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874U -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874U
KR20100009874U KR2020090003668U KR20090003668U KR20100009874U KR 20100009874 U KR20100009874 U KR 20100009874U KR 2020090003668 U KR2020090003668 U KR 2020090003668U KR 20090003668 U KR20090003668 U KR 20090003668U KR 20100009874 U KR20100009874 U KR 201000098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pressing member
outer peripheral
moving nut
ro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동
Original Assignee
문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동 filed Critical 문희동
Priority to KR2020090003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874U/ko
Publication of KR20100009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87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포츠용(등산, 스키 등) 스틱의 길이 조절에 관한 것으로써,
임의의 길이로 고정과 풀림이 용이하고, 제작이 매우 간단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틱을 임의의 길이로 고정과 풀림을 하기위해 상부관에 하부관의 연결이 2단 이상 다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의 상부관에 하부관의 인출이 가능한 상태에서 하부관 상단에 고정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포츠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부관 상단에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봉축(軸)부재를 결합시키고, 봉축의 상단은 오른나사산부와 이동너트 하단은 왼나사산부와 이동너트로 형성하고, 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너트간의 간격이 좁혀 지거나 벌어지게 하였으며, 이동너트의 외주 면과 가압부재의 마찰 면은 테이퍼(1a, 2a) 형태로 하여, 봉축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하 이동너트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상하 이동너트 사이에 결합된 가압부재 외경이 확장되어 상부관과 하부관이 고정되고, 봉축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풀림작용이 되게 했다.
또한, 고정(조임)을 시도할 때 헛도는(이동너트가 축을 따라 도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압부재 중앙 내부면(內部面)(4b)과 이동너트 외주면(外周面)(1b, 2b) 일부를 회전톱니 형태로 하여 헛도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가압부재, 걸림 턱, 오른나사산부, 왼나사산부, 외주면, 이동너트, 봉축, 회전톱니 테이퍼면 : 본 출원서에서는 이동너트의 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너트 외주면 일부(1b, 2b)와 가압부재 중앙 내부면을 톱니형태의 테이퍼면(4b)으로 한것을 말한다.

