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388U -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388U
KR20100006388U KR2020080016618U KR20080016618U KR20100006388U KR 20100006388 U KR20100006388 U KR 20100006388U KR 2020080016618 U KR2020080016618 U KR 2020080016618U KR 20080016618 U KR20080016618 U KR 20080016618U KR 20100006388 U KR20100006388 U KR 201000063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contents
lid
container body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104Y1 (ko
Inventor
장하진
이오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80016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10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1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4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spring bot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170)가 저장된 내용물 접시(110)와,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코일 스프링(120)이 설치된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30)와, 상기 용기 본체(13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140)과, 상기 뚜껑(140)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기 용기 본체(130)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퍼프(150)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코일 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게 될 때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회전되도록 나선형 승강 가이드(160)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용기 본체(130)의 내경에 내용물 접시(110)의 승강방향으로 나선형의 곡율을 갖는 가이드 홈(162)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접시(110)의 외경에 가이드 홈(162)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64)가 형성됨으로써, 내용물 접시(110)가 승강 시 회전하게 되어 퍼프(150)와 화장료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이로부터 균일한 양의 화장료가 퍼프에 더욱 잘 묻어나게 할 수 있다.
화장품 용기, 퍼프, 화장료, 일체, 나선형 회전, 승강

Description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with an installed puff on the cover}
본 고안은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에 설치된 승강하는 내용물 접시에 저장된 화장료를 뚜껑과 일체로 형성된 퍼프에 더욱 잘 묻어나게 하기 위해 내용물 접시가 승강 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은 자신을 보다 아름답게 표현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화장품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되고, 그 중의 하나가 파우더이다. 상기와 파우더는 가볍게 펴서 피부에 바를 때 사용감이 우수하고, 산뜻함을 느낄수 있음은 물론 화장한 상태가 자연스럽다.
일반적으로 파우더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고자할 때에는 용기에 저장된 파우더를 별도로 비치된 퍼프에 묻혀 화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별도로 비치되어진 퍼프에 파우더를 묻혀 화장을 할 때에는 파우더가 외부로 비산되어 파우더의 손실이 많고, 한손에는 파우더 용기를 들고 나머지 손으로 퍼프를 잡고 사용하기 때문에 화장이 매우 번거롭다.
이에 따라, 화장료가 저장된 용기 본체에 설치되는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는 크게 화장료가 저장된 내용물 접시와, 상기 내용물 접시가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기 용기 본체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퍼프 및 내용물 접시의 상부에 위치하여 뚜껑이 용기 본체에 닫혀진 경우 상기 내용물 접시에 저장된 화장료가 퍼프에 묻어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 차단판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에서 뚜껑을 분리하는 경우 스프링이 내용물 접시를 밀어 올려 내용물 접시를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렇게, 내용물 접시가 상승하게 되면 내용물 접시의 상부에 위치한 차단판을 제거한 뒤 뚜껑을 용기 본체에 결합시켜 퍼프를 용기 본체에 인입시켜 화장료가 퍼프에 묻어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는, 뚜껑에 일체화된 퍼프가 용기 본체에 인입됨으로써 퍼프가 내용물 접시에 저장된 화장료에 접촉하여 화장료가 퍼프에 묻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퍼프에 화장료를 묻어나게 하는 방식은, 퍼프와 화장료의 접촉면적을 제한하기 때문에 균일한 양의 화장료가 퍼프에 묻어나게 할 수 없다. 즉, 용기 본체에 인입된 퍼프에 균일하게 화장료가 묻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퍼프와 화장료가 접촉한 상태에서 퍼프를 회전시켜 퍼프와 화장료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필 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에 설치된 승강하는 내용물 접시에 저장된 화장료를 뚜껑과 일체로 형성된 퍼프에 더욱 잘 묻어나게 하기 위해 내용물 접시가 승강 시 회전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퍼프와 화장료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이로부터 균일한 양의 화장료가 퍼프에 더욱 잘 묻어나게 할 수 있는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화장료(170)가 저장된 내용물 접시(110)와,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코일 스프링(120)이 설치된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30)와, 상기 용기 본체(13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140)과, 상기 뚜껑(140)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기 용기 본체(130)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퍼프(150)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코일 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게 될 때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회전되도록 나선형 승강 가이드(160)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130)의 내경에 내용물 접시(110)의 승강방향으로 가이드 홈(162)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홈(162)은 나선형의 곡율을 갖고, 상기 내용물 접시(110)의 외경에는 가이드 홈(162)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6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은, 용기 본체(130)의 내경에 내용물 접시(110)의 승강방향으로 나선형의 곡율을 갖는 가이드 홈(162)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 접시(110)의 외경에 가이드 홈(162)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64)가 형성됨으로써, 내용물 접시(110)가 승강 시 회전하게 되어 퍼프(150)와 화장료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이로부터 균일한 양의 화장료가 퍼프에 더욱 잘 묻어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100)는, 크게 상면에 화장료(170)를 저장하는 내용물 접시(110)와,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수납되되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 용기 본체(130)와, 상기 용기 본체(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130)를 개폐하는 뚜껑(140)과, 상기 뚜껑(140)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뚜껑(140)이 용기 본체(130)에 상부에 설치되면 용기 본체(130) 내부에 위치하여 내용물 접시(110)에 저장된 화장료(170)와 접촉하게 되는 퍼프(15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용기 본체(130) 내부에서 상방 이동 또는 하방 이동하게 될 때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함께 나선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내용물 