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191A - Measuring tape for draw - Google Patents

Measuring tape for dra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191A
KR20100006191A KR1020080066317A KR20080066317A KR20100006191A KR 20100006191 A KR20100006191 A KR 20100006191A KR 1020080066317 A KR1020080066317 A KR 1020080066317A KR 20080066317 A KR20080066317 A KR 20080066317A KR 20100006191 A KR20100006191 A KR 20100006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rking
measurer
slit
en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64405B1 (en
Inventor
권석민
Original Assignee
권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석민 filed Critical 권석민
Priority to KR102008006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405B1/en
Publication of KR2010000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4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71Separate means for supporting or affixing measuring tapes
    • G01B2003/1074Separate means for supporting or affixing measuring tapes associated with the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PURPOSE: A drawing tapeline is provided to measure length or width and to indicate the measurement position at the same time without a separate tapeline or writing instruments. CONSTITUTION: A drawing tapeline comprises a measuring ruler(104), a case(100), an end hook(106), a stopper(108) and a marking unit(20). Scare is formed on one end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easuring ruler. The case is accepted in order to wind measuring ruler in the inside. The end hook is installed to the leading end of the measuring ruler exposed outside the case. The stopper is mounted in the case and maintains the withdrawal state of the measuring ruler. The marking unit is included around a silt in the case side wall location in which the measuring ruler is drawn to outside.

Description

제도용 줄자{Measuring tape for draw}Drawing Tape Measure {Measuring tape for draw}

본 발명은 대상물의 길이, 너비 등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줄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 너비 등을 측정하는 기능 외에도, 측정 위치에 대한 마킹 및 규칙 또는 불규칙한 패턴을 갖는 원, 선, 도형 및 평행선 등을 제도함에 있어서도 활용 가능한 제도용 줄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measure used to measure the length, width, and the like of an object. Specifically,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measuring the length, width, and the like of a measurement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markings and rules or irregular patterns for measurement posi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measure for drawing that can be used for drafting circles, lines, shapes, and parallel lines.

측정 대상물의 길이, 너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각종 작업현장에서는 줄자를 널리 채택하고 있다. 줄자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크게는 탄성 보빈에 측정자가 권취된 탄성 보빈식 줄자와, 십자 형태의 지지가 내부에 에 50 ~ 100m 이상의 측정자가 권취된 일반 권취형 줄자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중 상기 탄성 보빈식 줄자는 조작이 용이하고 보관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를 가져 일반 가정 또는 작업현장에서 아주 흔히 이용되고 있다.Tape measure is widely adopted in various workplaces as a means for measuring the length, width, etc.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There are many types of tape measure, but it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n elastic bobbin tape with a measurer wound on the elastic bobbin, and a general wound tape measure with a cross-shaped support of 50 to 100 m inside. Among them, the elastic bobbin tape has a size that is easy to operate and suitable for storage, and is thus very commonly used in general homes or workplaces.

상기 탄성 보빈식 줄자는 일반적으로, 일측면 하단에 측정자를 인출할 수 있도록 슬릿을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보빈 상에 코일 형태로 감겨 진 측정자를 포함한다. 상기 보빈은 인장 스프링 또는 태엽과 같은 탄성부재를 통해 케이스로부터 측정자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측정자 인출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측정자는 그 선단에 측정 대상물 모서리에 측정자 한 쪽 끝이 걸릴 수 있도록 "ㄱ"로 절곡된 엔드 훅을 장착하고 있다.The elastic bobbin tape measure generally includes a case having a slit so as to withdraw the measurer at one side lower end and a measurer wound in a coil form on the inner bobbin of the case. The bobbin has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of preventing the measurement of the measuring member when the measuring member is withdrawn from the case through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or a spring, so that the measuring member can take one end at the edg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t its tip. The end hook bent at "a" is attached.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탄성 보빈식 줄자를 이용하여 길이, 너비 등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엔드 훅을 손으로 파지한 채 잡아당겨 케이스로부터 측정자를 인출시키거나, 또는 엔드 훅을 측정 대상물 모서리에 걸고 반대로 케이스를 상기 엔드 훅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당겨 측정자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인출된 측정자 표면에 표기된 눈금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를 측정한다.In measuring the length, width, etc. by using a general elastic bobbin tape structure configured as above, pull out the measurer from the case by holding the end hook by hand, or hook the end hook to the edge of the measurement object and reverse the case. The length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is measured by checking the scale marked on the surface of the withdrawn measuring device while pulling out the measuring device in the direction of separating from the end hook.

경우에 따라서는 줄자를 이용해 측정 대상물의 길이 혹은 너비를 측정한 뒤 측정위치를 표시하기도 하며, 직선형태의 선을 긋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줄자를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볼펜 혹은 연필 등과 같은 필기구가 요구되며, 작업자의 경우 이를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필기구를 별도로 휴대하고 다닌다. 이처럼 줄자와는 별도로 필기구를 휴대하는 일반적인 경우, 2개의 도구를 별도로 휴대해야 함에 따른 휴대 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측정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한 손으로 줄자를 쥔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마킹을 행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In some cases, the length or width of the measurement object is measured using a tape measure, and then the measurement position is displayed. In addition, a tape measure is used to draw a straight line. In this case, a writing instrument such as a ballpoint pen or a pencil is required, and in case of an operator, a writing instrument is generally carried separately. As such, in the general case of carrying a writing instrument separately from a tape measure, there are inconveniences in carrying a portable apparatus due to carrying two tools separately. In addition, in performing the marking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measurement position, the work must be made in the form of marking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a tape measure with one hand, which is very inconvenient.

