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063A -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063A
KR20100011063A KR1020080072112A KR20080072112A KR20100011063A KR 20100011063 A KR20100011063 A KR 20100011063A KR 1020080072112 A KR1020080072112 A KR 1020080072112A KR 20080072112 A KR20080072112 A KR 20080072112A KR 20100011063 A KR20100011063 A KR 20100011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base station
transmission resource
terminal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957B1 (ko
Inventor
권일원
한정희
이상민
민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957B1/ko
Priority to US13/055,636 priority patent/US8849240B2/en
Priority to PCT/KR2009/004110 priority patent/WO2010011094A2/en
Publication of KR2010001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긴급 통화를 요청하는 긴급 통화 단말;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중계하여 서빙 기지국에 전달하는 중계 단말;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이 할당된 영역의 전송 자원의 사용을 중지하는 주변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에 따른 방법을 제공한다.
긴급 통화

Description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A system for emergency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긴급 통신 시 주변 기지국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동기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특정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밖 또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홀에 위치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긴급한 통신을 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다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지국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 사이에서 직접 통신하는 P2P(Peer To Peer) 통신 기법을 말한다. 종래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 셀 커버리지 내 두 개의 단말(MS, Mobile Station)들이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 매우 근접해 있더라도 기지국(BS, Base Station)의 중계를 통해서만 통신할 수 있었지만, 동일한 셀에 있는 두 개의 단말 들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 경우에는 기지국의 중계를 통하는 것보다 이들이 직접 통신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 있다.
이때,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해당 기지국의 이웃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간섭에 의해, 이러한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요구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통화시 주변의 전파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본 발명은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긴급 통화를 요청하는 긴급 통화 단말;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중계하여 서빙 기지국에 전달하는 중계 단말;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이 할당된 영역의 전송 자원의 사용을 중지하는 주변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긴급 통화 방법은, 긴급 통화 단말이 긴급 통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중계 단말이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중계하여 서빙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하여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 기지국이 상기 서빙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이 할당된 영역의 전송 자원의 사용을 중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긴급 통화를 요청하는 긴급 통화 단말;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중계하여 서빙 기지국에 전달하며,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이 할당되면 할당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 통화 단말과 통신하는 중계 단말; 및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들이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상기 중계 단말에 알리는 서빙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긴급 통화 방법은, 중계 단말이 긴급 통화 단말의 긴급 통화 요청을 중계하여 서빙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하여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상기 중계 단말에 할당하여 긴급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긴급 통화를 위한 방법은,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긴급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긴급 통신을 위한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은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긴급 통화를 위한 전송 자원("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긴급 통화시 셀 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긴급 통화를 원할히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셀이 혼재된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가정한다.
도 1에 다수의 기지국(110, 120)과, 각 기지국(110, 120)의 서비스 영역인 셀들, 및 다수의 사용자 단말(210, 220)이 도시되었다. 이때, 다수의 사용자 단말 중 셀들의 영역에서 벗어나거나, 상기 셀 영역에 속하나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에 위치하여 기지국(110, 120)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사용자 단 말(210, 220)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 220)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어떠한 기지국(110, 120)으로부터 프리엠블(preamble)을 수신할 수 없어 기지국(110, 120)에 접속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셀 영역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220)을 이용하여 기지국(110)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기지국(110, 120)으로부터 직접 서비스를 받을 수 없어 다른 사용자 단말(220)을 이용하여 기지국(11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긴급 통화 단말(EC, Emergency Caller)(210)이라 칭하며, 긴급 통화 단말(210)과 기지국의 통신을 중계하는 사용자 단말을 중계 단말(22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110, 120)은 중계 단말(120)을 통해 긴급 통화 단말(110)에 긴급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단말(220)의 서빙 기지국(110)과, 서빙 기직국의 주변의 주변 기지국(120)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긴급 통화를 요청하는 긴급 통화 단말(210)과, 긴급 통화 요청을 중계하는 중계 단말(220), 중계 단말(220)로부터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하여 긴급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100) 및 서빙 기지국(110)의 요청을 통해 특정 전송 자원을 사용하지 않는 주변 기지국(100)을 포함한다.
