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514U -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514U
KR20100008514U KR2020090001820U KR20090001820U KR20100008514U KR 20100008514 U KR20100008514 U KR 20100008514U KR 2020090001820 U KR2020090001820 U KR 2020090001820U KR 20090001820 U KR20090001820 U KR 20090001820U KR 20100008514 U KR20100008514 U KR 201000085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housing
main housing
air condition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324Y1 (ko
Inventor
김용태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1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32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5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3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에어컨등 냉동공조기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펌프로서 안전성이 확보되면서도 제조 불량율이 없도록 하고 컴팩트한 펌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응축수 배수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플런저펌프(10)와 전기회로부(2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각각 삽입되는 일렬배치홈부(31)를 갖는 메인하우징(30)과, 상기 메인하우징(30)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덮개하우징(32)의 상,하단부 테두리부가 요돌기(33)와 요홈부(33')로 결합되게 하되 상기 메인 및 덮개하우징(30,32) 결합에 의해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유입구공(34) 및 토출구공(34')과 전선공(34")이 형성되는 양측 외면벽(30a,32a) 내측에는 각각의 차단벽(35,35')을 갖도록 하여 몰딩누출방지공간부(36,36')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덮개하우징(32)의 상단 중간부에는 밀폐부재(37)에 의해 밀폐되는 몰딩투입구(38)를 구비하고 상기 몰딩투입구(38)를 통해 양측 차단벽(35,35') 사이에 젤상의 에폭시수지(39)를 투입시켜 경화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펌프고정브라켓트(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30) 양측에는 케이블타이에 의해 파이프배관등에 결속시겨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돌륜부(43)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에어컨용 배수펌프, 소형 배수펌프

Description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air conditioner condensate removal pump}
본 고안은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걸이 에어컨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펌프로서 안전성이 확보되면서도 제조 불량율이 없도록 하고 컴팩트한 펌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에서 열교환 과정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수시키는 펌프는 크게 구분하여 원심펌프방식과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플런저펌프방식(피스톤펌프라고도 함)의 배수펌프가 있다.
원심펌프방식으로서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로 주로 쓰이는 선행기술의 펌프는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877236호 및 동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66036호, 동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00509호, 동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8589호와 같은 배수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원심펌프방식의 응축수 배수펌프는 모터부 및 임펠러부의 크기를 축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크기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중대형 에어컨에 속하는 스탠드형 에어컨 주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주로 쓰이고 있다.
상기 원심펌프방식의 응축수 배수펌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플런저펌프방식의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45825호 및 동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23377호와 같은 배수펌프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배수펌프는 소형에 해당되는 벽걸이 에어컨에 주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배수펌프는 방수 구조가 완전하지 못한 구조적인 결함이 있어서 쇼트현상의 우려성이 높아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펌프본체와 제어부(회로부)가 별개로 이루어져 있어 크기를 축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외형이 들쑥날쑥한 구조를 가지므로 에어컨 내부에 장착하거나 또는 일자형태의 덕트나 천장에 설치하는데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벽걸이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설비공사를 하는데 있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공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특히, 벽걸이 에어컨의 경우 시각적으로 눈에 잘 띄는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배수펌프를 눈에 잘 띄지 않게 설치하여야 하는 과제를 항시 안고 있다.