한편, 작업도중 작업 대상물 형태에 따라서 크고 작은 둥근 원이나 반호를 그려야 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줄자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원하는 형태의 정 확한 결과물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현장에서는 보통 실과 못, 연필로 이루어진 간단한 작업도구를 활용하여 크고 작은 둥근 원이나 반호를 그리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 역시 줄자와는 별도로 원을 그리기 위한 작업도구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휴대 상의 불편함이 있고, 실과 필기구, 못과 같은 별도의 도구들이 요구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work object during the work, you may need to draw large and small round circles or semicircles. In this case, although a tape measure is used,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accurate result of a desired shape, and thus, in the field, a large circle or a half circle is drawn using a simple work tool composed of threads, nails and pencils. However, this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rtable inconvenience to carry a work tool for drawing a circle separately from the tape measure, a separate tool such as thread, writing instruments, nails have to be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길이 또는 너비 측정과 함께 측정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줄자와 필기구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제도용 줄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wing tape measure that does not need to carry a tape measure and a writing instrument separately in performing a marking operation for displaying a measurement position together with a length or width measurem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측정 대상물의 길이 또는 너비를 측정하는 본래의 용도 외에도, 규칙 또는 불규칙한 패턴의 선 또는 도형, 크고 작은 둥근 원이나 반호 및 평행선 등을 그리는 경우에 있어서도 활용이 가능한 제도용 줄자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original use of measuring the length or width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can be utilized in the case of drawing a line or figure of a regular or irregular pattern, large and small round circles or semicircles and parallel lines, etc. In providing a tape measur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일면과 이면에 눈금이 새겨져 있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에 걸쳐 타공이 형성된 띠모양의 긴 측정자; 상기 측정자를 내부에 권취 수용하며, 일측에는 권취 수용된 상기 측정자가 인출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바깥으로 노출된 상기 측정자 선단에 장착되며, 가늘고 끝이 뾰족한 고정침이 하나 이상 부착되어 있는 엔드 훅;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슬릿을 통해 케이스 외부로 인출된 측정자의 인출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측정자가 외부로 인출되어지는 상기 슬릿 주변 케이스 측벽 위치에 구비되는 마킹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마킹수단은, 마킹부재; 및 상기 슬릿 주변 케이스에 상기 마킹부재를 고정시켜주는 홀더; 로 구성되는 제도용 줄자를 제공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 strip-shaped long measuring instrument is engraved on one side and the back surface, the perforations are formed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ase in which the measurer is wound and housed therein, and a slit is formed at one side so that the measurer housed with the wound is drawn out; An end hook mounted to the tip of the met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having at least one fixed needle having a sharp tip; A stopper installed in the case and maintaining a drawing state of the measurer drawn out of the case through the slit; And marking means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side wall of the slit peripheral case from which the measurer is drawn out to the outside, wherein the marking means comprises: a marking member; And a holder for fixing the marking member to the slit peripheral case. Provide a drafting tape consisting of:

상기 마킹수단은 슬릿 주변의 케이스 일측 벽면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설치되거나,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슬릿 주변의 케이스 양 측벽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향되게 장착될 수도 있다. 그 중, 케이스 양 측벽에 마킹수단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평행선을 그리는 데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고, 줄자를 사용함에 있어 왼손잡이 오른존 잡이 구분 없이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marking means may be installed on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side wall of the case around the slit, or may be mounted to fac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both sidewalls of the case around the slit. Of these, when the marking means ar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case, it can be usefully used to draw parallel lines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and the effect of enabling the left-handed right-handed job to be used without distinction in using a tape measure. You can expect.

이때, 상기와 같이 슬릿을 사이에 두고 케이스 양 측벽 대응하는 위치에 마킹수단이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홀더는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 두께에 상응하는 축방향 길이를 가진 판상의 중앙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양 선단에는 상호 이격되는 방향에 대해 저항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접지날개가 일체로 절곡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필요에 따라 상기 마킹수단을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조립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arking means are moun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sidewalls of the case with the slits as described above, the holder preferably includes a plate-shaped central connection portion having an axi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ase.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ar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ground wing having restoring force is integrally bent in a direction that resists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marking means can be selectively assembled to the case as required by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양 측벽에 마킹수단이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홀더의 중앙 연결부는, 장착 대상부인 케이스 두께에 대응하여 축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중앙 연결부를 어느 한 쪽 일부가 다른 한 쪽에 삽입되어 신축될 수 있도록 2개의 구성요소로 분리 형성하고, 2개의 구성요소를 인장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2개의 구성요소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에 대해 저항하는 복원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이한 사이즈를 갖는 다른 줄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이 좋다.Preferably, in the case where the marking means are mounted on both sidewalls of the case,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of the hold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tretchable structure so that the axial length thereof can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ase to be mounted. Do. For example,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may be separated into two components so that one portion may be inserted and stretched on the other side, and the two components may be connected by a tension spr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componen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having a resistive restoring force, it is good to make it applicable to the other tape measure of a different siz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마킹부재는, 일반 필기구 뿐만 아니라, 원거리 측정에 있어 측정이 가능하도도록 레이져 포인터가 채택될 수 있으며, 측정과 동시에 대상물 커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커터가 채택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ing member, as well as general writing instruments, a laser pointer may be adopted to enable measurement in the distance measurement, and a cutter may be adopted to perform the object cutting at the same time as the measurement.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킹수단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측정자 위의 눈금을 가르키도록 상기 홀더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지침;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guide having a shape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out of the holder to point to the scale on the measuring device withdrawn from the case.

이때, 상기 지침은 마킹수단의 마킹부재 중심으로부터 좌우방으로 뻗은 연장선 직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측정자 인출 후 원하는 치수에 상기 지침을 일치시킨 후 마킹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 치수의 정확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guidelin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ine directly above the extension line extending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marking member of the marking means, so that the accuracy of the dimensions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marking after matching the guideline with the desired dimensions after the withdrawal of the measurer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it can be guaranteed.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침 직상방에 위치한 케이스 외벽에는 이 케이스 외벽으로부터 수납 가능하도록 돋보기를 장착함으로써, 시력이 좋지 않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More preferably, by attaching a magnifying glass to the case outer wall located directly above the guide so as to be accommodat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case, it may be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 user who has poor vision.

한편, 상기 측정자에 형성된 타공은 필기구 심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형 또는 측정자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구멍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공이 원형인 경우에는 측정 대상물에 줄자 일측 단부를 고정시킨상태에서 그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다른 크기의 원을 손쉽게 그릴 수 있고, 타공이 슬릿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측정자를 이용해 측정자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파선을 그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rforations formed in the measuring device may be a circular or slit-shaped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having a diameter enough to insert the writing instrument shim. Here, when the perforation is circular, it is easy to draw a circle of a different size around the fixed axis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tape measure is fixed to the measurement object. You can draw a continuous dashed line.