긴급 통화 단말(210)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어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도 속하지 않으며, 긴급 통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이다. 긴급 통화 단말(210)은 동기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 SCH)을 통해 긴급 통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주변 사용자 단말들에게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긴급 요청 통화 신호"로 축약하고, "E_call_req"와 혼용하여 표기하도록 한다.
중계 단말(220)은 긴급 통화 요청 신호(E_call_req)를 수신하여, 수신한 긴급 통화 요청 신호(E_call_req)를 중계하는 신호를 서빙 기지국(110)에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긴급 요청 중계 신호"라 칭하고, "E_call_relay_req"와 혼용하여 표기하도록 한다. 이때, 긴급 요청 중계 신호(E_call_relay_req)는 RRC( Ranging Request Channel)을 통해 전송 할 수 있다.
한편, 긴급 통화 단말(110)은 주변의 모든 사용자 단말에 긴급 통화 요청 신호(E_call_req)를 전송한다. 따라서 중계 단말(220)은 다수개가 될 수 있다.
긴급 통화 단말(210) 및 중계 단말(220)은 중계 단말(220)의 서빙 기지국(110)이 할당한 전송 자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며, 중계 단말(220)은 이러한 전송 자원을 통해 긴급 통화 단말(210)과 서빙 기지국(110)을 연결한다.
서빙 기지국(110)은 중계 단말(220)(110)의 서빙 기지국(110)으로, 중계 단말(220)로부터 긴급 요청 중계 신호(E_call_relay_req)를 수신하여, 긴급 통화 단말(210)의 존재를 확인한다. 또한, 서빙 기지국(110)은 긴급 통화를 위하여, 긴급 통화를 위한 전송 자원을 할당한다. 이하로는 이러한 긴급 통화를 위한 전송 자원을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은 전송 자원의 어느 일 영역을 지정할 수 있으며, 상향 및 하향 링크 구간 중 어느 구 간이라도 무방하다. 이는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빙 기지국(110)은 긴급 통화 전송 자원에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변 기지국(120)에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를 전송하여, 긴급 통화 전송 자원에 할당된 프레임 영역에서 셀 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빙 기지국(110)이 긴급 통화 서비스를 위해 할당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120)이 동일하게 사용할 경우, 셀 간 간섭이 발생하여 긴급 통화 서비스가 원할이 수행 될 수 없으므로, 서빙 기지국(110)이 주변 기지국(120)에 할당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과 일치하는 전송 자원을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기 위한 신호이다. 보호 구간은 긴급 통화 자원으로 할당된 프레임과 일치함이 바람직하다.
주변 기지국(120)은 서빙 기지국(110)의 셀과 인접한 셀의 기지국이며, 서빙 기지국(110)으로부터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를 수신하여, 보호 구간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전송 자원의 프레임 구간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면, 전술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자원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면 부호 (가)를 참조하면, 일 프레임은 8 서브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또한, 8 서브 프레임 중 4 서브 프레임은 상향 링크(Up Link : UL) 프레임이며, 다른 4 서 브 프레임은 하향 링크(Down Link : DL) 프레임이라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은 상기 8개의 서브 프레임 중 어느 일 서브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이는 상향 또는 하향 링크 프레임 여부에 무관하다.
즉, 도면 부호 (나)에서와 같이 상향 링크(UL) 프레임에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도 있으며, 도면 부호 (다)에서와 같이 하향 링크(DL) 프레임에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도 있다.
