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742A -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742A
KR20100010742A KR1020080071754A KR20080071754A KR20100010742A KR 20100010742 A KR20100010742 A KR 20100010742A KR 1020080071754 A KR1020080071754 A KR 1020080071754A KR 20080071754 A KR20080071754 A KR 20080071754A KR 20100010742 A KR20100010742 A KR 20100010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rast agent
lesion
medical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540B1 (ko
Inventor
이광희
현동규
안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슨
Priority to KR1020080071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5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8Diagnostic techniques
    • A61B8/481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use of contrast agent, e.g. microbubbles introduced into the bloodstr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대상체내에 존재하는 병소(lesion)를 시술(treatment)하도록 동작하는 의료용 도구; 의료용 도구에 의한 병소의 시술 전에 조영제를 대상체에 주입하고, 의료용 도구에 의한 병소의 시술 중에 조영제를 대상체에 주입하도록 동작하는 조영제 주입부; 병소의 시술 전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제1 영상을 형성하고, 병소의 시술 중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제2 영상을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형성부; 제1 영상과 제2 영상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술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처리부; 및 시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초음파, 중재적 시술, 병소, 시술, 조영제

Description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MEDICAL SYSTEM FOR PROVIDING TREATMENT INFORMATION OF LESION}
본 발명은 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영제(contrast agent)가 주입된 대상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직접 절개하지 않고 대상체의 최소 부위에만 구멍을 낸 뒤 영상을 보며 병변이 있는 부위에 애블레이터(Ablator), 생체 바늘(Biopsy needle) 등의 의료용 도구를 삽입하여 치료 또는 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시술중에 CT(computerized tomography) 또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er) 등으로부터 얻은 영상으로부터 대상체 내부를 관찰하면서 검사를 원하는 부위 또는 치료를 원하는 병소에 직접 의료용 도구를 도달시켜 진단이나 시술을 행하기 때문에 "영상을 이용하여 시술법" 또는 "중재적 시술법"이라고 한다.
이 중재적 시술법은 일반적으로 절개가 필요한 외과 치료와 비교할 때, 전신 마취가 필요 없고, 대상체의 신체적 부담이 적고, 통증이나 고통이 적으며, 입원 기간도 단축되며, 일상으로의 복귀가 빠르게 되어 의료 비용과 효과 면에서도 많은 이득이 되고 있다.
종래에는 중재적 시술법을 통해 병소를 시술(treatment)한 후에만 CT(computerized tomography) 또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er) 등으로부터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시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병소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다시 중재적 시술법을 통해 병소를 시술하고 CT(computerized tomography) 또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er) 등으로부터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시술 결과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병소의 시술 전에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영상과 병소의 시술 중에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병소의 시술 정도를 나타내는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시스템은, 대상체내에 존재하는 병소(lesion)를 시술(treatment)하도록 동작하는 의료용 도구; 상기 의료용 도구에 의한 병소의 시술 전에 조영제를 상기 대상체에 주입하고, 상기 의료용 도구에 의한 병소의 시술 중에 상기 조영제를 상기 대상체에 주입하도록 동작하는 조영제 주입부; 상기 병소의 시술 전 상기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제1 영상을 형성하고, 상기 병소의 시술 중 상기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제2 영상을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형성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술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시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시스템은, 대상체내에 존재하는 병소(lesion)를 시술(treatment)하도록 동작하는 의료용 도구; 상기 의료용 도구에 의한 병소의 시술 중에 상기 조영제를 상기 대상체에 주입하도록 동작하는 조영제 주입부; 상기 병소의 시술 전 상기 대상체의 제1 영상을 형성하고, 상기 병소의 시술 중 상기 조영제가 주입된 상기 대상체의 제2 영상을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형성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술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시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병소의 시술 정도를 나타내는 시술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병소의 시술중에 시술 결과, 즉 병소의 제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시스템(100)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 "조영제 정보"는 조영제(contrast agent)의 잔존량 및 사용 가능 시간의 정보를 포함한다.
