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359A -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359A
KR20100007359A KR1020080067965A KR20080067965A KR20100007359A KR 20100007359 A KR20100007359 A KR 20100007359A KR 1020080067965 A KR1020080067965 A KR 1020080067965A KR 20080067965 A KR20080067965 A KR 20080067965A KR 20100007359 A KR20100007359 A KR 20100007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generation
rotating disk
rotating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326B1 (ko
Inventor
장석호
Original Assignee
장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호 filed Critical 장석호
Priority to KR102008006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326B1/ko
Priority to PCT/KR2009/003239 priority patent/WO2010008144A2/ko
Publication of KR2010000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26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rotating armatures and stationary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장치의 회전력이나 수력 또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한 발전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상,하로 이격 설치된 비자성체로 된 고정판에는 각기 사방으로 분할 배치된 자석체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의 사이에는 수평 권선이 이루어진 코일부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회전원반을 형성함으로써,
독립적으로 분할 배치된 자석체로부터 이격되어 회전하는 코일부로 전하 유도에 의한 전력을 생산하므로 상호 간의 인력에 의한 부하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뛰어난 전력 생산성은 물론 저속에서도 고효율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며, 회전원반 자체의 회전 원심력과 추가된 자석체에 의한 인력과 척력의 교번 작용으로 인해 상기 회전원반의 기동력 및 연속회전력을 상승시키므로 동력손실이 극히 최소화되어 미약한 풍력이나 파력 및 증기 또는 수력으로도 고도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동력원이 전기에너지인 경우에는 발전장치를 경유하여 전류의 승압과 변압의 자유로운 변형 실시는 물론 잉여전류를 축전시킬 수 있어 소모 전류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극대의 효율성을 연출하는 것이다.
발전, 고정판, 회전원반, 자석체, 무부하, 코일부, 운동력

Description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Electric generator with fixing plate comprising segmented magnets and rotary disk having segmented coil}
본 발명은 동력장치의 회전력이나 수력 또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한 발전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상,하로 이격된 고정판에는 자석체를 대향 분할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의 사이에는 수평 권선된 코일부가 자석체와 대응하여 분할 형성된 회전원반을 이격 형성함으로써, 구동장치 또는 수력이나 파력에 의해 상기 회전원반이 회전되면 자석체로부터 코일로 전하가 유도되며 전류가 발생하게 되므로, 기존의 발전장치에서의 자석 간에 발생하는 인력(引力)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전력 생산량이 뛰어나면서도, 회전원반의 회전 동력원이 구동모터인 경우 구동모터의 전력 소모량을 크게 줄이면서도 목적하는 대상물의 구동 동력은 증가되게 하므로 전력 생산에 있어 획기적인 특징을 갖는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장치라 함은, 역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일컬어 지는 것으로서, 수력이나 파력 또는 증기나 디젤 기관 따위의 원동 수단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얻어 원통형의 자성체가 회전되게 하면, 자성체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철심코어 상에 권선된 코일에 전하가 유도되어 전류가 발생되게 하는 장치인 것이다.
즉, 일반적인 발전장치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자성체로 된 로터(100)를 코일(111)이 권선된 상태의 스테이터 코어(110) 내부에서 회전시키면, 스테이터의 코일(111)에서는 전기가 발생되어 흐르게 되는 것이다.
