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764U -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 - Google Patents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764U
KR20100006764U KR2020080017093U KR20080017093U KR20100006764U KR 20100006764 U KR20100006764 U KR 20100006764U KR 2020080017093 U KR2020080017093 U KR 2020080017093U KR 20080017093 U KR20080017093 U KR 20080017093U KR 20100006764 U KR20100006764 U KR 201000067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cross
shaped body
ste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홍
Original Assignee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7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764U/ko
Publication of KR20100006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7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축물이나 토목공사에서 구조물의 기초 뼈대로 사용하는 철근에 있어 십자형태로 결합하는 철근을 보다 원활하게 결속하기 위한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십자형상의 본체판(10)과, 상기 십자형상의 본체판(10)의 끝단부는 제1날개(21)와 제2날개(22), 제3날개(23)와 제4날개(24), 제5날개(25)와 제6날개(26), 제7날개(27)와 제8날개(28)를 일체로 하여 각각의 날개부에 관통공(30)을 뚫어서 된 날개부(20)를 일체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십자형상의 본체판, 날개부, 제1날개, 제2날개, 제3날개, 제4날개, 제5날개, 제6날개, 제7날개, 제8날개, 관통공

Description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The steel-frame couple it will be able to combine the steel frame in cruciform form}
본 고안은 각종 건축물이나 토목공사에서 구조물의 기초 뼈대로 사용하는 철근에 있어 십자형태로 결합하는 철근을 보다 원활하게 결속하기 위한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이나 교량등과 같이 각종 구조물을 시공시 기초공사를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전에 만드는 거푸집 내에 철근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형태를 만들기 위해 철근을 사용하여 가로, 세로 또는 십자형태로 배치하여 철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도구를 이용하여 묶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공사를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철근 결속방법에 의해 철근을 결속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후 철근이 결합되는 위치가 정확하지 않고 비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철근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어 선 등록된 특허 제10-262,119호의 철근 결속용 커플러에 있어서는 도 4와 같이 C자형 몸체(1)에 개구부(2)를 형성하는 양측단으로 복수의 가이드(3)(4)가 이루어지도록 한 클립(5)(6)의 중앙에 구멍을 뚫어 리벳트(7)로 결합하여 십자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철근커플러 는 철근을 결합시 클립(5)(6) 사이의 개구부(2)로 철근을 밀어주게되면 개구부(2)가 탄력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철근이 밀려들어간 이후에 클립(5)(6)이 복원되어 철근을 잡아주도록 한 구조이다.
이러한 철근커플러에 있어서는 양측 클립(5)(6) 사이의 개구부(2)로 철근을 밀어주는 과정에 있어 무거운 철근을 들은 상태에서 밀어주어야 하며, 또한 클립(5)(6)의 탄성에 의해 쉽게 밀려들어가지 않아 작업에 어려움이 많은 구조이다.
특히 철근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철근커플러를 구비해야함으로 다양한 규격으로 생산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아니라 C자형 몸체(1)를 대향되게 십자형태로 맞닫게 한 상태에서 리벳트(7)로 결합하였으나 C자형 몸체(1)의 모양에 의해 리벳팅 작업이 불편하며 정확하게 십자형태의 유지가 어려운 것이다.
그리고 C자형 몸체(1)를 움직여 경사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중앙의 리벳트(7) 만의 지탱되는 하중을 견디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무거운 철근에 의해 리벳팅부분이 분리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하나로된 십자형 철근커플러의 양측 끝단부를 대향되게 절곡하여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철근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철근의 무게에 의해 한쪽으로 기울어짐 없이 십자형태로 결합되도록 하였으며 적은 힘으로 많은 량의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십자형상의 본체판과, 상기 십자형상의 본체판의 끝단부는 제1날개와 제2날개, 제3날개와 제4날개, 제5날개와 제6날개, 제7날개와 제8날개를 일체로 하여 각각의 날개부에 관통공을 뚫어서 된 날개부를 일체로 구성하여, 상기 날개부에 있어 제1날개와 제2날개, 제3날개와 제4날개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하여 ㄷ자 모양이 되게 하였으며, 제5날개와 제6날개, 제7날개와 제8날개는 상기의 제1날개와 제2날개, 제3날개와 제4날개와는 반대로 대향되게 절곡하여 ㄷ자 모양이 되게 절곡하여 가로 철근과 세로 철근을 손쉽게 일체로 묶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철근커플러가 철판을 이용함으로 인해 제작비가 저렴 하고 철근의 결합시 세로 철근과 가로 철근의 결합시 상호간의 결합되는 간격이 최소화되어 가로 철근과 세로 철근을 직접적으로 첩촉하여 연결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철근 고정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케이블 타이를 사용함으로 적은 힘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어 빠른 시간에 많은 량의 결속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의 항상을 가져 공사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십자형상의 본체판(10)의 끝단부에 양측으로 날개부(20)를 일체로 하고 날개부(20)에는 각각 관통공(30)을 뚫고 날개부(20)는 일측과 타측으로 동일방향으로 절곡하여 된 것이다.
상기의 십자형상의 본체판(10)의 끝단부에 형성된 날개부(20)는 제1날개(21)와 제2날개(22), 제3날개(23)와 제4날개(24), 제5날개(25)와 제6날개(26), 제7날개(27)와 제8날개(28)로 각각의 날개부에 관통공(30)을 뚫어서 만들어진다.
상기 날개부(20)에 있어 제1날개(21)와 제2날개(22), 제3날개(23)와 제4날개(24)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하여 ㄷ자 모양이 되게 하였으며, 제5날개(25)와 제6날개(26), 제7날개(27)와 제8날개(28)는 상기의 제1날개(21)와 제2날개(22), 제3날개(23)와 제4날개(24)와는 반대로 대향되게 절곡하여 ㄷ자 모양이 되게 절곡하여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철근커플러를 이용하여 철근을 가로 및 세로로 결합시 일 예로 세로 철근 고정시 부터 먼저 결합한 다음 가로 철근의 결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로로 세워져 있는 철근에 십자형상의 본체판(10)의 제1날개(21)와 제2날개(22), 제3날개(23)와 제4날개(24) 사이에 세로 철근(101) 부분에 안치한 다음 제1날개(21)와 제2날개(22), 제3날개(23)와 제4날개(24)의 관통공(30)을 통해 케이블 타이(102)를 끼워준 상태에서 단단하게 조여준다.
상기와 같이 세로 철근(101)이 날개부에서 조여진 상태에서 가로 철근(100)를 고정하고자하면 가로 철근(100)의 고정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가로 철근(100)을 제5날개(25)와 제6날개(26), 제7날개(27)와 제8날개(28) 사이에 안치한 다음 전자와 같이 케이블 타이(102)를 각각의 관통공(30)에 끼워 단단하게 조여 주면 안전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종래고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십자형상의 본체판 20: 날개부
21:제1날개 22:제2날개
23:제3날개 24:제4날개
25:제5날개 26:제6날개
27:제7날개 28:제8날개
30:관통공

