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967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967B1
KR100820967B1 KR1020060046574A KR20060046574A KR100820967B1 KR 100820967 B1 KR100820967 B1 KR 100820967B1 KR 1020060046574 A KR1020060046574 A KR 1020060046574A KR 20060046574 A KR20060046574 A KR 20060046574A KR 100820967 B1 KR100820967 B1 KR 100820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2968A (ko
Inventor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967B1/ko
Publication of KR2007011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9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 중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에 대한 지리정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메신저, 인스턴스, 위치, GPS, 셀, LB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osition Informationnstant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메시징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스턴스 메시징 시스템 100 : 제1 이동통신 단말기
110 : 기지국 120 : LBS 서버
130 :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 140 : 제2 이동통신 단말기
142 : 송수신부 144 : 입력부
146 : 메모리부 148 : 표시부
150 :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 중에 하나가 인스턴스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 이하 메신저 서비스)이다.
여기서 메신저 서비스란,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미리 자신이 설정한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친구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채팅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때, 자신이 설정한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친구들의 목록을 대화상대 목록이라고 하며, 사용자들은 전술한 대화상대 목록에 등재된 대화상대들의 현재 상태(예컨대, 통화중, 수신 거부, 전원의 온(ON)/오프(OFF) 및 콜 전환 등)의 변화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대화상대들의 상태만을 알 수 있었고, 대화상대들의 현재 위치는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대화상대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서비스에 가입하고, 해당 메뉴로 진입하여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위치 정보를 종래의 대화상대의 변화된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버인 프리젠스 서버(Presence Server)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서, 대화상대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상태정보를 패킷화 한 후, 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할당받기 위해 소정의 협상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로 인해 상태정보 패킷의 전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무선망의 자원을 과다하게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화상대의 상태정보가 표시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정보 표시 방법, 인스턴스 메시징 시스템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신저 서비스의 수행중에 대화상대들의 현재 위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위치정보의 제공시에 채널을 할당받기 위한 협상과정을 줄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대화상대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 중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에 대한 지리정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에는 지리정보의 표시를 위한 메뉴가 표시되고, 제어부는 메뉴가 선택되면 지리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메뉴가 선택되면 위치정보가 표시된 표시부의 화면과는 별도의 화면에 지리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송수신부를 통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한 지리정보가 수신되고,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지리정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은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 중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한 지리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리정보의 표시를 위한 메뉴가 표시되고, 메뉴가 선택되면 지리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메뉴가 선택되면 위치정보가 표시된 화면과는 별도의 화면에 지리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한 지리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지리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삭제
<인스턴스 메시징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메시징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스 메시징 시스템(10)은,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 기지국(110), LBS 서버(120),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 및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중인 상태에서 자신이 속한 셀에서 가장 가까운 기지국(110)과 주기적으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성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GPS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고정국의 한 형태로써 해당 영역의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LBS 서버(120)는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 System ;LBS)를 수행하는 서버로서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중인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한다.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는 메신저 관리서버(132), 프리젠스 서버(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지국(110)으로부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메신저 관리서버(132)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의 메신저 서비스의 접속을 유지하여 관리한다.
프리젠스 서버(134)는 LBS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대화상대로 등재된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에 접속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중이며,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로부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은, LBS 서버(120)가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중인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하는 단계(S200~S230)와, 메신저 서비스의 접속을 관리중에, LBS 서버(120)로부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가 이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로 전송하는 단계(S240) 및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대화상대로 등재되어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중인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가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로부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S25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에 접속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중인 상태에서 자신이 속한 셀에서 가장 가까운 기지국(110)과 주기적으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S200). 이에 따라서, 기지국(110)은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LBS 서버(120)로 전송한다(S210).
이러한 방법은 셀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어떤 기지국하고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인구 밀집지역인 서울 등의 경우 수십 미터 간격으로 촘촘하게 기지국이 세워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지국을 기반으로 가입자와 연결된 기지국을 이용하여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예컨대,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강남역에 위치한 강남역 기지국(110)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강남역 기지국(110)이 위치한 강남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아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지국(110)이 전송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수신한 LBS 서버(120)는 지리정보가 저장된 저장부(122)를 확인하여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정보를 추출하고,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유선으로 연결된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로 전송한다(S230).
이 후,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의 메신저 관리서버(132)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대화상대 목록으로 등재하고, 현재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에 접속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중인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의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34)는 메신저 관리서버(132)로부터 확인된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전송한 다(S240).
이를 수신한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및 지리정보를 표시한다(S250).
여기서, LBS 서버(120)와 인스턴스 메시징 서버(130)가 유선으로 연결됨으로써 위치정보 및 지리정보의 전송시 매우 효율적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기지국(110)을 기반으로 한 셀 방식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성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GPS부를 통해 수신된 현재 위치정보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GPS 위성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여 이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알려주고,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자신과 무선신호를 송수신 중인 기지국(110)으로 이를 전송한다.
한편,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중인 상태에서 현재 무선신호를 송수신 중인 기지국(110)에서 다른 기지국(부호 미도시)으로 이동할 때에도 이와 동일하다.