나아가, 상기 고정침은 상기 마킹부재 중심으로부터 측정자와 평행하게 수평 으로 뻗은 연장선이 엔드 훅과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측정자 인출 시 그 인출 길이와 상기 고정침과 마킹부재 중심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므로, 마킹작업 시 치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needle is located at a point where an extension line extending horizontally in parallel with the measuring member from the center of the marking member crosses the end hook. In this case, the withdrawal leng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needle and the center of the marking member are the same when the measuring member is taken out, thereby ensuring the dimensional accuracy during the marking operation.

이때, 상기 고정침은 엔드 훅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침을 고정시켜주는 고정구로부터 상하로 입출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측정자를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이 좋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fixing needle is formed on the end hook to be configured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up and down from the fixture for fixing the fixing needle, it would be good to be able to use even when using the measuring instrument upside dow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줄자는 피봇 포인트를 일측에 형성하고 있고 상기 엔드 훅에 부착되는 피봇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봇부재는 마킹수단이 부착된 휴대용 줄자를 이용해 원을 그리는 경우에 있어 활용되고, 자석을 구비하거나 엔드 훅에 구비된 자석을 통해 줄자 선단의 상기 엔드 훅에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 measure further includes a pivot member forming a pivot point on one side and attached to the end hook. The pivot member is utilized in the case of drawing a circle using a portable tape measure attached to the marking means, and can be selectively detached to the end hook at the tip of the tape measure through a magnet provided with a magnet or provided at the end hook.

이때, 상기 피봇부재는 필기구로부터 측정자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뻗은 연장선이 상기 피봇부재와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피봇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엔드 훅에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정자 인출 시 그 인출 길이와 상기 피봇 포인트와 필기구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므로, 측정자를 인출시켰을 때 그 인출된 길이와 동일한 반경을 가진 원호를 그릴 수 있다.In this case, the pivot member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end hook so that the pivot point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measuring instrument from the writing instrument intersects the pivot member. In this case, since the withdrawal leng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ivot point and the writing instrument are the same when drawing out the measurer, an arc having the same radius as the drawn length can be drawn when the measurer is drawn out.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자가 인출되는 슬릿과 인접한 줄자 케이스 일측 또는 양측에 필기구를 포함하는 마킹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길이 또는 너비 측 정과 함께 지정된 위치에 측정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종래와 달리 줄자와 필기구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도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 또는 너비 측정과 함께 측정위치를 표시하는 마킹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marking means including writing instruments ar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ape measure case adjacent to the slit from which the measurer is drawn out, the mark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display the measurement position at a designated position together with the length or width measurement. In the conventional method, a marking operation for displaying a measurement position together with a length or width measurement of a measurement object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out carrying a tape measure and a writing instrument separately.

마킹작업을 실질적으로 수행함에 있어서도, 줄자와 필기구가 분리된 종래의 경우 한 손으로 줄자를 쥔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마킹을 행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줄자 케이스에 마킹수단이 부착됨에 따라 필기구를 따로 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킹작업에 대한 작업성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Even when the marking operation is actually performed, in the conventional case in which the tape measure and the writing instrument are separated, the work must be performed in the form of marking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tape measure with one hand, but the work is very inconvenient. As the marking means is attached to the case, the writing instruments do not need to be held separately,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convenience for marking.

또한 본 발명은, 엔드 훅에 설치된 고정침 및 측정자에 형성된 타공, 그리고 상기 마킹수단을 활용하여, 별도의 보조도구 없이도 규칙 또는 불규칙한 패턴의 갖가지 선, 원, 도형 등 원하는 형태의 모든 도형에 대한 작도가 가능하고, 측정자를 인출시켜 스토퍼를 이용하여 그 인출된 길이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침을 복사 대상 도형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업을 통해, 상기 고정침과 측정자 인출길이 만큼 이격된 위치에 같은 모양의 도형을 그대로 복사하는 작업 또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ixing needle installed on the end hook and the perforator formed on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marking means, without drawing a separate auxiliary tool for the drawing of all shapes of the desired shape, such as various lines, circles, shapes of a regular or irregular pattern It is possible to take out the measuring device and move the fixing needle along the copy object shape while maintaining the drawn length by using the stopper, and the same shape at the position spaced apart by the length of the fixing needle and the measuring device withdrawal. It is also possible to copy the shape of the.

또, 마킹부재로서 레이져 포인터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원거리에서도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 대상물 사이에 요철 등 입체적인 형상의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비교적 정확하게 길이 또는 너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대상물이 평면 패턴이 아닌 불규칙한 입체 패턴을 가진 경우에 있서도고 길이 또는 너비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ser pointer is used as the marking member,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at a long distance, and even if there are three-dimensional obstacles such as irregularities between the measurement objects, the length or width can be measured relatively accurately. The advantage is that even in the case of an irregular three-dimensional pattern, the length or width can be measured.

