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514U - 양방향 핀 절단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핀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514U
KR20100009514U KR2020090003183U KR20090003183U KR20100009514U KR 20100009514 U KR20100009514 U KR 20100009514U KR 2020090003183 U KR2020090003183 U KR 2020090003183U KR 20090003183 U KR20090003183 U KR 20090003183U KR 20100009514 U KR20100009514 U KR 201000095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lock
pin
cutt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김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영 filed Critical 김창영
Priority to KR2020090003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514U/ko
Publication of KR20100009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5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arranged underneath a stationary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 B23D47/025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of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핀의 가공시 핀의 좌측이나 우측을 모두 한 번의 클램핑을 통해서 가공할 수 있는 양방향 핀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해온 핀 절단기를 그대로 활용하여, 선반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은 클램프부의 스크류로 작동되는 조작레버1을 통해 클램프부가 선반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좌우 방향은 클램프가이드바를 타고 클램프블럭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종래 기체에 부착되어 있던 체결클램프에는 별도의 쳐짐방지수단을 체결하여 장형의 핀을 가공하는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핀 절단기이다.
선반, 회전커터, 클램프가이드바, 클램프부, 지지판, 클램프블럭

Description

양방향 핀 절단기{THE CUTTING MACHINE OF PIN}
본 고안은 핀의 가공시 핀의 좌측이나 우측을 모두 한 번의 클램핑을 통해서 가공할 수 있는 양방향 핀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해온 핀 절단기를 그대로 활용하여, 선반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은 클램프부의 스크류로 작동되는 조작레버1을 통해 클램프부가 선반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좌우 방향은 클램프가이드바를 타고 클램프블럭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종래 기체에 부착되어 있던 체결클램프에는 별도의 쳐짐방지수단을 체결하여 장형의 핀을 가공하는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핀 절단기이다.
일반적으로 핀 절단기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핀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계이다. 다수의 핀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그 핀을 일정한 크기로 선 제작하기는 힘들기에 일단 장형으로 제작을 하고,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물론 그 사용되는 핀이 길이가 각 작업현장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경우도 그 정확한 치수를 먼저 잰 상태에서 핀을 가공하는 방식 으로 사용이 된다.
그럼 이러한 핀 가공기, 핀 절단기를 도시된 도 1을 통해서 그 구성과 그 작용을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핀 절단기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며, 그 실시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많이 판매된 형태의 가공기이다. 이 종래의 핀 절단기는 4각의 프레임을 가진 기체(10)가 있고, 그 상부로 선반(13)이 위치하는데, 상기 선반(13)은 그 기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가이드봉이나 가이드구를 통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된 도 1에서처럼, 상기 회전커터(11)의 날 방향과 수평된 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선반(13)의 일측에 클램프(14)를 통해서 체결된 가이드바(15)의 끝단 체결클램프(8)에 핀(40)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선반(13)을 상기 회전커터(11)의 방향으로 밀어 주게 되면, 상기 핀(40)은 그 선반(13)과 함께 이동하면서 회전커터(11)에 의해 절단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커터(11)는 상기 선반(13)에 형성된 가이드간격(12) 사이로 이동을 하면서 절단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핀 절단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핀(40)의 길이가 길어지면, 그 중력에 의해 클램핑된 부분의 타측은 그 무게에 의해서 하향하는 힘을 받게 되고 기울게 된다. 