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808U -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 Google Patents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808U
KR20100011808U KR2020090006382U KR20090006382U KR20100011808U KR 20100011808 U KR20100011808 U KR 20100011808U KR 2020090006382 U KR2020090006382 U KR 2020090006382U KR 20090006382 U KR20090006382 U KR 20090006382U KR 20100011808 U KR20100011808 U KR 201000118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ase
jaw
case
lighting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남
Original Assignee
오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남 filed Critical 오영남
Priority to KR2020090006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808U/ko
Publication of KR20100011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등 및 안전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조명등케이스와, 상기 조명등케이스 상면에 장착되는 연결브라켓트가 구비되고, 상기 조명등케이스 하면을 커버하는 투과판으로 구성되는 조명등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케이스 상면 네귀에 천공되는 체결공에 각각 강제 삽입되어 천정면과 조명등케이스 상면간 간격을 동일하게 이격시키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실내 천정면에 고정되는 돌출형 조명등케이스를 장착 시공할 때 조명등케이스의 수평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 시공할 수 있는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등케이스, 간격유지구, 탄성결착구, 돌출결합턱, 지지턱

Description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THE LIGHTING CASE SPACE PRESERVATION MEANS}
본 고안은 실내 천정에 장착되는 조명등케이스와 천정면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수평을 유지하며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조명은 실내를 밝게 밝혀주는 기능적인면에서 탈피하여 실내 인테리어 기능을 담당하며 아늑하과 쾌적한 실내 공간의 연출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적인면과 시각적인면을 고려하여 매입형 조명보다는 주로 천정에서 돌출되는 돌출형 조명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돌출형 조명 즉 실내 천정으로부터 이격되며 돌출되는 돌출형 조명등케이스와 더불어, 상기 조명등케이스 하단으로 유리재 또는 아크릴재 등으로 되는 반투명성 커버판을 형성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이 채택되고 있다.
종래에 채택되고 있는 돌출형 조명등케이스는 내부에 형광등과 안전기 및 전 선 등이 배열되고, 조명등케이스 중앙을 관통하는 메인공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조명등케이스 하단측을 커버하는 투과판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조명등케이스 상면측은 실내 천정면과 맞닿는 부분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명등케이스와 천정면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브라켓트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브라켓트와 조명등케이스간 결합에 의해 지지 되는 구성을 갖도록 하고 연결브라켓트의 중앙과 조명등케이스의 중앙에 각각 천공되는 구멍과 메인공을 일치시킨 후, 천정으로부터 연결되는 메인전선을 상기 구멍과 메인공을 통과하도록 한 다음, 조명등케이스 내부에 배열되는 형광등 또는 안전기로부터 이어지는 전선들과 연결되어진다.
이 과정에서 즉 연결브라켓트와 천정면이 맞닿게 되는데 천정면과 조명등케이스 사이에 게재하게 되는 연결브라켓트에 의해 조명등케이스가 천정면과 수평선상으로 위치되기보다는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돌출형 조명수단을 천정에 부착할 때에는 조명등케이스의 수평 유지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조명등케이스가 천정면과 수평선상을 유지하지 못한 상태로 천정에 고정되어질 경우, 투과판을 투과하는 빛이 실내를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며 비추어 주기가 곤란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내 천정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형 조명기구를 실내 천정에 고정할 때, 그 고정되는 조명기구가 천정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형광등(11) 및 안전기(12)가 내부에 수용되는 조명등케이스(10)와, 상기 조명등케이스(10) 상면에 장착되는 연결브라켓트(30)가 구비되고, 상기 조명등케이스(10) 하면을 커버하는 투과판(20)으로 구성되는 조명등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케이스(10) 상면 네귀에 천공되는 각 체결공(14)에 각각 강제 삽입되어 천정면과 조명등케이스(10) 상면간 간격을 동일하게 이격시키는 간격유지구(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간격유지구(40)는 하단측 외주면에 숫나사 형성되고 간격유지구(40)의 몸체(41) 외주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결착구(42)가 꺽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결착구(42) 끝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의 몸체(41)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결합턱(43)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4)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턱(43) 상방의 몸체(41) 상단 외주연으로 지지턱(4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44)이 천정면과 접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간격유지구(40)는 상기 간격유지구(40)는 하단측 외주면에 숫나사 형성되고 간격유지구(40)의 몸체(41) 외주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결착구(42)가 꺽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결착구(42) 끝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의 몸체(41)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자형상을 갖는 돌출결합턱(43)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돌출결합턱(43) 상면으로 다수개의 돌기(45)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4)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턱(43) 상방으로 고정턱(46)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결합턱(43)과 고정턱(46) 사이에 조명케이스(10)의 패널이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돌기(45)가 끼워지기 위한 요홈(15)이 상기 체결공(14) 외주연 저면에 형성되어 삽입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턱(43) 상방의 몸체(41) 상단 외주연으로 지지턱(4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44)이 천정면과 접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천정측에 고정되는 돌출형 조명등케이스를 장착 시공할 때 조명등케이스의 수평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 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각 도면이나, 본 고안의 실시 형태가 첨부하는 도면에서와 동일하게 구성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명등케이스(10)와 실내 천정면간 균일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40)를 제공한다.
