적진을 정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함.
포(砲), 포탄, 정찰, 기구(氣球)

Description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Cannonball Type Patrol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포탄 부분을 제외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우측면도.
도4는 도1의 평면도.
도5는 도1의 저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전체 완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포탄에서 상부 및 중간 몸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도7의 저면도.
도9는 본 발명의 튜브와 튜브 받침대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10은 본 발명의 하부 몸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도10의 평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분리용 폭약 폭파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13은 도12의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충격완화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15는 도14의 평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비행장치가 포탄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1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은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구경의 자주포 혹은 대포, 함포 등을 통해 적진의 상공으로 발사하여 정찰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전쟁용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목적을 띠는 첩보용으로 또는 폭 넓은 과학탐사용으로 또는 극한 상황의 정보수집용으로 또는 자연재해 발생 시 인명구조 및 정보수집용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이치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적진을 정찰하기 위한 목적에만 국한하여 명세서를 작성한 것임을 밝히는 바이다. 현재 적진을 정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공위성을 제외한 상태에서 특허등록이 되거나 실제로 사용 중인 무인 정찰기 또는 무인정찰장치를 살피면, 의미 그대로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은 소형의 비행기이거나 헬리콥터 그리고 화성탐사선의 구성과 유사한 채 기술선택을 간단하게 하여 제작한 바퀴 이동식 로봇장치가 대부분이며, 연구단계로서는 곤충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면서 곤충이 비행하는 원리 즉, 날개의 움직임 원리를 적용하여 초소형 내지 극소형의 형태를 띠는 무인정찰장치가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경우의 장치들은 첫째 제작비용이 크게 높은 문제와 함께 고 도의 기술성과 초유의 노-하우 등이 요구되는 단점과 유지보수의 난이성, 잦은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 운용시간이 길지 못하여 비효율적인 문제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장치들로부터 비롯된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특히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하기(下記)의 적진정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내측은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2)를 이루고 상기 공간부(2)의 저면 중앙에는 CCD(Computer controlling Display) 카메라장치(10)의 렌즈(10a)가 삽입되는 렌즈부 삽입구멍(3)이 형성된 원반형태의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하방부 외측을 감싸듯이 커버링을 할 수 있도록 안쪽으로 공간부(7)가 형성되고 하우징(1)의 렌즈부 삽입구멍(3)과 동심 상에 상협하광의 경사 구멍(8)이 형성된 완충커버(6)와;
상기 하우징(1)의 내측 중앙에 나사로 고정되며 렌즈(10a)는 렌즈부 삽입구멍(3)을 통해 관통되는 CCD(Computer controlling Display) 카메라장치(10)와;
상기 하우징(1)의 내측에 나사로 고정되며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와;