Claims (2)

  1. 십자형상의 본체판(10)과,
    상기 십자형상의 본체판(10)의 끝단부는 제1날개(21)와 제2날개(22), 제3날개(23)와 제4날개(24), 제5날개(25)와 제6날개(26), 제7날개(27)와 제8날개(28)를 일체로 하여 각각의 날개부에 관통공(30)을 뚫어서 된 날개부(20)를 일체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0)는 제1날개(21)와 제2날개(22), 제3날개(23)와 제4날개(24)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하여 ㄷ자 모양이 되게 하였으며, 제5날개(25)와 제6날개(26), 제7날개(27)와 제8날개(28)는 상기의 제1날개(21)와 제2날개(22), 제3날개(23)와 제4날개(24)와는 반대로 대향되게 절곡하여 ㄷ자 모양이 되게 절곡하여 서 됨을 특징으로 한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
KR2020080017093U 2008-12-24 2008-12-24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 KR201000067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093U KR20100006764U (ko) 2008-12-24 2008-12-24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093U KR20100006764U (ko) 2008-12-24 2008-12-24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64U true KR20100006764U (ko) 2010-07-02

Family

ID=4445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093U KR20100006764U (ko) 2008-12-24 2008-12-24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76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0272B2 (en) 2018-06-04 2020-09-01 Yang Oun LEE Rebar coup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0272B2 (en) 2018-06-04 2020-09-01 Yang Oun LEE Rebar coup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290B1 (ko) 강합성 psc 파형강판 u거더
CN104018581A (zh) 一种预应力混凝土f板及框架结构体系
KR101352146B1 (ko) 띠장과 버팀보 일체형 단위 흙막이 가시설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47339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CN113585550A (zh) 具有约束抗剪筋和弯钩连接节点的混凝土墙及施工方法
KR101940876B1 (ko) 합성보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403467B (zh) 装配式建筑预制卡扣件及其应用
JP2013209829A (ja) 壁体の施工方法
KR20100006764U (ko) 철근을 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철근커플러
JP4447632B2 (ja) 梁、および梁と柱の接合構造ならびにその接合方法
JP2013117104A (ja) 壁板接合構造
CN210621946U (zh) 一种新型的混凝土框架与混凝土墙板的u型连接装置
JP4739031B2 (ja) 既存建物におけるスラブの補強構造
KR20130136874A (ko) 종방향 분절형 거더
JP5318294B2 (ja) コンクリート組立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2282059A (zh) 一种建筑工地用的连接钢构件
KR101319776B1 (ko) 건물 벽체 간의 연결을 위한 철골철근콘크리트 커플링 보 구조
JP4865104B2 (ja) 複合構造梁の設計方法
KR20210094381A (ko) 거푸집 전용 가설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206991B1 (ko) 하프 프리캐스트 패널의 구조적 연결방법
KR101198184B1 (ko) 건설공사의 철근콘크리트 공종에서 격자형태로 교차하여놓여진 철근들을 후속작업으로 인한 흐뜨러짐에 영향받지않게 하기위해 철근들을 설계 위치에 고정시키는 장치 또는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돌출된 철근에게 같은 방법을적용하여 고정시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설계위치에 고정 시키는 장치.
KR20080020915A (ko) 시공이 간편한 철골 기둥과 철골 보의 강절 볼트 접합방식
KR101967786B1 (ko) 갱폼의 상하 케이지 연결 구조
CN110984396A (zh) 后置锚结网片及其作业方法
CN211369546U (zh) 一种装配式型钢骨架免拆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