즉,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다른 기지국(부호 미도시)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핸드오프 등의 과정을 수행한 후(또는 수행중)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위치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제2 이동통신 단말기(140)의 구성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40)는, 송수신부(142), 입력부(144), 메모리부(146), 표시부(148)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42)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40) 내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되도록 하고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되도록 한다. 이때, 송수신부(142)는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 중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입력부(144)는 숫자키 및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메신저 서비스의 수행 및 대화상대를 선택하면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메모리부(146)는 플래쉬 메모리, 램(RA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 인스턴스 메신저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표시부(148)는 송수신부(142)를 통해 수신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제어부(150)로부터의 각종 정보신호를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MSM(Mobile Station Modem)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40) 의 일반적인 입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의 수행 및 송수신부(142)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표시 방법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하는 접속단계(S400~S410)와, 인스턴스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 중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S420) 및 수신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S430~S450)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부(144)를 이용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을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46)에 저장된 인스턴스 메신저 서비스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고 메신저 서비스의 수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400).
이 후, 송수신부(142)를 통하여 메신저 서비스의 수행을 허락하는 메시지와 미리 등재된 대화상대 목록을 수신하여 표시부(148)에 표시한다(S410).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송수신부(142)를 통하여 사용자의 대화상대 목록으로 등재된 "김실장, 이대리, 김부장, 박대리, 이대리2" 등의 목록을 수신하여 이를 각 대화상대의 온(ON)/오프(OFF) 여부와 함께 표시한 다.
이때, 온라인 상태인 "김실장, 이대리"는 온/오프 여부와 함께 현재의 위치정보가 송수신부(142)를 통하여 수신되고(S420), 제어부(150)는 이를 확인하여 표시부(148)에 표시한다(S430). 즉, 전술한 방법으로 "김실장"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따라, "김실장"의 현재위치인 "강남역"이 표시되고, "이대리"의 현재위치인 "구로"가 표시부(148)에 표시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대화상대의 "지리정보 보기(500)"를 선택하는지 확인한다(S440). 예컨대, 선택 바(Bar)가 "김실장"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리정보 보기(500)"를 누르면 제어부(150)는 이를 감지하여 "김실장"이 위치한 곳의 "강남역"의 지리정보가 (b)와 같이 표시부(148)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450).
이와 같이, 대화상대의 위치정보와 지리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대화상대의 상태를 좀 더 적극적으로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를 뒷받침하여 해석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메신저 서비스의 수행중에 대화상대들의 현재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 위치정보의 제공시에 채널을 할당받기 위한 협상과정을 줄임으로써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화상대의 상태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대화상대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지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서비스의 가입이 불필요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 중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대한 지리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지리정보의 표시를 위한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지리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위치정보가 표시된 상기 표시부의 화면과는 별도의 화면에 상기 지리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한 상기 지리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지리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 중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한 지리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표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의 표시를 위한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지리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표시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위치정보가 표시된 화면과는 별도의 화면에 상기 지리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표시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한 상기 지리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지리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표시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060046574A 2006-05-24 2006-05-24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 KR10082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574A KR100820967B1 (ko) 2006-05-24 2006-05-24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574A KR100820967B1 (ko) 2006-05-24 2006-05-24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68A KR20070112968A (ko) 2007-11-28
KR100820967B1 true KR100820967B1 (ko) 2008-04-10

Family

ID=3909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574A KR100820967B1 (ko) 2006-05-24 2006-05-24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668B1 (ko) * 2013-07-05 2020-02-03 네이버 주식회사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을 이용한 호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42B1 (ko) 2002-10-21 2005-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인스탄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78155A (ko) * 2004-01-31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메신저/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00833A (ko) * 2004-06-29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대방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42B1 (ko) 2002-10-21 2005-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인스탄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78155A (ko) * 2004-01-31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메신저/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00833A (ko) * 2004-06-29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대방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68A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897B1 (ko) 휴대단말기에서 RCS(Rich Communication Suite)의 Capability Discovery를 위한 SIP OPTIONS 메시지 교환 방법 및 장치
EP2046091B1 (en) Proximity of user equipment to a home local network
CN101640911B (zh) 移动通信系统及其控制装置、以及切换控制方法
JP4310150B2 (ja) 携帯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4158568A (zh) 一种信息分享方法及终端
KR2012001782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527770A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1543094B (zh) 寻呼处理方法、装置、用户设备、基站及存储介质
KR100754829B1 (ko) 일정 관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6465072B (zh) 一种呼叫转移的方法和终端
CN115280833A (zh) 信道状态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通信设备
US94910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209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표시 방법
CN110602738B (zh) 网络连接方法、装置及电子装置
KR2008001447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품질 측정방법 및 시스템
CN107104721B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100664185B1 (ko)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6277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CN112188603B (zh) 功率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0208456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CN107465827B (zh) 一种信息回复的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4175740A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KR2010011627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9565710B (zh) 传输数据的方法、装置和系统
CN106792922B (zh) 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