상기 하우징(1)의 내측에 나사로 고정되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회로와, GIS(Geometric Information System) 회로, CCD 카메라 제어회로, 촬영된 영상의 안정화를 위한 이미지 스테빌라이저 회로, 무선영상송신회로, 인공위성(70)을 통한 양 방향 신호 송수신회로, 배터리(11)의 전력량 확인회로, 수소 또는 헬륨 개스가 충진된 제2 개스통(20a)의 개스 잔량확인회로, 본 발명 기구장치(A)의 직선이동을 위한 모터 팬(18)의 구동회로, 본 발명 기구장치(A)의 회전이동을 위한 모터 팬(18)의 각도조절장치의 서보모타(12) 제어회로, 튜브(27) 내부로의 수소 개스 혹은 헬륨 개스를 1차로 충진시키기 위한 제1 개스통(20)의 개스 분출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23) 및 튜브(27) 내부로의 수소 개스 혹은 헬륨 개스를 보충으로 충진 시키거나 제3 솔레노이드 밸브(25)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로켓원리를 이용, 모터 팬(18)의 추진력에 더하여 신속하게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a) 그리고, 본 발명의 기구장치(A)의 고도를 낮추어 회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튜브(27) 내부의 개스를 배출시키거나 제2 개스통(20a)의 개스를 개스배출관(24)을 통해 방출시켜 모터 팬(18)의 추진력에 더하여 신속하게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솔레노이드 밸브(25)를 제어하는 회로, 고도확인장치가 내장된 중앙제어장치(9)와;
상기 하우징(1) 상면에 고정볼트(5)를 통해 고정되는 밀폐커버(4)와;
상기 밀폐커버(4)를 관통한 채 고정볼트(90)에 의해 고정되며 튜브(27) 안으로 수소 혹은 헬륨 개스를 충진시키기 위한 제1 개스통(20) 및 상기 밀폐커버(4)를 관통한 채 고정볼트(90)에 의해 고정되며 튜브(27) 안으로 수소 혹은 헬륨 개스를 보충으로 충진 시키거나 제3 솔레노이드 밸브(25)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로켓원 리를 이용, 모터 팬(18)의 추진력에 더하여 신속하게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개스통(20a)과;
상기 제1 개스통(20)과 제2 개스통(20a)의 개스를 튜브(27)로 공급하기 위한 수평형의 개스충진관(21) 및 상기 개스충진관(21)의 연결부 중앙에 직립된 채 상단에 논 슬립 꼭지부(22)가 형성된 수직형의 개스충진관(21a)과;
상기 개스충진관(21)에 장치되어 제1 개스통(20)의 개스를 튜브(27) 내부로 충진시키기 위한 제1 솔레노이드 밸브(23) 및 상기 개스충진관(21)의 제1 솔레노이드 밸브(23)와 대향하는 위치에 장치되어 튜브(27)에 개스를 보충시키거나 제3 솔레노이드 밸브(25)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로켓원리를 이용, 모터 팬(18)의 추진력에 더하여 신속하게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a) 그리고, 상기 직립형의 개스충진관(21a)에 장치되어 본 발명의 기구장치(A)의 고도를 낮추어 회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튜브(27) 내부의 개스를 배출시키거나 제2 개스통(20a)의 개스를 개스배출관(24)을 통해 방출시켜 모터 팬(18)의 추진력에 더하여 신속하게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솔레노이드 밸브(25)와;
상기 제1 개스통(20) 및 제2 개스통(20a)의 사이이며 밀폐커버(4)의 상측에 직립되고, 밀폐커버(4)를 관통한 지지축(19)이 밀폐커버(4)의 저면에 장치된 모터 팬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고정된 채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전진시키기 위한 모터 팬(18)과;
상기 모터 팬(18)의 각도가 좌우로 조절될 때 밀폐커버(4) 상면과의 마찰력 을 감소시키며 빗물 등이 하우징(1)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모터 팬(18)의 지지축(19)에 조립되는 테프론 부싱(19a)과;
개스충진관(21a)의 논-슬립 꼭지부(22)에 튜브꼭지(27a)가 삽입되며 개스충진 시(時) 신속정확하게 팽창할 수 있도록 질서정연하게 접힌 채 보관되는 튜브(27)와;
튜브(27)의 튜브꼭지(27a)의 외측에 튜브받침대 꼭지(26a)가 삽입되며 질서정연하게 접혀 있는 튜브(27)를 떠받혀서 안정되게 보관하기 위한 깔때기 형태의 튜브받침대(26)와;
상기 튜브꼭지(27a) 및 튜브받침대 꼭지(26a)의 외측에 고정되어 개스충진관(21a)의 논-슬립 꼭지부(22)로부터 튜브꼭지(27a) 및 튜브받침대 꼭지(26a)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클립(28)과;
안으로는 본 발명의 기구장치(A)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 가장자리 안쪽으로는 중간 몸체(33)와의 조립을 위한 나사부(30)가 형성되고 전체 완성조립 후 개스주입용 체크밸브(32)를 통해 질소 개스 혹은 이산화탄소 개스를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기구장치(A)가 외부로 탈출할 때 오작동이 없이 개스 압력에 의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원추형의 상부 몸체(29)와;
상기 상부 몸체(29)와 나사로 조립되기 위한 나사부(34)가 상단부 가장자리 바깥쪽으로 형성되고 하단부 가장자리 면에는 상부 몸체(29) 내부로 충진된 질소 개스 혹은 이산화탄소 개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41)이 삽입되는 패킹삽입 홈(35)이 형성되며 하단부 가장자리의 안쪽 3개소에는, 분리용 폭약(38)이 내장되 고 분리용 폭약(38) 폭파를 위한 전극봉(39)이 저면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는 하부 몸체(42)를 조립하기 위한 나사(37)가 형성된 하부 몸체 조립단(36)을 각 독립식으로 균등한 거리를 유지한 채 돌출되도록 형성시켜서 분리용 폭약(38)이 폭파됨과 동시에 폭파 및 분리·이탈이 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기구장치(A)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중간 몸체(33)와;