도 2b에 상향 링크(UL) 프레임에 긴급 통화를 위한 전송 자원을 할당한 예를 도시하였다. 도 2b를 살펴보면, 기지국은 4번째 서브 프레임을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할당하였다. 그러면, 중계 단말(220) 및 긴급 통화 단말(210)은 할당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4번째 서브 프레임 구간을 둘로 분할하여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중계 단말(220)의 입장에서는 4번째 서브 프레임을 순차로 송신(Tx) 및 수신(Rx) 슬롯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긴급 통화 단말(210)의 입장에서는 순차로 수신(Rx) 및 송신(Tx) 슬롯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c에 하향 링크(DL) 프레임에 긴급 통화를 위한 전송 자원을 할당한 예를 도시하였다. 도 2c를 살펴보면, 기지국(100)은 8 번째 서브 프레임을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할당하였다. 그러면, 중계 단말(220) 및 긴급 통화 단말(210)은 할당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8 번째 서브 프레임 구간을 둘로 분할하여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중계 단말(220)의 입장에서는 8 번째 서브 프레임을 순차로 송신(Tx) 및 수신(Rx) 슬롯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긴 급 통화 단말(210)의 입장에서는 순차로 수신(Rx) 및 송신(Tx) 슬롯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송 자원 중 일부를 긴급 통화 전송 자원으로 할당한 경우, 긴급 통화 단말(210)은 해당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의 송신(Tx) 슬롯을 이용하여 중계 단말(220)에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Rx) 슬롯을 통해 수신한 중계 단말(220)은 상향 링크(UL) 프레임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중계 단말(220)은 서빙 기지국(110)이 전송하는 신호를 하향 링크(DL) 프레임을 통해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를 송신 슬롯(Tx)을 통해 긴급 통화 단말(21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긴급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상술한 긴급 통화를 위한 전송 자원이 할당된 구간에서 인접 셀 간섭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인접 셀 간섭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통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긴급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100)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기지국(100)의 동기를 획득하고, 기지국(100)으로부터 전송 자원을 할당받아야 한다. 여기서, 긴급 통신 단말(100)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어떠한 기지국(100)으로부터 프리엠블(preamble)을 수신할 수 없어 기지국(100)의 동기를 획득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이때, 긴급 통화 단말(210)은 S301 단계에서 긴급 통화 요청 신 호(E_call_req)를 주변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긴급 통화 요청 신호(E_call_req)를 전송하는 대상 사용자 단말(200)은 셀 영역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200)이 된다.
또한, 긴급 통화 요청 신호(E_call_req)를 전송하는 채널은 동기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 SCH)을 통해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즉, 셀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200)들이 이러한 긴급 통화 요청 신호(E_call_req)를 동기 채널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동기 채널은 방송 채널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기지국(100)들로부터 셀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을 받을 수 있으나, 하향 링크(DL) 구간이므로 해당 셀의 사용자 단말(200)들로부터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수의 셀이 혼재된 환경에서 긴급 통화 요청 신호(E_call_req)를 수신하는 것은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긴급 통화 요청 신호(E_call_req)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은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며, 이러한 긴급 통화 요청 신호(E_call_req)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중계 단말(220)은 S303 단계에서 긴급 요청 중계 신호(E_call_relaying_req)를 중계 단말(220)의 서빙 기지국(110)으로 전송한다.
긴급 요청 중계 신호(E_call_relaying_req)를 수신한 서빙 기지국(110)은 S305 단계에서 긴급 통화 서비스 모드로 전환하고, 긴급 통화를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때, 서빙 기지국(110)은 긴급 통화를 위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기 설정된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한 후, 새로 할당 할 수 있다.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할당 영역은 앞서 도 2a 내지 도 2c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런 다음, 서빙 기지국(110)은 S307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120)들에게 긴급 통화 전송 자원으로 할당된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를 전송한다.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는 주변 셀 간섭(inter-cell interference)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서빙 기지국(110)의 1 홉(1-hop) 범위 내의 주변 기지국(120)들에 전송한다. 1 홉 범위 이외의 주변 기지국(120)의 신호에서는 실질적으로 셀 간섭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여기서,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는 서빙 기지국(110)이 긴급 통화 전송 자원으로 할당한 프레임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를 수신한 주변 기지국(120)들은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에서 지시하는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는다.