먼저, 조명등케이스(10)는 도면 도 1에서 보듯이 그 내부에 형광등(11)과 안전기(12) 등이 배열되고, 중앙의 메인공(13)측을 통해 천정으로부터 인출되는 메인전선이 삽입되도록 하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상기 메인전선과 각 형광등(11) 및 안전기(12)로부터 연결되는 전선 등이 접속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조명등케이스(10) 상면 중앙으로는 조명등케이스(10)와 천정을 연결 결합하기 위한 연결브라켓트(30)가 구성된다.
아울러 조명등케이스(10) 저면으로는 투과판(20)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투과판(20)의 네귀에는 각각 구멍(21)을 천공한다.
상기 연결브라켓트(30)와 조명등케이스(10) 및 천정간 결합 상태 및 구조는 본원 고안에서의 권리범위를 벗어나는 구조이며 이에 대한 기술적 사상은 공지의 것을 따르므로, 본원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브라켓트(30)는 조명등케이스(10)의 상면측 중앙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연결브라켓트(30) 중앙에는 상술한 조명등케이스(10)의 메인공(13)과 동일한 위치에 해당되는 중앙 부분에 관통공(31)을 형성하고 다수의 위치에 각각 구멍(도면부호 미기재)을 천공하여, 조명등케이스(10)에 무수히 천공되는 각 구멍 중 연통되는 위치상에서 천정측으로 피스 등을 관통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듯이, 연결브라켓트(30)가 조명등케이스(10) 상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조명등케이스(10)와 천정면은 이격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한 각 구멍(21)과 일치되는 조명등케이스(10)의 네귀에도 장볼트를 형성하여 상기 투과판(20)을 조명등케이스(10) 저면에 결합하면서 상기 각 구멍(21)측으로 상기 조명등케이스(10)로부터 고정되는 장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조명등케이스(10)가 천정면으로부터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간격유지구(40)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장볼트의 역할을 대신하면서도 조명등케이스(10)와 천정면간 이격되는 이격공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수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간격유지구(40)를 채택하였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간격유지구(4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측 외주면에 숫나사 형성되고 간격유지구(40)의 몸체(41) 외주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결착구(42)가 꺽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결착구(42) 끝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의 몸체(41)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결합턱(43)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4)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턱(43) 상방의 몸체(41) 상단 외주연으로 지지턱(4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44)이 천정면과 접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간격유지구(40)를 이루는 몸체(41)는 원통형으로 하거나 또는 다각면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결착구(42)는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그 단부측과 이격되는 돌출결합턱(4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그 공간은 조명등케이스(10)의 철판 두께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이격 되어, 상기 간격유지구(40)가 조명등케이스(10)의 체결공(14)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결착구(42)의 단부측이 체결공(14) 외주연 즉 조명등케이스(10) 상판의 저면측을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간격유지구(40)를 상기 조명등케이스(10)의 각 체결공(14)측으로 삽입할 때 상기 간격유지구(40)의 상단측 지지턱(44)을 체결공(14)에 끼운 후, 간격유지구(40) 몸체(41) 하단의 나사와 체결되는 캡(도면부호 미기재; 도 3 참조)에 의해 투과판(20)과 체결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조명등케이스(10)와 투과판(20)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간격유지구(40) 상단부의 지지턱(44)은 천정면과 접하며 조명케이스(10)가 전체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공(14) 하단 주연부에는 간격유지구(40)의 탄성결착구(42) 단부측이 지지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간격유지구(40)의 탄성결착구(42)가 체결공(14) 하단 주연부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탄성결착구(42)의 단부측과 돌출결합턱(43) 사이에 조명등케이스(10)의 철판 두께에 상당하는 이격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격유지구(40)의 상기 돌출결합턱(43) 저면으로 다수개의 돌기(45)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턱(43)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자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돌기(45)가 끼워지기 위한 요홈(15)이 조명등케이스(10)에 천공되는 상기 체결공(14) 외주연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요홈(15)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명등케이스(10)의 상판 저면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공(14) 외주연에 다수개의 요홈(15)을 형성하여, 간격유지구(40)의 상단측인 지지턱(44)과 돌출결합턱(43)이 체결공(14)에 삽입되도록 한 후 90° 회전시키면서 돌출결합턱(43) 하단에 해당되는 저면으로 다수개 돌출되는 돌기(45)를 상기 요홈(15)에 강제 삽입되도록 하여 간격유지구(40)의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결합턱(43) 상방으로 이격되며 몸체(41) 외주면으로 고정턱(46)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돌출결합턱(43)과 고정턱(46) 사이에는 요홈(도면부호 미기재)가 형성되어지고 이러한 요홈으로 조명케이스(10)를 이루는 패널이 끼워지며 양측 즉 돌출결합턱(43)과 고정턱(46)에 의해 상하에서 각각 지지되도록 하였다.
