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342U -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 Google Patents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342U
KR20100009342U KR2020090002950U KR20090002950U KR20100009342U KR 20100009342 U KR20100009342 U KR 20100009342U KR 2020090002950 U KR2020090002950 U KR 2020090002950U KR 20090002950 U KR20090002950 U KR 20090002950U KR 20100009342 U KR20100009342 U KR 201000093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outlet
fluid
moving means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애
Original Assignee
민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애 filed Critical 민경애
Priority to KR2020090002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342U/ko
Publication of KR20100009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3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밸브는, 유체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유출 가능하도록 된 제1유출구와 제2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유체의 유동경로 중 제2유출구와 유체유입구 사이에 위치되어 있되 제2유출구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유출구를 차단하고, 유체유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유출구를 개방하는 마개와; 마개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결합되면 마개를 움직여 제2유출구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제2유출구 방향으로 마개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수치보다 큰 경우 마개와 분리되도록 된 마개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마개이동수단에 의해 마개가 움직여 제2유출구가 개방되면 제2유출구로 유체가 유출되고, 제2유출구로 유체가 유출될 때 마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마개이동수단과 마개가 분리되어 제2유출구가 마개에 의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밸브는, 제2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유체를 빼낼 수 있되 순간적으로 소량의 유체만을 빼낼 수 있을 뿐 유체를 지속적으로 빼내지는 못하는 것이므로 부정한 목적으로 유체를 지속적으로 빼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 유체, 순간, 배출, 유출

Description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THE VALVE POSSIBLE TEMPORARY EFFLUX OF FLUID}
본 고안은 관로(管路)의 도중이나 용기 등에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밸브가 개발되어 있는 실정인데 그 기본적인 형상은 유체의 흐름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에 따라 다르다.
유체의 흐름을 제어함에 있어서, 정상적인 유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유체의 선택적인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짧은 순간 동안에만 유체의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송수관의 특정 지점을 흐르고 있는 수돗물의 상태(오염여부 등)을 검사하기 위해 수돗물 시료를 소량 확보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서 송수관의 특정 지점에 밸브를 설치하고 밸브를 통해 송수관 내의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밸브를 통해서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빼낼 수 있다면 상수도사업을 운영하는 업체의 측면에서 볼때 상당한 손해가 아닐 수 없다.
즉, 사용자는 수도계량기를 통과한 수돗물만을 사용하고, 사용한 양만큼의 비용을 지불해야 상수도사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상적인 유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유체를 유출시킬 수 있되 짧은 순간동안만 유체가 유출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유출대상 유체가 기름과 같이 고가인 경우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또, 다른 예로서,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특정 지점에서 걸러내고, 걸러진 이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유체가 흐르는 경로 상에 밸브를 설치하고 밸브를 통해 유체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유체가 배출될 때 이물질도 함께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물질 제거를 위해 설치된 밸브를 통해서 부정한 목적으로 수돗물이나 기름, 천연가스 등과 같은 유체를 대량 빼낼 수 있다면 상당한 손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에도 정상적인 유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유체를 유출시킬 수 있되 짧은 순간 동안만 유체가 유출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6-0020839호에는 2개의 밸브를 설치해 놓고 2개의 밸브가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하여 밸브를 통해 무단으로 유체를 빼내지 못하도 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핵심적인 구성요소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간단한 방법으로 밸브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유체를 무단으로 빼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 유체가 정상적인 유동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유출되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유동경로가 차단되어야 하고, 2개의 밸브를 설치해야 하는 것이어서 제조원가가 비싸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상적인 유동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유체를 유출시킬 수 있되 짧은 순간 동안만 유체가 유출되어 유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체를 무단으로 빼낼 수 없는 밸브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유체를 무단으로 빼낼 수 없도록 하는 구성을 밸브의 내부에 위치시켜 밸브의 외부에서 밸브에 변형을 가해 유체를 무단으로 빼내는 것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는 유체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유출 가능한 제1유출구와 제2유출구를 형성하고, 제2유출구는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마개의 움직임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고, 마개이동수단과 마개가 결합되고 마개가 움직여 제2유출구가 개방되었을 때 마개에 가해지는 제2유출구 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마개가 마개이동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유출구를 차단함으로써 제2유출구로 유체를 지속적으로 빼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밸브에 변경을 가하여 제2유출구를 지속적으로 개방하는 것도 어렵도록 하고, 제조원가도 저렵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밸브는, 유체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유출 가능하도록 된 제1유출구와 제2유출구를 갖는 하우징을 갖는다.