또한, 마킹부재로서 커터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 또 는 너비를 측정하는 작업과 함께 지정된 길이로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 작업 역시 병행가능하므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dopting the cutter as the marking member, the cutting operation of cutting the object to a specified length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length or the width of the measuring object, so that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측정 대상물의 길이 또는 너비를 측정하는 줄자 본래의 용도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진 선, 원, 도형 등을 제도하는 작업 및 지정된 형상으로 대상물을 절단하는 작업 등 그 활용성이 매우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original use of a tape measure to measure the length or width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it is useful for drawing lines, circles, shapes, etc. having various shapes and shapes, and cutting the object to a specified shape. It is very versati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는,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 또는 너비 측정 뿐 아니라 지정위치에 대한 마킹 및 각종 선, 도형을 제도함에 있어서도 활용 가능하도록, 줄자 케이스 일측 또는 양측에 마킹부재를 포함하는 마킹수단을 부착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The tape measure for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rking memb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tape measure case so that it can be utilized not only for measuring the length or width of the measurement object but also for marking the designated position and drawing various lines and figures. Attaching the marking means is a gist of the constru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 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ape measure for draw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는, 줄자(10) 및 상기 줄자 케이스(100) 일측에 부착되는 마킹수단(20)을 포함한다. 상기 줄자(1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탄성 보빈타입의 줄자이며, 상기 마킹수단(20)은 상기 줄자 케이스(100) 측벽에 부착되어 측정위치에 대한 마킹작업 및 다양한 도형을 그리는 제 도를 수행함에 있어 활용된다.Referring to FIG. 1, the drawing tape meas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pe measure 10 and marking means 2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ape measure case 100. The tape measure 10 is a tape measure of a generally known elastic bobbin type, and the marking means 20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tape measure case 100 to perform marking operations for various measuring positions and drawing various figures. Is utilized.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줄자(10)는 일측면 하단에 측정자(104)가 인출되는 슬릿(102)을 구비한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보빈 상에 코일 형태로 감겨지며 표면에 눈금이 새겨진 띠모양의 긴 측정자(104)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빈은 인장 스프링 또는 태엽과 같은 탄성부재를 통해 케이스(100)로부터 측정자(104)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측정자(104) 인출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며, 케이스(100) 바깥으로 노출된 상기 측정자(104) 선단에는 엔드 훅(106)이 장착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tape measure 10 is wound in a coil form on a case 100 having a slit 102 from which a measurer 104 is drawn out on one side and an inner bobbin of the case 100. And includes a strip-shaped long measuring instrument 104 with a scale on the surfa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obbin has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for preventing the measurement of the measurer 104 when the measurer 104 is drawn out from the case 100 through an elastic member such as a tension spring or a spring. 100) The end hook 106 is mounted at the tip of the measuring instrument 104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측정자(104)의 눈금은 측정자를 인출했을 때 보여지는 측정자(104) 일면 뿐 아니라 도 1의 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반대측 이면에도 새겨져 있어 양면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측정자(104)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에 걸쳐 타공(10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타공(104a)은 도 2의 (a)에서와 같이 필기구 심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형일 수 있고, 도 2의 (b)에서와 같이 측정자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Slit) 형태의 구멍일 수 있다. The scale of the measurer 104 is not only the face of the measurer 104 shown when the measurer is drawn out, but also engraved on the reverse side as shown in the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1, so that both sides can be used. The perforations 104a are formed over a constant interval in the direction. In this case, the perforation 104a may be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enough to insert the writing instrument core as shown in (a) of FIG. 2, and as shown in (b) of FIG. ) Can be a hole.

상기 타공(104a)이 원형이며 측정자(104) 길이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형성된 경우에는 도 2의 (a)에 도시한 예시도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타공에 못, 송곳, 압정과 같은 도구(t)를 끼워 측정자 일측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다른 타공에는 필기구를 위치시키고, 상기 도구(t)에 의해 고정된 고정축을 중심으로 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갖는 원 또는 반호를 손쉽게 그릴 수 있고, 상기 타공(104a)이 슬릿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도 2의 (b)에 도시한 예 시도에서와 같이, 측정자를 이용해 측정자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파선을 그리는 데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When the perforations 104a are circular and have a constant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asurer 104, tools such as nails, awls, and tacks in any perforations,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t) by inserting the writing instruments in other perforations spaced a certain distance while fixing the one side of the measuring instrument, by rotating the tape measure around a fixed axis fixed by the tool (t) to easily circle or half arc of various diameters If the perforated 104a is formed in a slit shape, it may be usefully used to draw a continuous dashed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asurer by using the measurer, as in the example attempt shown in FIG. Can be.

상기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마킹수단(20)은 마킹부재(200) 및 마킹부재(200)가 상기 슬릿(102) 주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 측벽에 마킹부재(200)를 고정시켜주는 홀더(202)를 포함한다. 마킹부재는(200)로서 도면에는 일반적인 연필, 볼펜 등 일반적인 필기구를 채택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지만, 이 외에도 레이져 포인터 또는 커터가 채택될 수 있으며, 홀더(202)는 상기 마킹부재를 케이스(100)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특정 형상 및 구성에 구애됨이 적용이 가능하다. The marking means 20 mounted on the case 100 fixes the marking member 200 to the side wall of the case 100 such that the marking member 200 and the marking member 200 are positioned around the slit 102. Holder 202. As the marking member 200, for example, a general pencil, a ballpoint pen, or the like, which adopts a general writing instrument is illustrated,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laser pointer or cutter may be employed, the holder 202 is the case for the marking member 100 ) If the configuration can be fixed to the side wall can be applied to the particular shape and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마킹부재(200)로서 필기구가 채택되는 경우에는,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 또는 너비 측정과 함께 지정된 위치에 측정위치를 표시하거나 상기 줄자를 이용해 규칙 또는 불규칙한 패턴을 갖는 선, 원을 포함하는 도형을 그릴 수 있으며, 레이져 포인터가 채택된 경우에는 측정 대상물에 대한 원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커터인 경우에는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 또는 너비를 측정하는 작업과 함께 지정된 길이로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 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상물, 작업환경, 작업형태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마킹부재(200)를 선택하여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riting instrument is adopted as the marking member 200, the measurement position is displayed at a designated position together with the length or width measurement for the measurement object or a tape having a regular or irregular pattern using the tape measure, It is possible to draw a figure containing a circle, and when the laser pointer is adopte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measurement object. In the case of the cutter, the cutting operation of cutting the object to a specified length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length or width of the measuring objec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d apply an appropriate marking member 200 in consideration of the object, work environment, work type, and the like as a whol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마킹수단(2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슬릿(102) 주변의 케이스(100) 일측 벽면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설치되고, 상기 마킹수단(20)의 홀더(202)는 케이스(100)에 일체형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된 측정자(104) 위의 눈금을 가르키도록 상기 홀더(202) 주변에는, 이러한 홀더(202)로 일정길이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지침(204)이 형성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ing means 20 is installed on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around the slit 102, as shown in Figure 1, the holder of the marking means 20 202 may be integral with the case 100 or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t this time, the guide 204 is formed around the holder 202 so as to indicate a scale on the measurer 104 drawn from the case 100.

