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822U -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822U
KR20100008822U KR2020090002233U KR20090002233U KR20100008822U KR 20100008822 U KR20100008822 U KR 20100008822U KR 2020090002233 U KR2020090002233 U KR 2020090002233U KR 20090002233 U KR20090002233 U KR 20090002233U KR 20100008822 U KR20100008822 U KR 201000088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link
moving
movable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구
동광은
Original Assignee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2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822U/ko
Priority to PCT/KR2010/001225 priority patent/WO2010098616A2/ko
Publication of KR201000088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8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기기의 중심 몸체와 그 중심 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이동 몸체 및 제2이동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어 제1이동 몸체 및 제2이동 몸체가 각각 중심 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심 몸체에 결합되는 중심 부재; 상기 중심 부재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이동 몸체에 결합되는 제1이동 부재; 상기 중심 부재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이동 몸체에 결합되는 제2이동 부재; 상기 중심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제1이동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와 제1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제1링크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제2이동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와 제2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제2링크 부재; 상기 중심 부재와 제1링크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심 부재와 제1링크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1이동 부재가 상기 중심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그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 링크; 및 상기 중심 부재와 제2링크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심 부재와 제2링크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2이동 부재가 상기 중심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그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 링크;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SLIDING APPARATUS FOR PO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개의 몸체로 구성된 휴대용 기기를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열림/닫힘 동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기기는 자체 전원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일종으로, 휴대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MP3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이 있다.
대표적인 휴대용 기기인 휴대폰은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폴더형과 슬라이드형은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몸체에 정보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설치하고 다른 몸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넓은 화면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폴더형과 슬라이드형 중에서 슬라이드형 은 두 개의 몸체를 180도 가까지 젖혀야 하는 폴더형에 비해 조작이 편리하고,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어서 정보 인식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슬라이드형은 휴대폰뿐만이 아니라,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 MP3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 다른 여러 가지 휴대용 기기에 채택되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에이어나 게임기 등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중심 몸체와 그 중심 몸체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1이동 몸체 및 제2이동 몸체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제1이동 몸체와 제2이동 몸체에 키패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양손으로 제1이동 몸체 및 제2이동 몸체를 잡고 휴대용 기기를 조작하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휴대용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1이동 몸체와 제2이동 몸체를 슬라이딩하여 휴대용 기기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면 휴대하기에도 편리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3개의 몸체부로 구성된 휴대용 기기에 내장되어 용이하게 닫힘/열림 동작을 수행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진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심 몸체의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이동 몸체가 슬라이딩되면서 용이하게 닫힘/열림 작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 기기용의 슬라이딩 장치는, 휴대용 기기의 중심 몸체와 그 중심 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이동 몸체 및 제2이동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어 제1이동 몸체 및 제2이동 몸체가 각각 중심 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심 몸체에 결합되는 중심 부재; 상기 중심 부재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이동 몸체에 결합되는 제1이동 부재; 상기 중심 부재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이동 몸체에 결합되는 제2이동 부재; 상기 중심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제1이동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와 제1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제1링크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제2이동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와 제2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제2링크 부재; 상기 중심 부재와 제1링크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심 부재와 제1링크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1이동 부재가 상기 중심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그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 링크; 및 상기 중심 부재와 제2링크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심 부재와 제2링크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2이동 부재가 상기 중심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그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 링크;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딩 장치 및 휴대용 기기는, 중심 몸체의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이동 몸체가 슬라이딩되면서 용이하게 닫힘/열림 동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매우 콤팩트한 구조로 3개의 몸체부로 구성된 휴대용 기기가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면서 닫힘/열림 동작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내지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200)는 중심 몸체(210)와 제1이동 몸체(220)와 제2이동 몸체(230)를 구비한다. 제1이동 몸체(220)와 제2이동 몸체(230)는 중심 몸체(210)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중심 몸체(210)와 제1이동 몸체(220) 및 제2이동 몸체(230) 사이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예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100)가 설치되어 제1이동 몸체(220) 및 제2이동 몸체(230)를 중심 몸체(21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100)는 중심 부 재(10)와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를 포함한다.
