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203A -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203A
KR20100009203A KR1020080069968A KR20080069968A KR20100009203A KR 20100009203 A KR20100009203 A KR 20100009203A KR 1020080069968 A KR1020080069968 A KR 1020080069968A KR 20080069968 A KR20080069968 A KR 20080069968A KR 20100009203 A KR20100009203 A KR 20100009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luminaire
support
adjusting device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536B1 (ko
Inventor
양석두
Original Assignee
엔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5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 보안등, 터널등, 건널목등과 같은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된 등기구의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야간에 도로 이외의 인접하는 구역인 농경지 또는 주택가 등에는 등기구의 불빛이 비추어지지 않도록 하여 도로주변에 있는 농작물의 성장불량 등의 피해를 방지하고, 도로주변에서 살고 있는 주민들의 수면장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조사각도의 조절을 원하는 극히 미세한 각도까지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등기구 각도조절장치는 지지대(30)에 연결 설치되는 등기구(40,40')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40,40')의 일측부에 개방된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 하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공(12)이 형성되어 있고 단면적이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형성한 각도 조절구(10,10'); 상기 각도조절구(10,10')의 상 하면에 형성된 각 나선공(12)들에 나사결합 되고 등기구(40,40')를 원하는 조사각도로 위치시킨 후 지지대(30)를 조임으로써 등기구(40,40')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20); 그리고 상기 등기구(40,4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각도 조절구(10,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중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등기구, 각도조절장치, 가로등, 농작물, 수면장애

Description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A ANGLE CONTROL APPARATUS OF A LAMP APPLIANCE}
본 발명은 가로등, 보안등, 터널등, 건널목등과 같은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된 등기구의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야간에 도로 이외의 인접하는 구역인 농경지 또는 주택가 등에는 등기구의 불빛이 비추어지지 않도록 하여 도로주변에 있는 농작물의 성장불량 등의 피해를 방지하고, 도로주변에서 살고 있는 주민들의 수면장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조사각도의 조절을 원하는 극히 미세한 각도까지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농촌의 도시화에 따라 도로 주변의 가로등, 보안등, 터널등과 공업단지의 방범등 기타 조명등이 증가되면서 농작물의 생육에 야간 조명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로등(街路燈)은 밤에 어두운 나 보도 같은 길에서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야 확보를 통한 사고예방 및 범죄예방을 위해 높이 설치하는 등을 말한다. 가 지면 자동으로 램프를 점등시키고 일출과 동시에 소등시킨다.
야간조명에 대한 식물의 반응은 광질, 광의 강도, 조명시간, 조명의 방향, 명암의 주기, 식물의 종류와 품종, 조직, 기관, 생육단계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벼는 단일식물로서 야간조명을 하게 되면 일조시간을 연장해 주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출수기(出穗期)를 지연시키게 하고, 품질이 저하되며 수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출수전 7~40일경에 야간조명을 중단하면 피해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참깨는 영양생장을 하면서 동시에 개화(開花) 등 생식생장을 하며, 일조시간과 온도에 영향을 받는 식물이다. 야간조도가 6.1~10.0럭스(lux)일 경우 2럭스 이하에 비하여 개화가 3~8일 지연되며, 불빛에 영향을 받아 수량의 감소가 크다.
