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689A -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689A
KR20100007689A KR1020090007949A KR20090007949A KR20100007689A KR 20100007689 A KR20100007689 A KR 20100007689A KR 1020090007949 A KR1020090007949 A KR 1020090007949A KR 20090007949 A KR20090007949 A KR 20090007949A KR 20100007689 A KR20100007689 A KR 20100007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relay device
message
respon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650B1 (ko
Inventor
홍승은
김경표
김용선
권형진
이우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502,438 priority Critical patent/US8958288B2/en
Publication of KR20100007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650B1/ko
Priority to US14/623,252 priority patent/US9900243B2/en
Priority to US15/863,471 priority patent/US10382318B2/en
Priority to US16/529,042 priority patent/US1097934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중앙 제어기에 의해 동기 및 대역 할당이 수행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소스(Source) 및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장치 간의 직접 경로를 통한 데이터 통신 중에, 장애물에 인한 신호 봉쇄가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우회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07949
무선 시스템, 중앙 집중식, 우회 경로, 피코넷

Description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DETOUR PATH OVER IN WIDEBAND HIGH FREQEUNCY WIRELESS SYSTEM WITH CENTRALLIZED MAC PROTOCO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01-03, 과제명: 비/저 활용대역 소출력 무선기기용 전송기술 개발].
초당 수 기가비트(Gigabit)의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기 위하여, 60 GHz 또는 THz 대역의 초광대역 고주파수 신호를 사용하는 무선 시스템에서는, 전력 효율을 위해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다. 따라서, 주파수 신호는 직진성이 강하고 또한 주파수 전파 특성상 장애물에 의한 감쇄가 강한 특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주파수 특성상,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LOS(Line of Sight)가 확보되어야만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고, 만약 사람 및 장애물에 의한 LOS가 확보되지 않으면 통신 두절 현상이 발생한다.
LOS 봉쇄 현상이 아주 짧게 발생하는 경우, 초고속 데이터 전송 및 비디오 스트리밍 전송의 경우에는 신호 봉쇄에 의한 통신 장애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IEEE 802.15.3c 표준화 단체에서는 복수 개의 전송 안테나를 통한 공간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능과, 빔 성형을 통한 최적 전송 경로 획득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고주파수 신호의 강한 직진성과 물체에 의한 높은 감쇄 특성으로 인해, 사람 및 장애물에 의한 신호 봉쇄의 경우 통신 장애를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앙 집중식 MAC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피코넷 조정자(Piconet coordinator: PNC)가 다수의 장치(Device)들에게 비콘(Beacon) 메시지를 통해, 시간 동기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장치들이 서로 간에 또는 피코넷 조정자(PNC)와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피코넷 조정자(PNC)에 의해 수행되는 시간 동기 및 자원 할당은, 슈퍼프레임(Superframe)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슈퍼프레임은 비콘 구간, 경쟁 접속 구간(Contention Access Period: CAP), 및 채널 시간 할당 구간(Channel Time Allocation Period: CTAP)로 구성된다.
비콘 구간은 피코넷 조정자(PNC)에 의해 비콘 메시지가 전송되는 구간으로서, 슈퍼프레임 길이, CAP과 CTAP 구간 길이, 채널 할당 정보 및 동기화 정보를 포함한다.
경쟁 접속 구간(CAP)은 CSMA/CA(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경쟁 방식으로 전송하는 반면, 채널 시간 할당 구간(CTAP)은 특정 소스(source)와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의 조합이, 경쟁 없이 데이터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채널 시간 할당(Channel Time Allocation: CTA) 블록들로 구성된다.
상기 채널 시간 할당(CTA) 블록은 특정 소스가 경쟁 접속 구간(CAP)을 통해 피코넷 조정자(PNC)에게 자원 요청을 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비콘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여 형성된다.