상부 몸체(29)와 중간 몸체(33)의 접촉 면 사이에 고정되어 상부 몸체(29) 내부로 충진된 질소 개스 혹은 이산화탄소 개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링(40)과;
상기 중간 몸체(33)의 하부 몸체 조립단(36)들과 상부 몸체(29) 안에 삽입된 본 발명의 기구장치(A)의 완충커버(6) 사이에 삽입되어, 본 발명을 자주포 또는 대포 또는 함포 등을 통해 발사할 때 가해지는 충격 그리고 상부 몸체(29)와 중간 몸체(33) 안에서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폭파시키는 분리용 폭약(38)의 폭파충격으로부터 기구장치(A)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충격완화재(48)와;
중간 몸체(33)의 나사부(34)와의 조립을 위한 나사구멍(43)이 형성되고 안쪽면 바닥 중앙에는 분리용 폭약폭파장치(46)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45)이 형성되며 상단 면에는 상부 몸체(29) 내부로 충진된 질소 개스 혹은 이산화탄소 개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41)이 삽입되는 패킹삽입 홈(44)이 형성된 하부 몸체(42)와;
상기 분리용 폭약(38)과 접속된 3개의 전극 봉(39)들과 안정된 접촉을 유지하는 탄성의 금속 판(47)이 상단에 고정되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전극 봉 (39)에 순간 고압의 전기 충격을 가하여 분리용 폭약(38)이 폭파되도록 하여서 하부 몸체 조립단(36)들이 중간 몸체(33)로부터 폭파·분리 및 이탈이 되도록 하는 분리용 폭약폭파장치(46)와;
상기 하부 몸체(42) 및 중간 몸체(33)의 일부를 커버링하면서 고정되며 내부는 발사용 장약(50)이 충진되고 저면에는 발사용 뇌관(50)이 구비되어 본 발명을 포(砲)를 통해 발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약 케이스(4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본구성에 있어서, 모터 팬(18) 각도조절장치는, 모터 팬(18)의 지지축(19)에 삽입되어 고정볼트(17)로 고정되는 워엄기어(16)와, 밀폐커버(4)의 저면에 나사로 고정된 채 상기 워엄기어(16)와 치합되는 워엄(14)을 가지는 구동축(13)이 조립된 서보모타(12)와, 밀폐커버(4)의 저면에 나사로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13)의 끝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지지대(15)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살피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중앙제어장치(9)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CCD(Computer controlling Display) 카메라장치(10)와 배터리(1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회로, GIS(Geometric Information System) 회로, CCD 카메라 제어회로, 촬영된 영상의 안정화를 위한 이미지 스테빌라이저 회로, 무선영상송신회로, 인공위성(70)을 통한 양 방향 신호 송수신회로, 배터리(11)의 전력량 확인회로, 수소 또는 헬륨 개스가 충진된 개스통(20)(20a)의 개스 잔량확인 회로, 본 발명 기구장치(A)의 직선이동을 위한 모터 팬(18)의 구동회로, 본 발명 기구장치(A)의 회전이동을 위한 모터 팬(18)의 각도조절장치의 서보모타(12) 제어회로, 솔레노이드 밸브(25) 제어회로, 고도확인장치, 분리용폭약 폭파장치(46), 각 구성품의 전선연결 기술 등은 현존하는 공지의 기술로 제작되는 것이며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이 본 발명의 명세서를 통해 이룰 수 있는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음을 밝힌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포탄구조 및 발사원리 또한 공지의 기술이며 하우징(1)을 감싸는 완충커버(6)와 충격완화재(48) 역시 가볍고 충격흡수 능력이 탁월한 소재가 공개되어 있고 아울러 튜브(27) 역시 질기고 가벼운 재질이 군용으로 사용되고 있어 별도의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하우징(1)과 완충커버(6)가 납작한 원반형태를 이루고 있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비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인데, 하우징(1)에 장치되는 모든 부품은 도1과 도3, 4와 같이 전후좌우로 대칭이 되도록 함과 아울러 무게배분이 정확히 계산되도록 배치하여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운용할 때 하우징(1)이 거의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은 도6의 상태와 같이 완성이 되어 포(砲)를 통해 발사될 수 있도록 대기상태로 보관되며 도6을 기준하여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중간 몸체(33) 안으로 충격완화재(48)를 삽입시키고 그 위로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삽입시키되 충격완화재(48) 상면과 완충커버(6)의 저면이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튜브(27)는 도6과 같이 튜브받침대(26) 위에 가지런히 접어서 두도록 하는데, 마치 펼쳐지기 전의 낙하산의 상태로 보면 무난하다.