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발전장치로는 자전거 라이트용 발전기가 있고, 자동차의 발전기도 마찬가지 원리이다. 단지 자전거용 발전기와 다른 점은 자전거용은 코일 내부에 영구자석이 내장되어 있지만 자동차용 발전기에는 영구자석이 아닌 전자석(로터코일)이 감겨져 있는 것이 다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전장치는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갖는 자성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그에 따른 기동력이나 회전동력이 과다하게 필요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와 같은 방식의 유도 활성화를 위한 철심 코어는 중앙의 회전 자성체와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引力)이 발생하므로, 상기의 인력을 넘어서기 위한 과도한 회전 운동력이 요구되므로 그에 따른 에너지의 소모량이 극심할 뿐만 아니라 상기의 인력은 자성체의 회전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자성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원통형 자성체와 철심코어는 공간의 한계로 인하여 4극성 유도 만을 채택할 수밖에 없어서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고속 회전이 요구되므로 경제적인 효율성이 지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자성체를 별도의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강제 회전시키고, 그에 따른 발전장치로부터 생산되는 전기를 변압기 등을 통해 전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구동모터 및 발전장치로부터 손실되는 전기 에너지가 막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방식의 발전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약 35%의 에너지 효율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극히 비효율적이면서도 비경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상하로 이격 설치된 비자성체로 된 고정판에는 각기 사방으로 분할 배치된 자석체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의 사이에는 수평 권선이 이루어진 코일부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회전원반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원반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판의 자석체는 코일부에 전하를 유도시켜 전류를 발생시키고, 상측의 고정판에 위치하는 자석체는 코일부에 회전방향으로의 인력과 척력을 교번 제공함으로써,
자석체와 코일부의 수평 교차 회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므로 상호 간의 인력이 발생하지 않는 무부하 회전이 이루어져 저속 회전으로도 우수한 전력 생산성을 보이는 것이며, 회전원반의 원심력과 자석체에 의한 인력과 척력이 더해져 회전원반의 부하 손실을 최소화하므로 매우 뛰어난 경제성은 물론 효율성을 갖는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이격되는 비자성체로 된 발전고정판과 유도고정판을 각기 구분 형성하고, 발전고정판과 유도고정판의 사이에는 회전축을 갖는 비자성체로 된 원반을 형성하며; 상기의 발전고정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겹쳐진 상태의 발전자석체를 방사상으로 분할 형성하고, 유도고정판에는 상기 발전고정판의 발전자석체와 대응 위치로 분할 형성되는 유도자석체를 고정 형성하며, 원반에는 상기 발전자석체 및 유도자석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분할 위치하는 코일부를 형성하되,
상기의 코일부는 수평 권선을 통해 납작한 형태가 되고 이들 각각의 코일부는 직렬 연결되어, 상기 원반의 회전에 따라 발전고정판의 발전자석체로부터 코일부로 전하가 유도되어 발전되게 하고, 유도고정판의 유도자석체는 회전하는 코일부에 발생하는 전하의 부호에 따라 인력과 척력을 제공하여 상기 원반의 회전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분할 배치된 자석체로부터 이격되어 회전하는 코일부로 전하 유도에 의한 전력을 생산하므로 상호 간의 인력에 의한 부하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뛰어난 전력 생산성은 물론 저속에서도 고효율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며, 회전원반 자체의 회전 원심력과 추가된 자석체에 의한 인력과 척력의 교번 작용으로 인해 상기 회전원반의 기동력 및 연속회전력을 상승시켜 동력손실을 극히 최소화하므로 미약한 풍력이나 파력 및 증기 또는 수력으로도 고도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면서도, 동력원이 전기에너지인 경우에는 발전장치를 경유하여 전류의 승압과 변압의 자유로운 변형 실시는 물론 잉여전류를 축전시킬 수 있어 소모 전류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극대의 효율성을 연출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회전원반 평면 확대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는 별도의 지지대(40)(40')를 통해 상,하로 발전고정판(10)과 유도고정판(20)이 이격 형성되어 있고, 발전고정판(10)과 유도고정판(20)의 사이에는 회전원반(30)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의 회전원반(30) 중앙에 형성된 회전축(31)은 별도의 베어링(41)을 통해 상기의 발전고정판(10)과 유도고정판(20)의 사이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의 