채널 시간 할당 구간(CTAP)은 피코넷 조정자(PNC)에 의해 TDMA 방식을 통해 다수의 채널 시간 할당(CTA) 블록들이 할당되는데, 특정 소스 및 데스티네이션의 조합을 위한 채널 시간 할당(CTA) 블록들은 하나의 슈퍼프레임 당 복수 개, 또는 복수 개의 슈퍼프레임당 하나씩 주기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또는 일정량의 채널 시간 할당(CTA) 블록들이 다수의 슈퍼프레임에 걸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중앙 제어기에 의해 동기 및 대역 할당이 수행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소스(Source) 및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장치 간의 직접 경로를 통한 데이터 통신 중에, 장애물에 인한 신호 봉쇄가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우회 경로를 제공하여 통신 장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장치가 피코넷 조정자(Piconet coordinator: PNC)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피코넷 조정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비콘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피코넷 조정자에게 상기 제1장치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피코넷 조정자에 등록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 측으로 탐지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함 -; 및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2장치 및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 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2장치 및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 간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 간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피코넷 조정자로부터 타 장치들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 이외의 타 릴레이 장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콘 메시지, 상기 제1장치의 정보, 상기 제2장치의 정보, 상기 릴레이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제2장치와 릴레이 장치로부터의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릴레이 장치의 사양(Relay Capacity)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의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피코넷 조정자의 제어 방법은, 제1장치 측으로 비콘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비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장치로부터 상기 제1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 측으로 탐지 요청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 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함 -; 및 상기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2장치 및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도록 상기 제1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장치가 제1장치와 릴레이 장치 간의 빔 형성을 위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Relay Beamforming Command)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 간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함 -;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릴레이 장치 측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Immediate Acknowledgement: IMM-ACK)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2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부터 제2장치와 릴레이 장치 간의 빔 형성을 위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Relay Beamforming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IMM-ACK)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에 의해, 상기 제2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 측으로,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 간의 빔 형성을 위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Relay Beamforming Command)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상기 제2장치 측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로부터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IMM-ACK)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와의 빔 형성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 및 상기 제2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우회(detour) 경로의 채널 상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와의 빔 형성에 의한 다이렉트(direct) 경로의 채널 상태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우회(detour) 경로의 채널 상태를 계산한 결과, 및 상기 다이렉트(direct) 경로의 채널 상태를 계산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의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릴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릴레이 장치가,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 간의 빔 형성을 위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Relay Beamforming Command) 메시지를, 상기 제1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 간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함 -;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에 대한 응답 메시지(IMM-ACK)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에 의해, 상기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릴레이 장치가, 제2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 간의 빔 형성을 위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제2장치 측으로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제2장치로부터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Immediate Acknowledgement: IMM-ACK)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 장치와 제2장치와의 빔 형성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중앙 제어기에 의해 동기 및 대역 할당이 수행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소스(Source) 및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장치 간의 직접 경로를 통한 데이터 통신 중에, 장애물에 인한 신호 봉쇄가 발생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우회 경로를 제공하여 통신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의 개념도이다.
피코넷(Piconet)은 복수개의 장치(110, 130), 피코넷 조정자(Piconet coordinator: PNC)(120), 릴레이 장치(Relay Device: 140)를 포함한다.
피코넷 조정자(PNC: 120)가 제1장치 측으로 비콘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피코넷 조정자(PNC: 120)는 다수의 장치(Device)들에게 비콘(Beacon) 메시지를 통해 시간 동기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각 장치들은 상호 간에, 또는 피코넷 조정자(120)와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피코넷 상에서의 우회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제1장치(110)는, 피코넷 조정자(PNC: 120)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피코넷 조정자(120)의 정보를 확인한다.
제1장치(110)는 상기 비콘 메시지에 응답하여, 피코넷 조정자(120)에게 상기 제1장치(110)의 정보를 송신한다.
피코넷 조정자(120)는 상기 제1장치(110)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장치(110)를 등록한다.
