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138A - One touch stand hinge - Google Patents

One touch stand hi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138A
KR20100008138A KR1020080068557A KR20080068557A KR20100008138A KR 20100008138 A KR20100008138 A KR 20100008138A KR 1020080068557 A KR1020080068557 A KR 1020080068557A KR 20080068557 A KR20080068557 A KR 20080068557A KR 20100008138 A KR20100008138 A KR 20100008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retaining
biasing
stand assembl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엘티엠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티엠에이피 filed Critical (주)엘티엠에이피
Priority to KR102008006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138A/en
Priority to PCT/IB2009/006510 priority patent/WO2010007523A2/en
Publication of KR2010000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1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one-touch stand hinge is provided to move a stand with one han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CONSTITUTION: A supporting member(16) comprises an arm member(26) and a shaft member(28). The supporting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a main body for selective rotation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 holding member(18) is moved between a holding position and a release position. When the holding member is at the holding position, the holding member limits the rotation of the arm member. In order to fix the supporting member at the first position, the holding member is coupled with the arm member. A stationary member(20) is moved between a stop position and a release position. In orde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shaft member, the stationary member is coupled with the shaft member.

Description

원 터치 스탠드 힌지{ONE TOUCH STAND HINGE}One touch stand hinge {ONE TOUCH STAND HING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소형 무선 단말기(handheld wireless terminal)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원 터치 스탠드 힌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handheld wireless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 touch stand hinge for a portable terminal.

이 섹션에서의 설명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이고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The description in this section on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not constitute prior art.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LCD 디스플레이, 모니터, 호출기, 휴대폰 등)가 점점 대중화되고 있다. 어떤 장치는 상승 위치에서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한다. 예컨대, 일부 스탠드는 U자형이고 장치의 본체의 양쪽 측면에 각각의 단부에서 피벗식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폐쇄 위치와 1개 이상의 개방 위치들 사이에서 본체에 대해 스탠드를 피벗시킬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스탠드는 장치가 비교적 소형이도록 본체와 대체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개방 위치(들)에서, 본체는 스탠드에 위해 지지 및 상승될 수 있다.Portable terminals (eg, LCD displays, monitors, pagers, mobile phones, etc.)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Some devices include a stand that supports the device in the raised position. For example, some stands are U-shaped and pivotally attached at each end to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device. As such, the user can pivot the stand relative to the body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ne or more open position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tand is generally coplanar with the body such that the device is relatively compact. In the open position (s), the body may be supported and raised for the stand.

이들 종래의 스탠드는 이들의 의도된 목적에는 유용하였지만, 어떤 단점을 경험한다. 예컨대, 종래의 스탠드는 종종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된다. 또한, 스탠드의 이동이 양손의 사용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탠드는 사용하기 불편할 수 있다.These conventional stands have been useful for their intended purpose, but experience some disadvantages. For example, conventional stands are often manually operated by hand between a close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In addition, movement of the stand may require the use of both hands. As such, a conventional stand may be inconvenient to use.

나아가, 일부 종래의 스탠드는 폐쇄 및/또는 개방 위치에서 확실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들 스탠드는 불측하게 개방 및/또는 폐쇄될 수 있는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Furthermore, some conventional stands may not be securely held in the closed and / or open positions. As such, these stands can be unintentionally opened and / or closed, which is undesirable.

다양한 태양에 따르면, 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스탠드 조립체의 예시 실시예가 제공된다. 스탠드 조립체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선택적 회전을 위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이 지지 부재는 암 부재 및 샤프트 부재를 포함한다. 스탠드 조립체는 보유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보유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보유 부재는 보유 위치에 있을 때에 암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제1 위치에서 지지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암 부재와 결합한다. 추가로, 스탠드 조립체는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정지 부재는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샤프트 부재와 결합한다. 나아가, 스탠드 조립체는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가 이들의 각각의 해제 위치로 협동하여 이동하도록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를 연결하는 커넥터 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various aspects, an illustrative embodiment of a stand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body is provided. The stand assembly includes a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for selective rota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is support member includes an arm member and a shaft member. The stand assembly further includes a retaining member movable between the retain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The retaining member engages with the arm member to limit rotation of the arm member when in the retaining position and to secure the support member in the first position. Additionally, the stand assembly includes a stop member movable between the stop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The stop member engages with the shaft member to limit rotation of the shaft member when in the stop position. Furthermore, the stand assembly includes a connector member connecting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to move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cooperatively to their respective release positions.

또 다른 예시 실시예가 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스탠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스탠드 조립체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선택적 회전을 위해 본체에 회전식으로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는 암 부재 및 샤프트 부재를 포함한다. 스탠드 조립체는 제1 캠 부재를 포함하는 보유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보유 부재는 보유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보유 부재는 보유 위치에 있을 때에 암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지지 부재를 제1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 암 부재와 결합한다. 더욱이, 스탠드 조립체는 해제 위치를 향해 보유 부재와 선택적으로 캠 결합하는 제2 캠 부재를 포함하는 버튼 부재를 포함한다. 추가로, 스탠드 조립체는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정지 부재는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샤프트 부재와 결합한다. 나아가, 스탠드 조립체는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가 이들의 각각의 해제 위치로 협동하여 이동하도록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Yet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provides a stand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body. The stand assembly includes a support member that is rotationally coupled to the body for selective rota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n arm member and a shaft member. The stand assembly further includes a retaining member comprising a first cam member. The retaining member is movable between the retain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retaining member engages with the arm member to limit rotation of the arm member and to fix the support member in the first position when in the retaining position. Moreover, the stand assembly includes a button member including a second cam member that selectively cams with the retaining member toward the release position. Additionally, the stand assembly includes a stop member movable between the stop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The stop member engages with the shaft member to limit rotation of the shaft member when in the stop position. Furthermore, the stand assembly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to move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cooperatively to their respective release positions.

