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614A -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스마트 카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스마트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614A
KR20100007614A KR1020080068321A KR20080068321A KR20100007614A KR 20100007614 A KR20100007614 A KR 20100007614A KR 1020080068321 A KR1020080068321 A KR 1020080068321A KR 20080068321 A KR20080068321 A KR 20080068321A KR 20100007614 A KR20100007614 A KR 20100007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mode
terminal
power level
smart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수
이경옥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614A/ko
Publication of KR2010000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드를 개시한다. 즉, 단말기에 구비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접속하며,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한 USB 모드로 설정하는 스마트 카드의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접속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특성을 스마트 카드에서 인식하여 그에 맞는 방식으로 USB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Interchip USB(Universal Serial Bus)

Description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드{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SMART CARD, AND SMART CARD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대용량 스마트 카드의 단말기와의 연동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되는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특성을 스마트 카드에서 감지하여 단말기에 적용된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드를 인지하고, 그에 맞는 방식으로 USB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방식은 사용자 컴퓨터(PC)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기 및 매체수단에서 전송방식으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용량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카드에서도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으로 USB를 이용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칩(Interchip) USB 방식은 거리가 짧은 칩(Chip)간의 통신에서 저전력을 사용하여 전원 소모를 줄이고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로 표준화되었다.
대용량 USIM카드는 메가(Mega) 또는 기가(Giga) 급의 대용량 메모리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 카드이며, 휴대폰과 같은 이동 기기와의 통신시에 전술한 USB 규겨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대용량 USIM 카드에선 휴대폰과의 통신의 경우 인터칩 USB 규격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또한 인터칩 USB 규격이 구현되어 있지않은 디바이스(PC 등)에서는 법용(General) USB 규격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용량 USIM의 경우는 상호 인터페이스되는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지원하는 USB 규격을 선별하여 USB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정의에 따른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드를 적용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의 접속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접속하며,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한 USB 모드로 설정하는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여 접속 대상 단말기의 특징을 스마트 카드에서 인식하도록 하여 그에 맞는 방식으로 USB 모드를 선택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는 공급 전원 감지 모듈과,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 값을 저장하고, 상기 공급 전원 감지 모듈을 통해 감지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과 상기 설정 값을 비교하는 전원 비교 모듈 및 상기 전원 비교 모듈을 통한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에 적용된 USB 모드에 따른 지원 프로토콜을 인지하여 스마트 카드의 USB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접속 대상 단말기에 적용된 USB 모드를 전원 감지를 통해 인식하도록 하여 그에 맞는 방식으로 USB 모드를 선택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 정의에 따른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드를 적용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의 접속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접속하며,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한 USB 모드로 설정하는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카드는, 소정의 전원 레벨 범위를 설정한 설정 값을 지정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시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 는 전원 레벨을 상기 설정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에 적용된 USB 모드를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카드는,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에 따라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 또는 범용(General) 모드로 상기 USB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USB(Universal Serial Bus) 프로토콜을 통해 단말기와 접속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되며: 이 카드는,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는 공급 전원 감지 모듈; 소정의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설정 값을 저장하고, 상기 공급 전원 감지 모듈을 통해 감지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과 상기 설정 값을 비교하는 전원 비교 모듈; 및 상기 전원 비교 모듈을 통한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에 적용된 USB 모드에 따른 지원 프로토콜을 인지하여 스마트 카드의 USB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 비교 모듈은, 인터칩(Interchip) USB 규격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상기 설정 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선택 모듈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할 경우 스마트 카드의 USB 모드를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선택 모듈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스마트 카드의 USB 모드를 범용(General) USB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단말기가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의 접속을 인지하는 접속 인지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 레벨 감지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가 감지된 전원 레벨을 토대로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는 모드 인식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인지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USB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인식 단계는, 소정의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설정 값과 상기 감지된 전원 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에 적용된 USB 모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에 따라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 또는 범용(General) 모드로 상기 USB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스마트 카드의 단말기 간 연동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말 접속 단계;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 레벨 감지 단계; 소정의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설정 값과 상기 감지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을 비교하는 비교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는 모드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USB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 단계는, 인터칩(Interchip) USB 규격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상기 설정 값을 상기 감지된 전원 레벨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인식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할 경우 상기 단말기의 USB 모드를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인식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USB 모드를 범용(General) USB 모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와 단말기를 연동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 레벨 감지 단계; 소정의 전원 레벨 범위를 설정한 설정 값과 상기 감지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을 비교하는 비교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는 모드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USB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 단계는, 인터칩(Interchip) USB 규격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상기 설정 값을 상기 감지된 전원 레벨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인식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할 경우 상기 단말기의 USB 모드를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 인식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USB 모드를 범용(General) USB 모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드는, 접속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특성을 스마트 카드에서 인식하여 그에 맞는 방식으로 USB 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채용한 USB 모드에 상관없이 접속 가능한 대용량 스마트 카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구비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의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100) 및 사용자 인증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이 내장된 상태로 상기 단말기(100)에 접속하며, 상기 단말기(110)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여 단말기(100)와 동일한 USB 모드로 설정하는 스마트 카드(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카드(200)는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 또는 범용(General) 모드를 동시에 지원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이동단말기, 노트북(PC), 및 셋톱 박스와 같은 USB 프로토콜 지원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자 정의에 따른 USB 모드를 적용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200)의 접속 환경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00)는 사용자 정의에 따라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 또는 범용(General) USB 모드를 적용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칩 USB 모드는 주로 이동단말기에 적용되며 거리가 짧은 칩(Chip)간의 통신에서 저전력 예컨대, 1.8V 또는 3.0V를 사용하여 전원 소모를 줄이고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로 표준화된 기술이다. 아울러, 범용(General) USB 모드의 경우 노트북(PC) 등과 같이 비교적 소비 전력 예컨대, 5V에 대한 고려가 필요치 않은 일반적인 단말기에 적용되는 프로토콜을 지칭한다.