이후, 제1장치(110)는 피코넷 조정자(120)와의 PNC 정보의 요청 및 응답 통신을 통하여, 피코넷 상의 모든 장치의 사양(association)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장치(110)가 제2장치(130) 및 릴레이 장치(140) 측으로 탐지 요청을 송신하고, 제2장치(130) 및 릴레이 장치(140)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 을 수신하여, 제2장치(130) 및 릴레이 장치(140)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2장치(130)가 릴레이 장치(140)를 통한 우회 경로를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릴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릴레이 장치 중에서 하나의 릴레이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장치(110)는 릴레이 장치(140)를 경유하는 우회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릴레이 장치(relay device: 140)는 제1장치(110)와 제2장치(130) 또는 타 장치와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제1장치(110)는 릴레이 장치(140)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릴레이 장치(14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장치(110)는 제2장치(130)와의 직접 경로를 통한 데이터 통신 중에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릴레이 장치(140)를 경유하는 우회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제1장치(110)는 제2장치(130)와의 직접 경로와 우회 경로 중에서 보다 원활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우회 경로를 제공하는 릴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릴레이 장치는 시스템 규격(예를 들어, IEEE 802.15.3c PHY 및 MAC 규격)에서 규정하는 PHY 장치(220)와 MAC 장치(210)를 가지는 일반적인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릴레이 장치는 네트워크 상의 장치 또는 피코넷 조정자(PNC)일 수 있다.
릴레이 장치는 두 개의 RF 체인(230, 2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의 RF 체인으로 하나의 장치 또는 피코넷 조정자(PNC)와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하면서, 다른 하나의 RF 체인으로는 다른 장치 또는 피코넷 조정자(PNC)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릴레이 장치가, 하나의 RF 체인을 통해 소스 장치에 해당하는 제1장치(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른 RF 체인을 통해 데스티네이션 장치에 해당하는 제2장치(13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각 장치가 장치 사양의 통보 시에 사용하는 정보 필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정보 필드는, PNC 사양 필드(PNC Capa.: 310), 장치 사양 필드(DEV Capa.: 320), 빔 형성 사양 필드(Beamforming Capa.: 330), 및 릴레이 사양 필드(Relay Capa.: 340)를 포함한다.
이때, 릴레이 사양 필드(340)는 특정 장치가 피코넷에서 릴레이 장치가 될 수 있는 지를 표시하는 릴레이 가능 비트 필드(Relay capable: 341), 특정 장치가 릴레이 장치를 통해 우회 경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표시하는 릴레이 지원 비트 필드(Relay Supportable: 342), 릴레이 장치가 릴레이 장치로서의 기능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것인지를 표시하는 릴레이 우선 모드 비트 필드(Relay Des-mode: 343), 및 릴레이 장치가 A/C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하는지를 표시하는 A/C 전원 모드 비트 필드(A/C power mode: 3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양 필드는, 피코넷 조정자(PNC)가 비콘 메시지를 방송할 때 피코넷 조정자(PNC)의 사양 필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장치가 피코넷 조정자(PNC) 에 등록(Association)되기 위하여 피코넷 조정자(PNC)에 보고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장치가 피코넷 조정자(PNC)에 피코넷 정보의 요청 시에 그에 대한 응답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장치를 통해 우회 경로를 사용하고자 하는 소스 장치에 해당하는 제1장치는, 현재의 피코넷 조정자(PNC)가 릴레이 장치로서 기능하는 지를, 비콘 메시지에 포함되는 PNC 사양 필드(PNC Capa.: 310)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장치는, 데스티네이션 장치에 해당하는 제2장치가,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릴레이 가능 비트 필드(Relay capable: 341)를 확인하여 알 수 있다.
또한, 제1장치는 피코넷 조정자(PNC) 측으로 피코넷 정보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서 상기 정보 필드를 수신하여, 피코넷 내의 모든 장치들의 사양 정보를 확인하여, 릴레이 장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소스 장치에 해당하는 제1장치는, 데스티네이션 장치에 해당하는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와의 직접(direct) 탐지 요청 명령(probe request command) 메시지의 전송, 및 탐지 응답 명령(probe response command) 메시지의 수신 과정에서, 장치 사양 정보의 교환을 통하여 릴레이 장치의 지원 여부를 재확인 할 수 있으며,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피코넷에 등록된 모든 장치들 중에서 릴레이 장치로 동작하는 장치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소스 장치는 사용하고자 하는 릴레이 장치를 선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릴레이 장치의 선정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선 순위는 시스템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에 따를 수 있다.