다른 예시 실시예가 본체 그리고 폐쇄 위치와 복수개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선택적 회전을 위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지지 부재는 암 부재 그리고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암 부재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샤프트 부재는 복수개의 제2 홈을 포함한다. 더욱이,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개의 개방 위치를 향해 지지 부재를 편의시키는 제3 편의 부재를 포함한다. 나아가, 휴대용 단말기는 제1 캠 부재를 포함하는 보유 부재를 포함한다. 보유 부재는 보유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고, 보유 부재는 암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폐쇄 위치에서 지지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보유 위치에 있을 때에 암 부재의 제1 홈과 결합한 다. 나아가, 휴대용 단말기는 해제 위치를 향해 보유 부재와 선택적으로 캠 결합하는 제2 캠 부재를 포함하는 버튼 부재를 포함한다. 추가로, 휴대용 단말기는 보유 부재로부터 떨어지게 버튼 부재를 편의시키는 제1 편의 부재를 포함한다. 나아가, 휴대용 단말기는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한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정지 부재는 샤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복수개의 제2 홈들 중 하나와 결합한다. 또한, 정지 부재는 지지 부재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들 중 하나에서 지지 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더욱이, 휴대용 단말기는 보유 위치를 향해 보유 부재를 그리고 정지 위치를 향해 정지 부재를 편의시키는 제2 편의 부재를 포함한다. 추가로, 휴대용 단말기는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가 이들의 각각의 해제 위치로 협동하여 이동하도록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를 연결하는 커넥터 부재를 포함한다.Another exemplary embodiment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and a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for selective rotation between a closed position and a plurality of open positions.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n arm member and a shaft member that is removably coupled. The arm member also includes a first groove and the shaft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Moreover,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hird piece member which biases the support member toward the plurality of open positions. Furthermor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retaining member including a first cam member. The retaining member is linearly movable between the retain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and the retaining member engages with the first groove of the arm member when in the retaining posi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arm member and secure the support member in the closed position. Furthermor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button member including a second cam member that selectively cams with the holding member toward the release posi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first biasing member that biases the button member away from the retaining member. Furthermor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stop member that is linearly movable between the stop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The stop member engages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when in the stop posi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shaft member. The stop member is also operable to selectively secure the support member in one of the closed and open positions when the support member is in the stop position. Moreover,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second biasing member that biases the retaining member toward the retaining position and the stop member towards the stop posi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nnector member connecting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to move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cooperatively to their respective release positions.

추가 영역의 적용 가능성이 여기에서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설명 그리고 특정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 의도될 뿐이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The applicability of the additional area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provided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are intend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다음의 설명은 성격 면에서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 응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 또는 특징부를 표시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in natur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pplication, or u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or features.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가 도시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 기(10)는 LCD 디스플레이, 모니터, 호출기, 휴대폰 등의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는 본체(12) 및 스탠드 조립체(14)를 포함한다. 본체(12)는 하우징, 디스플레이 스크린, 다양한 버튼 및/또는 그 조작을 위한 적절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2)는 리세스(13)를 또한 포함한다.Referring now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10 is show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 may be in any suitable manner, such as an LCD display, monitor, pager, cell phone, and the like. The portable terminal 10 includes a body 12 and a stand assembly 14. Body 12 may include a housing, a display screen, various buttons, and / or suitable electronic components for its operation. The body 12 also includes a recess 13.

스탠드 조립체(14)는 제1 위치(즉, 폐쇄 위치)와 1개 이상의 제2 위치[즉, 개방 위치(들)]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폐쇄 위치는 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개방 위치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탠드 조립체(14)는 적절한 개수의 개방 및 폐쇄 위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The stand assembly 14 may be selectively moved between a first position (ie, closed position) and one or more second positions (ie, open position (s)). (The closed position is shown in solid lines in FIG. 1 and the open position is shown in dashed line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stand assembly 14 can have an appropriate number of open and closed positions.

폐쇄 위치에서, 스탠드 조립체(14)는 단말기(10)가 실질적으로 소형이도록 리세스(13) 내에 배치된다. 개방 위치에서, 스탠드 조립체(14)는 본체(12)에 대해 양의 각도로 리세스(13) 외부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탠드 조립체(14)는 개방 위치들 중 하나에 있을 때에 상승 위치에서 본체(12)를 지지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스탠드 조립체(14)는 개방 위치들 중 하나에 있을 때에 본체(12)를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In the closed position, stand assembly 14 is disposed in recess 13 such that terminal 10 is substantially compact. In the open position, the stand assembly 14 is disposed outside the recess 13 at a positive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12. Thus, the stand assembly 14 is operable to support the body 12 in the raised position when in one of the open positions. In other words, the stand assembly 14 can be used to support the body 12 when in one of the open positions.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스탠드 조립체(14)가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스탠드 조립체(14)는 지지 부재(16), 보유 부재(18), 정지 부재(20), 커넥터 부재(22) 및 버튼 부재(24)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6)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선택적 회전을 위해 본체(12)(도 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보유 부재(18) 및 정지 부재(20)는 폐쇄 위치에서 지지 부재(16)와 결합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나아가, 커넥터 부재(22)는 보유 부재(18) 및 정지 부재(20)가 버튼 부재(24)의 작동 시에 지지 부재(16)를 협동하여 이동 및 해제시키도록 보유 부재(18) 및 정지 부재(20)를 연결한다. 바꿔 말하면, 버튼 부재(24)가 사용자에 의해 압박될 때, 보유 부재(18) 및 정지 부재(20)는 지지 부재(16)를 협동하여 해제시키며, 그에 의해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지지 부재(16)가 개방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하게 한다.Referring now to FIGS. 2-4, the stand assembly 14 is described in more detail. Generally, the stand assembly 14 includes a support member 16, a retaining member 18, a stop member 20, a connector member 22, and a button member 24. The support member 16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2 (FIG. 1) for selective rotation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In addition, retaining member 18 and stop member 20 are operable to engage support member 16 in a closed position. Further, the connector member 22 includes the retaining member 18 and the stop member such that the retaining member 18 and the stop member 20 cooperate to move and release the support member 16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utton member 24. Connect 20. In other words, when the button member 24 is pressed by the user, the retaining member 18 and the stop member 20 cooperate to release the support member 16, whereby as discussed in more detail below. Allow the support member 16 to move to one of the open positions.