접시(110)와 용기 본체(130)에는 나선형 승강 가이드(160)가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 접시(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형상을 갖고 내부에 화장료(170)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접시(110)의 저면에는 후술되는 코일 스프링(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접시(110)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1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의 형상을 갖되 내경의 크기가 내용물 접시(110)의 외경에 부합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부와 인접한 내경 둘레에는 후술되는 뚜껑(140)에 형성된 걸림돌기(144)에 부합하는 걸림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30)의 내경에는 용기 본체(130)의 개방된 상부와 걸림홈(132) 사이에 내용물 접시(110)가 용기 본체(13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13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내용물 접시(110)가 수납되는 용기 본체(130) 내부에는 코일 스 프링(1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코일 스프링(120)은 내용물 접시(11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부(112)에 지지되어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압축되었다가 내용물 접시(11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이 사라지는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내용물 접시(110)를 용기 본체(130) 내부에서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3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는 뚜껑(140)은, 용기 본체(13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부에 단차가 지도록 단부(142)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내용물 접시(110)에 저장된 화장료(170)가 묻어 나도록 퍼프(1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뚜껑(140)의 하부 외경에는 앞서 설명한 용기 본체(130)의 내경에 형성된 걸림홈(132)에 개재되어 뚜껑(140)이 닫혔을 때 임의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44)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44)는 대략 돔의 형상을 갖는다.
한편, 뚜껑(140)의 저면에 설치되는 퍼프(150)는, 내용물 접시(110)에 저장된 화장료(170)가 잘 묻어나며 피부와 접촉했을 때 사용자가 이질감을 갖지 않도록 천, 직물지, 벨로즈 및 이와 동등한 촉감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뚜껑(140)의 저면에는 쿠션체(152)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체(152)의 바깥면에 앞서 설명한 천, 직물지, 벨로즈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가 감싸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료(170)가 저장된 내용물 접시(110)의 상면과 용기 본체(130)에 뚜껑(140)이 닫혀져 퍼프(150)가 용기 본체(130)의 내부에 인입된 화장 품 용기(100)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일 때 상기 퍼프(150)에 화장료(170)가 불필요하게 묻어나지 않도록 얇은 막의 형상을 갖는 차단판(180)이 퍼프(150)와 화장료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자가 화장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차단판(180)을 내용물 접시(110)에서 분리하여 퍼프(150)에 화장료(170)를 묻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 접시(110)가 용기 본체(130) 내부에서 상방 이동 또는 하방 이동하게 될 때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함께 나선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내용물 접시(110)와 용기 본체(130)에는 나선형 승강 가이드(160)가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나선형 승강 가이드(160)는, 내용물 접시(110)의 외경에 형성된 돔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 돌기(164)와 상기 가이드 돌기(164)의 형상과 부합하는 단면의 형상을 갖되 상기 용기 본체(130)의 내경에 내용물 접시(110)의 승강방향으로 나선형의 곡율을 이루는 가이드 홈(16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용물 접시(110)의 외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64)는 용기 본체(130)의 내경에 형성된 가이드 홈(162)에 안내되어 내용물 접시(110)가 용기 본체(130)에서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내용물 접시(110)가 승강 이동을 하게 될 때 내용물 접시(1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사용을 도 3 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30)에 뚜껑(140)이 닫혀졌을 때 퍼프(150)가 내용물 접시(11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내용물 접시(110)의 하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20)은 압축된 상태를 갖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30)에 뚜껑(140)이 닫혀져 있는 상태는 대부분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100)를 보관하기 위한 상태이기 때문에 퍼프(150)에 불필요하게 화장료(170)가 묻어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화장료(170)가 저장된 내용물 접시(110)와 퍼프(150) 사이에 차단판(180)이 위치하게 된다.
즉, 용기 본체(130)에 뚜껑(140)이 닫혀졌을 때에는 퍼프(150)가 차단판(180)과 밀착되면서 내용물 접시(110)를 용기 본체(130)의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내용물 접시(110)의 하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20)이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130)에 뚜껑(140)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장을 하기 위해 용기 본체(130)에서 뚜껑(140)을 분리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코일 스프링(120)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내용물 접시(1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내용물 접시(110)의 외경과 용기 본체(130)의 내경에 형성된 나선형 승강 가이드(160)에 의해 내용물 접시(110)가 용기 본체(130)의 내부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내용물 접시(110)의 상단이 용기 본체(130) 의 내경에 형성된 단턱(134)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내용물 접시(110)의 상부에 위치한 차단판(180)을 분리하고 난 후에 용기 본체(130)에 뚜껑(140)을 닫아 뚜껑(140)의 저면에 설치된 퍼프(150)를 용기 본체(130)의 내부에 인입시키게 된다.
이렇게, 퍼프(150)가 용기 본체(130)에 인입되면 퍼프(150)가 화장료(170)와 접촉하게 되는데, 뚜껑(140)이 용기 본체(130)에 닫혀짐에 따라 퍼프(150)가 내용물 접시(110)를 가압하여 내용물 접시(110)를 용기 본체(130)의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나선형 승강 가이드(160) 즉, 내용물 접시(110)의 외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64)가 용기 본체(130)의 내경에 형성된 가이드 홈(162)에 안내되면서 내용물 접시(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하강하며 회전되면 내용물 접시(110)에 저장된 화장료(170)가 퍼프(150)에 비벼지듯이 묻어나게 되어 퍼프(150)와 화장료(17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용기 본체(130) 내에서 하강하게 되면 다시 뚜껑(140)을 열게 되는데, 이때, 압축된 코일 스프링(120)이 내용물 접시(11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내용물 접시(110)가 하강하며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화장료(170)가 퍼프(150)에 비벼지듯이 묻어나게 되어 퍼프(150)와 화장료(17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더욱 많은 양의 화장료가 퍼프에 균일하게 묻어나 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장품 용기 110 : 내용물 접시
120 : 코일 스프링 130 : 용기 본체
140 : 뚜껑 150 : 퍼프
160 : 나선형 승강 가이드 162 : 가이드 홈
164 : 가이드 돌기