발전고정판(10)과 유도고정판(20) 및 회전원반(30)은 모두 합성수지재 등의 비자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자화되거나 자성으로부터 간섭이나 영향을 받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발전고정판(10)에는 발전자석체(11)(11')가 방사상으로 분할 위치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발전자석체(11)(11')는 회전원반(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 분할 형태로 배치되고 이들 각각의 발전자석체(11)(1')는 8분할 또는 16분할의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의 유도고정판(20)에는 상기의 발전자석체(11)(11')와 동일 분할 및 배치 형태를 갖는 유도자석체(2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의 회전원반(30)에는 상기의 발전자석체(11)(11') 및 유도자석체(21)(21')와 동일 개수 및 위치와 면적을 갖는 코일부(32)(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회전원반(30)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의 코일부(32)(32')는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발전고정판(10)의 발전자석체(11)(11')로부터 전하를 유도받아 전력을 생산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코일부(32)(32')는 납작한 형태로 수평 권선되어 있어 코일부(32)(32') 전체에 발전자석체(11)(11')의 자력이 영향을 미치게 되어 최대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며, 각각의 코일부(32)(32')는 직렬 연결된 상태이므로 8분할의 경우 8개의 코일부(32)(32')로부터 동시에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되고 16분할의 경우 16개의 코일부(32)(32')로부터 동시에 전기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의 회전원반(30)이 1회 회전하는 동안 각각의 코일부(32)(32')는 8 또는 16개의 발전자석체(11)(11')를 경유하게 되므로 유도되는 전하량은 8의 제곱 또는 16의 제곱에 해당하는 발전량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전자석체(11)(11')의 자력으로부터 전하를 유도받는 코일부(32)(32')는 주지의 사실과 같이 발전자석체(11)(11')와 코일부(32)(32')의 간 격이 좁을수록 유도되는 전하량이 증대되는 것으로서, 최소의 이격 거리를 확보함에 따라 발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발전자석체(11)(11')는 단일의 개체로 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자석체를 겹쳐 제작함에 따라 겹쳐진 자석의 중첩부에서 더욱 강력한 자력이 형성되므로 동일한 자력을 갖는 자석을 두 개 내지 세 개 겹쳐 상기의 발전자석체(11)(11')를 구성하는 것이 더욱 이상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발전자석체(11)(11')는 평면상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평면상 폭과 길이는 1:4의 비율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서 높이는 대략적으로 상기의 비율에 대하여 2에 해당하는 수치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성 면에서 가장 극대의 발전량을 갖게 되는 것이다.
즉, 발전자석체(11)(11')는 크기보다는 자력의 강약에 따라 전하량이 결정될 것이므로 동일한 자력을 갖는 발전자석체(11)(11')를 겹쳐 사용함으로써 자력의 상승 및 집중작용을 기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넓은 면보다는 좁은 면을 이용하여 좁은 면으로부터의 강력한 자장이 코일부(32)(32')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면 발전자석체(11)(11')의 분할 개체수의 증설이 가능한 면적의 확보로 이어지는 것이며, 자석의 넓은 면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코일부(32)(32')의 면적 역시 함께 넓어져야 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코일부(32)(32')를 형성하기 위한 경제적인 지출에 비하여 얻어지는 발전량의 상승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기와 같은 평면 비율로서 발전자석체(11)(11')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실험에 의해 도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발전장치는 고정 상태의 발전자석체(11)(11') 상부에서 코일부(32)(32')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하를 코일부(32)(32')로 유도하여 이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므로 발전자석체(11)(11')과 코일부(32)(32') 간에 자력에 의한 인력(引力)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상기의 회전원반(30)은 부하 없이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베어링(41)에 의한 극소의 마찰 저항만이 운동에너지의 손실로 작용하게 되므로 회전축(31)에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의 거의 전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회전원반(30)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유도고정판(20) 상의 