중심 부재(10)는 중심 몸체(210)에 결합되고,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는 각각 제1이동 몸체(220)와 제2이동 몸체(230)에 결합된다.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는 각각 중심 부재(10)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는 중심 부재(10)의 양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가이드홈(21, 31)을 구비하고, 그 가이드홈(21, 31)을 이용하여 중심 부재(10)의 양측에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가 끼워진다. 가이드홈(21, 31)에는 윤활부재(22, 32)가 설치되어 가이드홈(21, 31)과 중심 부재(10)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중심 부재(10)에 대한 제1이동 부재(20) 및 제2이동 부재(30)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한다.
중심 부재(10)의 중앙부에는 회전 부재(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링크 부재(50)의 한쪽은 회전 부재(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제1이동 부재(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부재(40)와 제1이동 부재(20)를 서로 연결한다.
또한, 제2링크 부재(60)의 한쪽은 회전 부재(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제2이동 부재(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부재(40)와 제2이동 부재(30)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제1링크 부재(50)와 제2링크 부재(60)는 각각 회전 부재(40)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회전 부재(40)에 대해 연결된다.
제1탄성 링크(70)는 중심 부재(10)와 제1링크 부재(5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심 부재(10)와 제1링크 부재(50)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제1탄성 링크(70)가 제1링크 부재(50)에 연결되는 위치는, 회전 부재(40)와 제1이동 부재(20)가 제1링크 부재(50)에 연결되는 곳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탄성 링크(70)는 제1이동 부재(20)가 중심 부재(10)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그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탄성 링크(80)는 중심 부재(10)와 제2링크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심 부재(10)와 제2링크 부재(60)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제2탄성 링크(80)가 제2링크 부재(60)에 연결되는 위치는, 회전 부재(40)와 제2이동 부재(30)가 제2링크 부재(60)에 연결되는 곳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2탄성 링크(80)는 제2이동 부재(30)가 중심 부재(10)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그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탄성 링크(70)와 제2탄성 링크(80)는, 각각 제1부재(71, 81)와 제2부재(72, 82)와 복수의 스프링(73, 83)을 포함한다. 제1부재(71, 81)와 제2부재(72, 82)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슬라이딩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711, 721, 811, 821)를 구비한다. 스프링들(73, 83)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일단은 제1부재(71, 81)의 지지부(711, 8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부재(72, 82)의 지지부(721, 821)에 고정된다. 제2부재(72, 82)를 제1부재(71, 8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제1부재(71, 81)의 지지부(711, 811)와 제2부재(72, 82)의 지지부(721, 82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지지부(711, 721, 811, 821)에 고정된 스프링(73, 83)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2 부재(72, 82)가 제1부재(71, 81)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때, 스프링(73, 83)은 인장되면서 제1부재(71, 81)와 제2부재(72, 8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100)와 휴대용 기기(200)의 작동 메카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100)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때 이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20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를 중심 부재(10)에 대해 바깥쪽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링크 부재(50)와 제2링부재에 의해 회전 부재(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링크 부재(50)와 제2링크 부재(60)에 각각 연결된 제1탄성 링크(70)와 제2탄성 링크(8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탄성 링크(70)와 제2탄성 링크(80)가 도3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제2부재(72, 82)가 제1부재(71, 81)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제1탄성 링크(70)와 제2탄성 링크(80)의 길이는 줄어들게 되고, 스프링들(73, 83)은 인장된다. 따라서, 스프링들(73, 83)은 지지부들(711, 721, 811, 821)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결과적으로 제1탄성 링크(70)와 제2탄성 링크(80)의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가 도 4에 도시한 상태에서 중심 부재(10)에 대해 더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프링들(73, 83)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1탄성 링크(70)와 제2탄성 링크(80)의 길이가 길어진다. 결과적으로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1탄성 링크(70)와 제2탄성 링크(80)에 의해 각각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를 중심 부재(10)에 대해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본 실시예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100)가 열린 상태가 된다. 이때, 휴대용 기기(200)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5 및 도 2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를 중심 부재(10)에 대해 중심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밀면 회전 부재(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제1탄성 링크(70)와 제2탄성 링크(80)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넘어서면 스프링들(73, 83)의 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가 중심 부재(10)의 중심방향으로 밀리면서 도 3 및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닫힌 상태가 된다.