따라서 회전커터(11)를 통해서 절단하는 과정에서 핀이 정확하게 컷팅되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핀 절단기는 일단 클램핑된 핀(40)의 좌측을 절단하기 위해서 셋팅을 하고 나서는, 다시 우측을 절단하기 위해서 그 클램핑을 풀고 핀(40)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시 체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하나의 핀을 가공하는데, 다수의 클램핑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낮으며, 가공시간이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핀의 가공시 핀의 좌측이나 우측을 모두 한 번의 클램핑을 통해서 가공할 수 있는 양방향 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해온 핀 절단기를 그대로 활용하여, 선반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은 클램프부의 스크류로 작동되는 조작레버1을 통해 클램프부가 선반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좌우 방향은 클램프가이드바를 타고 클램프블럭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종래 기체에 부착되어 있던 체결클램프에는 별도의 쳐짐방지수단을 체결하여 장형의 핀을 가공하는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핀 절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양방향 핀 절단기는, 기체(10)와 그 상단에 고정되는 회전커터(11)와, 상기 회전커터(11)가 관통될 가이드간격(12)을 가진 선판(13), 상기 선반(13)의 일측에 클램프(14)를 통해서 고정되는 가이드바(15)와, 상기 가이드바(15)에 결합되어 체결클램프(8)를 가이드바(15)를 타고 이동시키는 클램프체결블럭(16)을 가진 좌우연동구(17)로 이루어진 핀 절단기(100)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11)와 수평된 방향으로 상기 선반(13)의 좌우 양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블럭(21), 상기 가이드블럭(21) 중 일측의 가이드블럭(21)에서 관통된 스크류(22)를 통해 체결을 달성하는 조작레버1(23)를 가진 장형의 클램프가이드바(20)와;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이되, 일측으 로 수평되게 연장된 지지판(31)을 형성한 클램프블럭(32)과, 클램프블럭(32)의 후방에서 스크류(33)를 통해 클램프블럭(32)을 클램프가이드바(20)에 체결하는 조작레버2(34), 상기 클램프블럭(32)의 지지판(31) 방향에 볼트(35)를 통해서 체결되는 장공(36)을 가진 연동블럭(37)과, 상기 연동블럭(37)의 끝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압스크류(38)를 가진 조작레버3(39)으로 이루어진 클램프부(30)가; 결합하여, 상기 클램프부(30)는 상기 조작레버1(23)을 통해 상기 선반(13)을 타고 회전커터(11)의 수평된 방향으로 연동을 하고, 클램프블럭(32)은 상기 조작레버2(34)를 통해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를 타고 회전커터(11)와 수직된 방향으로 이동을 하며, 클램프블럭(32)에 체결된 다양한 핀(40)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 양방향 핀 절단기에 따른, 상기 클램프체결블럭(16)의 끝단에는, 장형으로 원형의 몸체(51)를 가지되, 몸체(51)의 일측은 "ㄷ"자형의 체결홈(52)을 형성하고, 타측은 외주면 중 대응되는 양단을 절단한 체결부(53)를 형성한 방지바(54)와; 상기 방지바(54)의 "ㄷ"자형 체결홈(52)을 향해 방지바(54)의 측단에서 스크류(55)를 통해 전진하여 상기 "ㄷ"자형 체결홈(52)에 끼인 클램프체결블럭(16)을 견고하게 조이는 조임볼트(57); 및 상기 방지바(54)의 타단인 체결부(53)에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핀(61)이 형성되고, 장형의 조절공(62)에 삽입된 조절볼트(63)를 통해 체결되는 지지블럭(64)이; 결합하되, 상기 클램프체결블럭(16)에 체결된 방지바(54)의 끝단 지지블럭(64)의 지지핀(61)이 장형의 가공을 위한 핀(40)의 끝단을 지지하여 쳐짐을 방지하고;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의 상단에는, 눈금을 가진 자(71)를 체결하여 클램프부(30)의 연동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라, 클램프부를 선반의 회전커터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에 핀을 체결한 클램프부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핀의 좌측과 우측을 별도의 클램핑 작업을 수행함이 없이 가공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장형의 핀을 가공하는데 있어서 핀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 가공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핀 가공기를 그대로 적용하여 본 고안의 클램프부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핀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기체(10)와 그 상단에 고정되는 회전커터(11)와, 상기 회전커터(11)가 관통될 가이드간격(12)을 가진 선판(13), 상기 선반(13)의 일측에 클램프(14)를 통해서 고정되는 가이드바(15)와, 상기 가이드바(15)에 결합되어 체결클램프(8)를 가이드바(15)를 타고 이동시키는 클램프체결블럭(16)을 가진 좌우연동구(17)로 이루어진 핀 절단기(100)에 다음과 같은 구성들을 결합시킨다. 