유도자석체(21)(21')는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원반(30)의 회전 운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한 바와 같이 회전원반(30)의 코일부(32)(32')가 발전자석체(11)(11')의 상부를 지나치는 동안 발생하는 전하의 유도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의 전하는 양부호 또는 음부호가 순간적으로 전환 유도되며 교류를 발생시키는 특성을 갖게 되므로 상기의 유도자석체(21)(21')의 자력이 코일부(32)(32')까지만 영향을 끼치도록 배치하게 되면, 상기 유도자석체(21)(21')의 자력에 의해 상기의 회전원반(30)은 더욱 향상된 회전운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회전원반(30)의 회전에 의해 코일부(32)가 발전자석체(11)의 상부 중앙을 향하여 진입하는 순간, 상기의 코일부(32)에는 회전원반(30)의 회전 방향 또는 코일의 권선 방향에 따라 양부호 또는 음부호의 전하가 유도되는 것이며, 상기의 유도자석체(21)(21')는 회전중인 회전원반(30)의 코일부(32)(32')에 형성된 전하의 부호에 따라 도 5의 도시와 같은 인력과 도 6의 도시와 같은 전자력에 의한 척력을 제공하므로 상기의 회전원반(30)은 인력과 척력의 제공으로 인해 회전 운동력을 부여받아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동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코일부(32)(32')에 작용하는 부호 및 유도자석체(21)(21')은 극성은 자석의 배치 방향이나 코일의 권선 방향 또는 회전원반(30)의 회전 방향에 의해 능히 조절 및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적합한 형태의 구조와 방향을 설정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유도자석체(21)(21')의 자력은 발전자석체(11)(11')의 자력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을 정도로 이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유도자석체(21)(21')의 자력으로 인해 발전자석체(11)(11')의 자력에 영향을 끼치게 되면 상대적으로 전하의 유도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이를 유념하여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발전장치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다양한 회전동력이 가해져 그 회전원반(30)이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원반(30) 내 코일부(32)(32')로부터 전기가 생산되어 변압기를 통해 필요 전류 또는 전압으로의 변경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의 변압기로부터의 출력 전기를 필요한 전기 소모체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의 변압기에 축전수단을 연결하여 발전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를 저장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발전고정판(10)의 하부에 제2의 원반(30')을 형성 하고, 상기 제2의 원반(30') 하부에 제2의 유도고정판(20')을 형성하여, 이들 각각의 회전원반(30)(30')이 동시에 회전되게 하면, 단일의 발전고정판(10)으로부터 두 개의 회전원반(30)(30')에 동시에 전기가 생산되게 할 수 있어 더욱 합리적인 것이며,
도 9의 도시와 같이 유도고정판(20)의 상측에 제2의 원반(30')과 제2의 발전고정판(1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단일의 유도고정판(20)으로부터 두 개의 회전원반(30)(30')에 동시에 회전 운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전고정판(10)과 유도고정판(20) 및 회전원반(30)으로 이루어진 발전수단은 이들을 상,하 연속하여 중첩 구성할 수도 있어 이들로부터 동시에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복수의 발전수단 내에 위치한 회전원반(30)이 단일의 회전축(31) 상에 동시에 장착되게 하여 이들 회전원반(30)이 동일 속도를 갖고 회전함으로써 균일하고 안정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31)의 단부에 수차를 연결하여 이를 댐이나 강물 또는 하천 및 일반 상수도와 하수도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력에 의해 상기의 수차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와 연동하여 회전원반(30)이 회전되므로 고효율의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회전원반(30)과 발전자석체(11)(11') 간에는 인력(引力)이 전혀 존재하거나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극히 미약한 수력이라 할지라도 회전축(31)과 회전원반(30)의 회전이 이루어져 전력 생산이 가능한 것이 다.