상기 스마트 카드(200)는 단말기(100)에 구비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100)와 접속하며,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여 단말기(100)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카드(200)는 사용자 정의에 따라 전원 레벨 범위를 설정한 설정 값을 지정하고, 단말기(100)와의 접속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상기 설정 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단말기(100)에 적용된 USB 모드를 인지한다.
즉, 스마트 카드(200)는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이 설정 값 다시 말해, 1.8V 또는 3V와 동일 레벨일 경우 단말기(100)에 적용된 모드를 인터칩 USB 모드로 인지하고, 반대로 설정 값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100)에 적용된 모드를 범용 모드로 인지한다. 한편, 1.8V 또는 3V는 모드를 구분하기 위한 예시적인 값이며, 시스템 설정 관련된 표준 등에 따라 적절한 다른 전원 레벨들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카드(200)는 상기 인지된 단말기(100)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USB 모드를 설정한다. 즉, 스마트 카드(200)는 상기 인지된 단말기(100)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단말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에 따라 인터칩 USB 모드 또는 범용 USB 모드로 자신의 USB 모드를 설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양한 단말기(100)에서 대용량 스마트 카드(2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접속 대상 단말기(100)의 특징을 스마트 카드(200)에서 인식하도록 하여 그에 맞는 방식으로 USB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더욱더 많은 기기에서 대용량 스마트 카드(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 카드(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 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200)는 공급 전원 감지 모듈(210), 전원 비교 모듈(220), 및 모드 선택 모듈(2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공급 전원 감지 모듈(210)은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한 단말기(100)와의 접속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한다.
전원 비교 모듈(220)은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 값을 저장하고, 상기 공급 전원 감지 모듈을 통해 감지된 단말기(100)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과 상기 설정 값을 비교한다.
즉, 전원 비교 모듈(220)은, 인터칩 USB 규격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상 설정 값을 저장하고, 상기 비교 동작을 통해 상기 인터칩 USB 규격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와 상기 감지된 단말기(100)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을 비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칩 USB 규격은 각각 1V, 1.2V, 1.5V, 1.8V, 및 3V의 구동 전원 클래스(Class)를 가지며, 각각의 구동 전원 클래스는 1V(0.9V~1.1V), 1.2V(1.1V~1.3V), 1.5V(1.4V~1.6V), 1.8V(1.65~1.95V), 및 3V(2.7V~3.6V)의 허용 범위를 갖는다. 이를 토대로, 전원 비교 모듈(200)은 각각의 구동 전원 클래스의 전원 레벨 범위를 설정 값으로 지정하여, 지정된 설정 값과 상기 감지된 단말기(100)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을 비교한다.
상기 모드 선택 모듈(230)은 전원 비교 모듈(220)을 통한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구동 전원 클래스에 속할 경우 단말기(100)의 USB 모드를 인터칩 USB 모드로 인식하여 스마트 카드(100)의 USB 모드를 인터칩 USB 모드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모드 선택 모듈(230)은 전원 비교 모듈(220)을 통한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구동 전원 클래스에 속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100)의 USB 모드를 범용 USB 모드로 인식하여 스마트 카드(100)의 USB 모드를 범용 USB 모드로 설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구성을 살펴보면, 접속 대상 단말기(100)에 적용된 USB 모드를 전원 감지를 통해 인식하도록 하여 그에 맞는 방식으로 USB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많은 디바이스에서 대용량 스마트 카드(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기(100)가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의 접속을 인지하는 접속 인지한다(S10-S20).