Figure 112009006340310-PAT00001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피코넷 상의 장치가 릴레이 장치 및 타 장치의 사양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장치가 피코넷 조정자(Piconet coordinator: PNC)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피코넷 조정자의 정보를 확인한다(S410).
이때, 상기 제1장치는 상기 제2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 간의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장치는 상기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 간의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비콘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피코넷 조정자에게 상기 제1장치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피코넷 조정자에 등록된다(S420)
이후, 상기 제1장치가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 측으로 탐지 요청을 송신한다(S430).
이때,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2장치 및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한다(S440).
이후, 상기 제1장치는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의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피코넷 조정자로부터 타 장치들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 이외의 타 릴레이 장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릴레이 장치의 사양(Relay Capacity)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비콘 메시지, 상기 제1장치의 정보, 상기 제2장치의 정보, 상기 릴레이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제2장치와 릴레이 장치로부터의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 등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피코넷 조정자가, 장치 측에서 릴레이 장치 및 타 장치의 사양 확인을 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피코넷 조정자가 제1장치 측으로 비콘 메시지를 송신하고(S510), 상기 비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장치로부터 상기 제1장치의 정보를 수신한다(S520).
피코넷 조정자는 상기 제1장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장치를 등록한다(S530).
이후, 피코넷 조정자는, 상기 제1장치 측에서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 측으로 탐지 요청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540). 이때,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후, 피코넷 조정자는, 상기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2장치 및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도록 상기 제1장치를 제어한다(S550).
따라서, 피코넷 상의 장치들은 릴레이 장치에 의한 우회 경로를 사용하기 위하여, 데스티네이션 장치 및 릴레이 장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직접 경로 및 우회 경로를 위한 장치 간의 빔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릴레이 빔형성 명령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소스 장치(Source Device)를 제1장치(601)로 가정하고, 데스티네이션 장치(Destination Device)를 제2장치(603)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때, 제1장치(601), 릴레이 장치(602), 및 제2장치(603) 장치 간의 빔 형성 절차는 IEEE 802.15.3c 규격에 따를 수 있다.
소스 장치인 제1장치(601)는 선정된 릴레이 장치(602)와 빔 형성 절차를 수행한 후, 릴레이 장치(602)가 데스티네이션 장치인 제2장치(603)와 빔 형성 절차를 수행하는데, 이는 제1장치(601)와 제2장치(603)가 릴레이 장치(602)를 경유하는 우회 경로이다. 이후, 데스티네이션 장치인 제2장치(603)가 소스 장치인 제1장치(601)와의 빔 형성 절차를 수행하는데, 이는 제1장치(601)와 제2장치(603) 간의 직접 경로이다.
따라서, 소스 장치인 제1장치(601)는 상기와 같은 우회 경로와 직접 경로 중에서 제2장치(603)와의 보다 원활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1장치(601), 릴레이 장치(602), 및 제2장치(603)간의 릴레이 동작을 위한 빔 형성 절차의 시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릴레이 빔 형성 명령(Relay-Beamforming Command) 메시지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빔 형성 명령 메시지에 대하여 IEEE 802.15.3c 규격에 따른 응답(IMM-Ack)을 통하여 상기 빔 형성 명령 메시지가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6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빔 형성 명령(Relay-Beamforming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하여 릴레이 동작을 위한 빔 형성 절차가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빔 형성 명령 메시지는 IEEE 802.15.3c 규격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명령 타입(Command type) 필드(710), 메시지 길이를 표시하는 길이(Length) 필드(720), 릴레이 동작을 위한 소스 장치, 데스티네이션 장치, 그리고 릴레이 장치 간의 고유 빔 형성 절차를 표시하는 트랜스액션(Transaction code) 필드(730), 특정 링크에서의 빔 형성 절차에 요구되는 최대 시간 값을 표시하는 듀레이션(Duration) 필드(740), 릴레이 동작을 위해 구성되는 세 가지 링크에서 특정 링크를 표시하기 위한 링크 카운트(Link Count) 필드(750), 및 상기 링크 카운트 필드 값에 해당하는 링크의 목적지 장치 주소를 순차적으로 기술하는 주소 필드(760)를 포함한다.