한편, 천정으로부터 인출되는 메인선은 연결브라켓트(30)의 중앙 관통공(31)과 조명등케이스(10)의 중앙 메인공(13)을 통해 인입되도록 한 다음, 형광등과 안 전기로부터 인출되는 각 전선을 연결하고, 종래와 같이 조명등케이스(10)와 연결브라켓(30)에 다수개 천공되는 각 구멍(도면부호 미기재)을 통하여 피스등의 고정수단등을 이용하여 천정면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간격유지구(40)가 조명등케이스(10)의 상판 네귀측에 각각 천공되는 체결공(14)에 삽입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하게 되면, 조명등케이스(10) 상판 상방으로 간격유지구(40)의 상단측이 일정길이 동일하게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간격유지구(40) 하단측은 조명등케이스(10)의 하단측을 커버하게 되는 투과판(20)이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즉, 상기 투과판(20)의 네귀에도 동일하게 상기 각 간격유지구(40)의 하단측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간격유지구(40)를 조명등케이스(10)에 삽입한 다음, 투과판(20)을 간격유지구(40)를 이용하여 끼운 후 별도의 너트 등을 이용하여 간격유지구(40)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와 나사 결합하여 조명등케이스(10)와 투과판(20)의 조립 및 천정면과의 고정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도 3 또는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 및 고정이 완료된 상태의 조명등케이스(10) 상단면과 천정면과는 간격유지구(40)의 상단부가 돌출된 길이만큼 이격 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 길이로 돌출되는 간격유지구(40)에 의해 천정면과 조명등케이스(10)는 완전한 수평상태를 항상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간격유지구(40)의 하단부측에 나사봉(50)을 매입하여 인서트 사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봉(50) 상단측 즉 간격유지구(40) 하단 내부측으로 매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으로는 다수개의 돌기(51)를 형성하여 인서트 사출 후 상기 나사봉(50)이 외부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조명등케이스(10) 하단측을 커버하는 투과판(20)과 상기 간격유지구(40) 하단측간 결합에 의해 투과판(20)을 고정하여야 되는데, 상기 조명등케이스(10)의 깊이가 깊거나 또는 투과판(20)의 형상이 라운딩 처리되어 있을 경우, 간격유지구(40)의 하단부측이 투과판(20)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이럴 경우에는 이에 적합한 간격유지구(40)의 별도 생산이 불가피하게 된다.