그럼에도 종래에 배수펌프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에어컨 아래쪽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하거나 또는 에어컨의 좌측 또는 우측에 실내외기를 연결하는 파이프 배관용 엘보우형 덕트에 넣어서 설치하거나 또는 에어컨 상부의 천정 위쪽에 방치되는 상태로 설치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설치방법에 있어서는 시각적으로 눈에 잘 띄는 곳에 노출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미관상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펌프 형태에 맞는 맞춤형 엘보우덕트가 반드시 있어야만 설치가 가능하고 덕트 내부로 실내외기 연결용 파이프 배관도 함께 지나가야 하므로 이또한 설치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설치에 곤란성이나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정 위쪽의 위치 특성상 설치시 불편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물이나 습기가 펌프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게 하여 안전성이 확보되고 에어컨 내부의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기성품으로 판매되는 통상적인 직선형태의 덕트 내부에 파이프 배관과 함께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천장 위에서도 수월하게 고정시켜 설치 가능한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KR 10-2003-0045825 A 2003.06.11 도면1
[문헌2] KR 20-0423377 Y1 2006.08.01 도면1, 도면2
본 고안은 우선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되는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필요로 되는 설치장소에 수월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개선되면서도 제조시에 불량율이 거의 없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개선된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기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플런저펌프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플런저펌프와 전기회로부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각각 삽입되는 일렬배치홈부를 갖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덮개하우징을 갖도록 하되, 상기 일렬배치홈부 일측에 플런저펌프의 유출구가 받쳐지는 받침편부에 의해 펌프삽입부와 기판삽입부가 구분되도록 하고 상기 유출구에는 토출구공에 설치되는 토출구와 연장호스에 의해 연결되게 하여 상기 연장호스 하측의 기판삽입부에 전기회로부가 배치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하우징 상단테두리부와 덮개하우징 하단테두리부에는 상호 결합되는 요돌기와 요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및 덮개하우징 결합에 의해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유입구공 및 토출구공과 전선공이 형성되는 양측 외면벽 내측에는 각각의 차단벽을 갖도록 하여 양측 외면벽과 차단벽 사이에 몰딩누출방지공간부를 갖도록 하고; 상기 덮개하우징의 상단 중간부에는 스냅훅크를 다수 가진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는 몰딩투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몰딩투입구를 통해 양측 차단벽 사이에 젤상의 에폭시수지를 투입시켜 경 화되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하우징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복수개의 걸림턱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홈부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되는 훅크턱부가 있는 다수의 기립편을 가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수개의 나사관통공이 있는 펌프고정브라켓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 양측에는 고정을 하기 위한 한쌍의 결속공을 갖는 고정돌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플런저펌프의 유출구와 토출구를 연장호스로 연결되게 하면서 전기회로부를 연장호스 하측에 배치되게 함에 따라 플런저펌프와 전기회로부를 일자로 배열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수펌프가 일자형태이면서도 높이가 낮은 슬림바 형태의 콤팩트한 배수펌프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에어컨 내부의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고 또는 기성품으로 판매되는 통상적인 직선형 덕트 내부에 파이프배관과 함께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 좋은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생산과정에 에폭시수지를 충진시킬 때 외부로 흘러 나오지 않게 되므로 불량률이 거의 없게 되고 조립성이 양호하여 생산성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자형태의 배수펌프를 제공하므로 간단한 펌프고정브라켓트에 의해서 설치장소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에어컨 내부나 또는 일자형 덕 트 내부에 고정시킬 때 케이블타이에 의해서 파이프배관에 묶어서 고정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배수펌프 고정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펌프의 전체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평단면도이며, 도 3은 종단면도이며, 도 4는 일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기판형태로 제작되는 전기회로부(20)에 의해 제어되는 플런저펌프(10)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플런저펌프(10) 및 전기회로부(20)의 상세한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플런저펌프(10)의 유출구(11)에 연장호스(12)가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장호스(12) 끝단부에는 토출구(13)가 끼워지도록 결합되게 하여 길다란 일자형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부호 14는 유입구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플런저펌프(10)와 전기회로부(2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렬배치홈부(31)를 갖는 메인하우징(30) 및 상기 