다음, 중간 몸체(33)와 상부 몸체(29)를 나사조립식으로 조립을 하되 이들 사이에는 고무 링(40)이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 몸체(29)의 직경은 자주포(최소 150mm), 함포(최소 150mm) 또는 기타 지상용 포의 대구경 직경(최소 150mm)에 맞도록 제작하여야 하며 이러한 상부 몸체(29)의 직경에 의해 본 발명의 하우징(1)의 사이즈가 정해지는 것은 당연한 이치일 것이다. 이어서 중간 몸체(33)의 하방에는 분리용폭약 폭파장치(46)가 조립된 하부 몸체(42)를 나사식으로 조립을 하여 분리용폭약 폭파장치(46)의 전극 판(47)이 중간 몸체(33)의 하부 몸체 조립단(36) 저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봉(39)들과 접촉되도록 한다. 여기서 중간 몸체(33)의 하부 몸체 조립단(36)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용 폭약(38)과 전극 봉(39)이 내장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위와 같이 중간 몸체(33)와 하부 몸체(42)를 조립시킬 때 이들 사이에 패킹(41)이 조립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뇌관(51)과 발사용 장약(50)이 구비된 장약케이스(49)를 공지의 포탄제조 원리에 의해 중간 몸체(33) 또는 상부 몸체(29)에 이르기까지 조립을 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장약케이스(49)의 상단 언저리가 중간 몸체(33)의 나사부(34) 하방 정도에 이르도록 조립이 되도록 하였다. 그 이유는, 상부 몸체(29)를 중간 몸체(33)와 언제든지 분리하여 본 발명을 점검하거나 교체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구성품들이 조립되면 상부 몸체(29)의 개스주입용 체크밸브(32)를 통해 이산화탄소 개스 혹은 질소 개스를 대기압의 2배 내지 3배 정도가 되도록 충진을 시키는데, 상술한 고무 링(40)과 패킹(41)에 의해 이 개스는 본 발명의 외부로 유출이 되지 않고 머물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을 사용코자 할 경우에는, 본 발명을 상술한 발사수단 중 택일하여 포에 장진시키고 적진의 상공을 향하여 발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약 케이스(49)를 제외하고 상공으로 발사된 본 발명의 상부 몸체(29)와 중간 몸체(33)는 적진의 상공을 향하여 비행하게 되는데, 발사와 동시에 중앙제어장치(9)에 탑재된 고도확인장치는 양 방향 신호 송수신회로를 통해 인공위성(70)으로 실시간 고도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이 신호는 인공위성(70)을 통해 아군 지휘부(80)의 종합통제센터로 전달이 된다. 이와 동시에 GPS 장치를 통해 본 발명의 위치가 확인되는데 아군 지휘부(80)에서는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적진의 상공 적정위치에 도달한 본 발명의 분리용폭약 폭파장치(46)에 폭파신호를 명령하게 되고 이는 인공위성(70)을 통해 본 발명에 탑재된 분리용폭약 폭파장치(46)에 전달이 된다.
상기 폭파신호를 수신한 분리용폭약 폭파장치(46)는 내장된 콘덴서의 전기를 순간고압으로 방출, 전극 판(47)을 통해 분리용 폭약(38)에 연결된 전극 봉(39)으로 전달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중간 몸체(33)의 하부 몸체 조립단(36) 안에 내장되어 있던 분리용 폭약(38)들은 폭파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 몸체 조립단(36)은 도7과 같이 중간 몸체(33)에 일부의 살이 연결된 채 구비되어 있어서 분리용 폭약(38)이 폭파되면 중간 몸체(33)와 하부 몸체 조립단(36)을 연결하는 직각 구석부분(K)이 강한 충격에 의해 파괴되어 분리가 되고 파단면(33a)만이 남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얹어두었던 하부 몸체 조립단(36)이 하부 몸체(42)와 함께 중간 몸체(33)로부터 분리가 됨에 따라 본 발명의 기구장치(A)는 중간 몸체(33)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준비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도16과 같이 상부 몸체 (29)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상술한 개스의 압력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구장치(A)는 도16과 같이 상부 몸체(29) 및 중간 몸체(33)의 내부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되게 된다.
