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615U -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 Google Patents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615U
KR20100007615U KR2020100006647U KR20100006647U KR20100007615U KR 20100007615 U KR20100007615 U KR 20100007615U KR 2020100006647 U KR2020100006647 U KR 2020100006647U KR 20100006647 U KR20100006647 U KR 20100006647U KR 20100007615 U KR20100007615 U KR 201000076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ab
power
outle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청
Original Assignee
최승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청 filed Critical 최승청
Priority to KR2020100006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615U/ko
Publication of KR20100007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또는 벽면의 매입콘센트에 연결되어 전자기기의 사용 전원을 연장하기 위한 분리형 멀티콘센트와 직류 사용 기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분리형 직류전원장치를 내장한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하 또는 벽면 매입콘센트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 파워코드 및 1구 연장탭과 분리되어 스위치 및 과부하 차단장치가 내장된 연결탭으로 구성되는 파워 공급 부, 사용 기기의 수요에 따라 다수의 1구 연장 탭 또는 다수의 1구 직류전원장치 연장탭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분리형 멀티콘센트로서 기존의 일체형 멀티콘센트 및 직류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직류전원장치 전원을 대체할 수 있으며, 교류전력과 직류전력을 동시에 제공하는 멀티콘센트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1구 연장탭 또는 1구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연장탭으로 추가 구성할 수 있어 실용성과 경제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워코드 및 연결탭은 하우징으로 간편하게 연결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 탭과 1구 연장 탭은 난연ABS수지로 고정되는 전력연결단자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고 연결 탭에 연장 탭을 삽입하는 간단한 과정으로 결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 및 안전성과 적용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DC Power in the isolate Multi Socket}
본 고안은 지하 또는 벽면의 매입콘센트에 연결되어 전자기기의 사용 전원을 연장하기 위한 분리형 멀티콘센트와 직류전력 사용 기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분리형 직류전원장치를 내장한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연결된 플러그(plug)를 바닥 또는 벽면에 구비된 매입콘센트에서 전원을 공급받아야 한다. 콘센트는 옥외로부터 단상 교류 전원 또는 3상 220V의 교류 전원이 유입되는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결합 되어 있으므로 다수 기기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매입콘센트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의 소비전력을 종합하여 규격에 맞는 멀티콘센트를 사용 전기적으로 기기에 교류 전원이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종래의 멀티콘센트는 각 2구, 3구, 4구, 5구, 6구 등 일체형으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구수에 맞는 멀티콘센트를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거나 추가로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가 필요할 경우 별도로 일체형 멀티콘센트를 구입하여야 하는 반면 반대로 사용하지 않은 유휴전원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다수 직류전원으로 동작하는 기기의 경우가 많아 멀티콘센트에 플러그(plug) 일체형 직류전원장치가 포함된 기기를 사용할 경우 직류전원장치의 부피로 인해 멀티콘센트의 기능적 요소에 장애를 초래하여 1구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직류전원장치로 인해 멀티콘센트 주위가 복잡하고 다른 플러그를 삽입하는데 장애를 받는다. 또한 직류전원장치가 전원 선 중간에 위치한 제품도 다수의 직류기기 사용으로 번잡함과 전선들의 정리상태가 원만하지 않은 문제점이 돌출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의 간격을 띄우는 멀티콘센트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콘센트는 부피가 커져 플러그 삽입구가 일정 구수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출된 것으로 다수의 1구 분리형 연장 탭 또는 다수의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1구 연장 탭을 제공하고 파워코드가 스위치 및 과부하 장치가 내장된 연결 탭과 분리되고, 분리된 연결 탭에 사용에 맞는 직류전원장치 내장 또는 일반 연장 탭으로 연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환경에 맞는 맞춤형 멀티콘센트를 제공함으로써 실용성과 직류전원장치에 의한 복잡한 선로를 해결하고 간편하고 편리한 다용도로 멀티콘센트를 연장하는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지하 또는 벽면에 매입된 콘센트의 전원을 연장하기 위하여 파워코드 부 또는 전선이 필요없는 경우 플러그와 연결 탭의 일체형인 파워코드 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선 연결단자 및 이를 고정하는 고정단자, 고정단자가 삽입되는 고정 홈을 구비하여 사용자 환경에 맞는 다수의 1구 연장 탭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기기의 수량에 맞는 콘센트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콘센트를 제한 또는 추가로 구성할 수 있는 있다. 