주변 기지국(120)들은 S309 단계에서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도록 서빙 기지국(110)에 보호 구간 응답 신호(Guard_cell_req)를 전송한다.
그러면, 서빙 기지국(110)은 S311 단계에서 중계 단말(220)에 중계 요청 식별자(E_call_relaying_ID)를 전송하여 중계 단말(220)에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할당한다.
중계 요청 식별자(E_call_relaying_ID)는 긴급 통화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및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중계 요청 식별 자(E_call_relaying_ID)는 중계 단말이 긴급 통화를 중계하도록 하는 지시자가 될 수 있다.
중계 요청 식별자(E_call_relaying_ID)를 수신한 중계 단말(220)은 중계 단말(220)은 S313 단계에서 중계 요청 응답(E_call_relaying_rsp)을 서빙 기지국(110)에 전송한다.
그런 다음 중계 단말(220)은 S315 단계에서 긴급 통화 중계 모드로 전환한다. 긴급 통화 중계 모드에서 중계 단말(220)은 긴급 통화 단말(210)과 동기를 맞춰 긴급 통화 단말(2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달하며, 서빙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긴급 통화 단말(21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중계 단말(220)은 S317 단계에서 긴급 통화 응답 신호(E_call_rsp)를 전송한다. 긴급 통화 응답 신호(E_call_rsp)는 긴급 통화 단말(210)이 중계 단말(220)에 동기를 맞추기 위한 프리엠블(preamble) 및 긴급 통화 단말(210)과 중계 단말(220)간에 사용할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의 정보를 포함한다.
중계 단말(220)로부터 프리엠블(preamble)을 수신한 긴급 통화 단말(210)은 프리엠블(preamble)을 통해 해당 중계 단말(220)의 동기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기에 따라 할당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인지한다. 이때, 중계 단말(220)은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의 위치를 프리엠블에 연속하여 전송하는 MAP을 통해 알리고, 긴급 통화 단말(210)은 긴급 통화 전송 자원 프레임 위치를 MAP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긴급 통화 단말(210)은 S319 단계에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으로 할당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중계 단말(220)을 거쳐 서빙 기지국(110)과 통신을 수 행한다.
긴급 통화가 종료되면, 긴급 통화 단말은 S321 단계에서 긴급 통화 종료 신호(E_call_end)를 중계 단말(220)을 거쳐 서빙 기지국(110)에 전달된다.
그러면, 서빙 기지국(110)은 S323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120)에 긴급 통화 서비스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도록 긴급 통화 종료 신호(E_call_end)를 전송한다. 그러면, 주변 기지국(120)은 해당 긴급 통화 자원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하지 않았던 전송 자원의 사용을 재개한다.
이와 같이, 긴급 통화 서비스 시, 서빙 기지국은 주변의 기지국에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를 전송하여, 주변 기지국이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셀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긴급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긴급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긴급 통화 단말이 중계 단말로 긴급 통화 요청 신호(E_call_req)를 전송한 경우, 중계 단말은 자신의 서빙 기지국(110)으로 긴급 요청 중계 신호(E_call_relaying_req)를 전송한다.
서빙 기지국(110)은 S401 단계에서 긴급 요청 중계 신호(E_call_relaying_req)를 수신한다. 그러면, 서빙 기지국(110)은 긴급 통화 서비스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서빙 기지국(110)은 S403 단계 긴급 통화 전송 자원으 로 사용할 프레임을 결정한다. 이러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은 기 설정된 프레임(서브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중계 단말(220)이 서빙 기지국(110)에 초기 접속시, 서빙 기지국(110)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은 서빙 기지국(110)이 긴급 통화 서비스 모드로 전환한 후 스케줄링(scheduling)하여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은 도 2a 내지 도 2c에서 설정한 바와 같이, 상향 및 하향 링크(UL, DL) 프레임에 무관하며, 일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빙 기지국(110)은 S405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120)들에게 긴급 통화 전송 자원으로 결정된 프레임(서브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를 전송한다.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는 주변 셀 간섭(inter-cell interference)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서빙 기지국의 1 홉(1-hop) 범위 내의 주변 기지국에 전송한다.