지지 부재(16)는 암 부재(26) 및 샤프트 부재(2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암 부재(26) 및 샤프트 부재(28)는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암 부재(26) 및 샤프트 부재(28)는 지지 부재(16)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협동 회전을 위해 결합된다.The support member 16 includes an arm member 26 and a shaft member 28. In some embodiments, arm member 26 and shaft member 28 are removably coupled. In addition, arm member 26 and shaft member 28 are engaged for cooperative rotation as support member 16 moves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암 부재(26)는 대체로 평탄형 및 직사각형이고 제1 단부(30) 및 제2 단부(32)를 포함한다. 암 부재(26)는 제1 단부(30)에 인접한 제1 홈(34)을 또한 포함한다. 더욱이, 암 부재(26)는 제2 단부(32)에 인접한 포스트(36) 및 리세스(38)를 포함한다. 포스트(36) 및 리세스(38)는 회전 축(X)을 따라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암 부재(26)의 양쪽 측면 상에 배치된다.The arm member 26 is generally flat and rectangular and includes a first end 30 and a second end 32. The arm member 26 also includes a first groove 34 adjacent the first end 30. Moreover, the arm member 26 includes a post 36 and a recess 38 adjacent the second end 32. The post 36 and the recess 38 are substantially aligned along the axis of rotation X and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rm member 26.

샤프트 부재(28)는 일부 실시예에서 대체로 원통형이다. 샤프트 부재(28)는 포스트(40), 키 부재(42) 그리고 포스트(40)와 키 부재(42)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44)를 포함한다. 키 부재(42)는 평탄부(46)를 포함한다. 리세스(38)는 키 부재(42)를 수용하도록 키 부재(42)와 형상 면에서 대응하고, 평탄부(46)는 협동 회전을 위해 암 부재(26) 및 샤프트 부재(28)를 로킹시킨다. 더욱이, 로터(44)는 복수개의 제2 홈(48)(도 3, 도 5a 및 도 5b)을 포함한다.The shaft member 28 is generally cylindrical in some embodiments. The shaft member 28 includes a post 40, a key member 42 and a rotor 44 disposed between the post 40 and the key member 42. The key member 42 includes a flat portion 46. The recess 38 corresponds in shape with the key member 42 to receive the key member 42, and the flat portion 46 locks the arm member 26 and the shaft member 28 for cooperative rotation. . Moreover, the rotor 44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48 (FIGS. 3, 5A and 5B).

스탠드 조립체(14)는 제3 편의 부재(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편의 부재(50)는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이지만; 제3 편의 부재(50)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되어 있을 수 잇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3 편의 부재(50)는 포스트(40) 주위에 배치된다.The stand assembly 14 further includes a third piece member 50. 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piece member 50 is a helical torsion sprin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third piece member 50 may be in any suitable manner. The third piece member 50 is disposed around the post 40.

더욱이, 스탠드 조립체(14)는 안내 부재(52)를 포함한다. 안내 부재(52)는 서로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 부분(54) 및 제2 부분(56)을 포함한다. 제1 부분(54)은 대체로 중공이고 아치형 단면을 갖는 긴 공동(58)(도 3)을 포함하고, 제2 부분(56)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긴 공동(60)(도 3)을 포함한다. 공동(58, 60)은 제1 및 제2 부분(54, 56) 사이의 접합부에 인접하게 서로와 연통한다.Moreover, the stand assembly 14 includes a guide member 52. The guide member 52 includes a first portion 54 and a second portion 56 dispos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irst portion 54 comprises an elongated cavity 58 (FIG. 3) having a generally hollow and arcuate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portion 56 comprises an elongated cavity 60 (FIG. 3)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 The cavities 58 and 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djacent to the jun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54 and 56.

공동(58)은 로터(44), 포스트(40) 및 제3 편의 부재(50)를 수용한다. 더욱이, 로터(44)의 외부 표면은 공동(58)의 내부 표면에 의한 회전을 위해 실질적으로 지지된다. 추가로, 포스트(4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동(58)으로부터 약간 외향으로 돌출한다. 보유 링(62) 및 와셔(64)가 암 부재(26)로부터 반대인 안내 부재(52)의 측면 상에서 포스트(40)에 고정된다. 보유 링(62)은 안내 부재(52)에 샤프트 부재(28)를 결합시킨다.The cavity 58 houses the rotor 44, the post 40 and the third piece member 50. More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rotor 44 is substantially supported for rotation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58. In addition, the post 40 protrudes slightly outward from the cavity 58 as shown in FIG. 4. Retaining ring 62 and washer 64 are secured to post 40 on the side of guide member 52 opposite from arm member 26. Retention ring 62 couples shaft member 28 to guide member 52.

