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169A -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시스템 및이를 제공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시스템 및이를 제공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169A
KR20100011169A KR1020080072274A KR20080072274A KR20100011169A KR 20100011169 A KR20100011169 A KR 20100011169A KR 1020080072274 A KR1020080072274 A KR 1020080072274A KR 20080072274 A KR20080072274 A KR 20080072274A KR 20100011169 A KR20100011169 A KR 20100011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edited
user
user termi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686B1 (ko
Inventor
김연지
전선주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07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6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6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성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메시지, 공동 편집

Description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Method of providing jointly edited message service, system sameof and providing applause sameof}
본 발명은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잇는 대표적인 서비스로 메시지 전송 서비스가 있다. 메시지 전송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 사이에 문자 및 숫자로 구성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편화와 맞물려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간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됨으로 해서 그 이용이 일상화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편집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편집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편집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성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된 각자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공동으로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및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입력부에서 입력된 메시지 내용과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메시지 내용을 이용하여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1, 102), 수신 단말기(200), 이동통신망(300), 이동통신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40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500),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600) 등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1, 102) 및 수신 단말기(200)가 동일한 이동통신망(300), 이동통신 교환기(400) 및 위치 등록기(500)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기(101, 102) 및 수신 단말기(200)가 별도의 이동통신망(300), 이동통신 교환기(400) 및 위치 등록기(5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무선 네트워크(10)로 서로 연결되어 공동으로 메시지를 편집하는 사용자 단말기(101, 102)로 두대의 단말기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대 이상의 단말기가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1, 102) 및 수신 단말기(200)는 회선망(CSN; Circuit Switched Network)과 패킷망(PSN; Packet Switched Network)을 통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메시지의 착신 및 발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1, 102) 및 수신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폰, CDMA-2000 폰, W-CDMA(Wideband CDMA) 폰, 4G(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 등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1, 102) 및 수신 단말기(200)는 위피(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의) 단말기 또는 논위피(Non- WIPI) 단말기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1, 102)는 무선 네트워크(10)로 서로 연결되어,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사용자 단말기(101, 102)를 이용하여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1, 102)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10)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작성함에 있어 필요한 메시지 데이터를 예컨대, 실시간으로 상호 교환할 수 있으므로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동통신망(300)은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며,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기(101, 102)와 수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며, 기지국 제어기는 이를 다시 이동통신 교환기(400)로 전송한다. 이 때,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과 이동통신 교환기(400) 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데, 특히 핸드-오프(hand-off) 기능과 셀 구성 기능을 제공하고, 기지국의 무선 주파수 출력을 제어한다.
이동통신 교환기(400)는 이동통신망(300)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등과 같은 고정망 사이의 연동, 또는 이동통신망(300)과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인터넷망, PSPDN(Packet Switching Public Data Network)과 같은 타사업자의 망 및 기타 통신망 사이의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
홈 위치 등록기(500)는 사용자 단말기(101, 102) 및 수신 단말기(200)의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 서비스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101, 102) 및 수신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특히, 홈 위치 등록기(500)는 사용자 단말기(101, 102) 및 수신 단말기(200)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는 가입 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al Serial Number), 가입된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한다.
메시지 서비스 센터(600)는 메시지용 기본 서비스를 처리하고,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교환기(400) 및 홈 위치 등록기(500)와의 연동을 위한 단말 서비스 MAP(Mobile Application Part)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 서비스 제공자와의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정합 기능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서 메시지 서비스 센터(600)는 사용자 단말기(101, 102)로부터 공동으로 편집되어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MMS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 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작성된 예시적인 메시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블록도를 설명하지만, 수신 단말기 역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를 참고하면, 각 사용자 단말기(101, 102)는 송수신부(110), 입력부(120), 메시지 생성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며, 무선 네트 워크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송수신부(110)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들(도 1의 101, 102)에서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작성함에 있어 필요한 메시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WAN(Wide Area Network),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을 포함하는 무선 PAN, 더욱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화 및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수신부(110)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스프레딩(spreading)할 수 있으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경우 수신 신호를 디스프레딩(dispreading) 및 채널 디코 딩(channel decoding)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1, 102)에서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160)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예컨대, 