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704U -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 - Google Patents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704U
KR20100011704U KR2020100011502U KR20100011502U KR20100011704U KR 20100011704 U KR20100011704 U KR 20100011704U KR 2020100011502 U KR2020100011502 U KR 2020100011502U KR 20100011502 U KR20100011502 U KR 20100011502U KR 20100011704 U KR20100011704 U KR 201000117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indow
opening
operating
clos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164Y1 (ko
Inventor
윤경준
Original Assignee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1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164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1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 된 창문 또는 도어에 장착 사용하는 핸들에 있어서 설치시 개폐방향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 설치할 수 있게 한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마운트(1)의 작동홈(2)에 삽입 장착되어 원복스프링(3)에 의해 항상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는 핸들작동판(4)은 하부 중앙에 걸림편(41)을 돌출 형성하고 작동홈(2)의 하부 좌우측에는 상기 핸들작동판(4)의 작동방향을 결정하는 한 쌍의 제어편(5)(5')이 작용하는 좌방(6) 및 우방(6')을 형성하여 상기 좌방(6)과 우방(6') 각각에 상기 제어편(5)(5')을 삽입시키며 상기 좌우방(6)(6')을 가로질러 스토퍼(7)가 슬라이드안내홈(8)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 조절되게 함으로서 창문의 개폐방향에 따른 핸들의 설치위치에 따라 제어편(5)와(5')를 선택적으로 승강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슬라이드 개폐식 창문에 있어서, 창문 개폐방향에 따라 제어편(5) 또는 (5')를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핸들작동판(4)의 걸림편(41)에 제어될 수 있게 함으로서 창문 시공시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핸들의 작동방향을 손쉽게 전환하여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고, 더불어 개폐방향에 관계없이 하나의 핸들 및 마운트(1)로 조절 설치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색인어]
전환장치, 창호용 핸들, 좌우구분 없이 사용되는 핸들.

Description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a handle of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창문 또는 도어에 장착되어 창문 또는 도어를 간편하고도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창문틀에 장착 사용하는 창호용 핸들에 있어서, 설치시 개폐방향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 설치할 수 있게 한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여닫도록 된 창문 또는 도어의 핸들은 창문의 개폐방향에 따라 좌측용 및 우측용으로 구분되어 제작된다.
다시 말하면 핸들자체가 창문이나 도어를 개폐할 때 미는 방향으로 15°∼45°정도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창문개방시 핸들에 탄력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마운트 내에 설치된 핸들작동판이 미는 방향으로 15°∼45°정도 회전하게 되고, 핸들을 놓으면 회전되었던 핸들작동판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 위치로 원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에 개폐방향에 따라 좌측용과 우측용으로 구분하여 제작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운트를 좌우측용으로 구분 제작하다 보니, 금형 또한 좌우측용을 구분하여 제작하여야 하고, 또 유통시킬 때도 좌우측용으로 구분하여 유통시키게 됨에 따라 금형제작 및 성형, 그리고 유통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듦은 물론 창호 시공시에도 일일히 좌우측을 구분하여 구비함과 동시에 시공하여야 함에 따라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폐단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마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설치방향에 따라 간편하게 개폐방향을 전환시켜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시공성, 작업성을 높이고 생산 및 유통에 따른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마운트(1)의 작동홈(2)에 삽입 장착되어 원복스프링(3)에 의해 항상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는 핸들작동판(4)은 하부 중앙에 걸림편(41)을 돌출형성하고 작동홈(2)의 하부 좌우측에는 상기 핸들작동판(4)의 작동방향을 결정하는 한 쌍의 제어편(5)(5')이 작용하는 좌방(6) 및 우방(6')을 형성하여 상기 좌방(6)과 우방(6') 각각에 상기 제어편(5)(5')을 삽입시키며 상기 좌우방(6)(6')을 가로질러 스토퍼(7)가 슬라이드안내홈(8)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 조절되게 함으로서 창문의 개폐방향에 따른 핸들의 설치위치에 따라 제어편(5)와(5')를 선택적으로 승강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슬라이드 개폐식 창문에 있어서, 창문 개폐방향에 따라 제어편(5) 또는 (5')를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핸들작동판(4)의 걸림편(41)에 제어될 수 있게 함으로서 창문 시공시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핸들의 작동방향을 손쉽게 전환하여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되고, 더불어 하나의 핸들 및 마운트(1)로 개폐방향에 관계없이 설치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호환성 및 생산성 등의 뛰어난 효과가 따르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왼 방향으로 개방되는 창문에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요부저면도임.
도 3b는 오른 방향으로 개방되는 창문에 설치하는 경우의 요부저면도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본 고안은 슬라이드식으로 여닫도록 된 창문 또는 도어에 장착되는 핸들에 있어서, 개폐방향에 따라 좌우 별도로 구성할 수밖에 없었던 마운트(1)의 구조를 개량하여 하나의 핸들베이스로 슬라이드식 창문의 개폐방향에 관계없이 좌우 겸용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데 주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핸들작동판(4)은 원형판 형태로 형성하되 하부에 걸림편(41)을 돌출한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핸들작동판(4)이 끼워져 작용하는 마운트(1)의 작동홈(2)도 원형으로 구성하되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며, 작동홈(2) 하부에 좌우 제어편(5)(5')이 삽입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좌우방(6)(6')을 형성하였다.
또, 상기 좌우방(6)(6')에는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홈(8')을 레일(8)을 형성하고 이곳에 좌 또는 우측으로 이송시켜 제어편(5) 또는 (5')를 제어하는 스토퍼(7)를 설치하였다.
미설명 부호 8은 핸들, 81은 핸들 축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마운트(1)에 원복스프링(3)과 함께 핸들작동판(4)을 삽입 설치하고 좌우방(6)(6')에는 각각 제어편(5)(5')을 끼워 넣되, 창문의 개폐방향에 따라 제어편(5) 또는 (5')를 상승시켜 스토퍼(7)로 받쳐 고정시켜주면 된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드식 창문 또는 도어에 있어서, 왼쪽에 위치하여 오른쪽으로 여닫도록 된 창문에 본 고안의 창호용 핸들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방(6)에 삽입된 제어편(5)을 상승시켜 스토퍼(7)로 제어함으로서 걸림편(41)이 우방(6') 내에서만 작용할 수 있게 하면 되고, 반대로 오른쪽에 위치하여 왼쪽으로 여닫도록 된 창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방(6)의 제어편(5)을 하강시킴과 동시에 우방(6')의 제어편(5')을 상승시켜 스토퍼(7)로 제어시키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창문 시공시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절하여 설치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좌우측용 마운트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조 유통, 시공시 비용절감과 더불어 매우 편리한 특징이 따른다는 것이다.