한편, 회전 부재(40)는 회전중심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제1링크 부재(50) 및 제2링크 부재(60)가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이동 부재(20)와 제2이동 부재(30)는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서로 동기되어 동시에 열리거나 닫힌 상태로 움직이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 부재를 2개 마련하여 2개의 회전 부재에 각각 제1링크 부재 및 제2링크 부재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이동 부재와 제2이동 부재가 서로 독립적으로 열림/닫힘 상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제1탄성 링크(70)와 제2탄성 링크(80)는 각각 지지부(711, 721, 811, 821)를 구비하는 제1부재(71, 81) 및 제2부재(72, 82)와 스프링들(73, 83)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탄성 링크와 제2탄성 링크의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하여 스프링이 압축될 때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앞에서 본 실시예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는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제조 및 유통될 수도 있으며, 휴대용 기기를 제조하는 자가 이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단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내지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중심 몸체 220: 제1이동 몸체
230: 제2이동 몸체 10: 중심 부재
20: 제1이동 부재 30: 제2이동 부재
40: 회전 부재 50: 제1링크 부재
60: 제2링크 부재 70: 제1탄성 링크
80: 제2탄성 링크 73, 83: 스프링
71, 81: 제1부재 72, 82: 제2부재
711, 721, 811, 821: 지지부 21, 31: 가이드홈
22, 32: 윤활부재

Claims (7)

  1. 휴대용 기기의 중심 몸체와 그 중심 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이동 몸체 및 제2이동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어, 제1이동 몸체 및 제2이동 몸체가 각각 중심 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지지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심 몸체에 결합되는 중심 부재;
    상기 중심 부재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이동 몸체에 결합되는 제1이동 부재;
    상기 중심 부재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이동 몸체에 결합되는 제2이동 부재;
    상기 중심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제1이동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와 제1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제1링크 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제2이동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부재와 제2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제2링크 부재;
    상기 중심 부재와 제1링크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심 부재와 제1링크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1이동 부재가 상기 중심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그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 링크; 및
    상기 중심 부재와 제2링크 부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심 부 재와 제2링크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2이동 부재가 상기 중심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그 길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링크 부재와 제2링크 부재는 각각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의 회전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 링크는, 상기 제1링크 부재에 상기 회전 부재와 제1이동 부재가 연결되는 위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탄성 링크는, 상기 제2링크 부재에 상기 회전 부재와 제2이동 부재가 연결되는 위치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 링크와 제2탄성 링크는, 각각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와, 양단이 제1부재와 제2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에는 각각 그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은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제1부재의 지지부와 제2부재의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 부재 및 제2이동 부재가 각각 상기 중심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상기 스프링은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 부재와 제2이동 부재는, 각각 상기 중심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홈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KR2020090002233U 2009-02-27 2009-02-27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KR2010000882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33U KR20100008822U (ko) 2009-02-27 2009-02-27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PCT/KR2010/001225 WO2010098616A2 (ko) 2009-02-27 2010-02-26 휴대용 기기의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33U KR20100008822U (ko) 2009-02-27 2009-02-27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22U true KR20100008822U (ko) 2010-09-06

Family

ID=4266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233U KR20100008822U (ko) 2009-02-27 2009-02-27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08822U (ko)
WO (1) WO20100986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635B1 (ko) * 2010-12-23 2017-04-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퀵 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11B1 (ko) * 2005-01-11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531149B1 (ko) * 2005-08-18 2005-11-29 (주)쉘-라인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839415B1 (ko) * 2005-09-29 2008-06-23 (주)하이텍파츠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100879513B1 (ko) * 2008-03-27 2009-01-20 (주)쉘-라인 개인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8616A2 (ko) 2010-09-02
WO2010098616A3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866B1 (ko)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WO2006026035A1 (en) Slidab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JP2011147110A (ja) 携帯式電子装置
KR100796719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100008822U (ko)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KR102317806B1 (ko) 폴더블 힌지장치
KR100998877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096644B1 (ko) 개폐장치 및 이를 장착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0997242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기기
KR101008701B1 (ko)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100652638B1 (ko) 슬라이드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KR20120008280U (ko)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KR20070014835A (ko) 확장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00132190A (ko)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100967232B1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힌지 장치
KR20100098935A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101062689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KR20100103965A (ko)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101062686B1 (ko) 스윙 힌지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기기
KR101054368B1 (ko) 힌지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KR20120136616A (ko)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038713B1 (ko) 스윙 힌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0957114B1 (ko) 슬라이딩 장치
CN201533468U (zh) 滑盖式便携电子设备的滑动结构
KR20035057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