포스트(36)는 단말기(10)의 본체(12)에 의한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안내 부재(52)는 본체(12) 내에서 지지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ost 36 is supported for rotation by the body 12 of the terminal 10.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the guide member 52 is supported within the body 12.

추가로, 정지 부재(20)는 실질적으로 정육면체로 성형되고 안내 부재(52)의 공동(6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정지 부재(20)는 포스트(65)를 포함한다. 정지 부재(20)가 공동(60) 내에 배치될 때, 포스트(65)는 안내 부재(52)의 제2 부분(56)의 긴 슬롯(66)을 통해 공동(60)의 외부로 연장한다. 더욱이, 정지 부재(20)는 논의되는 것과 같이 정지 부재(20)가 각각의 폐쇄 및 개방 위치에서 회전에 대해 지지 부재(16)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돌출부(68)(도 3, 도 5a, 도 5b)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op member 20 is shaped substantially into a cube and is movably received within the cavity 60 of the guide member 52. The stop member 20 includes a post 65. When the stop member 20 is disposed in the cavity 60, the post 65 extends out of the cavity 60 through the long slot 66 of the second portion 56 of the guide member 52. Moreover, the stop member 20 is a protrusion 68 (FIG. 3, FIG. 3) that allows the stop member 20 to selectively secure the support member 16 to rotation in each closed and open position as discussed. 5a, FIG. 5b).

논의되는 것과 같이, 정지 부재(20)는 정지 위치(도 5a)와 해제 위치(도 5b) 사이에서 공동(60) 내에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다. 정지 위치에서, 정지 부재(20)의 돌출부(68)는 샤프트 부재(28)의 제2 홈(48)들 중 하나 내에 수용되며 그에 의해 샤프트 부재(28)와 결합하고 샤프트 부재(28)의 회전을 제한한다. 해제 위치에서, 정지 부재(20)는 돌출부(68)가 제2 홈(48) 외부측에 있도록 샤프트 부재(28)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As discussed, the stop member 20 is linearly movable within the cavity 60 between the stop position (FIG. 5A) and the release position (FIG. 5B). In the rest position, the projection 68 of the stop member 20 is received in one of the second grooves 48 of the shaft member 28 thereby engaging the shaft member 28 and rotating the shaft member 28. To limit. In the release position, the stop member 20 is disposed away from the shaft member 28 such that the projection 68 is outside the second groove 48.

스탠드 조립체(14)는 커버 판(70)을 추가로 포함한다. 커버 판(70)은 공동(60) 내에 수용되는 암(73)을 포함하며, 암(73)은 커버 판(70)이 안내 부재(52)에 고정되도록 안내 부재(52)의 개구(75) 내에 수용되는 스냅 보유부(74)를 포함한다.The stand assembly 14 further includes a cover plate 70. The cover plate 70 includes an arm 73 received in the cavity 60, which arm 73 has an opening 75 of the guide member 52 such that the cover plate 70 is fixed to the guide member 52. And a snap retainer 74 received therein.

스탠드 조립체(14)는 제2 편의 부재(72)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편의 부재(72)는 나선형 스프링이다. 제2 편의 부재(72)는 샤프트 부재(28)를 향해 정지 부재(20)를 편의시키도록 커버 판(70)과 정지 부재(20) 사이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제2 편의 부재(72)는 정지 위치를 향해 정지 부재(20)를 편의시킨다.The stand assembly 14 further includes a second piece member 72.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piece member 72 is a helical spring. The second biasing member 72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plate 70 and the stop member 20 to bias the stop member 20 toward the shaft member 28. In other words, the second biasing member 72 biases the stop member 20 toward the stop position.

나아가, 커넥터 부재(22)는 제1 단부(76) 및 제2 단부(78)를 한정하도록 평탄형이고 길다. 커넥터 부재(22)는 제1 단부(76)에 인접한 구멍(80)을 포함한다. 정지 부재(20)의 포스트(65)는 커넥터 부재(22)의 구멍(80) 내에 수용되며 그에 의해 커넥터 부재(22) 와 정지 부재(20)가 결합된다.Furthermore, the connector member 22 is flat and long to define the first end 76 and the second end 78. The connector member 22 includes a hole 80 adjacent to the first end 76. The post 65 of the stop member 20 is received in the hole 80 of the connector member 22, whereby the connector member 22 and the stop member 20 are engaged.

더욱이, 보유 부재(18)는 기부(82), 보유 블록(84) 그리고 복수개의 제1 캠 부재(86)(도 3)를 포함한다. 기부(82)는 단말기(10)의 본체(1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부(82)는 커넥터 부재(22)의 제2 단부(78)에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부(82)는 커넥터 부재(22)에 대해 대체로 직각으로 배치된다.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 부재(22)는 기부(82)가 커넥터 부재(22)를 향해 하향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계단부(79)를 포함한다.Moreover, the retaining member 18 includes a base 82, a retaining block 84 and a plurality of first cam members 86 (FIG. 3). The base 82 is mov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12 of the terminal 10. Base 82 is secured to second end 78 of connector member 22. In some embodiments, base 82 is disposed generally at right angles to connector member 22. Furthermore, 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or member 22 includes a step 79 such that the base 82 is disposed vertically downwardly toward the connector member 22.