상기 지침(204)은 외부로 인출된 측정자(104)의 눈금 중 어느 한 눈금을 지시함으로써 측정자(104)를 통한 대상물 길이 또는 너비 측정 시 치수가 명확하게 규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마킹수단(20)의 마킹부재(200) 중심으로부터 좌우방으로 뻗은 연장선(L1) 직상방 대응되는 위치의 홀더(202) 주변에 상기 지침(204)을 형성하여, 상기 마킹수단(20)을 이용하여 지정된 위치에 마킹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치수의 정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204 is directed to any one of the scales of the measurer 104 drawn out to the outside so that the dimensions can be clearly defined when measuring the length or width of the object through the measurer 104, preferably, The guide means 204 is formed around the holder 20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immediately above the extension line L1 extending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marking member 200 of the marking means 20 to use the marking means 20.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dimensions even when marking is performed at a designated position.

즉, 상기와 같이 마킹부재(200)의 중심과 동일한 위치에 지침(204)을 형성하는 경우, 슬릿(102)을 통해 케이스(100) 바깥으로 인출되어 지침이 가르키는 측정자(104) 눈금과 상기 마킹부재(200) 중앙 예컨대, 필기구인 경우 심이 정확히 일치하므로, 측정자(104) 인출 후 원하는 치수에 상기 지침(204)을 일치시킨 후 마킹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 치수의 정확성이 보장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지정된 위치에 정밀한 마킹이 요구되는 작업에 있어서의 마킹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guideline 204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enter of the marking member 200 as described above, the scale of the measurer 104 which is drawn out of the case 100 through the slit 102 and indicated by the guideline is In the center of the marking member 200, for example, writing instruments, the seams are exactly matched, so that the accuracy of the dimensions can be ensured in the case of performing marking after matching the guideline 204 to the desired dimensions after drawing out the measurer 104, As a result, the accuracy of marking in a job requiring precise marking at a designated position can be determined.

상기 지침(204)이 가르키는 측정자(104) 눈금 확인을 통해 측정 대상물의 치수를 확인함에 있어서는, 시력이 안좋은 사용자의 경우에도 별도의 보조 도구 없이 육안만으로는 눈금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침(204) 직상방에 위치한 케이스(100) 외벽에는 이 케이스(100) 외벽으로부터 수납 가능하도록 돋보기(110)를 장착함으로써, 시력이 좋지 않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 람직하다.In determining the size of the measurement object through the check of the scale of the measurer 104 indicated by the guideline 204, the guideline 204 may enable the user to check the scale with only the naked eye without a separate aid even for a user who has poor eyesight. It is also preferable to mount the magnifier 110 on the outer wall of the case 100 located directly above, so that the magnifier 110 can be stor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case 100 so as to eliminate inconvenience of a user who has poor eyesight.

상기 측정자(104) 선단에 장착되는 엔드 훅(106)은 측정 대상물 모서리에 측정자 한 쪽 끝이 걸릴 수 있도록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따라서 모서리를 가진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 또는 너비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측정자 자유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하지만 측정 대상물이 모서리 또는 입체 형상의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고 있지 않는 평면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엔드 훅(106)이 형성된 측정자 선단을 고정시킬 수 없어, 측정이 어렵고 그 수치 또한 부정확하며 측정 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end hook 106 mounted at the tip of the measuring member 104 is bent into a shape of "a" so that one end of the measuring member can be caught at the edge of the measuring object, thus performing a length or width measurement on the measuring object having a corner. It is possible to fix the free end of the meter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However, when the object to be measured has a flat shape that does not form corners or three-dimensional protrusions or grooves, the end of the measuring instrument can not be fixed to the end hook 106, so that the measurement is difficult and the numerical value is inaccurate. It is inconvenient to seek help.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엔드 훅(106)에는 가늘고 끝이 뾰족한 고정침(112)이 하나 이상 부착되며, 상기 고정침(112)은 측정 대상물 또는 측정 대상부가 천정, 벽체와 같이 평면 형태를 가진 경우에 있어 측정 기준점에 측정자 자유단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측정 대상물 또는 측정 대상부가 모서리 또는 입체 형상의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고 있지 않는 평면 형태인 경우에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정확하게 길이 또는 너비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hook 106 is attached to at least one fixing needle 112 is thin and pointed, the fixing needle 112 is a measurement object or the measurement target portion is a planar shape, such as ceiling, wall In this case, the free end is fixed to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Therefore, even when the measurement object or the measurement object portion is a flat shape without forming corners or three-dimensional protrusions or grooves, the length or width can be accurately measured without the help of others.

상기 고정침(114)을 엔드 훅(106)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마킹부재(200) 중심으로부터 측정자(104)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뻗은 연장선(L2)이 상기 엔드 훅(106)과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측정자(104) 인출 시 그 인출 길이와 상기 고정침(114)과 마킹부재(200) 중심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므로 마킹작업 시 치수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엔드 훅(106)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침(114)을 고정시켜주는 고정구(112)로부터 상하로 입출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측정자(104)를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installing the fixing needle 114 to the end hook 106, the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 (L2) extending horizontally in parallel with the measuring member 104 from the center of the marking member (200) intersects the end hook (106). It is preferred to be located at. In this case, the withdrawal leng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needle 114 and the center of the marking member 200 are the same when the measurer 104 is drawn out, thereby ensuring the accuracy of the dimension during the mark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3. The end hook 106 is formed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from the fastener 112 which fixes the fixing needle 114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it may be utilized 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measuring instrument 104 upside down. .

상기 고정침(114)은 위와 같이 측정자(104) 자유단을 측정 대상물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주요하게 수행하지만, 작업형태에 따라 상기한 마킹수단(20)과 함께 사용되어 대상물의 형상을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대상물의 형상을 그대로 옮기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활용된다. 즉, 도 4의 사용 예시도에서와 같이, 측정자(104)를 인출시켜 공지된 기술인 스토퍼(108)를 이용하여 그 인출된 길이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침(114)을 복사 대상 도형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업을 통해, 상기 고정침(114)과 측정자(104) 인출길이 만큼 이격된 위치에 동일한 모양의 도형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The fixing needle 114 mainly serves to fix the free end of the measurer 104 to the measurement object as described above, but is used together with the marking means 20 according to the working type to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object. It is also used to carry out the work of moving the shape of the object to the spaced position as it is. That is, as shown in the use example of FIG. 4, while the drawer 108 is drawn out and the drawn length is maintained using the stopper 108, which is a known technique, the fixing needle 114 is used to copy the figure. By moving along, the shape of the same shape can be implemented as it is in the position spaced apart by the length of the fixing needle 114 and the measurer 104.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자(104)가 인출되는 슬릿(102)과 인접한 줄자 케이스(100) 일측에 필기구(200)를 포함하는 마킹수단(20)이 부착되어 있고, 마킹수단(20)은 측정 대상물의 길이 또는 너비 측정과 함께 측정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활용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와 달리 줄자와 필기구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도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 또는 너비 측정과 함께 측정위치를 표시하는 마킹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ing means 20 including the writing instrument 20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ape measure case 100 adjacent to the slit 102 from which the measurer 104 is drawn out, and is marked. The means 20 is utilized in performing the marking operation for indicating the measurement position together with the measurement of the length or width of the measurement object. As a result, unlike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marking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measurement position together with the length or width measurement for the measurement object without carrying the tape measure and the writing instrument separately.