또, 유체의 유동경로 중 제2유출구와 유체유입구 사이에 위치되어 있되 제2유출구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유출구를 차단하고, 유체유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유출구를 개방하는 마개를 갖는다.
또, 마개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결합되면 마개를 움직여 제2유출구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마개에 가해지는 제2유출구 방향으로의 힘이 설정된 수치보다 큰 경우 마개와 분리되도록 된 마개이동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마개이동수단에 의해 마개가 움직여 제2유출구가 개방되면 제2유출구로 유체가 유출되고, 유체가 제2유출구로 유출될 때 마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마개이동수단과 마개가 분리되어 제2유출구가 마개에 의해 차단된다.
본 고안의 밸브는, 유체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유출 가능한 제1유출구와 제2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제2유출구는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되 마개의 움직임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며, 마개이동수단과 마개가 결합되고 마개가 움직여 제2유출구가 개방되었을 때 마개가 마개이동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유출구를 차단하도록되어 있으므로 제2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유체를 빼낼 수 있되 순간적으로 소량의 유체만을 빼낼 수 있을 뿐 지속적으로 빼내지는 못한다.
또, 밸브에 변형을 가하여 제2유출구를 지속적으로 개방하는 것도 어려우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도 저렵하고, 고장 발생률도 매우 낮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유체의 정상적인 유동방향인 제1유출구 방향으로 유동되기도 하고 정상적인 유동방향과는 다른 제2유출구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도 있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밸브는, 유체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유체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가 유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유출구(12) 및 제2유출구(13)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0)을 갖는다.
그런데 본 고안은 정상적인 유동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유체를 유출시킬 수 있되 짧은 순간 동안만 유체가 유출되어 유체의 손실이 최소화되고, 유체를 지속적으로 빼낼 수도 없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본 고안의 제2유출구(13)는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밸브에는 유체유입구(11)에서 제1유출구(12)에 이르는 유동경로(14)와 유체유입구(11)에서 제2유출구(13)에 이르는 유동경로(15)가 형성되어 있 는 것이며, 유체가 제1유출구(12)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유체의 정상적인 유동방향인 것이고, 제2유출구(13)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정상적인 유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다.
본 출원의 고안자는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마개에 의해서 제2유출구(13)의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되 제2유출구(13)가 개방될 경우 제2유출구(13)로 유출되는 유체의 힘(유속 등)에 의해서 마개(20)가 제2유출구(13) 방향으로 향함으로써 제2유출구(13)를 차단하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유체의 유동경로 중 제2유출구(13)와 유체유입구(11) 사이에 마개(20)가 위치되어 있는데 마개(20)는 제2유출구(13)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유출구(13)가 차단되고, 마개(20)가 유체유입구(11)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유출구(13)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마개(20)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마개이동수단(30)이 구비되어 있는데 마개이동수단(30)은 마개(20)와 결합되면 마개(20)를 움직여 제2유출구(13)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의 결합력은 마개이동수단(30)을 움직이면 마개(20)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것이지만 마개(20)에 가해지는 제2유출구(13) 방향으로의 힘이 설정된 수치보다 큰 경우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이 분리되는 정도이다.
상기 설명에서 마개(20)에 가해지는 제2유출구(13) 방향으로의 힘은, 제2유출구(13) 방향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속, 마개(20) 자체의 무게 등에 의해 발생된 다.
따라서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은, 제2유출구(13)로 유동되는 유체의 힘(유속 등)에 마개(20)가 영향을 받도록 구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마개(20)가 제2유출구(13)로 유동되는 유체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받는 구조인지에 따라 제2유출구(13) 방향으로 유동되는 유체가 마개(20)에 가하는 힘은 달라진다.