키패드, 조그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13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서 각각 입력되는 메시지 내용(M1, M2)을 이용하여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101)의 메시지 생성부(130)는 제1 메시지 영역(MA1)에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1)의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내용(M1)이 포함되며, 제2 메시지 영역(MA2)에는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서 작성되어 메시지 내용(M2)이 포함된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 메시지 영역(MA2)에 포함된 메시지 내용(M2)은 제2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사용자 단말기(102)의 메시지 생성부(130)는 제2 메시지 영역(MA2)에는 제2 사용자 단말기(102)의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내용(M2)이 포함되며, 제1 메시지 영역(MA1)에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작성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 메시지 내용(M1)이 포함된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메시지 영역(MA1)에 포함된 메시지 내용(M1)은 제1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 단말기(101, 102)의 메시지 생성부(130)는 각 사용자 단말기(101, 102)에서 입력된 메시지 내용(M1, M2) 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101. 102)에서 입력된 메시지 내용(M1, M2)이 모두 포함된 공통 편집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1, 102)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 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 화면 또는 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생성부(130)로부터 생성된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입력된 메시지 내용과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서 입력된 메시지 내용을 모두 포함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장치,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사용자 단말기(101, 102)의 운영을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50)에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1, 102)들에서 작성한 공동 편집된 메시지와 소정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신 단말기들의 주소가 저장된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EEPR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기(101, 102)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110 내지 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제공되는 예시적인 원시(原始) 메시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 메시지의 공유 편집을 요청한다(S110).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기(10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10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작성함에 있어 필요한 메시지 데이터를 예컨대, 실시간으로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WAN, 무선 MAN, 무선 LAN, 무선 PAN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그비, 블루투스, UWB 등을 포함하는 무선 PAN, 더욱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시지의 공유 편집을 요청하는 것(S110)은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메시지 영역(MA1, MA2)을 포함하는 원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시 메시지는 단말기 자체 또는 시스템에서 기(基) 분할되어 제공되는 메시지 영역(MA1, MA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101, 102)에서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원시 메시지의 제1 메시지 영역(MA1)에 포함될 메시지 내용을 입력한다(S120). 입력된 메시지 내용은 제1 사용자 단말기(101)의 메시지 생성부(130)에서 처리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시지 영역(MA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다(S141).
그리고, 입력된 제1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 전송한다(S130).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는 제2 사용자 단말기(102)의 메시지 생성부(130)에서 처리되어, 제1 사용자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 것과 동일하게 제2 사용자 단말기(102)의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다(S150).
다음으로,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서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공유 편집 중인 제2 메시지 영역(MA2)에 포함될 메시지 내용을 입력한다(S150).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서 메시지 내용이 입력된 이후의 처리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메시지 내용이 입력된 이후의 처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된 메시지 내용은 제2 사용자 단말기(102)의 메시지 생성부(130)에서 처리되어, 제2 메시지 영역(MA2)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다(S172). 그리고, 입력된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 전송한다(S160).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1)의 메시지 생성부(130)에서 처리되어, 제2 사용자 단말기(102)의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 것과 동일하게 제1 사용자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공유 편집된 메시지 작성이 완료된 후,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메시지 관리 센터(600)에 수신 단말기(200)로의 상기 공유 편집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다(S180). 이에, 메시지 관리 센터(600)는 수신 단말기(200)로 상기 공유 편집된 메시지를 전달한다(S190).
도면에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메시지 관리 센터(600)에 수신 단말기(200)로의 상기 공유 편집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유 편집된 메시지 작성이 완료된 후,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서 메시지 관리 센터(600)에 수신 단말기(200)로의 상기 공유 편집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공유 편집된 메시지 작성이 완료된 후, 각 사용자 단말기(101, 102)에서 공유 편집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원시 메시지의 메시지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도 6a의 실시예가 도 4의 실시예와 다른점은 공유 편집 요청을 하기 전에 제1 사용자 단말기(101)의 사용자가 원시 메시지에 포함될 다수의 메시지 영역(MA1, MA2)을 분할하는 단계(S105)를 더 포함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101)의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편집된 메시지에서 각 사용자 단말기(101, 102)에서 입력한 메시지 내용이 포함될 메시지 영역(MA1, MA2)을 공유 편집 요청을 하기 전에 임의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영역(MA1, MA2)을 분할하는 방식은 키패드, 조그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부(120)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메시지 내용 뿐만 아니라 메시지가 포함될 메시지 영역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편집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7의 실시예는 도 6a의 실시예와 달리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 공유 편집 요청을 한 이후에 제2 사용자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메시지 내용이 포함될 메시지 영역(MA1, MA2)을 임의로 분할한다(S113). 그리고 상기 분할된 메시지 영역(MA1, MA2)을 포함하는 원시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기(102)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101)에 전송한다(S115). 이에 의해, 공유 편집 요청을 받은 제2 사용자 단말기(102)의 사용자 요구에 따라 메시지가 포함될 메시지 영역이 용이하게 편집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작성된 예시적인 메시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제공되는 예시적인 원시(原始) 메시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원시 메시지의 메시지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무선 네트워크 101, 102: 사용자 단말기
200 : 수신 단말기 300 : 이동통신망
400 : 이동통신 교환기 500: 홈 위치 등록기
600 : 메시지 서비스 센터