제1 캠 부재(86)는 기부(82) 위에 고정된다. 제1 캠 부재(86)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The first cam member 86 is fixed above the base 82. The first cam member 8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또한, 보유 블록(84)은 기부(82) 위에 고정된다. 보유 블록(84)은 암 부재(26)의 제1 홈(34) 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돌출부(88)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보유 부재(18)는 보유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다. 보유 위치에서, 돌출부(88)는 암 부재(26)와 결합하고 암 부재(26)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암 부재(26)의 제1 홈(34) 내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보유 부재가 보유 위치에 있을 때, 보유 부재(18)는 지지 부재(16)를 폐쇄 위치에 고정한다. 대조적으로, 보유 부재(18)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보유 블록(84)은 암 부재(26) 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며, 그에 의해 지지 부재(1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하게 한다.In addition, the retention block 84 is fixed above the base 82. The retaining block 84 includes a protrusion 88 that is selectively received in the first groove 34 of the arm member 26. More specifically, the retaining member 18 is linearly movable between the holding position and the releasing position. In the retaining position, the protrusion 88 is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34 of the arm member 26 to engage the arm member 26 and limit the rotation of the arm member 26. In other words, when the holding member is in the holding position, the holding member 18 fixes the supporting member 16 to the closed position. In contrast, when the retaining member 18 is in the release position, the retaining block 84 is disposed away from the arm member 26, thereby causing the support member 16 to move from the closed position to one of the open positions. .

추가로, 버튼 부재(24)는 복수개의 제2 캠 부재(90)(도 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캠 부재(90)는 실질적으로 제1 캠 부재(86)의 형상에 따라 성형되는 리세스이다. 따라서, 제1 캠 부재(86)는 제2 캠 부재(90) 내에 수용된다. 제1 캠 부재(86)는 각각의 제1 캠 표면(92)을 포함하고, 제2 캠 부재(90)는 각각의 제2 캠 표면(94)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것과 같이, 버튼 부재(24)가 보유 부재(18)를 향해 작동됨에 따라, 제2 캠 표면(94)은 보유 부재(18)를 해제 위치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캠 표면(92)과 캠 결합한다.In addition, the button member 24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am members 90 (FIG. 3).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cam member 90 is a recess shaped substa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first cam member 86. Thus, the first cam member 86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am member 90. The first cam member 86 includes a respective first cam surface 92, and the second cam member 90 includes a respective second cam surface 94. Thus, as will be described below, as the button member 24 is actuated towards the retaining member 18, the second cam surface 94 may be adapted to selectively move the retaining member 18 toward the release position. Cam engagement with cam surface 92.

더욱이, 스탠드 조립체(14)는 제1 편의 부재(9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편의 부재(96)는 나선형 스프링이다. 제1 편의 부재(96)는 보유 부재(18)로부터 떨어지게 버튼 부재(24)를 편의시키기 위해 버튼 부재(24)와 보유 부재(18)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버튼 부재(24)는 보유 부재(18)로부터 떨어지는 버튼 부재(24)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단말기(10)의 본체(12)의 (도시되지 않은) 내부 표면에 대해 맞닿는 플랜지(98)를 포함한다.Moreover, stand assembly 14 includes a first piece member 96.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piece member 96 is a helical spring. The first biasing member 96 is disposed between the button member 24 and the retaining member 18 to bias the button member 24 away from the retaining member 18. Further, in some embodiments, the button member 24 is directed against the inner surface (not shown) of the body 12 of the terminal 1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button member 24 away from the retaining member 18. Abutting flange 98.

커넥터 부재(22)가 정지 부재(20) 및 보유 부재(18)를 연결하기 때문에 제2 편의 부재(72)가 정지 부재(20)를 정지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고 추가로 보유 부재(18)를 보유 위치를 향해 편의시킨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Since the connector member 22 connects the stop member 20 and the retaining member 18, the second biasing member 72 biases the stop member 20 toward the stop position and further retains the retaining member 18.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it is biased towards location.

이제, 스탠드 조립체(14)의 동작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스탠드 조립체(14)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사용자는 보유 부재(18)를 향해 버 튼 부재(24)를 압박함으로써 개방 위치를 향해 스탠드 조립체(1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은 제2 캠 표면(94)이 제1 캠 표면(92)과 캠 결합하게 하고 보유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보유 부재(18)를 선형으로 활주시키게 한다. 또한, 정지 부재(20)는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해 공동(60) 내에서 협동하여 활주한다. 바꿔 말하면, 보유 부재(18)의 돌출부(88)는 제1 홈(34)의 외부로 이동하고, 정지 부재(20)의 돌출부(68)는 각각의 제2 홈(48)의 외부로 협동하여 이동한다. 결국, 제3 편의 부재(50)는 개방 위치를 향해 지지 부재(16)를 편의시킨다.The operation of the stand assembly 14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suming the stand assembly 14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user can move the stand assembly 14 toward the open position by pressing the button member 24 toward the retaining member 18. This causes the second cam surface 94 to cam-engage with the first cam surface 92 and to linearly slide the retaining member 18 from the retain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In addition, the stop member 20 cooperates and slides in the cavity 60 from the stop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 88 of the retaining member 18 moves out of the first groove 34, and the protrusion 68 of the stop member 20 cooperates with the outside of each second groove 48. Move. As a result, the third biasing member 50 biases the support member 16 toward the open position.

