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187U - 샤워기 절수기 - Google Patents

샤워기 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187U
KR20100006187U KR2020080016369U KR20080016369U KR20100006187U KR 20100006187 U KR20100006187 U KR 20100006187U KR 2020080016369 U KR2020080016369 U KR 2020080016369U KR 20080016369 U KR20080016369 U KR 20080016369U KR 20100006187 U KR20100006187 U KR 201000061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lower body
water
button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이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우 filed Critical 이장우
Priority to KR2020080016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187U/ko
Publication of KR20100006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1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워기 절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기의 사용시 간편하게 버튼을 조작하여, 샤워기에 제공되는 물이 샤워기에서 분출되거나 분출되지 않도록 개폐하여 조절 가능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하는 샤워기 절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는,
물의 이동통로인 호스와 연결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연결되고,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된 상부몸체로 구성되되,상기 하부몸체는, 외면 일단에 버튼홈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홈 일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동축이 구비된 샤워기몸체와, 상기 회동축에 상부 일단이 결합 연결되어 상기 버튼홈 내에서 유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동버튼과,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동버튼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버튼홈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몸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일부가 수평방향 돌출형성된 수평연결부와,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구비된 상기 수평연결부의 다른 일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직 원통 형태의 수직회동관과, 상기 수직회동관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거치 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상부에 구비된 볼과, 상기 볼의 상부가 밀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일단에 관통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구비된 수평 원판 형태의 개폐판으로 구성된다.
샤워기몸체, 하부몸체, 상부몸체, 스토퍼, 버튼홈, 회동축, 유동버튼, 스프링, 볼, 개폐판