또한, 상기의 회전축(31)에 풍차를 연결하여 이를 풍력 발전장치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바람이나 증기압 등을 통해 상기의 회전원반(30)을 회전시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의 회전축(31)을 동력장치의 회전체에 접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력을 회전원반(30)의 회전력으로 전달하여 이를 통해 고도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의 회전원반(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장치의 동력 손실량은 회전원반(30)의 코일부(32)(32')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의 량보다 미약하거나 극히 적은 수준이므로 잉여 에너지의 활용 차원에서 매우 합리적인 발전장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기본적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발전장치를 보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전체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회전원반 평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전력 발생과정도로서, 코일부와 자석체 간의 교차 진입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전력 발생과정도로서, 코일부와 자석체 간의 교차 이탈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발전고정판 11,11' : 발전자석체
20,20' : 유도고정판 21,21' : 유도자석체
30,30' : 원반 31 : 회전축
32,32' : 코일부
40,40' : 지지대 41 : 베어링

Claims (13)

  1. 상,하로 이격되는 비자성체로 된 발전고정판(10)과 유도고정판(20)을 각기 구분 형성하고, 발전고정판(10)과 유도고정판(20)의 사이에는 회전축(31)을 갖는 비자성체로 된 회전원반(30)을 형성하며; 상기의 발전고정판(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겹쳐진 상태의 발전자석체(11)(11')를 방사상으로 분할 형성하고, 유도고정판(20)에는 상기 발전고정판(10)의 발전자석체(11)(11')와 대응 위치로 분할 형성되는 유도자석체(21)(21')를 고정 형성하며, 회전원반(30)에는 상기 발전자석체(11)(11') 및 유도자석체(21)(21')와 대응하는 위치에 분할 위치하는 코일부(32)(32')를 형성하되,
    상기의 코일부(32)(32')는 수평 권선을 통해 납작한 형태가 되고 이들 각각의 코일부(32)(32')는 직렬 연결되어, 상기 회전원반(30)의 회전에 따라 발전고정판(10)의 발전자석체(11)(11')로부터 코일부(32)(32')로 전하가 유도되어 발전되게 하고, 유도고정판(20)의 유도자석체(21)(21')는 회전하는 코일부(32)(32')에 발생하는 전하의 부호에 따라 인력과 척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원반(30)의 회전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발전고정판(10)과 유도고정판(20)은 지지대(40)(40')에 의해 이격 고정되고, 상기 회전원반(30)의 회전축(31)에는 베어링(41)을 삽입하여, 상기 베어링(41)에 의해 회전원반(30)이 발전고정판(10)과 유도고정판(2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발전자석체(11)(11')와 유도자석체(21)(21') 및 코일부(32)(32')는, 방사상 8분할로 배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발전자석체(11)(11')는 평면상 직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평면의 폭과 길이의 비율이 1:4이 되게 하고, 높이는 상기의 비율에 대하여 2가 되게 하여 이를 방사상으로 분할 배치하되, 비율이 유지되는 폭의 범위 내에서 자석체를 적어도 2개 이상 겹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코일부(32)(32')는 발전자석체(11)(11')의 수평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갖도록 수평 권선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발전자석체(11)(11')과 코일부(32)(32')이 이격 폭이 좁을수록 발전 전류량이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유도자석체(21)(21')의 자력은 코일부(32)(32')에는 영향을 미치고, 발전자석체(11)(11')의 자력선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이격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발전자석체(11)(11')가 형성된 발전고정판(10)의 하부에는 또 다른 제2의 원반(30')을 이격 형성하고, 상기 제2의 원반(30') 하측에는 또 다른 제2의 유도고정판(20')을 이격 형성함에 따라, 단일의 발전고정판(10) 내 발전자석체(11)(11')에 의해 상,하의 회전원반(30)(30') 내 코일부(32)(32')로부터 전력이 생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유도자석체(21)(21')가 형성된 유도고정판(20)의 상부에는 또 다른 제2의 원반(30')을 이격 형성하고, 상기 제2의 원반(30') 상측에는 또 다른 제2의 발전고정판(10')을 이격 형성함에 따라, 단일의 유도고정판(20) 내 유도자석체(21)(21')에 의해 상,하의 회전원반(30)(30') 내 코일부(32)(32')에 인력과 척력이 교번 작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발전고정판(10)과 유도고정판(20) 및 회전원반(30)으로 이루어진 발전수단을 상,하로 연속하여 직렬배치하고, 직렬배치된 발전수단 내 회전원반(30)들의 회전축(31)은 일체로 연결되게 하여, 회전축(31)에 가해지는 회전동력으로부터 회전원반(30)들이 동시에 회전되어 전력 생산량이 증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원반(30)의 회전축(31)에는 수차를 결합 형성하여 수력이나 파력에 의해 회전원반(30)의 회전동력을 얻어 발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원반(30)의 회전축(31)에는 풍차를 결합 형성하여, 풍력이나 증기력에 의해 회전원반(30)의 회전동력을 얻어 발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원반(30)의 회전축(31)은 동력장치의 회전체와 접지되게 하여 상기 회전체로부터 회전원반(30)의 회전동력을 얻어 발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KR1020080067965A 2008-07-14 2008-07-14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KR10097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965A KR100975326B1 (ko) 2008-07-14 2008-07-14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PCT/KR2009/003239 WO2010008144A2 (ko) 2008-07-14 2009-06-17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965A KR100975326B1 (ko) 2008-07-14 2008-07-14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359A true KR20100007359A (ko) 2010-01-22