Description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Fixing device of sports stick with variable length}
본 고안은 스포츠용(등산, 스키 등) 스틱을 원하는 길이로 조절함에 있어서 2단 이상 다단 형 스틱의 고정과 풀림이 용이하도록 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법은 스틱을 원하는 길이로 고정함에 있어서 하부관(8) 상단에 접합된 봉축(13)의 상단은 나사산부(13a)로 하고, 그 나사산부(13a)에 외주면이 테이퍼 형태(12a)로 된 이동너트(12)를 결합하고, 하단은 축의 외주면을 테이퍼 (13b) 형태로 형성하여 가압부재(10)와 접하도록 하였다. <도 1 참조>
고정방법은 상부관(7)을 잡고 하부관(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봉축 (13)의 위쪽에 결합된 이동너트(12)의 외주테이퍼면(12a)과 봉축(13) 하단의 외주 테이퍼면(13b)과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가압부재(10) 외경이 확장되어 상부관(7) 내부면과 가압부재 외주면(10b)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원리임
위 방법의 문제점은 고정(조임)을 시도할 때, 헛도는 현상이 왕왕 발생되어 조임이 곧바로 되지 않을 때가 많으며, 고정이 완료되어 사용도중 스틱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압력과 충격으로 가압부재(10)가 봉축(13)의 하단 테이퍼면(13b)과 쐐기작용을 일으켜 더욱 강하게 고정됨으로써 풀고자 할 때, 공구 없이 맨손으로 풀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됨.
풀림이 어려운 주원인은 스틱 사용 중에 하부관(8)에 접합된 봉축(13) 외주 테이퍼면(13b)은 위로, 상부관(7)은 아래로 힘이 가해지는 그 사이에 결합된 가압부재(10)가 쐐기작용을 하는 상태가 된다.
이를 풀기위해 상부관(7)을 잡고, 하부관(8)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했을 때, 봉축(13)의 외주테이퍼면(13b)과 가압부재(10)의 회전 마찰계수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풀림작용에 큰 힘이 필요한 것이 문제의 주원인이다
본 고안은 스포츠 스틱을 사용함에 있어서 특히, 등산 시에 평지 또는 경사지와 암벽 등 산행코스에 따라 스틱의 길이를 수시로 조정해야 하는 요구에 부합되도록 고정과 풀림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조임(길이 고정) 시 헛도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둘째, 스틱 사용 후에 풀림을 시도할 때, 맨손으로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스틱의 길이를 고정하기위해 조임을 시도할 때 헛도는 결함을 방지하기위해 조임을 위한 상하너트(1, 2) 외주면 일부를 회전톱니 형태의 테이퍼면(1b, 2b)으로 하고, 가압부재 중앙 내부 면을 상하너트 회전톱니 테이퍼면(1b, 2b)과 동일한 형태의 회전톱니 테이퍼면(4b)으로 하고,
가압부재(4)를 길이방향으로 한 쪽을 절개(4e)하여, 가압부재 탄성에 의해서 외주면(4d)이 상부관(7) 내부 면과 항시 가볍게 밀착되도록 결합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조임을 위해 상부관(7)을 잡고 하부관(8)을 시계방향 으로 돌리면 봉축(3)의 회전으로 상하너트(1, 2)가 따라 돌려는 힘이 작용 하지만, 상하너트(1, 2)의 회전톱니 테이퍼면(1b, 2b)과 가압부재(4) 회전톱니 테이퍼면(4b)의 미끌림에 의해서 가압부재(4)의 외경이 확장되어 상부관(7) 내부면과 가압부재(4) 외주면(4d)의 밀착으로 상하너트(1, 2)의 회전을 억제하게 됨으로써 헛도는 문제점을 해결 하였다.
스틱 사용 후 손쉬운 풀림을 위해서, 봉축(3)의 상단은 오른나사산부(3a)와 이동너트(1)로 하단은 왼나사산부(3b)와 이동너트(2)로 형성함에 있어서 상하이동너트(1, 2) 외주면 일부를 테이퍼면(1a, 2a)으로 하고, 가압부재 걸림턱(1c, 2c)을 형성하고, 가압부재(4)의 내부 상하에 상하이동너트(1, 2) 테이퍼면(1a, 2a)과 동일한 각도의 테이퍼면(4a)으로 하고, 이동너트 걸림턱(4c)을 형성하여, 상하이동너트(1, 2) 사이에 결합하였다.
상기 구조에서 스틱 사용 중에 상부관(7) 내부와 왼나사 이동너트(2) 테이퍼면(2a) 사이의 가압부재(4)가 강한 쐐기작용을 하게 되지만, 풀림작용을 위해 상부관(7)을 잡고 하부관(8)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왼나사 이동너트 (2)는 회전하지 않고 수직운동만으로 가압부재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왼나사 이동너트(2) 테이퍼면(2a)과 가압부재(4) 테이퍼면(4a)의 회전 마찰력이 없기 때문에 가볍게 풀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첫째, 각종 스포츠 스틱을 사용함에 있어 고정과 풀림을 손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등산 시 등산로의 상태에 따라 고정과 풀림작동을 수시로 해야 하는 경우에 매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둘째, 고정을 위해 조임을 시도할 때, 헛도는이동너트(1, 2)가 봉축(3)을 따라 도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스틱의 고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스틱의 고정 장치가 스틱 사용 중에 더욱 강하게 고정된 상태에서도 손쉽게 고정 상태를 풀 수 있다.
넷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므로 제작단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압부재(4)는 쐐기작용에 적합한 마찰계수를 가진 합성수지 소재로써 길이 방향으로 한쪽을 절개(4e)하여 수축이 가능한 상태로 제작하여 상부관(7)에 결합함으로써 합성수지의 탄성(彈性)에 의해 상부관(7) 내면과 항시 밀착되도록했다. <도2(라) 참조>
가압부재(4) 중앙 내부 면은 회전톱니형태의 테이퍼면(4b)으로 하여, 상하너트(1, 2)의 회전톱니 테이퍼면(1b, 2b)과 접하도록 하여, 조임 시 상하너트(1, 2)가 봉축(3)을 따라 돌려고 하면, 너트의 회전톱니 테이퍼면(1b, 2b)이 가압부재의 회전톱니 테이퍼면(4b)과의 미끌림 작용으로 가압부재 외경이 확장되어 상부관(7) 내부와 밀착됨으로써 상하너트(1, 2)의 헛돌림을 방지했다.<도2(다) 참조>
스틱 사용 중에 가압부재(4)의 쐐기작용으로 강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풀림을 시도 했을 때, 가압부재 테이퍼면(4a)과 상하너트 테이퍼면(1a,2a) 간의 확실한 분리를 위해서 가압부재와 상하너트에 걸림턱(1c, 2c, 4c)을 형성하였다. <도2, 도3 참조>
고정 원리는 상부관(7)을 잡고 하부관(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관(8) 상단에 부착된 봉축(3)의 상단에 결합된 오른나사 이동너트(1)는 아래로, 하단의 왼나사 이동너트(2)는 위로 이동하여 상하너트(1, 2)간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상하너트의 테이퍼면(1a, 2a)과 가압부재 테이퍼면(4a)에 의해서 가압부재(4) 외경이 확장되어 가압부재 외주면(4d)과 상부관(7) 내부면과의 밀착으로 고정되게 된다. <도2 (가), (나) 참조>
풀림 원리는 상부관(7)을 잡고 하부관(8)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 부관(7) 내부면과 가압부재(4) 외주면(4d) 그리고, 왼나사 이동너트(2) 테이퍼면(2a)이 강하게 밀착된 상태이므로 봉축(3)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어 각 나사산부(3a, 3b)에 결합된 상하이동너트(1, 2)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가압부재(4)의 외경이 축소되면서 풀림이 이루어지고, 상하너트(1, 2)와 가압부재(4)의 걸림턱(1c, 2c, 4c)에 의해서 확실하게 풀림이 완료된다. <도2 (가), (나) 참조>
제 1 도 (가)는 종래의 스포츠 스틱 종단면도
제 1 도 (나)는 종래의 스포츠 스틱의 고정장치 확대도
제 1 도 (다)는 종래의 스포츠 스틱의 해지된 단면도
제 2 도 (가)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 풀림상태 종단면도
제 2 도 (나)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 고정상태 종단면도
제 2 도 (다)는 도 2 (가)의 A-A 횡단면도
제 2 도 (라)는 도 3의 B-B 가압부재 횡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오른나사(상) 이동너트 부재 2 : 왼나사(하) 이동너트 부재
1a, 2a : 외주 테이퍼면 1b, 2b : 회전톱니 테이퍼면
1c, 2c : 가압부재 걸림 턱 3 : 봉축(軸) 부재
3a : 오른 나사산부 3b : 왼 나사산부
4 : 가압 부재 4a : 내부 테이퍼면
4b : 회전톱니 테이퍼면 4c : 상하 이동너트 걸림 턱
4d : 외주면 평탄부 4e : 절개면
5 : 연결 부재 5a : 하부관 걸림 턱
6 : 고정너트 부재 7 : 상부관
8 : 하부관 10 : 가압부재
10a : 내부 테이퍼면 10b : 외주면 평탄부
11 : 너트 이탈 방지부재 12 : 이동너트
12a : 너트 외주 테이퍼면 13 : 봉축(軸) 부재
13a : 나사산부 13b : 외부 테이퍼면