즉, 제2유출구(13)로 유동되는 유체가 마개(20)에 어느 정도로 부딪히는 것인지에 따라 마개(20)가 유체의 영향을 받는 정도가 결정되며, 유체가 마개(20)와 부딪히는 면적이 크면 마개(20)는 유체의 영향(힘)을 많이 받게되고, 부딪히는 면적이 작으면 마개(20)는 유체의 영향(힘)을 덜 받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의 결합력은 제2유출구(13)로 유동되는 유체의 힘과 이 유체의 힘에 마개(20)가 영향을 받는 정도, 마개(20)의 자체무게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사항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널리 공지된 계산법을 통해 구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마개이동수단(30)에 의해 마개(20)가 움직여 제2유출구(13)가 개방되면 제2유출구(13)로 유체가 유출되며, 제2유출구(13)로 유출되는 유체의 힘에 의해 마개이동수단(30)과 마개(20)가 분리되고 제2유출구(13)가 마개(20)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의 결합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 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자력에 의해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마개이동수단(30) 중 마개(20)와 접촉되는 부분에 자석(31)이 위치되어 있어 마개(20)가 마개이동수단(30)의 자석(31)에 닿으면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마개(20)에 가해지는 제2유출구(13) 방향으로의 힘이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의 결합력보다 크면(제2유출구(13)가 개방되었을 때 발생)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이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마개이동수단 중 유체와 접촉되는 부분 및 마개는 내부식성이 강한 황동이나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러한 재질 중에는 자력에 반응하지 않는 것들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석과 부착되어야 하는 부분에 내부식성이 강한 자성체를 부착시켜 놓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마개이동수단(30)에 자석이 구비되어 있으면 자성체를 마개에 부착시켜 놓고, 반대로 마개에 자석이 구비되어 있으면 마개이동수단에 자성체를 부착시켜 놓는 것이다.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이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에서는, 하우징(10)의 외측에서 작용하는 자력이 하우징(10) 내부의 마개(20)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것은 부정한 의도로 하우징(10)의 외측에 별도의 자력발생수단을 위치시켜 마개(20)를 움직이는 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을 비자성체로 구현하고, 두껍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우징을 구현함에 있어 자력이 통과되지 못하는 재질로 구현하거나 하우징을 제작한 후 자력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후처리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의 또 다른 결합구조로서, 걸림턱(32a)을 갖는 홈(32)과 이 홈(32)에 끼워져 걸림턱(32a)에 걸리되 마개(20)에 가해지는 제2유출구(13) 방향으로의 힘이 설정된 수치보다 큰 경우 상기 홈(32)에서 이탈되는 걸림돌기(33)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걸림돌기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서 마개(20)는 걸림턱(32a)을 갖는 홈(32)을 가지고 있으며, 마개이동수단(30)은 홈(32)에 끼워져 걸림턱(32a)에 걸리는 걸림돌기(33)를 가지고 있다.
또, 걸림돌기(33)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쪼개진 형태로 되어 있어 마개(20)에 가해지는 제2유출구(13) 방향으로의 힘이 강한 경우 걸림돌기(33)를 이루는 각 부분(쪼개진 형태의 부분)이 오므라지면서 걸림돌기(33)가 걸림홈(3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결합시에는 걸림돌기(33)가 오므라지기 때문에 걸림홈(32)에 삽입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걸리돌기와 걸림홈을 갖는 구조는 제2유출구(13)로 유체가 유출되도록 밸브에 변형을 가하는 것이 더욱 어려운 특징이 있다.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의 또 다른 결합구조로서,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 간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가 있다.
즉,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이 결합됨에 있어 홈이나 홀에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되 뻑뻑하게 결합됨으로써 강한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러한 마찰력은 제2유출구(13)가 개방되도록 마개(20)를 움직일 수 있으면서 마개(20)에 강한 힘이 가해지면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이 분리될 수 있는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도시하지 않음)
즉, 제2유출구(13)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유출구(13) 방향으로 향하는 유체의 힘이 마개(20)에 가해지면 마개(20)와 마개이동수단(30) 간에 발생되고 있는 마찰력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홈이나 홀에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때 뻑뻑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홈이나 홀이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거나 돌기의 외경이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짐으로써 뻑뻑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구조가 내구성이 좋아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마개이동수단(3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서와 같은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하우징(10)은, 제2유출구(13)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패킹설치공간(16)과 패킹설치공간(16)의 상부에 형성된 패킹설치홀(17)을 가지고 있다.
또, 마개이동수단(30)은 패킹설치공간(16)의 외측에서 제2유출구(13)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덮개(34)를 갖고, 일측이 덮개(34)에 연결되어 덮개(34)와 함께 움직이며 마개(20)와 분리,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갖는 이동봉(3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0)의 패킹설치공간(16)을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되 내측에 형성된 이봉동설치홀(51)에 이동봉(35)이 삽입되어 있는 패킹(5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34)를 제2유출구(13)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누수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이동봉(35)이 제2유출구(1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물론, 이동봉(35)이 제2유출구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이때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구성요소의 제작시에 복잡한 가공이 요구되지 않고, 구성요소의 수가 적으며, 고장 발생의 확률도 매우 낮은 구조이다.
마개이동수단(30)은, 나선결합되어 있어 회전시 제2유출구(13)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즉, 나선선결합된 볼트가 정회전이나 역회전되어 볼트가 마개(20)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고, 볼트가 마개(20)방향으로 움직여 마개(20)와 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가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마개(20)를 이동시키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같은 구조는 제2유출구(13)를 개폐하는 마개(20)가 밸브의 내부에 위치되고, 이 마개(2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부분도 대부분 마개(20)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본 고안의 밸브를 통해서는 유체를 지속적으로 빼낼 수 없다.