또한, 릴레이 장치(602)와 제2장치(603)간의 링크의 LQI(Link Quality Information)를 제1장치(6010) 측으로 알려주기 위한 세컨드 링크 LQI(Second Link LQI) 필드(770)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컨드 링크 LQI(Second Link LQI) 필드(770)는 링크 카운트(750) 필드 값이 3 일때, LQI값을 제1장치(601) 측으로의 응답 명령 사양 명령(relay association command)에 포함시켜 전송하며, 링크 카운트(750) 필드 값이 3이 아닌 경우에는 0으로 코딩하여 리저브(reserved)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릴레이 장치(602)는 자신이 릴레이 장치라는 것을 사전에 알고 있으며, 또한 릴레이 동작을 위한 빔 형성 절차를 소스 장치인 제1장치(601)와 1회 수행하고, 데스티네이션 장치인 제2장치(603)와 1회 수행하여 총 2회 수행한다는 것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602)는 두 개의 RF 체인 중에서 하나를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하나의 RF 체인을 선택하여 소스 장치와의 빔 형성을 수행하고, 남은 하나의 RF 체인을 데스티네이션 장치와의 빔 형성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으로는 임의로 하나의 RF 체인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빔 형성 명령을 두 개의 RF 체인을 이용해 동시에 수신한 후 수신한 두 개의 명령을 이용하여 두 RF 체인을 통한 채널 상태를 각각 예측하여 상대적으로 소스 장치와의 채널 상태가 우수한 RF 체인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각 장치간의 빔 형성 절차를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소스 장치인 제1장치(601)는 임의의 상기 빔 형성 명령의 트랜스액션 코드(Transaction code: 730) 값을 선택하고,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 절차에 소요되는 예상 시간 값을 듀레이션(Duration: 740) 필드 값으로 정하며, 링크 카운트(Link Count: 750) 값은 1로 설정한다. 또한, 빔 형성 절차에 따라 빔 형성이 수행될 링크의 목적 장치들의 주소 값(760)을 차례로 하여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빔 형성이 수행될 링크의 목적 장치들의 주소 값(760)은 릴레이 장치의 주소(763), 데스티네이션 장치의 주소(762), 및 소스 장치의 주소 값(761)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는 첫 번째 링크의 목적 장치인 릴레이 장치(602)에게 전달된다(S610).
릴레이 장치(602)는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즉시 응답 메시지(Imm-Ack)를 상기 제1장치(601) 측으로 전송한다(S620).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를 수신한 제1장치(601)는, IEEE 802.15.3c 규격에 따라 상기 릴레이 장치(602)와의 빔 형성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630).
빔 형성 절차가 완료되면, 릴레이 장치(602)는 제1장치(601) 장치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에서 링크 카운트(Link Count: 750) 값을 1 증가시킨 값인 2로 설정하고, 설정된 링크 카운트(Link Count: 750) 값 2에 해당하는 링크의 목적 장치인 제2장치(603)측으로, 상기 수정된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S640).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제2장치(603)는, 즉시 응답 메시지(Imm-Ack)를 릴레이 장치(602) 측으로 전송한다(S650).
이후, 릴레이 장치(602)는 제2장치(603)와의 빔 형성 절차를 수행한다(S660).
상기 릴레이 장치(602)와 제2장치(603)간의 빔 형성 절차가 완료되면, 제2장치(603)는 릴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에서 링크 카운트(Link Count: 750) 값을 1 증가시킨 값인 3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링크 카운트(Link Count: 750) 값 3에 대항되는 링크의 목적 장치인 제1장치(601) 측으로,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S670).
