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340U - 캔에 대한 위생캡 - Google Patents

캔에 대한 위생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340U
KR20100006340U KR2020080016552U KR20080016552U KR20100006340U KR 20100006340 U KR20100006340 U KR 20100006340U KR 2020080016552 U KR2020080016552 U KR 2020080016552U KR 20080016552 U KR20080016552 U KR 20080016552U KR 20100006340 U KR20100006340 U KR 201000063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ygiene
drink
opened
sanitar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태영
Original Assignee
성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태영 filed Critical 성태영
Priority to KR2020080016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340U/ko
Publication of KR20100006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3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65D2517/0041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in the form of a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PP,PE) 또는 얇은 알루미늄 박막을 이용여 캔의 전면부부터 상부 1/3정도까지의 포장을 열압축함(*도안01)으로써 식음시 입술이 닿는 부분까지의 위생을 고려한 고안이다.
이는 유통과정에서의 오염됨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식별되는 오염원과 보이지 않는 균에 대한 보호 및 식음시 불쾌감을 해소하며, 소비자에게 믿음과 신용을 지킬 수 있고, 2차 광고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위생캡, 위생뚜껑, sanitary cap(lid), clean cap(lid)

Description

캔에 대한 위생캡 {sanitary cap of can}
본 고안은 합성수지(PP,PE) 또는 얇은 알루미늄 박막등을 이용하여 캔의 전면부부터 상부 1/3정도까지의 포장을 열압축함(*도안01)으로써 식음시 입술이 닿는 부분까지의 위생을 고려, 유통과정에서의 오염됨을 원천적으로 차단함하기 위한 고안이다.
기존 캔의 유통경로와 보관(외부 및 자판기)따른 낮은 신뢰도문제와 직접 입술과 맞닿는 부위에 대한 위생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 착안, 생산 이후 소비자가 음용시 음용부위에 대한 위생 신뢰도를 높이기 위함. ‘먹는 것’에 대한 위생 상태(피부에 대한 접촉 부위)는 구매의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
외부에서 직접 접할 수 있는 캔에 대한 위생도 즉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먹는 것‘에 대한 믿음과 배려의 이미지로 구매에 대한 거부감을 줄임. 또한 출고이후의 음용 캔에 대한 위생 상태를 보존함으로써 미세먼지와 균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구축할 수 있음.
합성수지(PP, PE) 또는 얇은 알루미늄 박막을 이용하여 캔의 전면부(음용수의 주입구의 상부)부터 몸체 상단 1/3부분까지 열압축된 캡(덮개)을 사용함으로써 음용시 미세먼지와 균에 대한 차단을 목적으로 함. 열압축된 캡의 윗부분 또는 옆면의 원형 점선부분은 손으로 쉽게 절개되어 이때 캔의 윗부분은 개방이 되어 음용수의 주입구를 개방가능하게 설계. 또한 캔의 윗부분은 개방이 되지만 잘린 부분의 마지막 1Cm정도를 남겨두어 완전히 캡 자체가 분리되지 않고, 옆 몸체 부분의 캡을 손으로 밀어 내려 입술이 닿는 부분을 개방시켜 주게 됨. 몸체 부분이 내려옴으로 해서 위로 열린 캔의 원형 부분은 캔의 몸체쪽으로 밀려 내려와 음용시 방해가 되지 않아 기존 캔의 이용효율을 그대로 보존함.
1. 위생적이며 구매자에게 신뢰와 함께 배려의 이미지 높일 수 있음
2. '먹는 것'에 대한 신뢰와 배려는 기업 이미지의 상당한 효과를 가져옴
3. 캡 부분에 대한 투명 캡 이외의 유색 캡을 이용함으로써 이벤트 및 2차 광고 효과를 가져옴.
[도2]의 [201]형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힘에 의하여 점선부위(201-1)가 개방되고 [301]형태는 시작점에 여유분의 손잡이(H-01)를 두어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하게 잘릴 위치(301-1)에 일정한 선을 삽입(*참고01)하여 수평으로 개방되게 고안.
[도2]의 [201]형과 [301]형의 마지막 개방부분의 1cm는 캡의 윗부분(CAP-01)이 분리되지 않도록 함이다.
이후 위로 열리게 될 캡의 윗부분(CAP-01)은 음용시 편하도록 상부몸체의 1/3가량을 둘러쌓고 있는 부분(CAP-02)을 하부로 내림과 동시에 위로 열린 캡의 원형부분(CAP-01)은 캔의 몸체쪽에 위치하게 된다[도3]. 이는 음용시 아랫입술이 직접 닿는 부분을 개방시켜 줌과 동시에 위로열린 캡의 윗부분(CAP-01)을 몸체쪽에 위치하게함([도3]의 CAP-01)으로써 이용의 편의를 도모한다.
이는 캡의 윗부분(CAP-01)이 분리시 용기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게 고안된 것은 캡으로 인한 1차적 쓰레기가 발생되지 않게 고안된것이며 이는 음용이 끝날 때까지 캡이 캔의 몸체와 함께 있음으로서 기존 캔의 편리함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
캡의 재질은 열압축을 함으로써 캔과의 밀착률을 높이며 손으로 잡고 내릴 시 바로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의 압축률로 제작. 캡의 재질은 캔과 같은 알루미늄 박막을 이용할 시 캔의 재질과 같으므로 분리와 재활용의 이용에 있어 용이함.
2차광고효과로, 투명한 캡대신 유색의 캡을 이용함으로써 가려진 부분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여 이벤트 및 2차 홍보효과에 탁월함.
201-1 : 손으로 캡을 하부로 밀어 내릴시에 방해 받지 않도록 최대한 캔의 최외각 원형에 가깝도록 제작.
참고01 : 301-1의 점선부분이 일정하게 잘릴 수 있도록(사선으로 잘림 방지)하기위함.
공란.
도1 : 전체적 외관의 도안
도2 : 캡의 형태(개방방식에 따름) [201]형과 [301]형의 도안
도3 : 캡의 개방이후 외관의 도안
CAP-01 : 캡의 위를 덮는 부분.
CAP-02 : CAP-01과 연결되며 캔의 몸체를 둘러쌓고 있는 부분
201-1 : [201]형의 잘릴 부분
301-1 : [301]형의 잘릴 부분
H-01 : 301-1의 시작되는 부분의 여유돌출부(손잡이)