의료용 도구(110)는 대상체내에 존재하는 병소(lesion)를 시술(treatment)한 다. 본 실시예에서 의료용 도구(110)는 온열요법용 바늘(needle), 냉동요법용 바늘, 색전술용 카테터(catheter) 및 수술용 가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시술는 온열요법(thermo therapy), 냉동요법(cryotherapy), 색전술(embolization) 및 절제술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영제 주입부(120)는 대상체에 조영제(contrast agent)를 주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조영제 주입부(120)는 의료용 도구(110)에 의한 병소의 시술(treatment) 전에 조영제를 대상체에 주입하고, 의료용 도구(110)에 의한 병소의 시술 중에 조영제를 대상체에 주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영제 주입부(120)는 의료용 도구(110)에 의한 병소의 시술 중에 조영제를 대상체에 주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마우스(mouse), 키보드(keyboard)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영제 정보 요청 및 대상체의 임상정보를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대상체의 임상정보는 조영제의 잔존량 계산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로서 환자의 키, 몸무게, 나이, 질병, 체지방률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영제 정보 형성부(140)는 대상체에 주입된 조영제의 잔존량 및 사용 가능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조영제 정보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영제 정보 형성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조영제 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른 조영제 특성(즉, 조영제 양의 변화)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211) 및 t 시간(단, t는 0 내지 N)에서의 조영제의 잔존량 및 사용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212)를 포함하는 조영제 정보(2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표시부(211)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조영제 정보 형성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대상체의 임상정보를 이용하여 제2 표시부(212)의 속도를 조절한다. 즉, 조영제 정보 형성부(140)는 대상체의 임상정보를 이용하여 제2 표시부(212)를 시간축에 따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조영제 정보 형성부(140)는 대상체의 임상정보를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비만인 것으로 판정되면 제2 표시부(212)를 시간축에 따라 느리게 이동시킨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영제의 잔존량 및 사용 가능 시간 정보를 도표로 표시하였지만, 그것만으로 국한되지 않고 조영제의 잔존량 및 사용 가능 시간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조영제의 잔존량 및 사용 가능 시간 정보는 수치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영상 형성 및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대상체의 영상을 이용한 병소의 시술 정보 제공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의료 시스템(100)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 형성부(160)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며 대상체의 영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 형성부(160)는 병소의 시술 전에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영상을 형성하고, 병소의 시술 중에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영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부(160)는 병소의 시술 전에 대상체의 영상을 형성하고, 병소의 시술 중에 조영제가 주입된 대상체의 영상 을 형성한다. 영상 형성부(160)는 초음파 진단장치, CT(computerized tomography) 및 MRI(magnetic resonance image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며, 영상 형성부(160)에서 병소 시술 전에 형성된 대상체의 영상(이하, 제1 영상이라 함)과 병소 시술 중에 형성된 대상체의 영상(이하, 제2 영상이라 함)을 이용하여 제1 영상과 제2 영상 간의 차이(즉, 병소의 시술 정도)를 나타내는 시술 정보를 형성한다. 한편, 영상 처리부(170)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상이한 투명도를 갖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170)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경계 검출부(171)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 각각에 대해 대상체의 경계를 검출한다. 경계는 미분연산자에 의한 밝기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계는 소벨(Sobel), 프리윗(Prewitt), 로버트(Robert) 또는 캐니(Canny) 마스크 등과 같은 경계 마스크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는 구조 텐서(structure tensor)를 이용한 고유값(eigen value)의 차로부터 경계를 검출할 수 있다.