특히, 도 1과 같은 이동봉(35)과 덮개(34)를 갖는 구조는 제2유출구(13)로 유체를 지속적으로 빼내기 위해 제2유출구(13)의 차단을 제어하는 부분을 변형시키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이다.
마개이동수단(30)을 구현함에 있어서, 마개(20)와의 결합 방향(제2유출구(13)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의 마개(20)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프링(40)에 의해서 마개이동수단(30)이 마개(20)와의 결합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개이동수단(30)을 움직여 마개(20)가 이동된 상태에서 마개이동수단(30)에 가하고 있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에 의해서 마개이동수단(30)이 원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마개(20)가 제2유출구(13) 방향으로 움직여 제2유출구(13)를 차단하도록 하는 구성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패킹을 사용하는 구조 즉, 하우징(10)과 마개(20) 사이에 패킹이 위 치된 누수방지 구조를 통해 제2유출구(13)가 차단되도록 하는 구조는 고장률이 높다.
이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패킹이 그 기능을 온전히 수행할 수 없게되고, 작동과정에서도 패킹의 손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개(20)가 제2유출구(13) 방향으로 움직여 제2유출구(13)를 차단하도록 하는 구조는, 경사면과 경사면이 밀착되어 제2유출구(13)가 차단되도록 하는 첨부도면과 같은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개(20)에 경사면(21)을 형성하고, 하우징(10) 중 제2유출구(13)와 유체유입구(11) 사이에는 마개(20)에 형성된 경사면(21)이 밀착되는 경사면(18)이 형성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마개(20)에 가해지는 제2유출구(13) 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마개(20)의 경사면(21)이 하우징(10)의 경사면(18)에 밀착됨으로써 제2유출구(13)가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유체가 유동경로(14, 15)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분리되어 제2유출구(13)로 배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체유입구(11)에서 제1유출구(12)로 향하는 유동경로 상에는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60)을 설치하고, 거름망(6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이 유체유입구(11)에서 제2유출구(13)로 향하는 유동경로(15) 상에 모이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하면 제2유출구(13)가 개방되었을 때 유체와 함께 걸러진 이 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마개(20)에 의해 제2유출구(13)가 개방되면 유동경로(15) 상의 유체가 압력으로 인해서 제2유출구(13)로 강하게 유출되어 이물질이 깨끗하게 유출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마개(20)에 의해 제2유출구(13)가 차단된 상태일 때 마개이동수단(30)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마개(20)를 움직여 제2유출구(13)를 개방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같은 경우는 제2유출구(13)를 통해 마개(20) 방향으로 철사를 밀어넣어 마개(20)가 움직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제2유출구(13)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유출구(13)를 통해 마개(20)를 움직일 수 없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을 구현함에 있어, 구부러짐이 없는 곧은 물체를 제2유출구(13)를 통해 마개(20) 방향으로 밀어넣었을 때 구부러짐이 없는 곧은 물체가 마개(20)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도 4와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유출구(13)로 구부러짐이 없는 곧은 물체(2)를 밀어넣으면 마개(20)에 접촉하기 전에 하우징(10)의 내벽에 막힘으로써 구부러짐이 없는 곧은 물체는 제2유출구(13)를 통해 마개(20)에 접촉될 수 없다.
또, 유연한 철사를 제2유출구(13)를 통해 마개(20) 방향으로 밀어넣더라도 유연한 철사는 하우징(10)의 내벽에 막혀 마개(20)가 설치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밖에 없으므로 유연한 철사를 통해서도 마개(20)를 움직일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유출구(13)는 다양한 방향을 향해 형성할 수 있지만 하부 (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지면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함)를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유출구(13)가 하부를 향해 형성된 경우 마개의 자중이 제2유출구를 차단하는데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밸브는 수도계량기 등의 물체에 구비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1은 본 고안의 유체유입구(11)와 제1유출구(12)에 연결된 유체유동관이다.
또, 미설명 부호 22는 마개이동수단과 결합되는 영역이다
즉, 도 5에서 사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마개이동수단과 결합되는 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마개(20)의 상부 중 마개이동수단과 결합되는 영역(22)의 외측은 제2유출구(13)를 향해 유동되는 유체에 부딪혀 힘을 받는 부분에 해당된다.