한편, 충격완화재(48)는 분리용 폭약(38)이 폭파될 때 본 발명의 기구장치(A)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상부 몸체(29) 안에 충진된 개스 역시 분리용 폭약(38)이 폭파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도16과 같이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상부 몸체(29)와 중간 몸체(33)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16과 같이 본 발명의 기구장치(A)가 상부 몸체(29) 및 중간 몸체(33)로부터 방출이 되면 그 즉시 중앙제어장치(9)의 솔레노이드밸브 제어회로가 작동하여 제1 솔레노이드 밸브(23)를 개방시키고 제1 개스통(20) 내부에 고압으로 충진되어 있던 수소 혹은 헬륨 개스가 개스충진관(21)(21a)을 통해 튜브(27) 내부로 순간 방출이 된다. 이에 따라 도17과 같이 튜브(27)는 팽창되어 본 발명의 기구장치(A)는 공중에 떠 있게 되는 바, 만일 제1 솔레노이드 밸브(23)가 고장이 나서 작동이 되지 않을 경우 중앙제어장치(9)의 솔레노이드밸브 제어회로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a)를 개방시켜 제2 개스통(20a)의 개스를 튜브(27)로 충진시킨다. 그러나 정교한 솔레노이드밸브는 통상의 항공기는 물론 전투기, 로켓, 우주왕복선 등 장치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고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된 수준의 것이므로 이러한 예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제1 개스통(20) 및 제2 개스통(20a) 안에 충진된 개스의 량은 튜브 (27) 하나를 충분히 충진시키고도 잔존 개스가 남아 있을 정도로 여유있게 충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27)가 충진되어 본 발명의 기구장치(A)가 도17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아군 지휘부(80)에서는 인공위성(70)을 통해-이하 인공위성(7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요령은 별도로 기재하지 않음-중앙제어장치(9)로 신호를 인가하여 CCD카메라장치(10)를 작동시켜 적진에 대한 영상신호를 확보하게 되며 GPS 장치와 GIS 장치를 통해 본 발명의 기구장치(A)의 정확한 위치와 고도를 파악하게 된다. 이때 적진을 촬영한 영상신호는 스테빌라이저회로를 통해 안정시키고 이를 아군 지휘부(80)로 송신하기 때문에 매우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일정한 고도에서 선회시키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시켜야 할 경우 중앙제어장치(9)를 통해 모터 팬(18)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서보모타제어회로를 통해 수평방향에서 원하는 위치로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거나 선회시킬 수가 있는 것인데, 모터 팬(18)의 지지축(19)은 워엄기어(16)에 고정되어 있고 워엄기어(16)는 워엄(14)과 일체를 이룬 구동축(13)에 조립되어 있어서 서보모타(12)를 작동시키면 모터 팬(18)의 각도는 자유자재로 조절이 되어 기구장치(A)의 이동방향을 바꿀 수가 있다. 여기서 기구장치(A)의 고도를 더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제1 개스통(20) 내부의 잔존 개스를 튜브(27) 안으로 더욱 충진시키거나 제2 솔레노이드밸브(23a)를 개방, 제2 개스통(20a)의 개스를 튜브(27) 안으로 충진시킴으로서 가능하게 되고 그 반대로 고도를 낮추어야 할 경우 제 3 솔레노이드밸브(25)를 개방, 개스배출관(24)을 통해 튜브(27) 내부의 개스를 배출시킴으로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개스통의 개스잔량확인회로를 이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요령에 따라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운용하여 적진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게 되고 이는 육·해·공군의 지휘부로 실시간으로 전송되며 지휘관들의 결정에 따라 적진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통해 공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최대한으로 활용한 다음, 가능하면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아군쪽으로 회수하여 재활용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력량 확인회로 및 개스잔량확인회로를 통해 모터 팬(18)의 최대 가동시간과 개스잔량을 확인한 다음, 기구장치(A)를 아군 지역으로 이동을 시키게 되는데 모터 팬(18)으로는 기구장치(A)의 이동방향을 제어함과 아울러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고 이에 더하여 제1, 제2 솔레노이드밸브(23)(23a)를 개방, 개스통에 잔존하는 개스를 제3 솔레노이드밸브(25)를 통해 개스배출관(24)으로 로켓의 원리처럼 배출을 시키면서 신속히 아군쪽으로 기구장치(A)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튜브(27) 안의 개스도 제3 솔레노이드밸브(25)를 통해 배출이 되기 때문에 기구장치(A)의 고도는 점점 낮아지게 되지만 개스통 안에 잔존하는 개스의 압력이 튜브(27)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개스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기구장치(A)의 고도는 급격하게 떨어지는 예는 없게 된다.