기타, 들깨, 보리, 밀, 콩 등의 작물도 상기와 같이 야간조명의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도로 주변의 주택가에서도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의 조명에 의하여 주민들에게 수면장애 등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등기구의 조절장치는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기구(1)의 일측에 방사상의 톱니가 일측 원형상의 평평한 측면에 형성된 조절용 기어(2)와 상기 조절용 기어(2)의 톱니에 맞물리도록 톱니가 일측 원형상의 평평한 측면에 형성되고, 고정 설치되는 조절용 기어(3)가 서로 동일 축(4)에 치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등기구를 원하는 각도만큼 돌려서 서로 치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등기구의 조절장치는 아무리 미세하게 각도로 조절한다고 할지라도 기어(2, 3)의 톱니를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한 각도까지는 조절할 수 없고, 각도조절작업도 양측 기어(2, 3)가 치합된 상태로 고정시킨 축볼트(4)를 풀어서 맞물려 있는 양측 기어를 분리시킨 후 등기구(1)의 일측에 구비된 기어(2)를 원하는 각도 만큼 돌려서 치합시킨 후 다시 축볼트(4)에 너트를 조여야 하기 때문에 등기구(1)의 각도조절을 하는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가로등, 보안등과 같은 각종 조명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주변에서 재배되고 있는 농작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고, 도로 주변에서 살고 있는 주민들이 야간에 정상적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기구의 조사각도를 미세한 각도까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는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의 일측부에 개방된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 하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공이 형성되어 있고 단면적이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형성된 각도 조절구; 상기 각도조절구의 상하면에 형성된 각 나선공들에 나사결합 되고 등기구를 원하는 조사각도로 위치시킨 후 지지대를 조임으로써 등기구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 그리고 상기 등기구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각도조절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중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절장치는 또한, 상기 회전중심부는 각도조절구 내부에 설치된 힌지축이며, 지지대의 선단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삽입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절장치는 또한, 상기 회전중심부는 상기 각도 조절구의 내부에 고정된 중공 원뿔대 형상의 삽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절장치는 또한, 상기 지지대는 그 상 하측 면에 보강판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도로에 설치되는 등기구를 회전시켜서 빛의 조사방향을 조절하고 차광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 하측 조절볼트를 돌려서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는 각도조절구가 원활하게 회전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등기구의 각도조절이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야간에 도로 주변의 각종 농작물의 정상적인 성장을 저해하는 일이 전혀 없게 되고, 주택가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수면장애, 불면증 등에 시달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여 등기구를 각도조절 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고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대 단부와의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구가 원형등기구의 각도조절구의 일측 내부에 구비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대 단부와의 연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구가 타원형등기구의 각도조절구의 일단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사범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원형상등기구(40)의 상부에 설치된 각도 조절구(10); 상기 각도 조절구(10)를 이동시키는 조절볼트(20); 상기 등기구(40)가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 조절구(10)는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의 넓은 부분으로부터 점차로 좁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타원형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 조절구(10)의 좁혀진 부분인 일단부는 원형상등기구(40)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공(41)에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굴곡 되어져서 연결 설치되어 있고 각도 조절구(10)의 수직으로 굴곡되기 전의 위치인 내부에 힌지축(11)이 수평방향 으로 설치되어서 후술하는 지지대(3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요부(31)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구(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도 조절구(10)의 상하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선공(1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 조절구(10)의 상하측면에는 보강판(13)이 용접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으로서 각도 조절구(10)의 각 나선공(12)에 대응하는 나선공(13a)들이 형성되어서 대응하는 각 나선공(12,13a)들이 서로 일치되도록 각도 조절구(10)의 상하부에 보강판(13)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절볼트(20)는 각도 조절구(10)의 상하부에 보강판(13)이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각 나선공(12,13a)들과 나사결합 되어 상 하측 조절볼트(20)를 적절히 돌려줌에 의하여 각도 조절구(10)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 하측의 조절볼트(20)는 돌리고 있는 중에도 그 끝단부가 후술하는 지지대(30)에 결합된 보강판(32)의 표면에 항상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도 조절구(10)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30)는 각도 조절구(1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일측부가 