또한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1구 연장 탭을 사용하여 직류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의 직류전원장치를 대체하고 사용 기기에 연결되는 전선을 제공함으로써 간편함과 복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비교적 큰 직류전원이 요구되는 프린터, 노트북, 모니터 등의 해결수단은 연장탭에 직류전원을 내장한 구성은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별도로 파워코드 부의 연결 탭에 직류전원장치를 내장하여 기기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1구 연장탭 또는 일반 1구 연장탭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파워코드의 전선연장이 필요없는 경우 플러그와 연결탭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파워공급 부를 제공하고 플러그와 연결탭이 90도 아래로 조정이 가능하고 연결탭에 연장탭을 연결할 수 있는 결선구조을 가짐으로써 다수의 연장탭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멀티콘센트는 필요한 맞춤형 콘센트를 제공하고 직류전원장치로 인한 멀티콘센트 주위의 복잡한 구조를 해결함으로써 실용성 및 경제성을 제공하고 아울러 교류와 직류를 동시에 공급하여 사용자의 환경에 맞춘 다용도 멀티콘센트로서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연장 탭과 직류전원장치를 내장한 연장 탭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환경에 맞는 구성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추가로 멀티콘센트가 필요할 경우 원하는 구수의 연장 탭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확보하고 설치에 있어 고정 홈에 삽입하는 간단한 과정으로 결선을 수행 또는 제거할 수 있어 내구성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적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분리형 멀티콘센트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은 연결탭과 연장탭, 연장탭과 연장탭의 결선 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연결탭에 직류전원장치를 내장한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멀티콘센트는 지하 또는 벽면 매입콘센트에서 결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코드 , 파워코드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제어하고 과부하 차단 장치가 내장된 연결 탭을 기본 구성으로 하는 파워공급 부, 파워 공급 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의 1구 연장 탭 또는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다수의 1구 연장 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류전원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류전원 기기의 종류에 따라 각기 상이한 전원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12V 1A이상의 직류전력이 요구되는 노트북, 프린터, 모니터 등의 직류전원장치는 크기로 인해 파워 공급 부의 연결 탭에 직류전원장치를 내장하고 일반 연장 탭 또는 직류전원장치 내장형 연장 탭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멀티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파워공급부 (50)는 매입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별도 분리된 연결 탭(52)에 연결되어 기본적인 구성을 하게 되며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서 직류전원장치 내장 연장 탭(60) 또는 일반 연장 탭(70)으로 연장하여 원하는 멀티콘센트로 완성된다. 이때 파워공급 부(50)에서 연결 탭(52)과 파워코드의 연결을 위하여 일반적인 데스크톱 컴퓨터 본체 전원으로 사용되는 파워케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선 굵기는 최소 1.5㎟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별도 나사형의 안전장치로 결속할 수 있다. 또한 파워코드와 연결 탭이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환경에 따라 연장전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플러그(plug)와 연결 탭의 일체(53)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와 연결 탭은 90도 아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반 또는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연장탭으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결 탭(52)은 연장 탭과의 연결을 위하여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선(80a), 중성선(80c), 접지 선(80b)의 전력연결단자에 의해 연장 탭의 전력연결단자(90a,b,c)와 접촉됨으로써 전력이 공급되며 연장 탭에서 나오는 4개의 고정단자(120)가 연결 탭 4개의 고정 홈(100)에 삽입하여 아래로 내려주면 전력연결단자(80, 90)연결로 인해 잠김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전력연결단자(80)는 구리재질로서 두께가 2㎜ 이상이 바람직하며 타원형 형태로 중간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홈이 파진 형태로 구성되며 전력연결단자(90)는 반대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삽입될 경우 홈에 맞물려 좌, 우 고정되어 안정화된다. 연장 탭은 돌출 고정단자(120)가 있는 전력입력 부와 반대 면에는 고정 홈(100)이 위치한 전력 출력 부로 구성되며, 최종 연장 탭이 구성되는 고정 홈(100)에는 안전 탭(140)이 삽입되어 절연된다. 반대로 연장 탭을 제거할 경우 분리할 1구 콘센트를 위로 올려서 고정 홈에서 고정단자를 빼내어 제거한다. 또한 직류전원장치 내장형 1구 연장탭에 있어서 직류출력은 직류출력단자(110)에 의해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의 소요 직류전력에 맞는 직류내장 연장탭을 선택하게 되고, 기기에 맞는 전선(110′)을 제공하여 완성된다.