여기서,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는 서빙 기지국(110)이 긴급 통화 전송 자원으로 할당한 프레임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를 수신한 주변 기지국(120)들은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에서 지시하는 프레임(서브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주변 기지국(120)들은 보호 구간 요청 신호(Guard_cell_req)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도록 서빙 기지국(110)에 보호 구간 응답 신호(Guard_cell_req)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주변 기지국(120)들로부터 보호 구간 응답 신호(Guard_cell_req) 를 수신한 서빙 기지국(110)은 S407 단계에서 중계 단말(220)에 중계 요청 식별자(E_call_relaying_ID)를 전송하여 중계 단말(220)에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이용하도록 한다.
중계 요청 식별자(E_call_relaying_ID)는 긴급 통화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및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중계 요청 식별자(E_call_relaying_ID)는 중계 단말(220)이 긴급 통화를 중계하도록 하는 지시자가 될 수 있다.
중계 요청 식별자(E_call_relaying_ID)를 수신한 중계 단말(220)은 중계 단말(220)은 중계 요청 응답(E_call_relaying_rsp)을 서빙 기지국(110)에 전송한다. 그런 다음 중계 단말(220)은 긴급 통화 중계 모드로 전환한다. 긴급 통화 중계 모드에서 중계 단말(220)은 긴급 통화 단말(210)과 동기를 맞춰 긴급 통화 단말(2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달하며, 서빙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긴급 통화 단말(210)로 전송한다.
이러한 긴급 통화가 종료되면, 긴급 통화 단말은 긴급 통화 종료 신호(E_call_end)를 중계 단말(220)을 거쳐 서빙 기지국(110)에 전달된다. 이를 통해 서빙 기지국은 긴급 통화가 종료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110)은 S409 단계에서 긴급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긴급 통화가 종료되면, 서빙 기지국(110)은 서빙 기지국(110)은 S411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120)에 긴급 통화 서비스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도록 긴급 통화 종료 신호(E_call_end)를 전송한다. 그러면, 주변 기지국(120)은 해당 긴급 통화 자원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하지 않았던 전송 자원의 사용을 재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은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긴급 통화를 위한 전송 자원("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긴급 통화시 셀 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긴급 통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긴급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3)

  1.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긴급 통화를 요청하는 긴급 통화 단말;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중계하여 서빙 기지국에 전달하며,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이 할당되면 할당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 통화 단말과 통신하는 중계 단말; 및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들이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상기 중계 단말에 알리는 서빙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2.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중계 단말이 긴급 통화 단말의 긴급 통화 요청을 중계하여 서빙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하여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상기 중계 단말에 할당하여 긴급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긴급 통화 방법.
  3. 기지국의 긴급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긴급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주변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결정된 긴급 통화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긴급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긴급 통신을 위한 방법.