각도 조절구(10)에 조절볼트(2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고 타측부가 전주(미 도시함)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대(30)가 각도 조절구(1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쪽인 지지대(30)의 일단부에는 설치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요 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30)의 내측 중공부를 통하여 전선(70)이 통과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 조절구(1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지는 지지대(30)의 일측부의 상 하측 면에는 상기 조절볼트(20)의 끝단부가 접촉되는 보강판(32)이 용접수단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구(10')가 도 2의 각도 조절구(10)와 다른 점은 등기구의 형상이 타원형상의 등기구(40')이므로 각도 조절구(10')의 끝단부가 굴곡 되지 않고 타원형상 등기구(40')의 측부에 고정 설치된 구조만 다를 뿐 각도 조절구(10')의 일측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힌지축(11) 등 나머지 다른 부분은 모두 동일한 구조이므로 도 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등기구(40,40')에 설치되는 각도 조절구(10,10')는 등기구(40,40')의 상부나 측면부 이외의 부분에도 각도 조절구(10,10')가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고, 주조 등에 의해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상기 힌지 축(11)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40)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도 조절구(10)가 수직으로 굴곡되기 전의 부분의 내측면에 삽입구(60)가 고정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구(60)는 각도 조절구(10)의 일단부가 연결 설치되는 원형상의 등기구(40)의 일측부에 형성된 관통공(41)과 연통되고 일측이 넓고 타측으로 가면서 좁혀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60)의 일단부인 좁혀진 부분은 지지대(30)의 일단부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전선(70)이 원형상 등기구(40)의 관통공(41), 삽입구(60)의 중공부 및 지지대(30)의 중공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30)의 일단부의 중공부에 삽입구(6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진 부분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구(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삽입구(60)의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로서, 등기구(40')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서와 같이 삽입구(60)를 각도 조절구(10')의 일측부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고, 타원형상 등기구(40')의 관통공(41')과 연결되도록 등기구(40')의 측부에 삽입구(60)가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등기구(40')의 관통공(41'), 삽입구(60)의 중공부 및 지지대(30)의 중공부를 전선(70)이 통과할 수 있게 되고,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대(30)의 일단부의 중공부에 삽입구(6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진 부분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구(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42는 글러브, 43은 LED 램프, 42'는 안정기, 43'는 램프, 44'는 반사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각도 조절구(10,10')를 수평상태로 조절할 경우에는 상 하측의 조절볼트(20)를 각도 조절구(10,10')의 나선공(12)에 각각 나사 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지지대(30)의 일측부를 각도 조절구(10,10')로 삽입시킨 후, 다시 상 하측의 조절볼 트(20)를 각각 돌려서 각 조절볼트(20)의 끝단부가 지지대(30)의 보강판(32)에 각각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상 하측의 각 조절볼트(20)들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각도 조절구(10,10') 내로 관통되어 들어온 부분 즉, 각 대응하는 상 하측 조절볼트(20)들이 각도 조절구(10,10')의 내측 중공부내에 나타난 부분의 길이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조절볼트(20)들을 각각 돌려서 조절하게 되면 등기구(40,40')가 수평방향을 이루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등기구(40, 40')가 수평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 조절할 경우에는 상 하측의 각 조절볼트(20)들을 돌려줌에 의하여 각도 조절구(10,10') 내로 관통되어 들어온 상측의 각 조절볼트(20) 부분의 길이가 이에 대응하는 하측의 각 조절볼트(20)들의 각도 조절구(10,10') 내로 들어온 부분의 길이보다 더 길도록 각 조절볼트(20)들을 각각 돌려서 조절해 놓으면 등기구(40,40')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된 상태에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등기구(40,40')가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로 조절할 경우에는 상 하측의 각 조절볼트(20)들을 돌려줌에 의하여 각도 조절구(10.10') 내로 관통되어 들어온 하측의 각 조절볼트(20) 부분의 길이가 이에 대응하는 상측의 각 조절볼트(20)들의 각도 조절구(10,10') 내로 들어온 부분의 길이보다 더 길도록 각 조절볼트(20)들을 돌려서 조절해 놓으면 등기구(40,40')가 힌치축(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된 상태에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등기구(40,40')들의 조사각도를 원하는 조사각도로 조절할 때 지지대(30)와 상 하측 조절볼트(20)간의 조임 간격비로 조여 주기만 하면 각도 조절구(10,10')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미세한 각도까지도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로면에 따라 알맞게 등기구(40,40')의 불빛의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구(10, 10')를 조절볼트(20)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사되는 빛이 도로만 비추게 되고 도로(90) 주변의 각 농작물(80)들이 재배되고 있는 구역에는 비추지 않게 되어 농작물에 대한 과다한 일조량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각 농작물(80)들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어서 빛 공해로부터 피해를 보지 않게 된다.