그리고 나서, 단말기(100)가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상기 스마트 카드(200)에 전원을 공급한다(S30).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00)는 사용자 정의에 따라 인터칩 USB 모드 또는 범용 USB 모드를 적용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접속한 스마트 카드(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단말기(100)가 인터칩 USB 모드를 적용한 경우 1.3V 또는 3.0V의 전원을 스마트 카드에 제공하며 반면, 범용 USB 모드를 적용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5V의 전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런 다음, 스마트 카드(200)가 단말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한다(S40).
다음으로, 스마트 카드(200)가 감지된 전원 레벨을 토대로 상기 단말기(100)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한다(S50).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카드(200)는 사용자 정의에 따라 전원 레벨 범위를 설정한 설정 값을 지정하고, 단말기(100)와의 접속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상기 설정 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단말기(100)에 적용된 USB 모드를 인지한다. 즉, 스마트 카드(200)는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이 설정 값 다시 말해, 1.8V 또는 3V와 동일 레벨일 경우 단말기(100)에 적용된 모드를 인터칩 USB 모드로 인지하고, 반대로 설정 값과 동일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100)에 적용된 모드를 범용 모드로 인지한다.
이후, 스마트 카드(200)가 상기 인지된 단말기(100)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USB 모드를 설정한다(S60).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카드(200)는 상기 인지된 단말기(100)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자신의 USB 모드를 인터칩 USB 모드 또는 범용 USB 모드로 설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을 살펴보면, 다양한 단말기(100)에서 대용량 스마트 카드(2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접속 대상 단말기(100)의 특징을 대용량 스마트 카드(200)에서 인식하도록 하여 그에 맞는 방식으로 USB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더욱더 많은 기기에서 대용량 스마트 카드(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카드(20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말기(100) 상의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100)와 접속하고, 이때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한다(S110-S120). 바람직하게는, 공급 전원 감지 모듈(210)은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한 단말기(100)와의 접속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 값과 상기 감지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을 비교한다(S130-S140). 바람직하게는, 전원 비교 모듈(220)은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 값을 저장하고, 상기 공급 전원 감지 모듈을 통해 감지된 단말기(100)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과 상기 설정 값을 비교한다. 즉, 전원 비교 모듈(220)은, 인터칩 USB 규격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설정 값을 저장하고, 상기 비교 동작을 통해 상기 인터칩 USB 규격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와 상기 감지된 단말기(100)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을 비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칩 USB 규격은 각각 1V, 1.2V, 1.5V, 1.8V, 및 3V의 구동 전원 클래스(Class)를 가지며, 각각의 구동 전원 클래스는 1V(0.9V~1.1V), 1.2V(1.1V~1.3V), 1.5V(1.4V~1.6V), 1.8V(1.65~1.95V), 및 3V(2.7V~3.6V)의 허용 범위를 갖는다. 이 를 토대로, 전원 비교 모듈(200)은 각각의 구동 전원 클래스의 전원 레벨 범위를 설정 값으로 지정하여, 지정된 설정 값과 상기 감지된 단말기(100)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을 비교한다.
그런 다음,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한다(S150). 모드 선택 모듈(230)은 전원 비교 모듈(220)을 통한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구동 전원 클래스에 속할 경우 단말기(100)의 USB 모드를 인터칩 USB 모드로 인식하며, 반면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구동 전원 클래스에 속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100)의 USB 모드를 범용 USB 모드로 인식한다.
이후, 인식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USB 모드를 설정한다(S160). 바람직하게는, 모드 선택 모듈(230)은 전원 비교 모듈(220)을 통한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구동 전원 클래스에 속할 경우 스마트 카드(100)의 USB 모드를 인터칩 USB 모드로 설정한다. 반면, 상기 모드 선택 모듈(230)은 전원 비교 모듈(220)을 통한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구동 전원 클래스에 속하지 않을 경우 스마트 카드(100)의 USB 모드를 범용 USB 모드로 설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구성을 살펴보면, 접속 대상 단말기(100)에 적용된 USB 모드를 전원 감지를 통해 인식하도록 하여 그에 맞는 방식으로 USB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많은 디바이스에서 대용량 스마트 카드(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드는 접속되는 단말기의 특징을 스마트 카드에서 인식하여 그에 맞는 방식으로 USB 모드를 선택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말기
200: 스마트 카드
210: 공급 전원 감지 모듈 220: 전원 비교 모듈
230: 모드 선택 모듈

Claims (18)

  1.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정의에 따른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드를 적용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의 접속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접속하며,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USB 모드로 설정하는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소정의 전원 레벨 범위를 설정한 설정 값을 지정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시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상기 설정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에 적용된 USB 모드를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에 따라 인터 칩(Interchip) USB 모드 또는 범용(General) 모드로 상기 USB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4. USB(Universal Serial Bus) 프로토콜을 통해 단말기와 접속하는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단말기와의 접속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는 공급 전원 감지 모듈;
    소정의 전원 레벨 범위를 설정한 설정 값을 저장하고, 상기 공급 전원 감지 모듈을 통해 감지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과 상기 설정 값을 비교하는 전원 비교 모듈; 및
    상기 전원 비교 모듈을 통한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에 적용된 USB 모드에 따른 지원 프로토콜을 인지하여 스마트 카드의 USB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비교 모듈은,
    인터칩(Interchip) USB 규격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상기 설정 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모듈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 에 속할 경우 스마트 카드의 USB 모드를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모듈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스마트 카드의 USB 모드를 범용(General) USB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8.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의 접속을 인지하는 접속 인지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 레벨 감지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가 감지된 전원 레벨을 토대로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는 모드 인식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인지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USB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인식 단계는,
    소정의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설정 값과 상기 감지된 전원 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에 적용된 USB 모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레벨에 따라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 또는 범용(General) 모드로 상기 USB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연동 방법.