메인하우징(30)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덮개하우징(32)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메인하우징(30)과 덮개하우징(32)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양측에 플런저펌프(10)의 유입구(14)가 관통되는 유입구공(34) 및 토출구(13)가 관통하는 토출구공(34')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공(34') 양측에는 전선공(34")이 형성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메인하우징(30)과 덮개하우징(32)은 상기한 유입구공(34) 및 토출구공(34')과 전선공(34")이 중간부가 분할되는 상태로 각각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이고 나중에 조립이 되면 하나의 유입구공(34) 및 토출구공(34')과 전선공(34")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전선공(34")으로 관통되는 전선이나 전기회로부(20)와 플런저펌프(10)로 연결되는 전선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메인하우징(30)의 일렬배치홈부(31) 일측에 플런저펌프(10)의 유출구(11)가 받쳐지는 받침편부(40)를 구비함으로써 펌프삽입부(31a)와 기판삽입부(31b)가 구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편부(40)는, 이후에 설명되는 젤 상태의 에폭시수지(39)가 받침편부(40) 양측을 통해 흘러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렬배치홈부(31)의 폭 보다 작은 폭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30) 상단테두리부와 덮개하우징(32) 하단테두리부에는 상호 결합되는 요돌기(33)와 요홈부(3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 및 덮개하우징(30,32) 결합에 의해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유입구공(34) 및 토출구공(34')과 전선공(34")이 형성되는 양측 외면벽(30a,32a) 내측에는 각각의 차단벽(35,35')을 갖도록 하여 양측 외면벽(30a,32a)과 차단벽(35,35') 사이에 몰딩누출방지공간부(36,36')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덮개하우징(32)의 상단 중간부에는 몰딩투입구(38)를 구비하고, 상기 몰딩투입구(38)는 나중에 스냅훅크(37a)를 다수 가진 밀폐부재(37)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밀폐부재(37)의 사방에 각각 구비되는 스냅훅크(37a)는 도 4와 같이 몰딩투입구(38) 내측단부에 걸림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1과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30) 양측에는 케이블타이(T)를 이용하여 파이프배관(P)에 배수펌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쌍의 결속공(42)을 갖는 고정돌륜부(4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덮개하우징(3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복수개의 걸림턱홈부(41,41')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홈부(41,41')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되는 훅크턱부(51,51')를 구비하는 다수의 기립편(52,52') 및 상기 기립편(52,52')을 가진 바닥부(53)와 상기 바닥부(53)에 수개의 나사관통공(54)이 있는 펌프고정브라켓트(50)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먼저 일렬배치홈부(31)의 기판삽입부(31b)에 전기회로부(20)가 장착되도록 하고, 다음에 펌프삽입부(31a)에 플런저펌프(10)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유입구공(34)에는 유입구(14)가, 그리고 토출구공(34')에는 토출구(13)가 얹혀지게 결합되게 한다. 부호 45는 전기회로부(20)가 얹혀지거나 또는 자리를 잡도록 하기 위한 기판설치돌기를 나타내고, 부호 46은 유출구(11)가 제자리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가압편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2와 같이 플런저펌프(10)와 전기회로부(20)가 일자형태로 일렬로 배치되면서도 플런저펌프(10)와 토출구(13)가 연장호스(12)에 의해 연 결됨에 따라 배수펌프가 일자형태의 슬림바(Slim Bar)형태가 되고 콤팩트한 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30) 상부에 덮개하우징(32)이 결합되게 한다. 이때 요돌기(33)가 요홈부(33')에 삽입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몰딩투입구(38)를 통해서 젤과 같은 액상의 에폭시수지(39)를 내부에 투입되도록 한다음 밀폐부재(37)를 결합하여 몰딩투입구(38)가 밀폐되게 한다.
이때, 몰딩누출방지공간부(36,36')를 제외한 펌프삽입부(31a) 및 기판삽입부(31b) 공간에 들어갈 만한 양의 액상의 에폭시수지(39)가 투입되도록 하는데 덮개하우징(32) 내부까지도 모두 에폭시수지(39)가 채워져야 하므로 아직 경화되지 아니한 젤상의 에폭시수지(39)가 흘러서 양측에 있는 유입구공(34) 및 토출구공(34')과 전선공(34")의 틈새를 통해서 외부로 누출되어 제품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양측에 외면벽(30a,32a)과 차단벽(35,35')이라는 이중벽을 설치되게 하여 몰딩누출방지공간부(36,36')를 가지기 때문에 경화되기 전의 액상의 에폭시수지(39)가 1차적으로는 차단벽(35,35')에 차단되고 2차적으로는 누출이 된다고 하여도 약간만 누출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몰딩누출방지공간부(36,36')로 흘러 들기 때문에 외부로 전혀 누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차단벽(35,35')이 없는 부분에서는 메인하우징(30)과 덮개하우징(32)이 요돌기(33)가 요홈부(33')에 삽입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액상의 에폭시수지(39)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생산과정에 액상의 에폭시수지(29)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액상의 에폭시수지(39)를 투입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고 부주의에 의해서 액상의 에폭시수지(39)가 정상 투입량보다 약간 더 투입되어도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므로 불량률이 거의 없게 되고 생산성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시간이 경과됨으로써 액상의 에폭시수지(39)가 완전히 경화되면 액상의 에폭시수지(39)는 그 재질 특성상 점착력이 있기 때문에 메인하우징(30)과 덮개하우징(32) 및 밀폐부재(37)가 상호 접착되는 상태가 되어 일체로 된 배수펌프가 됨으로써 별도의 조립용 나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절감에 따른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이 동시에 도모된다.