또한, 도로(90) 주변의 주택가로 본 발명의 등기구로부터 빛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주민들이 야간에 불면증에 시달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대 단부와의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구가 원형등기구의 각도조절구의 일측 내부에 구비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대 단부와의 연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구가 타원형등기구의 각도조절구의 일측 내부에 구비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등기구의 조사범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각도 조절구 10' : 각도 조절구
11 : 힌치축 12 : 나선공
13 : 보강판 13a : 나선공
20 : 조절볼트 30 : 지지대
31 : 삽입요부 32 : 보강판
40 : 원형 등기구 40' : 타원형 등기구
41, 41' : 관통공 60 : 삽입구
70 : 전선

Claims (4)

  1. 지지대(30)에 연결 설치되는 등기구(40,40')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40,40')의 일측부에 개방된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 하면에 하나 이상의 나선공(12)이 형성되어 있고 단면적이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형성된 각도 조절구(10,10');
    상기 각도조절구(10,10')의 상하면에 형성된 각 나선공(12)들에 나사결합 되고 등기구(40,40')를 원하는 조사각도로 위치시킨 후 지지대(30)를 조임으로써 등기구(40,40')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20); 그리고
    상기 등기구(40,4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각도조절구(10,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중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부는 각도 조절구(10)(10')내부에 설치된 힌지축(11)이며, 지지대(30)의 선단에 상기 힌지축(11)이 삽입되는 삽입요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부는 상기 각도 조절구(10)(10')의 내부에 고정된 중공 원뿔대 형상의 삽입구(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그 상 하측 면에 보강판(32)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1020080069968A 2008-07-18 2008-07-18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100955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968A KR100955536B1 (ko) 2008-07-18 2008-07-18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968A KR100955536B1 (ko) 2008-07-18 2008-07-18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03A true KR20100009203A (ko) 2010-01-27
KR100955536B1 KR100955536B1 (ko) 2010-04-30

Family

ID=4181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968A KR100955536B1 (ko) 2008-07-18 2008-07-18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5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588B1 (ko) * 2013-01-30 2014-02-05 희성전자 주식회사 부재 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 장치
CN110870426A (zh) * 2018-08-14 2020-03-10 常州市青龙实验小学 一种智能植物生长箱
WO2023274777A1 (en) * 2021-06-28 2023-01-05 Signify Holding B.V. Vibration retention system
CN117944189A (zh) * 2024-03-26 2024-04-30 江苏强露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石头加工用表面开槽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280B1 (ko) * 2012-03-15 2013-07-19 손종범 단계적 각도 조절 가능한 등기구용 경첩
KR101668013B1 (ko) 2016-01-08 2016-10-20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운전자의 눈부심 현상 감소가 가능한 led터널등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4135A (en) * 1990-04-03 1990-11-27 Wen Tsung Chen Structure of adjustable desk lamp
KR20030016350A (ko) * 2003-02-04 2003-02-26 문희수 빛의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KR100765130B1 (ko) * 2004-10-22 2007-10-11 안승범 방향변경이 가능한 조명등이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철주조립체
US7973926B1 (en) * 2009-01-16 2011-07-05 Process Instruments, Inc. Methods for determining olefin concentrations in olefin-containing fue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588B1 (ko) * 2013-01-30 2014-02-05 희성전자 주식회사 부재 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 장치
CN110870426A (zh) * 2018-08-14 2020-03-10 常州市青龙实验小学 一种智能植物生长箱
WO2023274777A1 (en) * 2021-06-28 2023-01-05 Signify Holding B.V. Vibration retention system
CN117944189A (zh) * 2024-03-26 2024-04-30 江苏强露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石头加工用表面开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536B1 (ko)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536B1 (ko)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JP4839447B2 (ja) 街路灯
US8860311B2 (en) Lighting apparatus
US10993379B2 (en) LED plant light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same
US20110058368A1 (en) Street Lighting Device
KR100992555B1 (ko)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WO2009104067A1 (en) Street lighting device with leds, and method to make the same
KR100693108B1 (ko)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가로등
KR101049711B1 (ko) 각도조절용 광원을 갖는 가로등
KR20100012919A (ko) 램프의 조사각도 조절용 가로등기구
KR20200031396A (ko) 빛공해 방지를 위한 배광각도 조절형 가로등 조명장치
KR101911908B1 (ko)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KR20100117371A (ko) 등기구지주결합장치
KR200389323Y1 (ko)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가로등
CN205332001U (zh) 一种反射式植物照明装置
KR20190024026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한 가로등용 등기구
KR102199550B1 (ko) 스피커가 내장된 회전구조의 태양광 정원등
JP3216147U (ja) 光照射方向の選択が自由な室外灯
CN209165150U (zh) 两用型植物景观照明灯
KR10063526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물 천정 조명기구
CN209458834U (zh) 一种方便调节的园林景观用路灯
KR200392252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램프 하우징
JP5740697B2 (ja) トンネル入口部の照明装置
KR101692391B1 (ko) 빛 조사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엘이디 가로등
KR100599820B1 (ko) 연출 조명을 갖는 가로등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