Claims (11)

  1.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성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된 각자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공동으로 작성한 메시지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인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되어 작성된 메시지는 분할된 메시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 메시지 영역은 상기 각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다수의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된 각자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공동으로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는 분할된 메시지 영역을 포함하는 원시(原始)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각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공동 편집될 메시지의 상기 분할된 메시지 영역에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분할된 메시지 영역은 상기 다수의 사용자 중 한 사용자에 의하여 분할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작성한 이후에 상기 공동으로 작성된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방법.
  9. 제1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는 입력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메시지 내용과 상기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메시지 내용을 이용하여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내용과 상기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내용을 모두 포함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장치.
KR20080072274A 2008-07-24 2008-07-24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시스템 및이를 제공하는 장치 KR10105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2274A KR101058686B1 (ko) 2008-07-24 2008-07-24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시스템 및이를 제공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2274A KR101058686B1 (ko) 2008-07-24 2008-07-24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시스템 및이를 제공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69A true KR20100011169A (ko) 2010-02-03
KR101058686B1 KR101058686B1 (ko) 2011-08-22

Family

ID=4208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2274A KR101058686B1 (ko) 2008-07-24 2008-07-24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시스템 및이를 제공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753A (ko) * 2012-07-26 2014-02-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기념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통합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753A (ko) * 2012-07-26 2014-02-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기념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통합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686B1 (ko) 201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5996B2 (en) System, terminal, network entit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stem selection in a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KR101659765B1 (ko) 다중 모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30004761A (ko) 방송형 메시지 전송장치 및 그 방법
CA26827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er id name disp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1422024A (zh) 从外部设备对移动通信设备的呼叫发起进行的载波类型选择
CN102625001A (zh) 基于手机通讯获取对方归属地天气情况的系统及方法
CN101159907A (zh) 一种多模移动通信终端的加密方法及加密系统
CN107912083A (zh) 工作模式切换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3767675B (zh) 节能配置方法及其装置
NO324672B1 (no) Anordning og fremgangsmate til oppdatering av servislogikk i en mobil enhet
KR20090089393A (ko) 무선 통신 단말
KR101058686B1 (ko) 공동 편집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제공 시스템 및이를 제공하는 장치
US11026220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2695244B (zh) 根据服务通信类型选择基站收发机系统的方法和设备
KR1014163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739846B (zh) 群组分享系统及方法
CN114788217A (zh) 侧行链路通信方法及装置
CN104427563A (zh) 基站信号锁定方法及系统
KR100792832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체감 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850908B1 (ko) 위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CN202587127U (zh) 基于手机通讯获取对方归属地天气情况的系统
KR1008209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
KR100650646B1 (ko) 그룹 템플레이트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07530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선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선물 서비스 제공 방법
TWI249327B (en) Method to modify the internal setting of mobile station in low-tier system by message se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