Description

샤워기 절수기{A WATER SAVING DEVICE FOR A SHOWER}
본 고안은 샤워기 절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기의 사용시 간편하게 버튼을 조작하여, 샤워기에 제공되는 물이 샤워기에서 분출되거나 분출되지 않도록 개폐하여 조절 가능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하는 샤워기 절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로 공동주택이 대량으로 늘어나면서 주거형태는 물론 목욕문화도 변화하고 있으며, 따라서 물의 소비량도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수도관에 연결된 온수밸브와 냉수밸브를 개폐하면서 필요한 양의 물을 연결호스에 연결하여 샤워기로 분출시켜 사용함으로써 단순히 물을 살수하는 기능밖에 없어 목욕을 하는 과정에 때밀이 등을 할 때에는 계속해서 물이 분출되어 헛되이 물을 낭비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고 불필요할 때에 물을 차단하려면 온,냉수 밸브를 틀어 폐쇄하였기 때문에 다시 물이 필요할 때에는 물의 온도를 맞게 조정하려고 온.냉수 밸브를 개폐하는 동안에 물이 계속 흘러나와 물을 낭비하 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각 가정의 샤워시설은 냉, 온수 밸브가 있는 샤워시설을 사용하고 있으며, 목욕탕에서 사용하는 샤워기는, 물의 온도를 자신의 기호에 맞게 조절해 놓고 개폐밸브만을 사용토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 밸브를 열어놓은 상태로 비누칠을 하거나, 기타 다른 일을 할 때에 밸브를 조절하는 것이 귀찮아 물을 계속 흘려 보내는 사례가 너무도 많아 물의 낭비는 물론, 온수를 만들기 위한 연료비의 손실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는,
욕실에서 샤워기를 사용시 샤워기의 물이 분출되는 상태로, 다른 동작을 할 경우에 샤워기에 구비된 버튼을 간편하게 조작하여 샤워기에서 분출되는 물을 단수하고, 다른 동작이 끝난 후 샤워기의 물을 제공받고자 하면 다시 간편하게 버튼을 조작하여 샤워기에서 물이 분출되도록 하여,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샤워기 절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는,
물의 이동통로인 호스와 연결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연결되고,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된 상부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몸체는, 외면 일단에 버튼홈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홈 일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동축이 구비된 샤워기몸체와, 상기 회동축에 상부 일단이 축 결합 연결되어 상기 버튼홈 내에서 유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동버튼과,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일부가 상기 유동버튼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버튼의 유동에 따라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물을 조절하는 급수조절부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조절부는,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동버튼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버튼홈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몸체 내부로부터 외부 수 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수평연결부와,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구비된 상기 수평연결부의 다른 일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직 원통 형태의 수직회동관과, 상기 수직회동관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거치 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상부에 구비된 볼과, 상기 볼의 상부가 밀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일단에 관통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구비된 수평 원판 형태의 개폐판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수평연결부는, 상기 수직회동관 일단과 연결되는 수평암과, 상기 유동버튼 일단과 연결되는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버튼은, 상기 돌출편이 끼움 결합 되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볼이 밀착 유동 될 수 있도록 원판형태의 고무판과, 상기 고무판의 상부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플라스틱판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는,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부몸체와 결합시 상기 하부몸체 상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판이 유동 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샤워기를 사용하여 샤워중에, 비누칠을 하거나 샴푸를 사용하는 등 다른 동작을 할 경우에 간편하게 샤워기의 버튼조작으로 샤워기에서 분출되는 물을 단수하고, 다른 동작을 마치고 샤워기의 물을 사용하기 위해 다시 간편하게 샤워기의 버튼조작을 하여, 샤워기의 물을 사용하지 않는 중에 샤워기의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고, 간단한 버튼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물 사용을 조절 할 수 있는 그 사용이 용이한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전체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일부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전체를 분리한 전체 분리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요부를 확대한 요부확대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다타낸 단면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일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러한 샤워기 절수기는, 욕실 등의 샤워기 일단에 연결되어 샤워시 불필요한 물의 소비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샤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는,
개인주택의 욕실이나 화장실 또는 대중목욕탕에 구비된 샤워기의 일단에 구비되어, 간단한 버튼조작으로 물의 사용을 조절하여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편하게 사용가능하다.
사용자가 파지한 채로 물이 사용자에게 분사되도록 하는 샤워기몸체(5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물의 이동통로인 호스와 연결되는 하부몸체(52)와, 상기 하부몸체(52)의 상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물이 직접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구(40)가 구비된 상부몸체(54)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몸체(52)는, 외면 일단에 상기 하부몸체(52)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버튼홈(55)이 구비되고, 상기 버틈홈(55) 일단에는, 상기 하부몸체(52)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수평 원통 형태의 회동축(5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52)의 일 외면에 구비된 상기 버튼홈(55)에는, 상기 회동축(58)에 상부 일단이 축 결합 연결되어 상기 버튼홈(55) 내에서 유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동버튼(1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52) 내부에는, 상기 하부몸체(52)에 구비되되 일부가 상기 유동버튼(100)과 연결형성되어 상기 유동버튼(100)의 유동에 따라 상기 분사구(40)로 물이 분사되는 것을 조절하는 급수조절부(105)가 형성된다.