Claims (3)

  1. 유통과정에서의 미세먼지와 균을 차단함으로써 음용시 입술이 닿는 부분 및 음료를 컵에 따를 시 음료가 흘러 내리는 면까지 캡으로 보호한 위생에 관한 캡의 내용을 전제로,
    손과 같은 외압에 의해 쉽게 개방부위가 열리며 이는 캡 부분에서 분리 되지 않아 1차 쓰레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 또한 열 압축을 이용한 부분은 하단으로 캡을 내린 이후에도 더이상 힘을주지 않으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함이며 또한 손으로 캡의 몸체 쪽을 하단부로 밀어 내려 접촉부위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잘려진 캡 윗 부분에 대한 걸림을 제거, 이용 편의를 도모한 것.
  2. 청구항 1에 있어서 캡의 전면 부를 개방하고 몸체를 아래로 내림에 있어 압축룰에 의해 흘러내림이 방지 되지만, 캔의 하단 부분의 원주를 크게 만드는 등 임의의 흘러내림 방지 즉, 캔자체 변형에 의한 캡 흘러내림 방지에 대한 고안.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캡의 형태를 제작함에 있어 명시된 재질외의 다른 재질을 이용한 고안.
KR2020080016552U 2008-12-13 2008-12-13 캔에 대한 위생캡 KR201000063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52U KR20100006340U (ko) 2008-12-13 2008-12-13 캔에 대한 위생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52U KR20100006340U (ko) 2008-12-13 2008-12-13 캔에 대한 위생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40U true KR20100006340U (ko) 2010-06-23

Family

ID=4445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552U KR20100006340U (ko) 2008-12-13 2008-12-13 캔에 대한 위생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34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162B2 (en) Sanitary barrier for beverage container lid
US8672163B2 (en) Reinforced paper lid
EP2089288B1 (en) Container with lid
KR101548973B1 (ko) 위생적이며 사용이 편리한 음료캔
US20170341808A1 (en) Structural arrangement in a seal for beverage containers
KR20100109627A (ko) 음료 포장용기용 포장 캡
CA2416670A1 (en) Dispensing closure and package incorporating same
KR20100006340U (ko) 캔에 대한 위생캡
AU2015236984B2 (en) Overcap having means which facilitate the opening of a container and the subsequent direct consumption of the content thereof
KR200307944Y1 (ko)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US20220127045A1 (en) Can safe
US20160137362A1 (en) Cap attachment for drinking from cans
KR101263892B1 (ko) 음료용 캔의 위생 스티커
FR2834695B1 (fr) Opercule destine a fermer un recipient et a etre enleve partiellement pour permettre l'acces au produit conditionne dans le recipient
WO2014128516A2 (en) Protective cover, especially for the hygienic sealing of containers containing drinks
JPH10120003A (ja) 缶入り飲料用シール
RU2264960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питья
KR200436711Y1 (ko) 위생부재가 구비된 음료캔
KR200356982Y1 (ko) 음료용 캔 용기의 다용도 덮개
KR200316623Y1 (ko) 캔의 위생덮게
KR20170074053A (ko) 음료 캔 위생커버
KR20130078941A (ko) 위생 캔 마개
KR101042991B1 (ko)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
WO2009149530A2 (en) Disposable beverage can with auto ejectable tube of total diamete
JPH08324602A (ja) 飲料缶、飲料缶用飲み口栓及び飲料缶用飲み口栓と缶切りの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