제2장치(603)으로부터 상기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제1장치(601)는, 즉시 응답 메시지(Imm-Ack)를 전송한다(S680).
이후, 제2장치(603) 장치는 제1장치(601) 장치와 빔 형성 절차를 수행한다(S690).
상기 제2장치(603)와 제1장치(601) 간의 빔 형성 절차가 완료되면, 제1장치(601)는 자신이 개시한 릴레이 동작을 위한 빔 형성 절차가 모두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개별 링크에서의 빔 형성 절차가 규정된 시간 (Duration 필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목적 장치들이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다음 목적 장치에게 전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인 제1장치(601)가 상기 듀레이션(Duration: 740) 필드 값의 두 배에 해당하는 시간까지 제2장치(603)으로부터 링크 카운트(Link Count: 750) 값이 3인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릴레이 장치(602)동작을 위한 빔 형성 절차가 실패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1장치(601)와 제2장치(603)간의 빔 형성 절차가 끝난 후에는, 제1장치(601)가 릴레이 장치(602)를 통한 우회 경로와, 제1장치(601)와 제2장치(603)간의 다이렉트 경로 중에서 어떤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장치(601)는 두 개의 링크로 구성되는 우회 경로의 채널 상태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제1장치(601)는 빔 형성 과정의 결과로서 제1장치(601)와 릴레이 장치(602) 간의 채널 상태 정보에 관련된 LQI(Link Quality Information)를 알 수 있으며, 릴레이 장치(602)와 제2장치(603)간의 LQI는 세컨드 링크 LQI(Second Link LQI: 770) 필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LQI를 사용하여 채널 상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장치(601)는 상기와 같은 우회 경로의 채널 상태 정보와, 다이렉트 경로의 LQI정보를 비교하여, 더 좋은 채널 상태를 가지는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이렉트 경로의 빔 형성 절차가 실패하여 그 경로의 채널상태를 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릴레이 장치에 의한 경로의 두 개의 링크의 빔 형성이 성공하면 릴레이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하고자 하는 두 기기 사이의 거리가 멀거나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이유로, LOS(Line Of Sight) 경로가 형성되지 않아서 다이렉트 경로를 통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릴레이 장치를 통한 우회 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릴레이 장치의 동작을 위한 빔 형성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자원 요청 및 할당 절차가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자원 요청 및 할당 절차는 IEEE 802.15.3c 규격을 따를 수 있으며, 상기 자원 요청 과정은 소스 장치가 데스티네이션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자원 요청임을 명시하여 피코넷 조정자(PNC)에게 요청하는 과정이며, 자원 할당 과정은 비콘 메시지를 통해 피코넷 조정자(PNC)가 요청한 소스 장치 및 데스티네이션 장치에게 자원 할당 정보를 통보하는 과정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빔 형성 절차를 수행하면서 소스 장치, 데스티네이션 장치, 및 릴레이 장치들은, 간접적으로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려는 상호 간의 장치 주소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따라서, 비콘 메시지를 통해 방송되는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소스 장치와 데스티네이션 장치는 물론, 릴레이 장치도 소스 장치와 데스티네이션 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이, 릴레이 동작에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우회 경로를 제공하는 릴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각 장치가 장치 사양의 통보 시에 사용하는 정보 필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피코넷 상의 장치가 릴레이 장치 및 타 장치의 사양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피코넷 조정자가, 장치 측에서 릴레이 장치 및 타 장치의 사양 확인을 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직접 경로 및 우회 경로를 위한 장치 간의 빔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릴레이 빔형성 명령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장치 120: 피코넷 조정자
130: 릴레이 장치 140: 제2장치

Claims (12)

  1. 제1장치가 피코넷 조정자(Piconet coordinator: PNC)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피코넷 조정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비콘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피코넷 조정자에게 상기 제1장치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피코넷 조정자에 등록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 측으로 탐지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함 -; 및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2장치 및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2장치 및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 간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 간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피코넷 조정자로부터 타 장치들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 이외의 타 릴레이 장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 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메시지, 상기 제1장치의 정보, 상기 제2장치의 정보, 상기 릴레이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제2장치와 릴레이 장치로부터의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릴레이 장치의 사양(Relay Capacity)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장치 측으로 비콘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비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장치로부터 상기 제1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 측으로 탐지 요청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함 -; 및
    상기 제2장치 및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1장치가 상기 탐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제2장치 및 상기 릴레이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도록 상기 제1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 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의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피코넷 조정자의 제어 방법.