도 5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52) 내부에는, 상기 유동버튼(100)의 일단과 연결되는 상기 급수조절부(105)가 구비되는데, 상기 급수조절부(105)는, 상기 버튼홈(55)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몸체(52) 내부로부터 외부로 일부가 수평방향 돌출형성된 수평연결부(110)와, 상기 수평연결부(110)의 다 른 일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직 원통 형태의 수직회동관(120)을 갖는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부(110)는, 상기 수직회동관(120) 일단과 연결되는 수평 원통 형태의 수평암(112)과, 상기 유동버튼(100) 일단과 연결되는 돌출편(114)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버튼(100)은, 상기 돌출편(114)이 끼움 결합 되는 끼움홈(102)이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수직회동관(12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직 원통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회동관(12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수직방향으로 거치 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스프링(130) 상부에 볼(14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52)의 상부에는 수평 원판 형태의 개폐판(150)이 구비되는데, 상기 개폐판(150)의 일단에는 관통홈(155)이 구비되어, 상기 볼(140)의 상부가 상기 개폐판(150)의 하면에 밀착된 채로 유동하면서 상기 관통홈(155)을 개폐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개폐판(150)은, 상기 볼(140)이 밀착 유동 될 수 있도록 된 원판형태의 고무판(152)과, 상기 고무판(152)의 상부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플라스틱판(15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54) 하부에는, 상기 상부몸체(54)가 상기 하부몸체(52)와 결합시 상기 하부몸체(52) 상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판(150)이 유동 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56)가 구비된다.
도 7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샤워기를 사용 시, 상기 샤워기몸체(50)를 파지한 채로 상기 하부몸체(52)에 구비된 상기 버튼홈(55) 회동축(58)에 축 결합 된 유동버튼(100)을 회동하게 되면, 상기 유동버튼(100)의 끼움홈(102)에 끼움 결합 된 상기 돌출편(114)도 같이 회동 되어, 상기 돌출편(114)과 일체로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상기 수평암(112)이 회동 된다.
이어서, 상기 수평암(112)이 회동 되면 상기 수평암(112)의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수직회동관(120)이 회동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직회동관(12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스프링(130)의 상 방향 탄성 반발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130)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볼(140)이, 상기 개폐판(150) 하부에서 상기 개폐판(150)의 관통홈(155)에 밀착되어 상기 관통홈(155)을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개폐판(150)의 하면에 구비된 원판 형태의 고무판(152)에 밀착된 상태로 유동 되어 상기 관통홈(155)을 개구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140)은, 상기 고무판(152)에 밀착된 채로 유동 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홈(155)을 견고하게 폐쇄해야 하기 때문에, 강도를 갖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급수조절부(105)는, 상기 스프링(130)을 제거하고, 상기 수직회동관(120) 상부에 상기 볼(140)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회동관(120)과 수압에 의해 상기 볼(140)이 상기 고무판(152)에 밀착되어 상기 관통홈(155)을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150)은, 상기 하부몸체(52)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개폐판(150)은, 호스(미도시)를 통해 진입된 물이 상기 상부몸 체(54)로 진입 및 단수되도록 하는 관통홈(155)이 일단에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상부몸체(54)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몸체(52)와 상기 상부몸체(54)가 결합시 상기 개폐판(150)이 상기 하부몸체(52) 상부에서 유동 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56)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15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개폐판(150)의 관통홈(155)을 상기 볼(140)이 개폐하여 상기 하부몸체(52)에 충진된 물이 상기 상부몸체(54)로 진입 및 단수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150)은, 상기 볼(140)이 밀착 유동 될 수 있도록 된 원판형태의 고무판(152)과, 상기 고무판(152)의 상부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플라스틱판(15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고무판(152)은, 상기 볼(140)이 밀착 유동 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라스틱판(154)은, 상기 스토퍼(56)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관통홈(155)이 개구 되면, 물의 이동통로인 호스(미도시)를 통해 상기 하부몸체(52)에 진입된 물이 상기 관통홈(155)을 통해 상기 상부몸체(54)의 상부에 구비된 분사구(40)로 분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버튼(100)은 상기 회동축(58)에 축 결합 된 상태이고, 상기 버튼홈(55)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축(58)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되, 상기 버튼홈(55) 내 공간에서 유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유동버튼(100)과 연결된 상기 돌출편(114)과, 상기 돌출편(114)과 연결된 수평암(112)을 포함하 는 상기 수평연결부(110)는 상기 회동축(58)을 중심 축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연결부(110)의 수평암(112)과 연결된 상기 수직회동관(120) 또한, 상기 수평연결부(11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버튼(100)의 회동을 조절하면, 상기 볼(140)이 상기 개폐판(150)의 관통홈(155)을 일부만 폐쇄하기 때문에, 물이 상기 상부몸체(54)의 분사구(40)로 분출되는 양을 조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사구(40)를 통해 분출되는 물 사용을 중지하려면, 상기 회동축(58)을 중심축으로 회동 되는 상기 유동버튼(100)을 반대방향으로 회동 되도록 하게 되는데, 상기 유동버튼(100)이 회동 되면, 상기 수평연결부(110)와, 상기 수직회동관(120)이 상기 회동축(58)을 중심축으로 동시에 회동 되어, 상기 볼(140)이 상기 개폐판(150)의 고무판(152)에 밀착된 상태로 유동 되어, 상기 스프링(130)의 상 방향 탄성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관통홈(155)을 다시 폐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관통홈(155)이 상기 볼(140)에 의해 폐쇄되면, 호스를 통해 상기 하부몸체(52)에 충진된 물은 상기 개폐판(150)을 기점으로 상기 상부몸체(54)로 진입되지 못하게 되어 물의 사용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홈(55)의 하부에는 물의 잠금과 열림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는 표시가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 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전체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일부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전체를 분리한 전체 분리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요부를 확대한 요부확대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다타낸 단면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절수기의 일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분사구 50 : 샤워기몸체
52 : 하부몸체 54 : 상부몸체
55 : 버튼홈 56 : 스토퍼
58 : 회동축
100 : 유동버튼 102 : 끼움홈
105 : 급수조절부 110 : 수평연결부
112 : 수평암 114 : 돌출편
120 : 수직회동관 130 : 수프링
140 : 볼 150 : 개폐판
152 : 고무판 154 : 플라스틱판
155 : 관통홈