따라서, 각 조명등케이스(10)의 형태 및 사양 등에 따라 이에 적합한 형태를 갖는 간격유지구(40)의 구비가 필요하게 되는데,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은 형태를 갖는 간격유지구(40)를 제공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투과판(20)의 형태 변화와 조명등케이스(10)의 깊이의 대소(大小)에 상관없이 동일한 간격유지구(40)에 의한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표준화된 간격유지구(40)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일 제품의 제공에 의하더라도 다양한 조명등케이스와 다양한 투과판과의 결합 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호환성이 우수한 신뢰성을 갖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단일 구성에 의한 제품 제공에 의한 생산 코스트등을 현저한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간격유지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간격유지구를 이용하여 조명등케이스와 천정간 간격이 유지되며 고정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간격유지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도 4에 의한 간격유지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 내지 도 5에 의한 간격유지구를 이용하여 조명등케이스와 천정간 간격이 유지되며 고정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간격유지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조명등케이스 11; 형광등
12; 안전기 13; 메인공
14; 체결공 14a; 유도홈
20; 투과판 21; 구멍
30; 연결브라켓트 31; 관통공
40; 간격유지구 41; 몸체
42; 탄성결착구 43; 돌출결합턱
44; 지지턱 45; 돌기
50 ; 나사봉 51; 돌기

Claims (5)

  1. 형광등(11) 및 안전기(12)가 내부에 수용되는 조명등케이스(10)와, 상기 조명등케이스(10) 상면에 장착되는 연결브라켓트(30)가 구비되고, 상기 조명등케이스(10) 하면을 커버하는 투과판(20)으로 구성되는 조명등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케이스(10) 상면 네귀에 천공되는 각 체결공(14)에 각각 강제 삽입되어 천정면과 조명등케이스(10) 상면간 간격을 동일하게 이격시키는 간격유지구(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40)는 하단측 외주면에 숫나사 형성되고 간격유지구(40)의 몸체(41) 외주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결착구(42)가 꺽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결착구(42) 끝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의 몸체(41)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결합턱(43)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4)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턱(43) 상방의 몸체(41) 상단 외주연으로 지지턱(4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44)이 천정면과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40)는 하단측 외주면에 숫나사 형성되고 간격유지구(40)의 몸체(41) 외주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결착구(42)가 꺽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결착구(42) 끝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의 몸체(41)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자형상을 갖는 돌출결합턱(43)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돌출결합턱(43) 상면으로 다수개의 돌기(45)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4)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턱(43) 상방으로 고정턱(46)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결합턱(43)과 고정턱(46) 사이에 조명케이스(10)의 패널이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돌기(45)가 끼워지기 위한 요홈(15)이 상기 체결공(14) 외주연 저면에 형성되어 삽입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돌출결합턱(43) 상방의 몸체(41) 상단 외주연으로 지지턱(4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44)이 천정면과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4)의 양측으로 상기 돌출결합턱(43)이 끼워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14a)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5. 제 2 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40)의 하단부측에, 나사봉(50)을 매입하여 인서트 사출 가 능하도록 하되, 상기 나사봉(50) 상단측의 간격유지구(40) 하단 내부측으로 매입되는 부분 외주면으로 다수개의 돌기(51)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명등켕스 간격유지구.
KR2020090006382U 2009-05-27 2009-05-27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KR201000118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382U KR20100011808U (ko) 2009-05-27 2009-05-27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382U KR20100011808U (ko) 2009-05-27 2009-05-27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08U true KR20100011808U (ko) 2010-12-07

Family

ID=4420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382U KR20100011808U (ko) 2009-05-27 2009-05-27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80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4251A (zh) * 2015-07-14 2015-10-07 江苏达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led灯盘的固定卡扣
KR200481682Y1 (ko) * 2015-07-02 2016-11-17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천장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84142B1 (ko) * 2015-07-07 2016-12-08 한아테크 주식회사 조명기구용 확산 커버 고정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82Y1 (ko) * 2015-07-02 2016-11-17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천장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84142B1 (ko) * 2015-07-07 2016-12-08 한아테크 주식회사 조명기구용 확산 커버 고정 구조
CN104964251A (zh) * 2015-07-14 2015-10-07 江苏达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led灯盘的固定卡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867B1 (ko)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230594B1 (ko) 투광확산판 고정구가 구비된 조명등
KR20100011808U (ko) 조명등케이스 간격 유지구
KR200464562Y1 (ko) 천장 매립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56799B1 (ko) 커버 조립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케이스
KR101170374B1 (ko) 천장 부착형 led 등기구
KR20130003143A (ko) 천정등 고정 장치
KR102267048B1 (ko) 조명 설치용 장착하우징
KR101673569B1 (ko) 일체형의 커버프레임이 구비된 led 평판조명장치
KR200412313Y1 (ko) 천정매입형 조명등기구 소켓
KR200422873Y1 (ko) 천장등 커버 결합장치
KR101948611B1 (ko) 개선된 체결방식을 갖는 조명등
KR101128769B1 (ko) 루버형 매입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9103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EP1479966B1 (en) Support frame for flush-fit light fitting
CN107461619B (zh) 灯具及其灯具组件
CN205402433U (zh) 照明器具
KR200435254Y1 (ko) 마감캡 겸용 등기구 소켓
CN217540522U (zh) 灯盘
KR100810081B1 (ko) 매립형 조명등의 커버하우징
KR101311961B1 (ko) 멀티 고정형 조명등기구
JP6593746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CN210511251U (zh) 一种安装简便的灯具
KR200282575Y1 (ko) 조명기기
KR102534376B1 (ko) 엣지형 엘이디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