움직임 추정부(172)는 경계가 검출된 제1 영상과 제2 영상 간의 움직임을 추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움직임 추정을 위해 다양한 영상 처리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옵티컬 플로우(optical flow), 블록 매칭(block matching) 등이 움직임 추정을 위한 영상 처리 기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시술 정보 형성부(173)는 움직임 추정된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시 술 정보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술 정보 형성부(173)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 각각의 대상체 경계를 기준으로 제1 영상의 대상체와 제2 영상의 대상체 간의 밝기 차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밝기 차이를 포함하는 시술 정보를 형성한다. 일례로서, 시술 정보 형성부(17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의 대상체 경계(310)와 제2 영상의 대상체 경계(320)를 기준으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서 동일 위치에 있는 픽셀들 간의 밝기값 차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밝기값 차이를 포함하는 시술 정보(330)를 형성한다. 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 312 및 322는 병소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영상 처리부(170)가 경계 검출부(171), 움직임 추정부(172) 및 시술 정보 형성부(173)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상 처리부(170)가 제1 영상의 모든 픽셀과 제2 영상의 모든 픽셀을 이용하여 제1 영상과 제2 영상 간의 움직임을 추정하도록 동작하는 움직임 추정부 및 움직임 추정된 제1 및 제2 영상을 이용하여 병소의 시술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시술 정보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영상 처리부(170)에서 형성된 시술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80)는 영상 형성부(160)에서 형성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일례로서, 디스플레이부(180)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동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80)는 서로 다른 투명도를 갖도록 영상 처리된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시술 정보 또는 제1 및 제2 영상과 함께 조영제 정보 형성부(140)에서 형성된 조영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고 예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 정보를 보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라 제1 영상과 제2 영상 간에 각 픽셀의 밝기값 차이를 산출하는 예를 보이는 예시도.

Claims (16)

  1. 의료 시스템으로서,
    대상체내에 존재하는 병소(lesion)를 시술(treatment)하도록 동작하는 의료용 도구;
    상기 의료용 도구에 의한 병소의 시술 전에 조영제를 상기 대상체에 주입하고, 상기 의료용 도구에 의한 병소의 시술 중에 상기 조영제를 상기 대상체에 주입하도록 동작하는 조영제 주입부;
    상기 병소의 시술 전 상기 조영제가 주입된 상기 대상체의 제1 영상을 형성하고, 상기 병소의 시술 중 상기 조영제가 주입된 상기 대상체의 제2 영상을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형성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술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시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의료 시스템.
  2. 의료 시스템으로서,
    대상체내에 존재하는 병소(lesion)를 시술(treatment)하도록 동작하는 의료용 도구;
    상기 의료용 도구에 의한 병소의 시술 중에 상기 조영제를 상기 대상체에 주 입하도록 동작하는 조영제 주입부;
    상기 병소의 시술 전 상기 대상체의 제1 영상을 형성하고, 상기 병소의 시술 중 상기 조영제가 주입된 상기 대상체의 제2 영상을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형성부;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시술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시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의료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형성부는 초음파 진단부, CT 및 MRI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각각에서 상기 대상체의 경계를 검출하도록 동작하는 경계 검출부;
    상기 검출된 경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간의 움직임을 추정하도록 동작하는 움직임 추정부; 및
    상기 움직임 추정된 제1 및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시술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시술 정보 형성부
    를 포함하는 의료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 정보 형성부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각각의 대상체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에서 동일 위치에 있는 픽셀들 간의 밝기값 차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밝기값 차이를 포함하는 상기 시술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의료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상의 모든 픽셀과 상기 제2 영상의 모든 픽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간의 움직임을 추정하도록 동작하는 움직임 추정부; 및
    상기 움직임 추정된 제1 및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시술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시술 정보 형성부
    를 포함하는 의료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 각각에 상이한 투명도를 갖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의료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의료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중첩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하는 의료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도구는 온열요법용 바늘(needle), 냉동요법용 바늘, 색전술용 카테터(catheter) 및 수술용 가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도구는 온열요법(thermo therapy), 냉동요법(cryotherapy), 색전술(embolization) 및 절제술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병소를 시술하도록 동작하는 의료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 주입된 조영제의 잔존량 및 사용 가능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조영제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조영제 정보 형성부
    를 더 포함하는 의료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영제 정보 형성부는 시간에 따른 조영제 양의 변화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시간에 따른 조영제의 잔존량 및 사용 가능 시간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기 조영제 정보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의료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조영제의 잔존량 계산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상기 대상체의 임상정보를 입력받도록 동작하는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의료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영제 정보 형성부는 상기 대상체의 임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표시부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도록 더 동작하는 의료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조영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더 동작하는 의료 시스템.