Claims (2)

  1. 화장료가 저장된 내용물 접시(110)와,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코일 스프링(120)이 설치된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30)와,
    상기 용기 본체(13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140)과,
    상기 뚜껑(140)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기 용기 본체(130)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퍼프(150)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코일 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게 될 때 상기 내용물 접시(110)가 회전되도록 나선형 승강 가이드(160)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승강 가이드(160)는,
    상기 용기 본체(130)의 내경에 내용물 접시(110)의 승강방향으로 가이드 홈(162)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홈(162)은 나선형의 곡율을 갖고, 상기 내용물 접시(110)의 외경에는 가이드 홈(162)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6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20080016618U 2008-12-15 2008-12-15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0456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18U KR200456104Y1 (ko) 2008-12-15 2008-12-15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18U KR200456104Y1 (ko) 2008-12-15 2008-12-15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88U true KR20100006388U (ko) 2010-06-24
KR200456104Y1 KR200456104Y1 (ko) 2011-10-13

Family

ID=4445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618U KR200456104Y1 (ko) 2008-12-15 2008-12-15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10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036A (ko) *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5115868A1 (ko) * 2014-02-03 2015-08-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50143387A (ko) * 2015-11-30 2015-1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FR3022752A1 (fr) * 2014-06-30 2016-01-0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7926A (ja) 2000-01-18 2001-07-24 Key Tranding Co Ltd 化粧料容器
KR200270368Y1 (ko) 2001-10-25 2002-04-03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화장용 퍼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036A (ko) *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5115868A1 (ko) * 2014-02-03 2015-08-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FR3022752A1 (fr) * 2014-06-30 2016-01-0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WO2016001231A1 (en) * 2014-06-30 2016-01-07 L'oreal Packaging and application device
KR20150143387A (ko) * 2015-11-30 2015-1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104Y1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364B1 (ko)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CN107105866B (zh) 旋转挤压式化妆品容器
JP3808829B2 (ja) 化粧品容器
US20160376069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CN107529867A (zh) 粉盒容器
KR200456104Y1 (ko)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101503239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2371335B1 (ko) 리필형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KR102221054B1 (ko) 회전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200459833Y1 (ko)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10226517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690069B1 (ko) 콤팩트 용기
KR101387379B1 (ko) 화장품 용기
KR200452383Y1 (ko)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CN107847033A (zh) 粉盒容器
KR20100000507A (ko) 화장품 용기
KR200478920Y1 (ko)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클렌징용 액상 화장용기
KR101293804B1 (ko) 정량 토출 크림 용기
KR20110004036U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101071101B1 (ko) 화장품 용기
JP7073521B2 (ja) 化粧品容器
KR200460280Y1 (ko)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101404763B1 (ko) 캡슐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