마킹작업을 실질적으로 수행함에 있어서도, 줄자(10)와 필기구(200)가 분리된 종래의 경우 한 손으로 줄자를 쥔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마킹을 행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줄자 케이스(100)에 마킹수단(20)이 부착됨에 따라 필기구를 따로 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킹작업에 대한 작업성 및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Even when the marking operation is substantially performed, in the conventional case in which the tape measure 10 and the writing instrument 200 are separated, the work must be performed in the form of marking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tape measure with one hand. Howe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rking means 20 is attached to the tape measure case 100, the writing instrument does not need to be held separately,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convenience for marking work.

마킹부재(200)로서 레이져 포인터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원거리에서도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 대상물 사이에 요철 등 입체적인 형상의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비교적 정확하게 길이 또는 너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대상물이 평면 패턴이 아닌 불규칙한 입체 패턴을 가진 경우에 있서도도 길이 또는 너비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마킹부재로서 커터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 또는 너비를 측정하는 작업과 함께 지정된 길이로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 작업 역시 병행가능하므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다.When the laser pointer is adopted as the marking member 200,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at a long distance, and even if there are obstacles of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irregularities between the measurement objects, the length or width can be measured relatively accurately.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n irregular three-dimensional patter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ength or width can be measu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dopting the cutter as the marking member, the cutting operation of cutting the object to a specified length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length or width of the measuring object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and thus,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mproved.

또한, 엔드 훅(106)에 설치된 고정침(114) 및 측정자(104)에 형성된 타공(104a), 그리고 상기 마킹수단(20)을 활용하여, 별도의 보조도구 없이도 규칙 또는 불규칙한 패턴의 갖가지 선, 원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도형 등 원하는 형태의 모든 도형에 대한 작도가 가능하고, 측정자(104)를 인출시켜 스토퍼(108)를 이용하여 그 인출된 길이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침(114)을 복사 대상 도형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업을 통해, 상기 고정침(114)과 측정자(104) 인출길이 만큼 이격된 위치에 같은 모양의 도형을 그대로 복사하는 작업 또한 가능하다.In addition, by utilizing the fixing needle 114 installed in the end hook 106 and the perforation 104a formed in the measuring member 104, and the marking means 20, various lines of a regular or irregular pattern without a separate auxiliary tool, Drawings of all shapes of a desired shape, such as shapes of various shapes including circles, are possible, and the fixing needle 114 is removed while the measurer 104 is drawn out and the drawn length is maintained using the stopper 108. By moving along the object to be copied, it is also possible to copy the shape of the same shape as it is in the position spaced apart by the length of the extraction needle 114 and the measuring instrument 104.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는 측정자(104)가 인출되는 슬릿(10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마킹수단(20)이 슬릿(102) 주변의 케이스(100) 양 측벽에 대향되게 설치됨을 요지로 하며, 그외 구성은 상기한 제1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rawing tape meas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 tape meas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t 102 from which the measurer 104 is drawn out. The marking means 20 is disposed so as to face opposite sidewalls of the case 100 around the slit 102,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기 제2 실시예서 상기 마킹수단(20)의 마킹부재(200)를 케이스(100) 양 측벽에 부착 고정시킴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홀더(202)가 케이스(100) 측벽에 일체형 또는 탈착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하도록 홀더를 구현함에 있어서는 도 6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줄자(10)의 케이스(100) 두께에 상응하는 축방향 길이를 가진 판상의 중앙 연결부(202a)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연결부(202a) 양 선단에는 상호 이격되는 방향에 대해 저항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접지날개(202b)가 일체로 절곡된 형성된 구성의 홀더(202)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in attaching and fixing the marking member 200 of the marking means 20 to both sidewalls of the case 100, the holder 202 is attached to the sidewall of the case 1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of the plate having an axi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ase 100 of the tape measure 10, as in the modification of FIG. And a holder 202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ground blade 202b having a restoring force is integr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202a and having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이때, 도 6에 도시된 상기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홀더(202)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홀더(202)의 중앙 연결부(202a)는 장착 대상부인 케이스 두께에 대응하여 축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중앙 연결부를 어느 한 쪽 일부가 다른 한 쪽에 삽입되어 신축될 수 있도록 2개의 구성요소로 분리 형성하고, 2개의 구성요소를 인장 스프링(도면부호 생략)으로 연결하여 2개의 구성요소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에 대해 저항하는 복원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이한 사이즈를 갖는 다른 줄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이 좋을 것이다.At this time, in applying the modified holder 2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202a of the holder 202 has an axi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ase thickness that is the mounting target portion. It is desi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is flexible so that it can be varied.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entral connection part is formed into two components so that one part can be inserted into and stretched on the other side, and the two components are connected by a tension spring (not shown). It would be good to have the restoring force resis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nen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other components having different sizes may be applicabl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해 발현되는 효과 뿐만 아니라, 슬릿(102)을 사이에 두고 케이스(100) 양 측벽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마킹수단(20)이 구비됨에 따라, 경우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 는 평행선을 그릴 경우에 있어서, 측정자 선단을 대상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측정자를 인출시키는 동작만으로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는 평행선을 연속해서 그릴 수 있어 줄자의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줄자를 사용함에 있어 왼손잡이 오른존 잡이 구분 없이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effect expressed by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also the marking means 2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walls of the case 100 with the slits 102 therebetween. In this case, in the case of drawing a parallel lin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in some cases, the parallel line to maintain the correct interval can be continuously drawn only by pulling out the measurer with the tip of the operator fixed to the objec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x more, and the use of a tape measure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left handed right handed zone to be used without distinc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수단이 부착된 휴대용 줄자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킹수단이 부착된 휴대용 줄자에 따르면, 크고 작은 둥근 원이나 반호를 그리기 위한 컴퍼스 대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측정자(104) 선단의 엔드 훅(106)에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한 피봇부재(30)를 더 포함한다.FIG. 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portable tape measure with a mark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ape measure with a mark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compass substitute for drawing a large or small round circle or a half arc is used. In order to be able to utilize as, further comprises a pivot member 30 that can be selectively removable on the end hook 106 of the tip of the measurer (104).