즉, 상기 회전커터(11)와 수평된 방향으로 상기 선반(13)의 좌우 양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블럭(21), 상기 가이드블럭(21) 중 일측의 가이드블럭(21)에서 관통된 스크류(22)를 통해 체결을 달성하는 조작레버1(23)를 가진 장형의 클램프가이드바(20)가 있고,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이되, 일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된 지지판(31)을 형성한 클램프블럭(32)과, 클램프블럭(32)의 후방에서 스크류(33)를 통해 클램프블럭(32)을 클램프가이드바(20)에 체결하는 조작레버2(34), 상기 클램프블럭(32)의 지지판(31) 방향에 볼트(35)를 통해서 체결되는 장공(36)을 가진 연동블럭(37)과, 상기 연동블럭(37)의 끝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압스크류(38)를 가진 조작레버3(39)으로 이루어진 클램프부(30)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클램프부(30)는 상기 조작레버1(23)을 통해 상기 선반(13)을 타고 회전커터(11)의 수평된 방향으로 연동을 하고, 클램프블럭(32)은 상기 조작레버2(34)를 통해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를 타고 회전커터(11)와 수직된 방향으로 이동을 하며, 클램프블럭(32)에 체결된 다양한 핀(40)을 절단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본 고안은 기존에 이미 사용되던 핀 절단기(100)를 그대로 활용한다. 즉, 종래의 핀 절단기(100)에 본 고안의 클램프부(30)를 체결하여 사용 하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클램프가이드바(20)와 클램프부(30)만을 비치하고 있는 별도의 핀 절단기(100)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본 고안은 아주 간단한 기구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져 종래의 핀 절단기(100)를 교체하는 것 없이, 바로 체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그 기능을 확대하여 보다 편리하게 핀(40)을 절단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의 핀 절단기(100)나 본 고안의 절단기(100)는 그 선반(13)이 전후 방향, 즉, 회전커터(11)의 날과 수평된 방향으로 이동된다는 것이다. 이 이동은 기체(10)의 내부에 별도의 가이드구나 가이드봉 및 가이드될 수단이 내장된 상태이기에 단지 선반(13)을 밀어주는 작업으로 선반(13)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반(13)에는 도시된 가이드간격(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선반(13)이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커터(11)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선반(13)에 도시된 클램프가이드바(20)가 체결되어 있다. 그 체결의 방식은 다음과 같다. 즉, 장형의 4각 블럭의 형상인 클램프가이드바(20)는 그 하단으로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블럭(21)이 돌출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블럭(21)의 내부로 상기 선반(13)의 외측부를 삽입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블럭(21)과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가 상기 선반(13)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선반(13)에 올려지게 된다. 물론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의 하단으로 형성된 가이드블럭(21)에 의해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는 단지 상하 방향의 이동과 선반(13)을 타고 회전커터(11)의 수 평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바로 이러한 이동으로 본 고안의 클램프부(30)는 핀 가공을 위해서 보다 정확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럭(21)의 일측에는 도시된 조작레버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1(23)을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레버1(23)에 일체로 결합된 스크류(22)가 전진이나 후진을 하여 상기 선반(13)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이다. 만일 조작레버1(23)의 회전이 스크류(22)의 전진을 가져온다면, 사이에 낀 선반(13)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의 이동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핀(40)의 가공시 핀(40)이 흔들리지 않도록 유도한다. 결국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본 고안의 핀 가공기는 그 핀의 가공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그럼 본 고안의 핀 가공기, 핀 절단기(100)의 전체적인 작동의 모습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클램프부(30)에서 상기 클램프블럭(32)은 그 형태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으로 뻗은 지지판(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판(31)은 가공을 위한 핀(40)이 올려지는데, 그 지름의 크기가 다양하고,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진 모든 종류의 핀(40)이 올려 질 수 있다. 그리고 그 핀(40)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31)의 상부 즉, 클램프블럭(32)에 볼트(35)를 통해서 체결되는 연동블럭(37)의 조작레버3(39)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즉, 작동레버3(39)의 경우도 도시된 것처럼 수직으로 하향하는 별도의 가압스크류(38)를 가지고 있기에 가압스크류(38)를 하향시키면 상기 지지판(31)의 상부에 올려진 다양한 핀(4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그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31)에 올려지는 핀(40)은 그 지름의 크기가 다양할 소지가 많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31)에 올려지는 지름의 크기가 크면 상기 연동블럭(37)을 체결하는 볼트(35)를 풀러 상기 장공(36)을 통해서 그 적당한 위치를 확보하고 견고히 조여 체결을 완성한다.