  11. 스마트 카드의 단말기 간 연동 방법에 있어서,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말 접속 단계;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 레벨 감지 단계;
    소정의 전원 레벨 범위를 설정한 설정 값과 상기 감지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을 비교하는 비교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는 모드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USB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의 단말기 간 연동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인터칩(Interchip) USB 규격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상기 설정 값을 상기 감지된 전원 레벨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의 단말기 간 연동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인식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할 경우 상기 단말기의 USB 모드를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의 단말기 간 연동 방법.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인식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USB 모드를 범용(General) USB 모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의 단말기 간 연동 방법.
  15.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카드와 단말기를 연동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USB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레벨을 감지하는 전원 레벨 감지 단계;
    소정의 전원 레벨 범위를 설정한 설정 값과 상기 감지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공급 전원 레벨을 비교하는 비교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가 채용한 USB 모드를 인지하는 모드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단말기의 USB 모드와 동일하도록 USB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인터칩(Interchip) USB 규격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를 지정한 상기 설정 값을 상기 감지된 전원 레벨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인식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할 경우 상기 단말기의 USB 모드를 인터칩(Interchip) USB 모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인식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공급 전원 레벨이 상기 설정 값에 따른 전원 레벨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기의 USB 모드를 범용(General) USB 모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080068321A 2008-07-14 2008-07-14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스마트 카드 KR20100007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321A KR20100007614A (ko) 2008-07-14 2008-07-14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스마트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321A KR20100007614A (ko) 2008-07-14 2008-07-14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스마트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14A true KR20100007614A (ko) 2010-01-22

Family

ID=4181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321A KR20100007614A (ko) 2008-07-14 2008-07-14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스마트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6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928B1 (ko) * 2011-09-05 2012-01-17 이문기 로드용 슬립 방지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928B1 (ko) * 2011-09-05 2012-01-17 이문기 로드용 슬립 방지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977B1 (ko) 멀티-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와 이의 동작 방법
US8544752B2 (en) Nonvolatile memory card adaptable to plural specifications
EP18330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ocol selection on ICC
US7809866B2 (en) Double interface SD flash memory card
US8937460B2 (en) Dual-interface card reader module
KR101285616B1 (ko) 고속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ⅰcc에서 무접점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70087369A (ko)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시스템
US20110087805A1 (en) Multi-mode dongle for peripheral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4000667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device thereof,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3012211A (ja) レセプタクルデバイス
CN102348009A (zh) 具指纹识别功能的手机
CN101923504B (zh) 读卡器测试治具及读卡器测试方法
US7818469B2 (en) USB device and peripheral device changing functional module to activate in accordance with descriptor
US20090177819A1 (en) Integrated circuit cards including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s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on
CN102073602A (zh) 计算机系统、连接控制装置及连接与断开方法
US20170192916A1 (en) Automatic usb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with star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of
CN1367438B (zh) 支持多种接口的半导体存储方法及装置
CN104571942A (zh) 数据存储系统和非信号分析方法
KR20100007614A (ko) 스마트 카드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스마트 카드
US20090083486A1 (en) Testing device of card reading interface and testing method thereof
CN101131666B (zh) 接触式智能卡仿真卡
US9785591B2 (en) Smartcard interface conversion device, embedded system having the same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signal used in the same device
CN102932036A (zh) Nfc装置及nfc通信方法
CN203720863U (zh) 一种大容量usim海量存储器的发行设备
CN219320772U (zh) 一种可识别两种智能卡的电路及对应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