도 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 상기 피봇부재(30)는 자석을 구비하거나 상기 엔드 훅(106)에 구비되는 자석(300)을 통해 상기 엔드 훅(106)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피봇부재(30) 하단 일측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줄자(10)를 이용하여 원을 그리는 경우에 있어 구심점이 되는 끝이 뾰족한 피봇 포인트(302)를 형성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ivot member 3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d hook 106 through a magnet 300 provided with a magnet or provided at the end hook 106. On the bottom side of the pivot member 30, a pivot point 302 having a sharp end point which becomes a centripetal point when drawing a circle using a tape meas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상기 피봇부재(30)를 측정자 선단 엔드 훅(106)에 부착시킴에 있어서는 도 8에서와 같이, 필기구(200)로부터 측정자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뻗은 연장선(L3)이 상기 피봇부재(30)와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피봇 포인트(302)가 위치하도록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정자(104) 인출 시 그 인출 길이와 상기 피봇 포인트(302)와 필기구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므로, 측정자(104)를 인출시켰을 때 그 인출된 길이와 동일한 반경을 가진 원호를 그릴 수 있다. 즉, 오차 없는 정밀한 반경 또는 직경이 요구되는 원 또는 반호를 그리는 작업에 있어 유리하다.In attaching the pivot member 30 to the measurer tip end hook 106, as shown in FIG. 8, an extension line L3 extending horizontally parallel to the measurer from the writing instrument 200 intersects with the pivot member 30. Preferably, the pivot point 302 is attached to the point where it is. In this case, the withdrawal leng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ivot point 302 and the writing instrument are the same when the measurer 104 is drawn out, and thus, when the measurer 104 is drawn out, an arc having the same radius as the drawn length can be drawn. . In other words, it is advantageous in drawing a circle or a half arc requiring a precise radius or diameter without erro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엔드 훅(106)이 부착되는 상기 피봇부재(30)에 의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줄자(10)를 크고 작은 둥근 원이나 반호를 그리기 위한 컴퍼스 대용으로 활용함에 있어 유리하다. 물론 전술한 고정침을 활용하여도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지만, 상기 피봇부재는 고정침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일반 줄자의 엔드 훅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 일반적인 줄자의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by the pivot member 30 to which the end hook 106 is attached, the tape measure 1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large or small. It is advantageous to use as a substitute for a compass. Of course, the same function and effect can be realiz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fixing needle, but since the pivot member can be used by attaching to the end hook of a general tape measure that does not form the fixing needle, It can improve more.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wing tape meas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의 사용 예시도.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the tape measure for draw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엔드 훅을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 enlarged end hook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의 다른 사용 예시도.4 is another example of using a drawing tape meas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wing tape meas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따른 홀더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6 shows a variant of the holder according to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wing tape meas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도용 줄자의 사용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of using a drawing tape meas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줄자 20...마킹수단10 ... tape measure 20 ... marking means

30...피봇부재 100...케이스30.Pivot member 100 ... Case

102...슬릿 104...측정자102.Slit 104 ... Measure

106...엔드 훅 108...스토퍼106 ... End Hook 108 ... Stopper

110...돋보기 114...고정침110 Magnifying glass 114

200...마킹부재 202...홀더200 ... marking member 202 ... holder

302...피봇 포인트302.Pivot Point

Claims (16)