도 2에서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연장 탭에 관한 것으로 연장 탭 내부에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되고 옆면의 홀(110)을 통해 사용 기기의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로서 사용 기기에 적합한 전원 선(110′) 구비된다. 또한 직류전원장치는 적용하고자 하는 기기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5V 이하의 전압을 필요로 하는 기기는 트랜스 전원회로, 이상의 전압을 필요로 하는 기기는 소형화에 적합한 SMPS 전원 타입이 바람직하다. 또한 12V 이상의 직류전압을 필요로 하는 노트북, 프린트 등은 부피로 인하여 도 3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연결 탭(53)에 직류전원장치를 구성하고 일반 연장 탭 또는 도 2의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연장 탭을 사용자 환경에 맞춰 구성할 수 있다. 연결 탭, 연장 탭의 외관은 난연성 ABS 수지의 재질로 선택한다 난연성 ABS수지는 인장 강도와 굴곡 강도가 뛰어나 얇은 두께로 견고한 제품을 만들 수 있으며 온도변화의 폭이 커도 물성의 변동이 거의 없어 내열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50 : 파워코드와 연결 탭으로 구성되는 파워공급 부
51: 파워코드, 52 : 연결탭 53 : 직류전원장치 내장 연결탭
60 : 직류전원장치 내장된 1구 연장탭, 70: 일반 1구 연장탭
80abc, 90abc : 전력연결단자 100 : 고정 홈 120 : 고정단자
110 : 직류전원 출력단자 130 ; 직류전원장치 140 : 안전탭
110' 직류전원선

Claims (5)

  1. 지하 또는 벽 전원과 결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파워코드(51), 파워코드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제어하고 과부하차단 장치가 내장되며 한 면에 고정홈(100)과 전력연결단자(80abc)가 구비되어 연결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연결탭(52)이 독립으로 구성된 분리형 파워공급부(50), 파워공급 부의 연결탭에 연결되는 양면에 연결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1구 일반분리형 연장탭(70) 및 양면에 연결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직류전원장치내장 연장탭(60)으로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의 분리형 멀티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분리형 연장탭(70)은 상면에 1구 소켓이 구비되고, 한 면에는 고정단자(120) 및 전력연결단자(90abc)와 다른 한 면에는 고정 홈(100)과 전력연결단자(80abc)가 구비되어 연결탭 또는 다른 일반분리형 연장탭(70) 및 직류전원장치내장 연장탭(60)에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의 분리형 멀티콘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장치내장 연장탭(60)은 상면에 1구 소켓이 구비되고, 한 면에는 고정단자(120) 및 전력연결단자(90abc)와 다른 한 면에는 고정 홈(100)과 전력연결단자(80abc)가 구비되어 연결탭 또는 일반분리형 연장탭(70) 및 다른 직류전원장치내장 연장탭(60)에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의 분리형 멀티콘센트
  4. 전선이 없이 매입콘센트에 결속되는 플러그(plug)와 과부하차단 장치가 내장며 한 면에 고정홈(100)과 연결단자(80abc)가 구비되어 연결구조를 가지는 연결탭이 독립으로 분리되고 플러그와 연결탭이 90도 아래로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리형 파워공급부, 파워공급부의 연결탭에 연결되는 양면에 연결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1구 일반분리형 연장탭(70) 및 다수의 1구 직류전원장치내장 연장탭(60)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의 분리형 멀티콘센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파워공급부의 연결탭에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되고 후면에 고정홈(100)과 연결단자(80abc)가 구비되어 연결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파워공급 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의 분리형 멀티콘센트
KR2020100006647U 2010-06-24 2010-06-24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KR201000076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647U KR20100007615U (ko) 2010-06-24 2010-06-24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647U KR20100007615U (ko) 2010-06-24 2010-06-24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703U Division KR20090006491U (ko) 2007-12-26 2007-12-26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15U true KR20100007615U (ko) 2010-07-28

Family

ID=4445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647U KR20100007615U (ko) 2010-06-24 2010-06-24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61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942B1 (ko) * 2018-04-11 2019-05-29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공장 내 생산 설비의 모듈화 장비 간 상호 인터페이스를 위한 도킹 시스템
KR102291275B1 (ko) * 2020-02-14 2021-08-20 (주)이엠씨랩스 멀티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942B1 (ko) * 2018-04-11 2019-05-29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공장 내 생산 설비의 모듈화 장비 간 상호 인터페이스를 위한 도킹 시스템
KR102291275B1 (ko) * 2020-02-14 2021-08-20 (주)이엠씨랩스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6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ower from a power supply
US7057108B1 (en) Dual input plug apparatus
US7607928B2 (en) Expanding space saving power strip
US8758031B2 (en) Electrical wiring device with high current USB charging capabilities
US6805579B2 (en) Electrical power cord with multiple low-voltage terminal
TWM311219U (en) Wire-managing device
US9281644B2 (en) Power strip having a first power cord with a 110-120V plug and a second power cord with a 220-240V plug
US6443772B1 (en) Common two-prong and three-prong socket AC power receptacle
US20050173989A1 (en) Selectable DC output power converter with voltage level indicating device
US6736658B2 (en) Power supply interconnecting device
WO2004064204A2 (en) Multiple outlet dc power module
KR20100007615U (ko)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KR20090006491U (ko) 직류전원장치가 내장된 분리형 멀티콘센트
KR200451294Y1 (ko) 전선 길이 연장이 용이한 플러그 분리형 멀티 콘센트
CN108242609A (zh) 接线端子及采用该接线端子的电源分配器
KR20160149610A (ko) 누전 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
WO2005104341A1 (fr) Adaptateur de tension de courant continu interchangeable avec affichage de niveau de tension
KR200460453Y1 (ko) 파워콘센트 결합구조
JP2006210141A (ja) 電源プラグ
TWI636629B (zh) Extension cord socket with wireless charging
US11817662B2 (en) Rotatable power strip outlet assembly
KR200282469Y1 (ko) 전원 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KR200413442Y1 (ko) 탭을 구비한 파워케이블
CN207381649U (zh) 带usb充电电源的插座
KR200312349Y1 (ko) 분산 콘센트 부착형 멀티 코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