그렇다면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상기 클램프부(30)의 좌우 연동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즉, 상기 크램프가이드바(20)에는 도시된 것처럼, 상기 클램프블럭(32)이 체결된 상태이다. 그 단면의 형태처럼 "ㄷ"자형으로 절곡된 블럭의 형상이기에 단순하게 끼워 결합하는 형태를 취한다. 단지 본 고안의 클램프부(30)는 그 핀(40)의 가공시 견고하게 체결이 되어야만 하기에, 상기 클램프부(30)가 정확한 위치를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블럭(32)의 후방에 비치된 상기 조작레버2(34)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조작레버2(34)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스크류(33)가 전진을 하여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의 측면을 가압하여 클램프부(30)를 견고히 체결시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체결은 작업자가 조작레버2(34)를 풀어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해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을 통해서 다양한 핀(40)을 가공함은 아주 편리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장형으로 형성된 핀(40)을 본 고안의 클램프에 장착을 한 상태에서 상기 선반을 회전커터(11)를 향해 밀어 핀(40)의 좌측을 절단한다. 그리 고 이러한 좌측을 절단하고 나서는 조작레버2(34)를 풀고 적당한 위치로 상기 클램프부(30)를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를 타고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조작레버2(34)를 조여 견고히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선반을 밀어 핀(40)의 우측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고안은 핀(40)의 좌측과 우측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핀(40)을 가압하는 클램핑을 풀어줄 필요가 없이 아주 간단한 조작레버2(34)의 조작만으로 작업을 완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작업방식은 종래의 핀 절단기(100)를 통해서는 달성할 수 없었던 작업의 방식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핀(40)을 절단하는 가공작업 시, 그 핀의 무게가 많아 하향하는 하중으로 인하여 크램핑이 완벽하게 되지 못하고, 항상 일측으로 기운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만 했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종래의 핀 절단기(100)에서 발생되던, 클램핑된 부위의 타측의 핀(40)은 항상 그 무게에 의해 하향하기에 작업자가 손으로 받치고 작업을 해야만 했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도시된 도 4와 5에서처럼, 그 구성은 상기 클램프체결블럭(16)의 끝단에는, 장형으로 원형의 몸체(51)를 가지되, 몸체(51)의 일측은 "ㄷ"자형의 체결홈(52)을 형성하고, 타측은 외주면 중 대응되는 양단을 절단한 체결부(53)를 형성한 방지바(54)가 있고, 상기 방지바(54)의 "ㄷ"자형 체결홈(52)을 향해 방지바(54)의 측단에서 스크류(55)를 통해 전진하여 상기 "ㄷ"자형 체결홈(52)에 끼인 클램프체결블럭(16)을 견고하게 조이는 조임볼트(57)가 있으며, 상기 방지바(54)의 타단인 체결부(53)에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핀(61)이 형성되고, 장형의 조절공(62)에 삽입된 조절볼트(63)를 통해 체결되는 지지블럭(64)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되, 상기 클램프체결블럭(16)에 체결된 방지바(54)의 끝단 지지블럭(64)의 지지핀(61)이 장형의 가공을 위한 핀(40)의 끝단을 지지하여 쳐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핀 쳐짐방지수단은, 방지바(54), 조임볼트(57), 지지블럭(6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쳐짐방지수단은 종래 사용되던 핀 절단기(100)의 체결클램프(8)가 체결될 클램프체결블럭(16)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사용이 된다.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방지바(54)를 그 일측의 "ㄷ"자형 체결홈(52)을 통해서 상기 클램프체결블럭(16)에 체결을 한다. 상기 클램프체결블럭(16)의 끝단을 상기 체결홈(52)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방지바(54)의 끝단에 형성된 스크류(55)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스크류(55)는 상기 체결홈(52)의 측부로 파고 들어가면서 체결홈(52)에 끼인 상기 클램프체결블럭(16)을 가압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작용에 따라 상기 방지바(54)는 상기 클램프체결블럭(16)에 견고히 체결된다. 물론 이때 종래에 사용하던 체결클램프(8)는 해체를 하고 사용된다.