Claims (1)

  1. 마운트(1)의 작동홈(2)에 삽입 장착되어 원복스프링(3)에 의해 항상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는 핸들작동판(4)은 원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하부 중앙에 걸림편(41)을 돌출형성하고,
    작동홈(2)의 하부 좌우측에는 상기 핸들작동판(4)의 작동방향을 결정하는 한 쌍의 제어편(5)(5')이 작용하는 좌방(6) 및 우방(6')을 형성하여 상기 좌방(6)과 우방(6') 각각에 상기 제어편(5)(5')을 삽입시키며,
    상기 좌우방(6)(6')을 가로질러 스토퍼(7)가 슬라이드안내홈(8)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 조절되게 하여 제어편(5) 또는 (5')를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받쳐 지지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
KR2020100011502U 2010-11-05 2010-11-05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 KR200467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02U KR200467164Y1 (ko) 2010-11-05 2010-11-05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02U KR200467164Y1 (ko) 2010-11-05 2010-11-05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704U true KR20100011704U (ko) 2010-12-02
KR200467164Y1 KR200467164Y1 (ko) 2013-05-29

Family

ID=4420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502U KR200467164Y1 (ko) 2010-11-05 2010-11-05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1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7272A (zh) * 2015-11-17 2016-02-10 广西平果力保佳锁业有限责任公司 一种不分左右结构的拉手面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7272A (zh) * 2015-11-17 2016-02-10 广西平果力保佳锁业有限责任公司 一种不分左右结构的拉手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164Y1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0316B1 (en) A carriage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US10876324B2 (en) Multipoint lock
US20210340800A1 (en) Sliding door system with mono-track assemblies
DE602006007516D1 (de) Nocken und verschiebares Verbindungsglied
EP2050906A3 (en) Gate assembly
US11959321B2 (en) Sliding door system with dual track assemblies
EP3430220B1 (en) Actuating device for the sash of a sliding window or door
EP1752602A3 (de) Fenster mit Hubschiebefunktion
EP2712990B1 (en) Carriage unit for sliding door or window of the lift and slide type
CN204002339U (zh) 一种带纱窗的双层窗型材五金结构
KR200467164Y1 (ko)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
RU2581561C1 (ru) Окно с функцией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WO2009139016A3 (en) Sliding door with variable dimensions
SK286486B6 (sk) Okno alebo dvere
EP3122974B1 (en) Mechanism at pivoting window
KR200396366Y1 (ko) 리프트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EP1970514A2 (en) A sliding door or window
KR20110010934U (ko)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KR200467162Y1 (ko)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
CN203947953U (zh) 门窗安装用可多向调节的固定装置
EP2712993B1 (en) Carriage unit for sliding door or window of the lift and slide type
KR200467160Y1 (ko) 창호용 핸들의 설치방향 전환구조
EP2386703B1 (en) Cremone bolt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r window frames
CN206769689U (zh) 一种限位开启型平开窗
KR102106891B1 (ko) 방풍장치를 구비한 3중 연동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