또한, 본 고안은 고체상태로 경화된 에폭시수지(39) 내부에 플런저펌프(10)와 전기회로부(20)가 완전히 몰딩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의 습기나 물기로부터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안전성이 확보되고 수명연장이 도모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5와 같이 펌프고정브라켓트(50)를 나사(s)를 이용하여 가령 에어컨의 내부부재나 또는 천장부재, 아니면 벽면등과 같은 설치부재(k)에 고정시킨 후에 걸림턱홈부(41,41')에 훅크턱부(51,51')가 걸림되도록 장착되게 하여 설치되게 함으로써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4군데에서 훅크턱부(51,51')가 고정력을 가지고 고정하게 되므로 튼튼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고정된 상태에서 훅크턱부(51,51')가 덮개하우징(32)의 상단부 윗쪽으 로 돌출되지 않게 구성됨으로써 배수펌프의 설치장소나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 보다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6과 같이 케이블타이(T)를 고정돌륜부(43)의 양측 결속공(42)으로 통과시켜서 파이프배관(P)에 결속되도록 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에어컨 내부 또는 일자형 덕트 내부에 배수펌프를 고정시킬 때 파이프배관(P)에 배수펌프를 케이블타이(T)로 묶어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수펌프를 고정시킨 다음에는 토출구(13) 및 유입구(14)에 각각 배수호스(h)를 연결시키면 설치작업이 완료하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수펌프의 설치장소 여건에 따라 필요에 의해서 펌프고정브라켓트(50)나 또는 케이블타이(T)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슬림바 형태의 콤팩트한 배수펌프를 제공하게 되므로 협소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거나 또는 일자형 덕트내의 파이프배관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면서도 안전성이 확보된 배수펌프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로 설명되었으나 에어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컨이 속하는 냉동공조기기 분야 뿐만 아니라 다른 기기분야에서의 배수펌프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응축수 배수펌프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응축수 배수펌프의 배치상태를 설명하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응축수 배수펌프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Y-Y'선 확대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응축수 배수펌프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응축수 배수펌프의 또다른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런저펌프 12 : 연장호스
13 : 토출구 20 : 전기회로부
30 : 메인하우징 31 : 일렬배치홈부
32 : 덮개하우징 35,35' : 차단벽
36,36' : 몰딩누출방지공간부 37 : 밀폐부재
38 : 몰딩투입구 41,41' : 걸림턱홈부
42 : 결속공 43 : 고정돌륜부
50 : 펌프고정브라켓트

Claims (3)

  1. 전기회로부(20)에 의해 제어되는 플런저펌프(10)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플런저펌프(10)와 전기회로부(2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각각 삽입되는 일렬배치홈부(31)를 갖는 메인하우징(30)과 상기 메인하우징(30)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덮개하우징(32)을 갖도록 하되, 상기 일렬배치홈부(31) 일측에 플런저펌프(10)의 유출구(11)가 받쳐지는 받침편부(40)에 의해 펌프삽입부(31a)와 기판삽입부(31b)가 구분되도록 하고 상기 유출구(11)에는 토출구공(34')에 설치되는 토출구(13)와 연장호스(12)에 의해 연결되게 하여 상기 연장호스(12) 하측의 기판삽입부(31b)에 전기회로부(20)가 배치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하우징(30) 상단테두리부와 덮개하우징(32) 하단테두리부에는 상호 결합되는 요돌기(33)와 요홈부(33')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및 덮개하우징(30,32) 결합에 의해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유입구공(34) 및 토출구공(34')과 전선공(34")이 형성되는 양측 외면벽(30a,32a) 내측에는 각각의 차단벽(35,35')을 갖도록 하여 양측 외면벽(30a,32a)과 차단벽(35,35') 사이에 몰딩누출방지공간부(36,36')를 갖도록 하고;