KR1020080072112A 2008-07-24 2008-07-24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548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112A KR101548957B1 (ko) 2008-07-24 2008-07-24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US13/055,636 US8849240B2 (en) 2008-07-24 2009-07-23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base station
PCT/KR2009/004110 WO2010011094A2 (en) 2008-07-24 2009-07-23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112A KR101548957B1 (ko) 2008-07-24 2008-07-24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063A true KR20100011063A (ko) 2010-02-03
KR101548957B1 KR101548957B1 (ko) 2015-09-02

Family

ID=4157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112A KR101548957B1 (ko) 2008-07-24 2008-07-24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49240B2 (ko)
KR (1) KR101548957B1 (ko)
WO (1) WO201001109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2782B2 (en) 2011-01-28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e station disconnected from a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677B1 (ko) * 2007-09-03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기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자원을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669827B2 (ja) * 2010-04-20 2015-02-1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基地局、移動局、協調移動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ES2689963T3 (es) * 2010-08-03 2018-11-16 Nec Corporation Dispositivo de la estación de retransmisión, sistema de comunicación móvil, dispositivo de la estación base y método para controlar la estación de retransmisión
WO2013086366A2 (en) * 2011-12-08 2013-06-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VANCED TOPOLOGY (AT) POLICY MANAGEMEN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WTRUs)
US20140080439A1 (en) * 2012-04-09 2014-03-20 James K. Chun Mobile Telephone Sudden Impact Warning and Reporting Feature
US8868025B2 (en) * 2012-08-14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rioritizing access to wireless networks
US9344532B2 (en) * 2012-10-10 2016-05-1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to efficiently propagate emergency signals
WO2014064113A1 (en) 2012-10-23 2014-05-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ling of information related to off-line base stations
US9008607B2 (en) * 2012-11-28 2015-04-14 Motorola Solutions, Inc. Incident aware service operations for wireless infrastructure
EP3028531B1 (en) * 2013-07-30 2019-07-17 Sony Corporation Method of requesting activation of a repeater function and user equipment
KR102120431B1 (ko) * 2013-08-09 2020-06-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치간 데이터 중계 방법
US9319127B2 (en) * 2013-08-09 2016-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US9369892B2 (en) 2014-02-26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Operation in limited service state
JP6290851B2 (ja) * 2015-12-24 2018-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信号構成装置、信号構成システム、信号構成方法、および信号構成用プログラム
BR112019013162A2 (pt) * 2016-12-27 2019-12-10 Huawei Tech Co Ltd método para transmitir informações de sistema e dispositivo de terminal
US11723097B2 (en) * 2021-09-21 2023-08-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iv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w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5119A (ja) * 2002-06-03 2004-01-1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移動通信システム
US7962119B2 (en) * 2003-06-30 2011-06-14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ystem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KR100842548B1 (ko) * 2004-03-05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7519351B2 (en) 2004-07-09 2009-04-14 Lucent Technologies Inc. Emergency mode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734292B2 (en) * 2005-12-07 2010-06-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rminal supporting peer-to-peer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and billing methods based on the same
US7937068B2 (en) * 2007-08-23 2011-05-03 Motorola Solutions, Inc. Emergency dispatch management and prioritization of communication resour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2782B2 (en) 2011-01-28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e station disconnected from a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1094A2 (en) 2010-01-28
KR101548957B1 (ko) 2015-09-02
WO2010011094A3 (en) 2010-05-27
US20110124312A1 (en) 2011-05-26
US8849240B2 (en)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957B1 (ko) 긴급 통화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US11374647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terminal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relay communications
US1030659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2D communication
US9992783B2 (en) Handover of device-to-device (D2D) user equipment (UE) devices using D2D subframes with cell identifiers
US10412706B2 (en) Establishing data relay operation between a relay user equipment (relay-UE) device and an out-of-coverage user equipment (UE) device
US8811318B2 (en) Method for processing traffic in unused band in an intermediate access point
WO2016163809A1 (ko)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EP2854470B1 (en) Device to device user equipment
CN107040864B (zh) 设备到设备d2d资源的配置方法及装置
KR2009006243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방법 및 시스템
US20150119055A1 (en) D2d (device-to-device) discovery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KR20100048350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셀 운영 장치 및 방법
AU2013228834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KR20150007753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단말의 단말 대 단말 발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6910292B2 (ja) 通信端末
CN105578494B (zh) 设备到设备干扰协调方法、装置及基站、用户设备
EP2986071B1 (en) Method for allocating network resource,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WO2022238246A1 (en) Method for relay selection based on composite multi-interface load metric
EP33406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device-to-device (d2d) authorization information
CN113873547A (zh) 资源配置方法及装置
US9577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cellular interference in HetNet system
KR20140008756A (ko) 무선 통신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동시 전송 방법
WO2023006546A1 (en) Method for ue-to-ue relaying resource management
KR201400688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서의 동시 전송 방법
JP202111479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