도 1은 자력에 의해 마개와 마개이동수단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본 고안 의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유출구가 마개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사용상태의 개략도
도 2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마개이동수단을 통해 마개를 움직여 제2유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에 가해지는 제2유출구 방향으로의 힘에의해 마개와 마개이동수단이 분리되고 마개가 제2유출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걸림턱을 갖는 홈과 걸림돌기에 의해 마개와 마개이동수단이 결합되고, 제2유출구에 철사 등을 밀어 넣더라도 마개를 움직일수 없는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유출구가 마개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사용상태의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마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체유동관 2. 곧은 물체
10. 하우징 11. 유체유입구
12. 제1유출구 13. 제2유출구
14. 15. 유동경로 16. 패킹설치공간
17. 패킹설치홀 18. 경사면
20. 마개 21. 경사면
22. 마개이동수단과 결합되는 영역 30. 마개이동수단
31. 자석 32. 홈
32a. 걸림턱 33. 걸림돌기
34. 덮개 35. 이동봉
40. 스프링 50. 패킹
51. 이동봉설치홀 60. 거름망

Claims (9)

  1. 밸브에 있어서,
    유체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유출 가능하도록 된 제1유출구와 제2유출구를 갖되 제2유출구는 하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유체의 유동경로 중 제2유출구와 유체유입구 사이에 위치되어 있되 제2유출구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유출구를 차단하고, 유체유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유출구를 개방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결합되면 마개를 움직여 제2유출구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제2유출구 방향으로 마개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수치보다 큰 경우 마개와 분리되도록 된 마개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마개이동수단에 의해 마개가 움직여 제2유출구가 개방되면 제2유출구로 유체가 유출되고, 제2유출구로 유체가 유출될 때 마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마개이동수단과 마개가 분리되어 제2유출구가 마개에 의해 차단되도록 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마개이동수단의 결합은 자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마개이동수단의 결합은 마개와 마개이동수단 간의 마찰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마개이동수단의 결합은 걸림턱을 갖는 홈과 이 홈에 끼워져 걸림턱에 걸리되 제2유출구 방향으로 마개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된 수치보다 큰 경우 상기 홈에서 이탈되는 걸림돌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 중 제2유출구와 유체유입구 사이에는 마개에 형성된 경사면이 밀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마개의 경사면이 하우징의 경사면에 밀착됨으로써 제2유출구가 차단되도록 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이동수단을 마개와의 결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이 더 구비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구에서 제1유출구로 향하는 유동경로 상에는 유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름망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이 유체유입구에서 제2유출구로 향하는 유동경로 상에 모이도록 되어 있는,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구부러짐이 없는 곧은 물체를 제2유출구를 통해 마개 방향으로 밀어넣었을 때 구부러짐이 없는 곧은 물체가 마개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2유출구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패킹설치공간과 패킹설치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패킹설치홀을 가지며,
    상기 마개이동수단은 패킹설치공간의 외측에서 제2유출구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덮개를 갖고, 일측이 덮개에 연결되어 덮개와 함께 움직이며 마개와 분리,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갖는 이동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패킹설치공간을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되 내측에 형성된 이봉동설치홀에 이동봉이 삽입되어 있는 패킹;이 더 구비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KR2020090002950U 2009-03-14 2009-03-14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KR201000093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950U KR20100009342U (ko) 2009-03-14 2009-03-14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950U KR20100009342U (ko) 2009-03-14 2009-03-14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42U true KR20100009342U (ko) 2010-09-28

Family

ID=4419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950U KR20100009342U (ko) 2009-03-14 2009-03-14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34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726B1 (en) Self-cleaning flow shut off valve
RU24738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рания и отпирания поток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а также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KR20080018949A (ko) 유체 유동 제어기
CN109578599B (zh) 具有颗粒捕集器的流体流量控制设备
US7552743B1 (en) Self cleaning flow shutoff valve
US3406715A (en) Drain valve
KR200456133Y1 (ko) 지하식 소화전의 역류방지장치
KR20100101038A (ko)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CA2513358C (en) Fluid hydrant with sleeve
KR20100009342U (ko)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KR20100104160A (ko)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20100009382U (ko)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KR200428892Y1 (ko) 수돗물의 불순물 제거장치
KR100831714B1 (ko) 동축 이중체크밸브형 유체 역류방지장치
US4304393A (en) Gate valve to shut off flow of liquid in pipelines
KR102121613B1 (ko)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KR100747624B1 (ko) 수돗물의 불순물 제거장치
CA1091542A (en) Backwater valve
KR20220116908A (ko) 유체의 임의 유출 방지를 위한 플로우 콘트롤 시스템
CN202402657U (zh) 一种排污阀
US20160047488A1 (en) Gate valve
KR101945449B1 (ko) 여과장치
KR100889477B1 (ko)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US5979497A (en) Check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