이어서 기구장치(A)가 안전한 아군쪽으로 이동이 되면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23a)를 잠그고 튜브(27) 내부의 개스만이 제3 솔레노이드밸브(25)를 통해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면 기구장치(A)의 고도는 급격히 낮아져서 아군 지역으로 신속히 하강하게 되며 모터 팬(18)의 제어를 통해 기구장치(A)가 추락할 수 있는 지역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구장치(A)가 아군 지역으로 추락하게 되면 잠자리 채 혹은 그물망 등을 통해 기구장치(A)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인 바, 기구장치(A)의 튜브(27) 내부의 개스는 순간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고 제3 솔레노이드밸브(25)의 제어를 통해 배출량이 제어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구장치(A)는 지면 위쪽 몇 미터 위에서 서서히 하강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회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인공위성(70) 대신에 본 발명의 장치와 동일한 구조와 기술을 가지면서 인공위성(70)을 대신할 수 있는 신호송수신 매개수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중계장치가 내장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구장치를 본 발명의 기구장치(A)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어떠한 포(砲)를 통해서도 적진으로 발사가 항상 가능한 포탄의 형태를 띠면서 특히, 경제적인 단가로 제조할 수 있으며 운용시간이 길어서 효율적이고 고장이나 오동작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은 튼튼한 구조를 가지는 등의 다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정찰장치이며, 이와 함께 매우 경제적인 조건 아래에서 과학탐사용은 물론 또는 극한 상황의 정보수집용으로 또는 자연재해 발생 시 인명구조 및 정보수집용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부가적인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측은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2)를 이루고 상기 공간부(2)의 저면 중앙에는 CCD(Computer controlling Display) 카메라장치(10)의 렌즈(10a)가 삽입되는 렌즈부 삽입구멍(3)이 형성된 원반형태의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하방부 외측을 감싸듯이 커버링을 할 수 있도록 안쪽으로 공간부(7)가 형성되고 하우징(1)의 렌즈부 삽입구멍(3)과 동심 상에 상협하광의 경사 구멍(8)이 형성된 완충커버(6)와;
    상기 하우징(1)의 내측 중앙에 나사로 고정되며 렌즈(10a)는 렌즈부 삽입구멍(3)을 통해 관통되는 CCD(Computer controlling Display) 카메라장치(10)와;
    상기 하우징(1)의 내측에 나사로 고정되며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와;
    상기 하우징(1)의 내측에 나사로 고정되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회로와, GIS(Geometric Information System) 회로, CCD 카메라 제어회로, 촬영된 영상의 안정화를 위한 이미지 스테빌라이저 회로, 무선영상송신회로, 인공위성(70)을 통한 양 방향 신호 송수신회로, 배터리(11)의 전력량 확인회로, 수소 또는 헬륨 개스가 충진된 제2 개스통(20a)의 개스 잔량확인회로, 본 발명 기구장치(A)의 직선이동을 위한 모터 팬(18)의 구동회로, 본 발명 기구장치(A)의 회전이동을 위한 모터 팬(18)의 각도조절장치의 서보모타(12) 제어회로, 튜브(27) 내부로의 수소 개스 혹은 헬륨 개스를 1차로 충진시키기 위한 제1 개스통(20)의 개스 분출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23) 및 튜브(27) 내부로의 수소 개스 혹은 헬륨 개스를 보충으로 충진 시키거나 제3 솔레노이드 밸브(25)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로켓원리를 이용, 모터 팬(18)의 추진력에 더하여 신속하게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a) 그리고, 본 발명의 기구장치(A)의 고도를 낮추어 회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튜브(27) 내부의 개스를 배출시키거나 제2 개스통(20a)의 개스를 개스배출관(24)을 통해 방출시켜 모터 팬(18)의 추진력에 더하여 신속하게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솔레노이드 밸브(25)를 제어하는 회로, 고도확인장치가 내장된 중앙제어장치(9)와;
    상기 하우징(1) 상면에 고정볼트(5)를 통해 고정되는 밀폐커버(4)와;
    상기 밀폐커버(4)를 관통한 채 고정볼트(90)에 의해 고정되며 튜브(27) 안으로 수소 혹은 헬륨 개스를 충진시키기 위한 제1 개스통(20) 및 상기 밀폐커버(4)를 관통한 채 고정볼트(90)에 의해 고정되며 튜브(27) 안으로 수소 혹은 헬륨 개스를 보충으로 충진 시키거나 제3 솔레노이드 밸브(25)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로켓원리를 이용, 모터 팬(18)의 추진력에 더하여 신속하게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개스통(20a)과;
    상기 제1 개스통(20)과 제2 개스통(20a)의 개스를 튜브(27)로 공급하기 위한 수평형의 개스충진관(21) 및 상기 개스충진관(21)의 연결부 중앙에 직립된 채 상단에 논 슬립 꼭지부(22)가 형성된 수직형의 개스충진관(21a)과;
    상기 개스충진관(21)에 장치되어 제1 개스통(20)의 개스를 튜브(27) 내부로 충진시키기 위한 제1 솔레노이드 밸브(23) 및 상기 개스충진관(21)의 제1 솔레노이 드 밸브(23)와 대향하는 위치에 장치되어 튜브(27)에 개스를 보충시키거나 제3 솔레노이드 밸브(25)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로켓원리를 이용, 모터 팬(18)의 추진력에 더하여 신속하게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a) 그리고, 상기 직립형의 개스충진관(21a)에 장치되어 본 발명의 기구장치(A)의 고도를 낮추어 회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튜브(27) 내부의 개스를 배출시키거나 제2 개스통(20a)의 개스를 개스배출관(24)을 통해 방출시켜 모터 팬(18)의 추진력에 더하여 신속하게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솔레노이드 밸브(25)와;