  7. 제1장치가 제1장치와 릴레이 장치 간의 빔 형성을 위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Relay Beamforming Command)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 간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함 -;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릴레이 장치 측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Immediate Acknowledgement: IMM-ACK)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이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2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부터 제2장치와 릴레이 장치 간의 빔 형성을 위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Relay Beamforming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 에 대한 응답 메시지(IMM-ACK)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에 의해, 상기 제2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이 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 측으로,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 간의 빔 형성을 위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Relay Beamforming Command)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상기 제2장치 측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2장치로부터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IMM-ACK)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와의 빔 형성이 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 및 상기 제2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우회(detour) 경로의 채널 상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장치가,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와의 빔 형성에 의한 다이렉트(direct) 경로의 채널 상태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우회(detour) 경로의 채널 상태를 계산한 결과, 및 상기 다이렉트(direct) 경로의 채널 상태를 계산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
  11. 릴레이 장치가,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 간의 빔 형성을 위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Relay Beamforming Command) 메시지를, 상기 제1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장치와 제2장치 간의 다이렉트 통신 경로에 대한 우회 경로를 제공함 -;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에 대한 응답 메시지(IMM-ACK)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에 의해, 상기 제1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와의 빔 형성이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의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릴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장치가, 제2장치와 상기 릴레이 장치 간의 빔 형성을 위한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제2장치 측으로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제2장치로부터 상기 릴레이 빔 형성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Immediate Acknowledgement: IMM-ACK)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IMM-ACK)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 장치와 제2장치와의 빔 형성이 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의 우회 경로 설정을 위한 릴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90007949A 2008-07-14 2009-02-02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18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02,438 US8958288B2 (en) 2008-07-14 2009-07-14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tour path in wideband high frequency wireless system using centralized MAC protocol
US14/623,252 US9900243B2 (en) 2008-07-14 2015-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tour path in wideband high frequency wireless system using centralized MAC protocol
US15/863,471 US10382318B2 (en) 2008-07-14 2018-01-05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tour path in wideband high frequency wireless system using centralized mac protocol
US16/529,042 US10979344B2 (en) 2008-07-14 2019-08-01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tour path in wideband high frequency wireless system using centralized MAC protoc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8346 2008-07-14
KR1020080068346 2008-07-14
KR20080089079 2008-09-10
KR1020080089079 2008-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89A true KR20100007689A (ko) 2010-01-22
KR101181650B1 KR101181650B1 (ko) 2012-09-10

Family

ID=4181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949A KR101181650B1 (ko) 2008-07-14 2009-02-02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04A1 (ko) * 2020-06-25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기반의 중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04A1 (ko) * 2020-06-25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기반의 중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650B1 (ko) 201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47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multi-pa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distributed MAC
KR101980895B1 (ko)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US109793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tour path in wideband high frequency wireless system using centralized MAC protocol
JP4966415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接続復帰に関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0945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using relay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centralized MAC
KR20110101085A (ko) 광대역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140133390A1 (en) Data transceiving apparatus and method in centralized mac-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64963B1 (ko) 소스 장치, 데스티네이션 장치 및 릴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
KR101231376B1 (ko) 분산 매체 접근제어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경로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1181577B1 (ko) 중앙 제어식 mac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200169B2 (en) Transmitter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enable signal transmitter apparatus
KR101294504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릴레이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181650B1 (ko) 중앙 집중식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광대역 고주파수 무선 시스템에서 우회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189020B1 (ko) 중앙 제어식 mac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620524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