KR100975326B1 KR100975326B1 (ko) 2010-08-12

Family

ID=4155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965A KR100975326B1 (ko) 2008-07-14 2008-07-14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5326B1 (ko)
WO (1) WO2010008144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2726A1 (ko) * 2010-04-01 2011-10-06 Ryu Byung-Sue 자기력 평형 전기발생장치
WO2011132907A2 (ko) * 2010-04-19 2011-10-27 주식회사런에너지 양극착자점을 이용한 디스크형 발전 겸용 전동모듈
KR101218945B1 (ko) * 2010-07-27 2013-01-04 송길봉 분할형 전기자 형태의 전동기
WO2021256840A1 (ko) * 2020-06-15 2021-12-23 김종인 출력을 향상시킨 발전장치
KR20230100823A (ko) 2021-12-28 2023-07-06 김정호 토크 향상용 고효율 자력 공진 발전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558A (ja) * 1997-10-28 1999-07-21 Fumio Uchiyam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コイル
JP2002153036A (ja) * 2000-11-08 2002-05-24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回転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風力発電機
JP4782303B2 (ja) 2001-04-18 2011-09-28 株式会社スカイ電子 永久磁石発電機
KR100683472B1 (ko) * 2005-03-30 2007-02-15 이용신 디스크 회전형 발전기 및 발전방법
JP4720982B2 (ja) * 2005-04-20 2011-07-1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
KR20070101885A (ko) * 2006-04-12 2007-10-18 주식회사 뉴젠파워 판형 발전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2726A1 (ko) * 2010-04-01 2011-10-06 Ryu Byung-Sue 자기력 평형 전기발생장치
WO2011132907A2 (ko) * 2010-04-19 2011-10-27 주식회사런에너지 양극착자점을 이용한 디스크형 발전 겸용 전동모듈
WO2011132907A3 (ko) * 2010-04-19 2012-01-19 주식회사런에너지 양극착자점을 이용한 디스크형 발전 겸용 전동모듈
KR101218945B1 (ko) * 2010-07-27 2013-01-04 송길봉 분할형 전기자 형태의 전동기
WO2021256840A1 (ko) * 2020-06-15 2021-12-23 김종인 출력을 향상시킨 발전장치
KR20230100823A (ko) 2021-12-28 2023-07-06 김정호 토크 향상용 고효율 자력 공진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8144A3 (ko) 2010-03-25
WO2010008144A2 (ko) 2010-01-21
KR100975326B1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667B1 (ko) 발전 효율과 회전력 향상이 이루어진 발전장치
US8120224B2 (en) Permanent-magnet switched-flux machine
US57838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JP4692688B1 (ja) 回転電機、直動電機、および風力発電システム
CN101299560B (zh) 磁通切换型轴向磁场永磁无刷电机
US8564228B2 (en) Electric machine
KR20160091357A (ko) 재생에너지 응용을 위한 직접 구동 발전기
CN110994821B (zh) 一种使用轴向分段式磁滞环的磁通调制定子结构
KR100975326B1 (ko)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CN201499065U (zh) 单定子双转子可变磁通永磁无刷电机
JP2019517242A (ja) 相補的で一方向磁性の回転子/固定子組立体の対
CN104160600A (zh) 电磁发电机
CN113067446A (zh) 一种双模块化混合励磁磁通切换电机
CN201466930U (zh) 数字阀用旋转电磁铁
CN104836398A (zh) 转子聚磁式双定子横向磁场永磁同步电机
CN110932510B (zh) 一种双定子磁通切换风力发电机
CN101807845A (zh) 发电机
KR101048591B1 (ko) 풍력이나 유속에 따라 유동하는 회전판에 의한 균일 발전장치
KR20110116371A (ko) 양극착자점을 이용한 디스크형 발전 겸용 전동모듈
CN209642521U (zh) 一种多相永磁直线发电机
CN101510712A (zh) 低速消谐同步发电机
CN201174647Y (zh) 一种永磁无刷电机
RU2516270C1 (ru) Магнито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RU2772864C1 (ru) Магнитн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генератор
CN2393258Y (zh) 甚低速微小型永磁交流发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