    상기 제1 개스통(20) 및 제2 개스통(20a)의 사이이며 밀폐커버(4)의 상측에 직립되고, 밀폐커버(4)를 관통한 지지축(19)이 밀폐커버(4)의 저면에 장치된 모터 팬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고정된 채 본 발명의 기구장치(A)를 전진시키기 위한 모터 팬(18)과;
    상기 모터 팬(18)의 각도가 좌우로 조절될 때 밀폐커버(4) 상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며 빗물 등이 하우징(1)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모터 팬(18)의 지지축(19)에 조립되는 테프론 부싱(19a)과;
    개스충진관(21a)의 논-슬립 꼭지부(22)에 튜브꼭지(27a)가 삽입되며 개스충진 시(時) 신속정확하게 팽창할 수 있도록 질서정연하게 접힌 채 보관되는 튜브(27)와;
    튜브(27)의 튜브꼭지(27a)의 외측에 튜브받침대 꼭지(26a)가 삽입되며 질서정연하게 접혀 있는 튜브(27)를 떠받혀서 안정되게 보관하기 위한 깔때기 형태의 튜브받침대(26)와;
    상기 튜브꼭지(27a) 및 튜브받침대 꼭지(26a)의 외측에 고정되어 개스충진관(21a)의 논-슬립 꼭지부(22)로부터 튜브꼭지(27a) 및 튜브받침대 꼭지(26a)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클립(28)과;
    안으로는 본 발명의 기구장치(A)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 가장자리 안쪽으로는 중간 몸체(33)와의 조립을 위한 나사부(30)가 형성되고 전체 완성조립 후 개스주입용 체크밸브(32)를 통해 질소 개스 혹은 이산화탄소 개스를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기구장치(A)가 외부로 탈출할 때 오작동이 없이 개스 압력에 의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원추형의 상부 몸체(29)와;
    상기 상부 몸체(29)와 나사로 조립되기 위한 나사부(34)가 상단부 가장자리 바깥쪽으로 형성되고 하단부 가장자리 면에는 상부 몸체(29) 내부로 충진된 질소 개스 혹은 이산화탄소 개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41)이 삽입되는 패킹삽입 홈(35)이 형성되며 하단부 가장자리의 안쪽 3개소에는, 분리용 폭약(38)이 내장되고 분리용 폭약(38) 폭파를 위한 전극봉(39)이 저면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는 하부 몸체(42)를 조립하기 위한 나사(37)가 형성된 하부 몸체 조립단(36)을 각 독립식으로 균등한 거리를 유지한 채 돌출되도록 형성시켜서 분리용 폭약(38)이 폭파됨과 동시에 폭파 및 분리·이탈이 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기구장치(A)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중간 몸체(33)와;
    상부 몸체(29)와 중간 몸체(33)의 접촉 면 사이에 고정되어 상부 몸체(29) 내부로 충진된 질소 개스 혹은 이산화탄소 개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링 (40)과;
    상기 중간 몸체(33)의 하부 몸체 조립단(36)들과 상부 몸체(29) 안에 삽입된 본 발명의 기구장치(A)의 완충커버(6) 사이에 삽입되어, 본 발명을 자주포 또는 대포 또는 함포 등을 통해 발사할 때 가해지는 충격 그리고 상부 몸체(29)와 중간 몸체(33) 안에서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폭파시키는 분리용 폭약(38)의 폭파충격으로부터 기구장치(A)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충격완화재(48)와;
    중간 몸체(33)의 나사부(34)와의 조립을 위한 나사구멍(43)이 형성되고 안쪽면 바닥 중앙에는 분리용 폭약폭파장치(46)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45)이 형성되며 상단 면에는 상부 몸체(29) 내부로 충진된 질소 개스 혹은 이산화탄소 개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41)이 삽입되는 패킹삽입 홈(44)이 형성된 하부 몸체(42)와;
    상기 분리용 폭약(38)과 접속된 3개의 전극 봉(39)들과 안정된 접촉을 유지하는 탄성의 금속 판(47)이 상단에 고정되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전극 봉(39)에 순간 고압의 전기 충격을 가하여 분리용 폭약(38)이 폭파되도록 하여서 하부 몸체 조립단(36)들이 중간 몸체(33)로부터 폭파·분리 및 이탈이 되도록 하는 분리용 폭약폭파장치(46)와;
    상기 하부 몸체(42) 및 중간 몸체(33)의 일부를 커버링하면서 고정되며 내부는 발사용 장약(50)이 충진되고 저면에는 발사용 뇌관(50)이 구비되어 본 발명을 포(砲)를 통해 발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약 케이스(4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모터 팬(18) 각도조절장치는, 모터 팬(18)의 지지축(19)에 삽입되어 고정볼트(17)로 고정되는 워엄기어(16)와, 밀폐커버(4)의 저면에 나사로 고정된 채 상기 워엄기어(16)와 치합되는 워엄(14)을 가지는 구동축(13)이 조립된 서보모타(12)와, 밀폐커버(4)의 저면에 나사로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13)의 끝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지지대(15)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KR1020080074843A 2008-07-29 2008-07-29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KR10100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843A KR101005134B1 (ko) 2008-07-29 2008-07-29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843A KR101005134B1 (ko) 2008-07-29 2008-07-29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775A true KR20100012775A (ko) 2010-02-08
KR101005134B1 KR101005134B1 (ko) 2011-01-06

Family