정지 부재(20)는 그 정지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에 각각의 제2 홈(48)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동작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보유 부재(18)를 향해 하향 위치에서 버튼 부재(24)를 유지시키면, 지지 부재(16)는 폐쇄 위치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로 편의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중간 개방 위치(즉, 폐쇄 위치와 완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지지 부재(16)를 위치시키고자 하면, 사용자는 지지 부재(16)가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버튼 부재(24)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지지 부재(16)가 부분 개방 위치들 중 하나에서 보유되도록 돌출부(68)가 중간 제2 홈(48)들 중 하나 내로 진입하게 한다. 또한, 지지 부재(16)를 폐쇄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제3 편의 부재(50)의 편의력에 대해 암 부재(26)를 수동으로 압박한다. 돌출부(68) 및 제2 홈(48)은 이러한 지지 부재(16)의 이동이 정지 부재(20)를 (그에 따라 보유 부재(18)를) 해제 위치를 향해 압박하도록 성형되고, 폐쇄 위치에 있으면, 제2 편의 부재(72)는 각각의 제2 홈(48) 내로 돌출부(68)를 그리고 제1 홈(34) 내로 돌출부(88)를 편의시키며 그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지지 부재(16)를 보유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stop member 20 is operable to selectively engage with each second groove 48 as it moves toward its stop position. As such, if the user holds the button member 24 in a downward position toward the retaining member 18, the support member 16 will be bias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fully open position. However, if the user wants to position the support member 16 in the intermediate open position (i.e.,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fully open position), then the user needs to press the button member 24 before the support member 16 reaches the fully open position. Can be released, thereby causing the projection 68 to enter into one of the intermediate second grooves 48 such that the support member 16 is retained in one of the partially open positions. In addition, in order to close the support member 16, the user manually presses the arm member 26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third biasing member 50. The protrusions 68 and the second grooves 48 are shap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16 presses the stop member 20 (and thus the retaining member 18) toward the release position and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econd biasing member 72 biases the projection 68 into each second groove 48 and the projection 88 into the first groove 34 thereby retaining the support member 16 in the closed position. do.

따라서, 스탠드 조립체(14)는 추가된 편의를 위한 버튼 부재(24)의 간단한 터치로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조립체(14)는 보유 부재(18) 및 정지 부재(20) 덕분에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의 양쪽 모두에서 상당히 안정된다.Thus, the stand assembly 14 can move automatically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ith a simple touch of the button member 24 for added convenience. In addition, the stand assembly 14 is quite stable in both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thanks to the retaining member 18 and the stop member 20.

대체 실시예(들)의 논의Discussion of Alternate Embodiment (s)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버튼, 고정 부재, 연결 부재, 결합 부재, 회전 샤프트, 비틀림 스프링 및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a fixing member, a connecting member, a coupling member, a rotating shaft, a torsion spring and a support member.

버튼 및 지지 부재는 각각 단말기의 후방에 삽입 및 구성된다. 버튼은 제1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측면-캠 표면이 버튼의 저부에서 형성된다.The button and the support member are inserted and configur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respectively. The button is elastically supported up and down by the first spring, and a side-cam surfac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utton.

고정 부재는 버튼의 저부에 구성되고 제1 측면-캠 표면에 대응하는 제2 측면-캠 표면이 버튼의 상부 단부 상에 형성된다. 추가로, 고정 부재가 지지 부재 내로 삽입되며 그에 의해 지지 부재가 폐쇄될 때에 이것을 고정한다.The fastening member is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button and a second side-ca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cam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utton.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member, thereby fixing it when the supporting member is closed.

연결 부재의 하나의 단부가 고정 부재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의 다른 단부가 결합 부재에 연결되고 동시에 이동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moved at the same time.

결합 부재를 삽입시키는 복수개의 정지 홈이 회전 샤프트 상에 형성된다.A plurality of stop grooves for inserting the engaging member are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이 때, 결합 부재는 제2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그에 의해 회전 샤프트를 정지시킨다.At this time, the engagement memb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spring and thereby stops the rotating shaft.

또한, 회전 샤프트의 하나의 단부가 비틀림 스프링에 연결되고 회전 샤프트 의 다른 단부가 지지 부재에 연결되고 함께 회전된다. 비틀림 스프링은 지지 부재가 폐쇄될 때에 회전 및 압축 상태에서 고정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rotary shaft is connected to the torsion spring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rotated together. The torsion spring is fixed in the rotational and compression state when the support member is closed.

그러므로, 버튼이 압박될 때, 고정 부재는 활주-캠 표면에 의해 결합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고정 부재에 연결된 연결 부재 및 결합 부재는 동시에 이동된다.Therefore,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fastening member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astening member by the slide-cam surface and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fastening member are simultaneously moved.

결과적으로, 고정 부재 및 결합 부재는 지지 부재 및 정지 홈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이 신장됨에 따라, 이것은 회전 샤프트로써 지지 부재를 자동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버튼이 압박될 때에 지지 부재가 자동적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더 편리하다.As a result, the fixing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are separately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stop groove. And as the torsion spring is extended, it automatically rotates the support member with the rotating shaft. As suc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convenient because the support member is automatically rotated when the button is pressed.

본원에서 일부 용어들은 참조 목적을 위해서만 사용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측”, “하측”, “위”, “아래”, “상부”, “상방” 및 “하방”과 같은 용어는 도면에서 참조된 방향을 말한다. “전방”, “후방” 및 “측”과 같은 용어는 관련 구성요소를 기술하는 본문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지는 임의적이나 일관된 틀 내에서 구성요소의 일부분의 배향을 기술한다. 이러한 용어는 위에서 특별히 언급된 단어, 그 파생어 및 유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조물을 언급하고 있는 “제1”,“제2”와 같은 용어 및 다른 서수적 용어는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순서나 순번을 의미하지는 않는다.Some terms herein are used for referenc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For example, terms such as "upper", "lower", "up", "down", "upper", "upper" and "lower" refer to the directions referenced in the drawings. Terms such as “front”, “rear” and “side” describe the orientation of a portion of a component within an arbitrary or consistent framework that becomes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text and associated drawings that describe the associated component. Such terms may include words specifically mentioned above, derivatives thereof, and analogues. Likewise,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other ordinal terms referring to a structure do not imply order or order unless clearly indicated by the context.