    상기 덮개하우징(32)의 상단 중간부에는 스냅훅크(37a)를 다수 가진 밀폐부재(37)에 의해 밀폐되는 몰딩투입구(38)를 구비하여 상기 몰딩투입구(38)를 통해 양측 차단벽(35,35') 사이에 젤상의 에폭시수지(39)를 투입시켜 경화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하우징(3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복수개의 걸림턱홈부(41,41')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홈부(41,41')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되는 훅크턱부(51,51')가 있는 다수의 기립편(52,52')을 가진 바닥부(53)와 상기 바닥부(53)에 수개의 나사관통공(54)이 있는 펌프고정브라켓트(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30) 양측에는 고정을 하기 위한 한쌍의 결속공(42)을 갖는 고정돌륜부(43)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KR2020090001820U 2009-02-19 2009-02-19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KR200452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820U KR200452324Y1 (ko) 2009-02-19 2009-02-19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820U KR200452324Y1 (ko) 2009-02-19 2009-02-19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14U true KR20100008514U (ko) 2010-08-27
KR200452324Y1 KR200452324Y1 (ko) 2011-02-22

Family

ID=4424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820U KR200452324Y1 (ko) 2009-02-19 2009-02-19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5899A (zh) * 2016-11-30 2017-05-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排水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7937B2 (en) * 2001-10-03 2004-07-27 Eastman Kodak Company Stabilizer system for polymer components of displays
TWI226593B (en) * 2002-10-28 2005-01-11 Sin Etke Technology Co Ltd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mong vehicles and devices thereof
KR200329477Y1 (ko) 2003-07-09 2003-10-10 이완영 에어컨의 응축수 자동배수장치
KR200438589Y1 (ko) 2006-11-24 2008-02-27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5899A (zh) * 2016-11-30 2017-05-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排水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N106765899B (zh) * 2016-11-30 2020-03-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排水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324Y1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3665B2 (en) Cabinet and a method for production of a cabinet
KR200452324Y1 (ko)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
JP6014720B2 (ja) タンク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給湯システム
EP3521523B1 (en) Leakage protection device for a toilet flush tank
JP5760598B2 (ja) 地下埋設型制御盤
KR101419367B1 (ko) 배수구
JP4937976B2 (ja) コネクタ装置の製造方法
JP2023550509A (ja) 釜本体組立体及び調理器具
CN205618867U (zh) 一种带旋转接头的管道
KR20120056955A (ko) 싱크대 배수구 연결부재
KR100975288B1 (ko)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CN205474828U (zh) 一种用于桥梁伸缩缝装置的止水导水结构
CN204663988U (zh) 一种可防止设备内部水蒸汽外逸的冷凝泵
CN214964587U (zh) 即热式水加热模块
JP5308697B2 (ja) 管体のキャップ体
CN211381203U (zh) 一种具有防虹吸功能的洗碗机
CN219919409U (zh) 一种户外led电源盒排水结构及led箱体
EP2555663B1 (en) Dishwashing machine
KR101250704B1 (ko) 배수 펌프
CN201475353U (zh) 出水体
CA2700322A1 (en) Radon vent fan system
CN207244266U (zh) 壁挂式洗衣机的进水管组件和具有其的壁挂式洗衣机
JP2019210642A (ja) 洗濯機用防水パン
KR20090012797U (ko) 난연 및 동파 방지용 수도 계량기의 하우징
CN108157213B (zh) 一种牲畜饮水水位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