ID=4208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843A KR101005134B1 (ko) 2008-07-29 2008-07-29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1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705A (ko) * 2015-11-23 2017-05-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포탄형 정보수집장치
WO2017155218A1 (ko) * 2016-03-08 2017-09-14 주식회사 엑센스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 및 이를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CN108817479A (zh) * 2018-07-23 2018-11-16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斜孔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2537A (en) 1975-02-27 1976-06-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Gun launched reconnaissance system
US5467681A (en) 1994-07-21 1995-11-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annon launched reconnaissance vehicle
JP3856177B2 (ja) 1998-03-31 2006-12-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高速飛翔体
US7283156B1 (en) 2002-09-12 2007-10-1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irborne imag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705A (ko) * 2015-11-23 2017-05-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포탄형 정보수집장치
WO2017090859A1 (ko) * 2015-11-23 2017-06-0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포탄형 정보수집장치
US10798272B2 (en) 2015-11-23 2020-10-06 Hanwha Defense Co., Ltd. Artillery shell-shaped information gathering device
WO2017155218A1 (ko) * 2016-03-08 2017-09-14 주식회사 엑센스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 및 이를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CN108817479A (zh) * 2018-07-23 2018-11-16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斜孔加工装置
CN108817479B (zh) * 2018-07-23 2019-10-11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斜孔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134B1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9327B2 (en) Device for moving or removing artificial satellites
US9725172B2 (en) Surveillance system
US7341224B1 (en) Miniature expendable surveillance balloon system
US3158062A (en) Missile container and launcher
US20170205536A1 (en) Image and/or radio signals capturing platform
US20130206915A1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multimodal, multienvironment, gyropendular craft with compensatory propulsion and fluidic gradient collimation
EP1507703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payload capacity, carriage efficiency, and adaptive flexibility of external stores mounted on an aerial vehicle
Bonin et al. The CanX-7 drag sail demonstration mission: enabling environmental stewardship for nano-and microsatellites
CN108619641B (zh) 一种垂直发射制导消防弹的灭火系统及方法
KR101005134B1 (ko)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CN113926106A (zh) 一种空投式森林灭火弹
KR101374309B1 (ko) 포탄발사식 관측자탄의 비행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882944B (zh) 一种具有双重减震功能的无人机起落架
US10578398B1 (en) Drone deployment apparatus for accommodating aircraft fuselages
KR101362855B1 (ko) 포탄발사식 관측자탄의 감속전개 구조 및 방법
KR101374307B1 (ko) 포탄발사식 관측자탄 및 이를 이용한 관측방법
RU2536297C1 (ru) Многоразовый космический аппарат-буксир для убор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ого космического мусора
Sinn et al. Results of REXUS12's Suaineadh Experiment: Deployment of a spinning space web in micro gravity conditions
RU2750558C2 (ru) Аэростатный ракетно-косм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Johnson et al. Development of a rockoon launch platform and a sulfur fuel pulsed plasma thruster CubeSat
Ganse et al. How to Fly a Spacecraft
KR20230121435A (ko) 공압 추진 드론
Stamminger et al. REXUS-4-Vehicle and Experiments, Outlook on the REXUS/BEXUS Student Programme
van Pelt et al. Launch
Pelt Lau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