구성요소나 특징부 및 예시적 실시예를 소개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수식어는 그러한 요소나 특징부가 하나 이상 있음을 의미한다. “포함하는”, “ 구비하는” 및 “가지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특별히 언급된 것 이외에 부가되는 요소나 특징부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 단계, 공정 및 작용은 실행 순서로서 특별히 확인되지 않는 한 논해지거나 예시된 특별한 순서로 반드시 이들이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추론되지 않아야 함이 더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되거나 대안적인 단계가 채용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In introducing elements, features, and example embodiments, a modifier such as “above” means that there are one or more such elements or features. The terms "comprising", "having" and "having"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and mean that there may be additional elements or features in addition to those specifically mentioned. It should be further understood that the method steps, processes and actions described herein are not to be inferred that they must be performed in the particular order discussed or illustrated unless specifically identified as the order of execution.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additional or alternative steps may be employed.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러한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illustrative only and variations which do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considered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스탠드 조립체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 assembly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 3은 도 2의 스탠드 조립체의 분해도.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tand assembly of FIG. 2.

도 4는 도 2의 스탠드 조립체의 측면 사시도.4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 assembly of FIG. 2.

도 5a는 폐쇄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는 도 4의 선 5A-5A를 따라 취해진 스탠드 조립체의 단면도.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nd assembly taken along line 5A-5A of FIG. 4 shown in the closed position.

도 5b는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는 도 4의 선 5B-5B를 따라 취해진 스탠드 조립체의 단면도.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nd assembly taken along line 5B-5B of FIG. 4, shown in the moved state toward the open posi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휴대용 단말기 12: 본체10: portable terminal 12: main body

13: 리세스 14: 스탠드 조립체13: recess 14: stand assembly

16: 지지 부재 18: 보유 부재16: support member 18: retaining member

20: 정지 부재 22: 커넥터 부재20: stop member 22: connector member

24: 버튼 부재 26: 암 부재24: button member 26: arm member

28: 샤프트 부재28: shaft member

Claims (20)