KR1020080071754A 2008-07-23 2008-07-23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 KR100969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754A KR100969540B1 (ko) 2008-07-23 2008-07-23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754A KR100969540B1 (ko) 2008-07-23 2008-07-23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42A true KR20100010742A (ko) 2010-02-02
KR100969540B1 KR100969540B1 (ko) 2010-07-15

Family

ID=4208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754A KR100969540B1 (ko) 2008-07-23 2008-07-23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5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54B1 (ko) * 2012-06-15 2013-08-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28712A (ko) * 2014-09-0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7281B2 (ja) 1993-07-12 2005-07-27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JPH0910194A (ja) * 1995-06-29 1997-01-14 Shimadzu Corp ディジタルx線撮影装置
JP2001104298A (ja) 1999-10-12 2001-04-17 Rikuto:Kk 外科用x線装置
JP2003153897A (ja) * 2001-11-21 2003-05-27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処置装置および超音波撮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54B1 (ko) * 2012-06-15 2013-08-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28712A (ko) * 2014-09-0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39415B2 (en) 2014-09-04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540B1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2822B (zh) 用于针插入的动态规划方法
Maurer et al. Investigation of intraoperative brain deformation using a 1.5-T interventional MR system: preliminary results
US7689042B2 (en) Method for contour visualization of regions of interest in 2D fluoroscopy images
US7609868B2 (en) Diagnostic imag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blood flow in an anatomical anomaly
Muacevic et al. Computer-assisted resection of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US20030220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esentation of a medical instrument introduced into an examination region of a patent
KR20070058785A (ko) 중재적 시술을 위한 초음파 시스템
WO2006079265A1 (en) Focused ultrasound therapy system
JP7188970B2 (ja) ロボット手術支援装置、ロボット手術支援装置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Sadahiro et al. Real-time ultrasound-guided endoscopic surgery for putaminal hemorrhage
CA2864045C (en) Three-dimensional guided injection device and methods
Hamamoto et al. A new navigation system of renal puncture for endoscopic combined intrarenal surgery: real-time virtual sonography-guided renal access
Carl et al. Preoperative 3-dimensional angiography data and intraoperative real-time vascular data integrated in microscope-based navigation by automatic patient registration applying intra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Unsgård et al. 3D ultrasound–guided resection of low-grade gliomas: principles and clinical examples
KR100969540B1 (ko)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 시스템
Wolfsberger et al. Virtual endoscopy is a useful device for training and preoperative planning of transsphenoidal endoscopic pituitary surgery
EP2127601A1 (en) Extravasation detection in an ultrasound system
Loeve et al. Workflow and intervention times of MR-guided focused ultrasound–Predicting the impact of new techniques
Tanrikulu et al. Intraoperative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in microvascular decompression
Jiang et al. Three-dimensional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for anterolateral thigh flap outlining: a retrospective case series of 68 patients
US11910995B2 (en) Instrument navigation in endoscopic surgery during obscured vision
Linte et al. Image-guided procedures: tools,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KR100969547B1 (ko) 병소의 시술 정보를 제공하는 초음파 시스템
Uchida et al. Neuroendoscopic Surgery with a Combination of Image Detectable Sheath, Intra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Scan, and Navigation System Improves Accuracy and Safety in Minimally Invasive Evacuation of Intracerebral Hematoma
JP2011125420A (ja) 針状手術器具の刺入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