아무튼 이렇게 방지바(54)가 클램프체결블럭(16)에 체결되고 나서는, 상기 방지바(54)의 타측인 체결부(53)에 체결된 지지블럭(64)을 조작한다. 즉, 지지블럭(64)과 상기 방지바(54)를 체결하는 조절볼트(63)를 조일 때, 장형의 핀(40)의 지름에 따라 상기 장형의 조절공(62)에 조절볼트(63)의 조임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으로 환경을 맞추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럭(64)의 끝단으로 돌출되는 상기 지지핀(61)의 상부에 가공을 위한 핀(40)을 올려 두고 핀을 절단하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에 따라서 장형의 핀(40)을 가공하면서도 가공이 되는 핀의 타측부를 크램핑된 부분의 수준과 일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핀(61)이 지지하고 있기에 보다 정확한 핀(40)의 절단 가공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정확한 핀(40)의 가공을 위해서 또 다른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즉,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의 상단에는, 눈금을 가진 자(71)를 체결하여 클램프부(30)의 연동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부(30)를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를 타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그 정확한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의 상면에 자(71)를 체결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클램프부(30)를 클램프가이드바(20)를 타고 이동시키면서 좌측으로 정확하게 몇 센티 이동하고, 다시 우측으로 몇 센티 이동했는지, 인지하면서 핀(40)을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핀 절삭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핀 절삭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핀 절삭장치를 통해 작업을 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핀 절삭장치를 통해서 처짐을 방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핀 절삭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기체 11; 회전커터
12; 가이드간격 13; 선반
14; 크램프 15; 가이드바
16; 클램프체결블럭 17; 좌우연동구
8; 체결클램프 20; 클램프가이드바
21; 가이드블럭 22; 스크류
23; 조작레버1 30; 클램프부
31; 지지판 32; 클램프블럭
33; 스크류 34; 조작레버2
35; 볼트 36; 장공
37; 연동블럭 38; 가압스크류
40; 핀 51; 몸체
52; 체결홈 53; 체결부
54; 방지바 55; 스크류
57; 조임볼트 61; 지지핀
62; 조절공 63; 조절볼트
64; 지지블럭 71; 자

Claims (3)

  1. 기체(10)와 그 상단에 고정되는 회전커터(11)와, 상기 회전커터(11)가 관통될 가이드간격(12)을 가진 선판(13), 상기 선반(13)의 일측에 클램프(14)를 통해서 고정되는 가이드바(15)와, 상기 가이드바(15)에 결합되어 체결클램프(8)를 가이드바(15)를 타고 이동시키는 클램프체결블럭(16)을 가진 좌우연동구(17)로 이루어진 핀 절단기(100)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11)와 수평된 방향으로 상기 선반(13)의 좌우 양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블럭(21), 상기 가이드블럭(21) 중 일측의 가이드블럭(21)에서 관통된 스크류(22)를 통해 체결을 달성하는 조작레버1(23)를 가진 장형의 클램프가이드바(20)와;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이되, 일측으로 수평되게 연장된 지지판(31)을 형성한 클램프블럭(32)과, 클램프블럭(32)의 후방에서 스크류(33)를 통해 클램프블럭(32)을 클램프가이드바(20)에 체결하는 조작레버2(34), 상기 클램프블럭(32)의 지지판(31) 방향에 볼트(35)를 통해서 체결되는 장공(36)을 가진 연동블럭(37)과, 상기 연동블럭(37)의 끝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압스크류(38)를 가진 조작레버3(39)으로 이루어진 클램프부(30)가; 결합하여, 상기 클램프부(30)는 상기 조작레버1(23)을 통해 상기 선반(13)을 타고 회전커터(11)의 수평된 방향으로 연동을 하고, 클램프블럭(32)은 상기 조작레버2(34)를 통해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를 타고 회전커터(11)와 수직된 방향으로 이동을 하며, 클램프블럭(32)에 체결된 다양한 핀(40)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핀 절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체결블럭(16)의 끝단에는,