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스탠드 조립체이며,A stand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body,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선택적 회전을 위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암 부재 및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와;A support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for selective rot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the support member comprising an arm member and a shaft member; 보유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보유 위치에 있을 때에 암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지지 부재를 제1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 암 부재와 결합하는 보유 부재와;A retaining member movable between the retaining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the retaining member engaging the arm member to limit rotation of the arm member and to secure the support member in the first position when in the retaining position;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샤프트 부재와 결합하는 정지 부재와;A stop member movable between the stop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the stop member engaging with the shaft member to limit rotation of the shaft member when in the stop position;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가 이들의 각각의 해제 위치로 협동하여 이동하도록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를 연결하는 커넥터 부재Connector member connecting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to move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cooperatively to their respective release positions. 를 포함하는 스탠드 조립체.Stand assembly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를 해제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버튼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조립체.The stand assembl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utton member for selectively moving the retaining member to a release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제1 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부재는 해제 위치를 향해 보유 부재와 선택적으로 캠 결합하는 제2 캠 부재를 포함하는 스탠드 조립체.3. The stand assembly of claim 2, wherein the retaining member comprises a first cam member and the button member includes a second cam member that selectively cams with the retaining member toward a release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로부터 떨어지게 버튼 부재를 편의시키는 제1 편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조립체.3. The stand assembly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rst biasing member for biasing the button member away from the retain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는 각각의 제1 및 제2 위치에서 지지 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스탠드 조립체.The stand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stop member is operable to selectively secure the support member in respective first and second posi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부재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부재는 적어도 1개의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부재는 보유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홈과 결합하고, 상기 정지 부재는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적어도 1개의 제2 홈과 결합하는 스탠드 조립체.The stop member of claim 1, wherein the arm member includes a first groove, the shaft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groove, the retaining member engages with the first groove when in the holding position, and the stop member. And the stand assembly engages with the at least one second groove when in the rest 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는 복수개의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 부재는 각각의 복수개의 제2 홈과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스탠드 조립체.7. The stand assembly of claim 6, wherein the shaft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and the stop member is selectively engageabl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보유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선형 이동을 위해 지지되고, 상기 정지 부재는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선형 이동을 위해 지지되는 스탠드 조립체.The stand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retaining member is supported for linear movement between the retained position and the released position, and the stop member is supported for linear movement between the stopped position and the releas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를 보유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고, 상기 정지 부재를 정지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제2 편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조립체.The stand assembl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iasing member biasing the retaining member toward the retaining position and biasing the stop member towards the res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제2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제3 편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조립체.The stand assembl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biasing member for biasing said support member toward a secon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상승 위치에서 본체를 지지하도록 동작 가능한 스탠드 조립체.The stand assembly of claim 1 wherein said support member is operable to support said body in a raised position when in said second position. 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스탠드 조립체이며, A stand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body,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의 선택적 회전을 위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암 부재 및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와;A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for selective rot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the support member comprising an arm member and a shaft member; 제1 캠 부재를 포함하고, 보유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보유 위치에 있을 때에 암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지지 부재를 제1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암 부재와 결합하는 보유 부재와;A retaining member comprising a first cam member, movable between a retaining position and a release position, engaging the arm member to limit rotation of the arm member and to secure the support member in the first position when in the retaining position; 해제 위치를 향해 보유 부재와 선택적으로 캠 결합하는 제2 캠 부재를 포함하는 버튼 부재와;A button member comprising a second cam member selectively cam-engaged with the retaining member toward the unlocked position;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샤프트 부재와 결합하는 정지 부재와;A stop member movable between the stop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the stop member engaging with the shaft member to limit rotation of the shaft member when in the stop position;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가 이들의 각각의 해제 위치로 협동하여 이동하도록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를 연결하는 커넥터 부재Connector member connecting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to move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cooperatively to their respective release positions. 를 포함하는 스탠드 조립체.Stand assembly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로부터 떨어지게 버튼 부재를 편의시키는 제1 편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조립체.13. The stand assembly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first biasing member for biasing the button member away from the retaining memb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는 각각의 제1 및 제2 위치에서 지지 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스탠드 조립체.13. The stand assembly of claim 12, wherein the stop member is operable to selectively secure the support member in respective first and second posi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 부재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부재는 적어도 1개의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부재는 보유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홈과 결합하고, 상기 정지 부재는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적어도 1개의 제2 홈과 결합하는 스탠드 조립체.13. The stop memb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arm member includes a first groove, the shaft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groove, the retaining member engages with the first groove when in the holding position, and the stop member. And the stand assembly engages with the at least one second groove when in the rest posi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는 복수개의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 부재는 각각의 복수개의 제2 홈과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스탠드 조립체.The stand assembly of claim 15, wherein the shaft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and the stop member is selectively engageabl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는 보유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선형 이동을 위해 지지되고, 상기 정지 부재는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선형 이동을 위해 지지되는 스탠드 조립체.13. The stand assembly of claim 12, wherein the retaining member is supported for linear movement between a retained position and a released position, and the stop member is supported for linear movement between a stopped position and a released posi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부재를 보유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고, 상기 정지 부재를 정지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제2 편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조립체.13. The stand assembly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iasing member biasing the retaining member toward the retaining position and biasing the stop member towards the stop posi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제2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제3 편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조립체.13. The stand assembly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third biasing member for biasing said support member toward a second position. 휴대용 단말기이며, Is a portable terminal, 본체와;A main body; 폐쇄 위치와 복수개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선택적 회전을 위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홈을 구비한 암 부재 및 적어도 1개의 제2 홈을 구비하고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와;A suppo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for selective rotation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plurality of open positions, the arm member having a first groove and a shaft member having at least one second groove and removably connected thereto Absence; 복수개의 개방 위치를 향해 상기 지지 부재를 편의시키는 제1 편의 부재와;A first biasing member biasing the support member toward a plurality of open positions; 제1 캠 부재를 포함하고, 보유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고, 보유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암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암 부재의 제1 홈과 결합하는 보유 부재와;A first cam member, linearly movable between the holding position and the releasing position, the first member of the arm member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arm member and securing the support member in the closed position when in the holding position; A retaining member engaged with the groove; 해제 위치를 향해 상기 보유 부재와 선택적으로 캠 결합하는 제2 캠 부재를 포함하는 버튼 부재와;A button member comprising a second cam member selectively cam-engaged with said retaining member toward a release position; 보유 부재로부터 떨어지게 버튼 부재를 편의시키는 제2 편의 부재와;A second biasing member for biasing the button member away from the retaining member;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고,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복수개의 제2 홈들 중 하나와 결합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들 중 하나에서 지지 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정지 부재와;Linearly movable between the stop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engag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to limit rotation of the shaft member when in the stop position, and closing and opening when the support member is in the stop position A stop member operable to selectively secure the support member in one of the positions; 상기 보유 부재를 보유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고, 상기 정지 부재를 정지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제3 편의 부재와;A third biasing member biasing the retaining member toward the retaining position and biasing the stop member towards the stop position; 상기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가 이들의 각각의 해제 위치로 협동하여 이동하도록 보유 부재 및 정지 부재를 연결하는 커넥터 부재A connector member connecting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such that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stop member move cooperatively to their respective release positions.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KR1020080068557A 2008-07-15 2008-07-15 One touch stand hinge KR2010000813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557A KR20100008138A (en) 2008-07-15 2008-07-15 One touch stand hinge
PCT/IB2009/006510 WO2010007523A2 (en) 2008-07-15 2009-07-13 One touch stand hi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557A KR20100008138A (en) 2008-07-15 2008-07-15 One touch stand hi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38A true KR20100008138A (en) 2010-01-25

Family

ID=4155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557A KR20100008138A (en) 2008-07-15 2008-07-15 One touch stand hin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08138A (en)
WO (1) WO2010007523A2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7107A (en) * 1995-09-05 1997-03-25 Kao Corp Container with lid
SE511799C2 (en) * 1998-03-24 1999-11-29 Ericsson Telefon Ab L M Hinge device at a mobile phone device with a door
KR100700567B1 (en) * 2004-12-06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20080052936A (en) * 2006-12-08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stopp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7523A3 (en) 2010-03-18
WO2010007523A2 (en)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165B1 (en) connection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7467000B2 (en) Hinge device of portable equipment and portable telephone
JP2006233998A (en) Hinge unit of portable device and mobile phone
WO2009005238A2 (en) Slide hinge module and slide type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JP2006233998A5 (en)
US8205776B2 (en) Dual function clip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creen
US20100050384A1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4537930B2 (en) Horizontal rotation mechanism for portable devices
US8208244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48766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59443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016395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KR20100008138A (en) One touch stand hinge
US20090312074A1 (en) Rotary cover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11146025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004408B1 (en) Automatic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KR101014882B1 (en) Dual direction opening/closing hinge module and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KR100856221B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200392956Y1 (en) Apparatus For Operating Bodies Of A Cellular Phone
KR20050109383A (en) A semi-auto slide device, a dual slide device of cellular phone and cellualar phones having that
JP2002232535A (en) Telephone system
KR20110139828A (en) Tilt up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TWM361856U (en) Hinge
JPH11265238A (en) Device for connecting portable telephone set to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