Claims (5)

  1. 물의 이동통로인 호스와 연결되는 하부몸체(52)와, 상기 하부몸체(52)의 상부에 연결되고,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40)가 구비된 상부몸체(54)로 구성되되,상기 하부몸체(52)는, 외면 일단에 버튼홈(55)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홈(55) 일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동축(58)이 구비된 샤워기몸체(50)와;
    상기 회동축(58)에 상부 일단이 축 결합 연결되어 상기 버튼홈(55) 내에서 유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동버튼(100)과;
    상기 하부몸체(52) 내부에 구비되되 일부가 상기 유동버튼(100)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버튼(100)의 유동에 따라 상기 분사구(40)에서 분사되는 물을 조절하는 급수조절부(10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절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부(105)는,
    상기 하부몸체(52)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유동버튼(100)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버튼홈(55)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몸체(52) 내부로부터 외부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수평연결부(110)와,
    상기 하부몸체(52) 내부에 구비된 상기 수평연결부(110)의 다른 일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직 원통 형태의 수직회동관(120)과,
    상기 수직회동관(12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거치 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스프링(130) 상부에 구비된 볼(140)과,
    상기 볼(140)의 상부가 밀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일단에 관통홈(155)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52)의 상부에 구비된 수평 원판 형태의 개폐판(1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절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부(110)는,
    상기 수직회동관(120) 일단과 연결되는 수평암(112)과, 상기 유동버튼(100) 일단과 연결되는 돌출편(114)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버튼(100)은,
    상기 돌출편(114)이 끼움 결합 되는 끼움홈(1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절수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150)은,
    상기 볼(140)이 밀착 유동 될 수 있도록 원판형태의 고무판(152)과, 상기 고무판(152)의 상부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 플라스틱판(15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샤워기 절수기.
  5.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54) 하부에는,
    상기 상부몸체(54)가 상기 하부몸체(52)와 결합시 상기 하부몸체(52) 상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판(150)이 유동 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5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절수기.
KR2020080016369U 2008-12-10 2008-12-10 샤워기 절수기 KR201000061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69U KR20100006187U (ko) 2008-12-10 2008-12-10 샤워기 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69U KR20100006187U (ko) 2008-12-10 2008-12-10 샤워기 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87U true KR20100006187U (ko) 2010-06-18

Family

ID=4445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369U KR20100006187U (ko) 2008-12-10 2008-12-10 샤워기 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1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54U (ko) * 2015-09-04 2017-03-14 김경석 온/오프 스위치식 샤워기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54U (ko) * 2015-09-04 2017-03-14 김경석 온/오프 스위치식 샤워기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59229B (zh) 一种双向洗涤的洗涤筒、洗衣机及控制方法
US7458112B1 (en) Shower assembly kit with multiple functions
CN203328601U (zh) 一种多功能淋浴杆
KR20100006187U (ko) 샤워기 절수기
US10718102B2 (en) Discharge cold switching valve and its switching method
JP4260943B2 (ja) 止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CN201235319Y (zh) 双插接淋浴喷头
CN214766272U (zh) 一种导管自动排水装置
KR200340463Y1 (ko) 바디샤워가 가능한 샤워기
CN214784424U (zh) 旋转开关式出水咀
KR20100013055U (ko) 토수구 회전시 수량 조절되는 수전
KR100320234B1 (ko) 원터치 개폐식 비데 샤워기
KR200226526Y1 (ko) 수도꼭지
KR200212182Y1 (ko) 샤워헤드
KR200312328Y1 (ko) 샤워기
KR200444965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수압조절장치
KR200204752Y1 (ko) 세면대용 수도전
KR100896076B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KR20090000750U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유로선택 조절장치
KR200234025Y1 (ko) 절수기
KR200357338Y1 (ko) 절수형 수도밸브
KR20050113489A (ko) 수도밸브
KR100950815B1 (ko) 절수형 수도밸브
KR20230002471U (ko) 급수 방향 전환장치
CN115121384A (zh) 一种导管自动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