    장형으로 원형의 몸체(51)를 가지되, 몸체(51)의 일측은 "ㄷ"자형의 체결홈(52)을 형성하고, 타측은 외주면 중 대응되는 양단을 절단한 체결부(53)를 형성한 방지바(54)와;
    상기 방지바(54)의 "ㄷ"자형 체결홈(52)을 향해 방지바(54)의 측단에서 스크류(55)를 통해 전진하여 상기 "ㄷ"자형 체결홈(52)에 끼인 클램프체결블럭(16)을 견고하게 조이는 조임볼트(57); 및
    상기 방지바(54)의 타단인 체결부(53)에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핀(61)이 형성되고, 장형의 조절공(62)에 삽입된 조절볼트(63)를 통해 체결되는 지지블럭(64)이; 결합하되, 상기 클램프체결블럭(16)에 체결된 방지바(54)의 끝단 지지블럭(64)의 지지핀(61)이 장형의 가공을 위한 핀(40)의 끝단을 지지하여 쳐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핀 절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이드바(20)의 상단에는,
    눈금을 가진 자(71)를 체결하여 클램프부(30)의 연동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핀 절단기.
KR2020090003183U 2009-03-19 2009-03-19 양방향 핀 절단기 KR201000095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83U KR20100009514U (ko) 2009-03-19 2009-03-19 양방향 핀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83U KR20100009514U (ko) 2009-03-19 2009-03-19 양방향 핀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14U true KR20100009514U (ko) 2010-09-29

Family

ID=4419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83U KR20100009514U (ko) 2009-03-19 2009-03-19 양방향 핀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51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2478A (zh) * 2014-05-28 2014-08-06 阿博建材(昆山)有限公司 一种手动切脚机
KR101881719B1 (ko) * 2018-02-28 2018-07-24 한교용 금속재 절단 및 연삭 방법
KR102131163B1 (ko) * 2020-01-31 2020-08-05 김형희 정밀가공 가능한 밀핀 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2478A (zh) * 2014-05-28 2014-08-06 阿博建材(昆山)有限公司 一种手动切脚机
KR101881719B1 (ko) * 2018-02-28 2018-07-24 한교용 금속재 절단 및 연삭 방법
KR102131163B1 (ko) * 2020-01-31 2020-08-05 김형희 정밀가공 가능한 밀핀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157B2 (en) Table saw having adjustable worktable
US4745834A (en) Cross cutting guide fence and gauge means for radial arm saws
KR101571008B1 (ko) Alc 블록 절단기
US20060266189A1 (en) Saw blade angular adjustment device for a metal and wood cutting machine
CN1727140A (zh) 夹具装置
US8366091B2 (en) Automatic stop gauge for positioning a workpiece relative to the working member of a tool
US4502518A (en) Work table for saws and other tools
KR20130034075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밀링 머신용 바이스
US9676116B2 (en) Pivot ratcheting log dog
KR20100009514U (ko) 양방향 핀 절단기
US3185470A (en) Universal work clamping fixtures for machine tools
US20010034951A1 (en) Alignment tool apparatus and method
JP2016064493A (ja) 作業台
US20130199671A1 (en) Work piece Guide for Woodworking Machines
KR101816071B1 (ko) 드릴머신 고정장치
KR20180125203A (ko) 수직거치형 패널재단기
KR200370617Y1 (ko) 고속절단기용 절단 길이 및 각도 조절장치
KR100671470B1 (ko) 핸드 그라인더 방식의 건축자재 절단기
KR20140000901U (ko) 원형철판 절단용 안내장치
AU2005100003A4 (en) Angle adjustable sawing table
JP5526091B2 (ja) 加工作業における加工補助装置
KR20150019894A (ko) 써클홀 가공장치
GB2118480A (en) Combination apparatus
JP6596601B2 (ja) 法丁張装置及び法丁張方法
EP0089851A2 (en) Chain saw and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