Claims (2)

  1. 본 고안은 스포츠용(등산, 스키 등) 스틱의 길이를 2단 또는 다단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상부관(7)내로 하부관(8)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임의의 길이로 고정과 풀림이 용이하도록 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
    상기 목적을 위해 봉축(3)을 연결부재(5)를 이용하여 하부관(8) 상단에 삽입 고정 시키고, 봉축(3)의 상단은 오른나사산부(3a)와 이동너트(1), 하단은 왼나사산부(3b)와 이동너트(2)로 구성하며, 상하 이동너트(1, 2) 외주면 일부를 테이퍼면(1a, 2a)으로 형성하고, 가압부재(4) 내부면이 상하너트 테이퍼면(1a, 2a)과 동일한각을 이루는 테이퍼면(4a)으로 하며, 외주면(4d)은 평탄한 원통형으로서, 한쪽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4e)된 가압부재(4)를 상하너트(1, 2) 사이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포츠용 스틱의 길이조절 장치(독립항)
  2. 1항에 있어서 상하 너트(1, 2) 외주 면 일부는 회전톱니 테이퍼면(1b, 2b)를 형성하고, 가압부재(4) 내부 중앙은 상하이동너트 회전톱니 테이퍼면(1b, 2b)과 동일한 형태의 테이퍼면(4b)으로 하며, 상하 이동너트의 걸림턱(1c, 2c)과 걸림 이 되도록 가압부재 거림턱(4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포츠용 스틱의 길이 조절 장치(독립항)
KR2020090003668U 2009-03-31 2009-03-31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KR201000098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668U KR20100009874U (ko) 2009-03-31 2009-03-31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668U KR20100009874U (ko) 2009-03-31 2009-03-31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74U true KR20100009874U (ko) 2010-10-08

Family

ID=4420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668U KR20100009874U (ko) 2009-03-31 2009-03-31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87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541B1 (ko) * 2011-06-28 2014-01-23 이진호 익스텐션 폴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마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541B1 (ko) * 2011-06-28 2014-01-23 이진호 익스텐션 폴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4024B2 (ja) 1つがもう1つ内に挿入され伸縮するチューブ用のクランプ用デバイス
US8776810B2 (en) Stick with cam lever type locking device
CN104470595B (zh) 尤其用于手杖的能调节长度的管
US8403928B2 (en) Outrigger with locking mechanism
US20150224355A1 (en) Adjustable length jump rope
US7089625B2 (en) Shaft of a tool or the like
CN101186034B (zh) 可通过两个螺纹快速调节的用于手持式工具机的辅助把手
EP2500248A1 (en) Handlebar grip
JP2010534104A (ja) 長さが可変できるスポーツ用スティックの固定装置
ES2915595T3 (es) Tornillo con discontinuidad en la sección de rosca intermedia
US20150090094A1 (en) Pipe Peeler
EP2334972B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anchoring a beam or a bar against an element for example camera with a bar at a holder
KR20100009874U (ko)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KR20120120624A (ko) 파이프 고정장치
FR2969679A1 (fr) Appui intermediaire de plaque murale equipe d&#39;un moyen de reglage rapide
US20190002064A1 (en) Handlebar, grip and binding assemblies
JP3158399U (ja) アンカーボルト
KR200284867Y1 (ko) 다단식 등산용 지팡이
KR200462761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체결장치
JP6910066B2 (ja) スクレーパ
CN108903449B (zh) 圆形棕绷床及其制造方法
CN201744737U (zh) 一种锯
AU2004200242A1 (en) Spiral cam-lock system
KR20160115500A (ko)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육각직결스크루볼트와 육각비트 소켓
JP3028126U (ja) 長さ調節自在なステ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