일면과 이면에 눈금이 새겨져 있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에 걸쳐 타공이 형성된 띠모양의 긴 측정자; A strip-shaped long measuring member engraved on one side and a back side and formed with perforations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측정자를 내부에 권취 수용하며, 일측에는 권취 수용된 상기 측정자가 인출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A case in which the measurer is wound and housed therein, and a slit is formed at one side so that the measurer housed with the wound is drawn out; 상기 케이스 바깥으로 노출된 상기 측정자 선단에 장착되며, 가늘고 끝이 뾰족한 고정침이 하나 이상 부착되어 있는 엔드 훅;An end hook mounted to the tip of the met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having at least one fixed needle having a sharp tip;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슬릿을 통해 케이스 외부로 인출된 측정자의 인출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 및A stopper installed in the case and maintaining a drawing state of the measurer drawn out of the case through the slit; And 상기 측정자가 외부로 인출되어지는 상기 슬릿 주변 케이스 측벽 위치에 구비되는 마킹수단;을 포함하며,Marking means provided in the side wall position of the slit peripheral case that the measurer is drawn out to the outside; 상기 마킹수단은,The marking means, 마킹부재; 및Marking member; And 상기 슬릿 주변 케이스에 상기 마킹부재를 고정시켜주는 홀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Drawing holder for fixing the marking member to the slit peripheral c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킹수단은,The marking means, 상기 슬릿 주변의 케이스 일측 벽면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Drawing tape is installed on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face of the case one side around the sl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킹수단은,The marking means,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슬릿 주변의 케이스 양측 벽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Drawing tape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pposite to each oth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on both sides of the case around the slit with the slit in betwee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슬릿을 사이에 두고 케이스 양 측벽에 마킹수단이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홀더는,In the case where the marking means is mounted on both side walls of the case with the slit in between, the holder is 상기 케이스 두께에 상응하는 축방향 길이를 가진 판상의 중앙 연결부를 포함하며, A central plate-shaped connection with an axi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ase, 상기 중앙 연결부 양 선단에는 상호 이격되는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접지날개가 일체로 절곡된 형성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Drawing tape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ends of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has a form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grounding wing having a restoring force integrally bent in a direc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nt integrall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홀더의 중앙 연결부는,Central connection portion of the holder, 장착 대상부인 케이스 두께에 대응하여 축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A tape measure for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etchable structure so that the axial length can be changed in correspondence to the case thickness, which is the mounting target portion.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마킹부재는,Marking member, 필기구, 레이져 포인터, 커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Drawing tape, a laser pointer, a writing tap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cutt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홀더는,Holder is, 케이스에 일체형 또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Drawing tape measure,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 to the case or configured to be removable from the cas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마킹수단은, The marking means,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측정자 위의 눈금을 가르키도록 상기 홀더 외부로 일정길이 수평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지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And a guide having a shape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ly of the holder to point to a scale on the measurer drawn out from the cas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지침은,The instructions above, 마킹수단의 마킹부재 중심으로부터 좌우방으로 뻗은 연장선 직상방 대응되는 위치의 홀더 주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Drawing tap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round the hold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ne extending immediately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marking member of the marking means.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지침 직상방에 위치한 케이스 외벽에 수납 가능하게 장착되는 돋보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And a magnifying glass receivably mounted on an outer wall of the case located directly above the guideli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정자에 형성된 타공은,Perforations formed in the measuring device, 원형 또는 측정자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 Drawing tape mea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of the shape of the slender elongated in the circular or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침은,The fixing needle, 상기 마킹부재 중심으로부터 측정자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뻗은 연장선이 엔드 훅과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Drawing ta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line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measuring member from the center of the marking member intersects the end hook.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고정침은,The fixing needle, 엔드 훅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침을 고정시켜주는 고정구로부터 상하로 입출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Drawing tape is formed on the end hoo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from the fixture to fix the fixing need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피봇 포인트를 하단 일측에 형성하고 있고 상기 엔드 훅에 부착되는 피봇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도용 줄자.And a pivot member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pivot point and attached to the end hook.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피봇부재는,The pivot member, 상기 엔드 훅 또는 상기 피봇부재에 구비된 자석에 의하여 상기 엔드 훅에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Drawing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detachable to the end hook by the magnet provided in the end hook or the pivot member.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피봇부재는,The pivot member, 마킹부재로부터 측정자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뻗은 연장선이 상기 피봇부재와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피봇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엔드 훅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줄자.And an extension lin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marking member in parallel with the measur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end hook such that the pivot point is positioned at the point where the pivot member intersects with the pivot member.
KR1020080066317A 2008-07-09 2008-07-09 Measuring tape for draw KR1009644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317A KR100964405B1 (en) 2008-07-09 2008-07-09 Measuring tape for dra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317A KR100964405B1 (en) 2008-07-09 2008-07-09 Measuring tape for dra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91A true KR20100006191A (en) 2010-01-19
KR100964405B1 KR100964405B1 (en) 2010-06-15

Family

ID=4181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317A KR100964405B1 (en) 2008-07-09 2008-07-09 Measuring tape for dra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40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44Y1 (en) * 2014-06-17 2014-12-01 김상열 Tape measure having length display function
CN108856460A (en) * 2018-07-24 2018-11-23 国家电网公司 A kind of quick position punch ruler
KR102141085B1 (en) * 2019-03-04 2020-08-04 주식회사 미성 flexible ruler
KR200495375Y1 (en) * 2020-11-16 2022-05-12 주식회사 온 Device for measuring hole pitch and tape measur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001188A1 (en) 2022-04-07 2023-10-12 Loreta Vengaliene Folding ruler for use as a compass and copying tool
KR102631276B1 (en) * 2023-03-31 2024-01-30 주식회사 한국시설물안전연구원 Portable tape measure that can be used for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7292U (en) * 1982-10-26 1984-05-07 手鹿 正明 tape measure compass
JPH0365901U (en) * 1989-10-30 1991-06-26
JPH11351801A (en) * 1998-06-09 1999-12-24 Kanrin Kogyo Kk Scale and marker for scale
JP2006030148A (en) * 2004-07-22 2006-02-02 Shinji Umeda Tape measure for mark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44Y1 (en) * 2014-06-17 2014-12-01 김상열 Tape measure having length display function
WO2015194841A1 (en) * 2014-06-17 2015-12-23 김상열 Tape measure having length marking function
US10082379B2 (en) 2014-06-17 2018-09-25 Sang Yeoul KIM Tape measure having length marking function
CN108856460A (en) * 2018-07-24 2018-11-23 国家电网公司 A kind of quick position punch ruler
KR102141085B1 (en) * 2019-03-04 2020-08-04 주식회사 미성 flexible ruler
KR200495375Y1 (en) * 2020-11-16 2022-05-12 주식회사 온 Device for measuring hole pitch and tape measur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405B1 (en)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405B1 (en) Measuring tape for draw
US6880260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precise measurements and cuts with a measuring tape
US6962002B2 (en) Multi-tape measuring tool
US3568322A (en) Measuring instrument
US7500322B2 (en) Measuring device with marking holder and sharpener
US8875411B2 (en) Cylindrical ruler
US20070124950A1 (en) Measurement marking holes apparatus and method
US3262211A (en) Marking device
US5050309A (en) Rolling ruler having a retractable and rotatable pivot pin
US1746537A (en) Plotting instrument
US8127461B1 (en) Measuring and marking device
WO2016048125A1 (en) Tape measure
KR102163709B1 (en) Woodwork triangular ruler
US20080022545A1 (en) Measurement making holes apparatus and method
JP2008292266A (en) Tape measure for range finding
KR101887867B1 (en) Multi-Purpose Ruler for Magnetic Board
JPH0814804A (en) Measuring device
KR101705716B1 (en) Scale apparatus for surveying
KR101172425B1 (en) Marking device and scale having the same
JPH08219702A (en) Tape measure with pin hole
KR100572678B1 (en) Apparatus for Assisting Tape Measure to Draw Arc and Circle and Tape Measure Therewith
KR102147961B1 (en) Woodwork for memo tape measure
JP2799680B2 (en) compass
CN209794989U (en) Portable measuring tool for planar design
KR20200145352A (en) Easily cuttable for memo tape mea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